KR100201629B1 - 음극선관의 인너쉴드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의 인너쉴드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1629B1
KR100201629B1 KR1019960029539A KR19960029539A KR100201629B1 KR 100201629 B1 KR100201629 B1 KR 100201629B1 KR 1019960029539 A KR1019960029539 A KR 1019960029539A KR 19960029539 A KR19960029539 A KR 19960029539A KR 100201629 B1 KR100201629 B1 KR 100201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inner shield
electron beam
frame
ray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9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11625A (ko
Inventor
정진욱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60029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1629B1/ko
Publication of KR980011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11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1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16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329/00Electron emission display panels, e.g. field emission display panels
    • H01J2329/86Vessels
    • H01J2329/868Passive shielding means of vessels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극선관의 인너실드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총에서 방출된 전자빔이 유효화면 바깥으로 편향되어 주사되더라도 인너실드와 프레임의 결합공을 통과할수 없도록 하여 전자빔이 정해진 형광체만을 발광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 국부적 화면의 색순도 불량을 방지할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전자빔에 작용하는 외부자계를 차폐하도록 프레임과 결합되는 인너실드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인너실드는 전자빔의 편향각 안쪽으로 경사진 제1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제1결합부와 같은 경사를 같는 제2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결합부에는 결합스프링이 결합되는 결합홀이 형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음극선관의 인너쉴드 조립구조
제1도는 일반적인 음극선관의 단면도.
제2도는 종래기술의 인너실드. 프레임 조립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부 확대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인너실드. 프레임 조립 사시도.
제5도는 제4도의 B부 확대도.
제6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인너실드. 프레임 조립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판넬 102 : 펀넬
103 : 새도우마스크 104 : 프레임
106 : 인너실드 107 : 전자총
109 : 편향요크 110 : 제1결합부
111 : 제2결합부 110',111' : 결합홀
112 : 결합스프링
본 발명은 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새도우마스크 프레임과 인너실드의 결합시 유효화면 바깥으로 편향된 전자빔이 결합구멍을 통과하는것을 방지하여 브라운관의 색순도 불량을 해결하기 위한 새도우마스크 프레임과 인너실드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칼라 음극선관의 구성을 살펴보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음극선관의 전면에 장착되어 내면에 형광막(1)이 도포된 판넬(2)과, 상기 판넬(2)의 내측에서 입사되는 전자빔의 색선별 기능을 갖는 새도우마스크(7)와, 상기 새도우마스크(7)를 고정 지지하고 있는 프레임(6)과, 상기 판넬(2)의 후면에 결합되어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하는 펀넬(3)과, 상기 펀넬(3)의 후방으로 후퇴되어 있는 관형상의 네크부(10)와, 상기 네크부(10) 내부에 장착되어 전자빔(9)을 방출하는 전자총(5)과, 상기 방출된 전자빔(9)에 작용되는 외부자계를 차단하기 위하여 프레임(6)에 조립되는 인너실드(8)와, 상기 펀넬(3)의 외측을 둘러싸며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편향요크(4)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종래 음극선관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자총(5)에서 방출된 전자빔(9)은 펀넬(3)외부에 장착된 편향요크(4)에 의해 편향되어 새도우마스크(7)에 있는 작은 구멍을 통과하여 형광막(1)을 타격하게 되며, 이때 편향이 시작되는 부분에서 새도우마스크(7)까지의 펀넬내부공간을 인너실드(9)로 감싸주어 지자계의 영향으로 인한 전자빔의 편향궤적의 변화를 줄이도록 되어있다.
이와같은 역할을 하는 인너실드(8)는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프레임(6)의 동일위치에 결합공을 뚫고 결합스프링(10)을 끼워넣음으로서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컬러수상관에서 전자빔(9)은 유효화면보다 큰 범위로 주사되게 되는데, 이렇게 주사된 전자빔(9)중 일부는 결합공을 통과하게 되어 결합공 주변의 다른 형광체를 타격하게 된다. 이로인하여 화면상에서는 국부적으로 색순도가 떨어져 색순도 불량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인너실드와 프레임의 결합부위가 편향각 안쪽으로 각도를 갖도록 구비함으로서, 전자총에서 방출된 전자빔이 유효화면 바깥으로 편향되어 주사되더라도 프레임에 있는 비드부 각도에 의해 결합공을 통과하는것을 방지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제4도 내지 제6도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구성을 살펴보면 새도우마스크(103)가 프레임(104)에 결합되어진 새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가 판넬(101)에 장착되고, 네크부에 전자총(107)이 봉입되고 외측에 편향요크(109)가 결합된 펀넬(102)이 봉착되어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104)에 인너실드(106)가 결합되는 음극선관 구조에 있어서, 제 5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 인너실드(106)는 전자빔의 편향각 안쪽으로 경사진 제1결합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104)에는 상기 제1결합부(110)와 같은 경사를 같는 제2결합부(111)가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결합부(110,111)에는 결합스프링(112)이 삽입되는 결합홀(110',111')이 형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인너실드(106)는 제1결합부(110)에 맞추어 프레임(104)의 제2결합부(1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형상을 갖는 인너실드(106)와 프레임(104)이 겹쳐지게 되고, 겹쳐진 각각의 결합홀(110',111')을 통해 결합용 스프링(112)이 끼워짐으로서 체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제6도는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한 음극선관의 동작을 나타낸 것으로서 결합공이 있는 부분에 전자빔의 최대 편향각(θ1)보다 작은 크기의 각도를 갖도록 제2결합부(111)에 경사각도(θ)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경사각도(θ)를 가지고 구성된 제2결합부(111)에 있는 결합홀(111')을 통해 인너실드(106)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서 전자빔이 유효화면 바깥으로 주사되어도 결합홀을 통과할 수 없게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은 본 발명은 전자총에서 방출된 전자빔이 유효화면 바깥으로 편향되어 주사되더라도 인너실드와 프레임의 결합공을 통과할수 없도록 하여 전자빔이 정해진 형광체만을 발광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 국부적 화면의 색순도 불량을 방지할수 있는 발명이다.

