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4940B1 - 후드 오픈시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후드 오픈시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4940B1
KR100214940B1 KR1019960069045A KR19960069045A KR100214940B1 KR 100214940 B1 KR100214940 B1 KR 100214940B1 KR 1019960069045 A KR1019960069045 A KR 1019960069045A KR 19960069045 A KR19960069045 A KR 19960069045A KR 100214940 B1 KR100214940 B1 KR 100214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comparison
switching
driver
pa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9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0251A (ko
Inventor
이재돈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60069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4940B1/ko
Publication of KR19980050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0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4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49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70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the w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11Noise generation, e.g. drive noise to warn pedestrians that an electric vehicle is approach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6Ho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드 록 감지센서를 프론트 어퍼패널에 설치하고, 상기 감지센서의 데이터에 따라 경보신호를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전달함으로써 운전자가 적절히 대처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오픈시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후드 록 장치(3, 4)에 전류를 통과시키는 회로 연결수단(10)과, 상기 회로 연결수단과 병렬연결되어 전압을 강하시키는 저항수단(20)과, 상기 회로 연결수단(10)으로 부터 공급된 전압과 기준전압을 비교출력하는 비교수단(30)과, 상기 비교수단(30)으로 부터 출력된 신호로써 전류공급을 유도하는 스위칭 수단(40)과, 상기 스위칭 수단(40)의 온오프에 따라 1차 전류를 원하는 부분에 통과시키는 릴레이 수단(50)과, 상기 릴레이 수단(50)이 도통시 경고음을 출력시켜 운전자에게 트렁크의 오픈 상태를 인지시키는 디스플레이 수단(60) 및, 비교수단(30)과 스위칭 수단(40) 사이에 설치되며 전원 인가시간을 제한하는 타이머(7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후드 오픈시 감지장치
본 발명은 후드 오픈시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후드 록 감지센서를 프론트 어퍼패널에 설치하고, 상기 감지센서의 데이터에 따라 경보신호를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전달함으로써 운전자가 적절히 대처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오픈시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차는 도 1에 나타낸 바와같이, 유선형의 후드(1)가 차량 프론트 부위에 설치되는바, 이는 엔진을 보호하고 공기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후드의 개폐 스위치는 2단계로 작동되는바, 차량 내부에서 후드 스위치를 작동시키면 1차록이 해제되고, 이후 외부에서 2차록을 해제 시켜 엔진을 점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2는 후드를 오픈시킨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후드(1)의 2차록을 해제하여 완전히 오픈시키면 프로프 로드(2)로 고정시킨후 내부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때로는 후드를 완전히 닫지 않은 상태 즉, 1차록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운전자가 운행할 우려가 있는데, 이를 디스플레이 해주는 표시장치가 없기 때문에 후드의 1차록이 해제된 것을 모르고 고속으로 운행시 순간적으로 후드가 본체에서 탈거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즉, 차량이 일정속도 이상 증가하면 공기의 저항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게 되는데 이때 후드의 1차록이 해제되어 있는 상태이고, 공기의 저항이 한계치를 넘어서면 후드가 본체에서 분리되는 사고가 발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록장치에 전기적인 수단을 연결하고, 감지수단과 스위칭 수단을 추가 구성하여 트렁크 램프가 온 될 때 이를 경고할 수 있는 수단을 인스트루먼트 패널 부위에 설치하여 트렁크의 오픈 상태를 운전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창안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록장치에 전류를 통과시키는 회로 연결수단과, 상기 회로 연결수단으로 부터 공급된 전압과 기준전압을 비교출력하는 비교수단과, 상기 비교수단으로 부터 출력된 신호로써 전류공급을 유도하는 스위칭 수단과, 상기 스위칭 수단의 온오프에 따라 1차 전류를 원하는 부분에 통과시키는 릴레이 수단과, 상기 릴레이 수단이 도통시 경고음을 출력시켜 운전자에게 트렁크의 오픈 상태를 인지시키는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구성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승용차량의 후드부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
도 2는 후드부를 오픈 했을때이 상태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회로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후드 2 : 프로프 로드
3 : 푸쉬버튼 4 : 스프링
10 : 회로연결수단 20 : 저항수단
30 : 비교수단 40 : 스위칭 수단
50