Claims (2)

  1. 전자빔에 작용하는 외부자계를 차폐하도록 프레임과 결합되는 인너실드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인너실드는 전자빔의 편향각 안쪽으로 경사진 제1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제1결합부와 같은 경사를 같는 제2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결합부에는 결합스프링이 결합되는 결합홀이 형성된것을 특징으로하는 음극선관의 인너실드 조립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결합부는 상하방향이 아닌 일정각으로 경사지게 구비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인너실드 조립구조.
KR1019960029539A 1996-07-22 1996-07-22 음극선관의 인너쉴드 조립구조 KR100201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9539A KR100201629B1 (ko) 1996-07-22 1996-07-22 음극선관의 인너쉴드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9539A KR100201629B1 (ko) 1996-07-22 1996-07-22 음극선관의 인너쉴드 조립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1625A KR980011625A (ko) 1998-04-30
KR100201629B1 true KR100201629B1 (ko) 1999-06-15

Family

ID=19466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9539A KR100201629B1 (ko) 1996-07-22 1996-07-22 음극선관의 인너쉴드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16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56717B1 (en) * 2001-12-20 2007-11-28 LG Chem Ltd. Magnetic toner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1625A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55411A (en) Color CRT assembly having an improved envelope
KR100201629B1 (ko) 음극선관의 인너쉴드 조립구조
US6335588B1 (en) Cathode ray tube
KR100489604B1 (ko) 평면 칼라 음극선관
US6580209B2 (en) Glass funnel for a cathode ray tube having outwardly protruding portion surrounding the yoke
KR100201643B1 (ko) 평면브라운관의 지자기 차폐장치
US6388368B2 (en) Color cathode ray tube having an improved internal magnetic shield
KR20010005585A (ko) 음극선관 장착 캐비넷
US7173364B2 (en) Cathode ray tube and anode button positioned on funnel therefor
KR100215774B1 (ko) 칼라 음극선관의 인너실드
JP2701566B2 (ja) カラー受像管
KR200154146Y1 (ko) 평면브라운관의 프레임구조
KR100562859B1 (ko) 칼라음극선관용 프레임
KR940006084Y1 (ko) 칼라브라운관의 프레임
US6744185B2 (en) Beam-index-type cathode ray tube
KR100418026B1 (ko) 칼라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
KR100775826B1 (ko) 슬림형 음극선관의 인너쉴드
JP2520950B2 (ja) カラ―ブラウン管装置
KR200226394Y1 (ko) 편향요크
KR100457618B1 (ko) 음극선관의인너쉴드
KR100339365B1 (ko) 음극선관의 텐션 새도우마스크의 조립체 구조
GB2318906A (en) Shielding a CRT from the earth's magnetic field
JP2004524670A (ja) 内部磁気遮蔽体を有するカラー陰極線管
KR20030043515A (ko) 강화된 지자기 차폐수단을 구비한 음극선관
KR20000010590U (ko) 음극선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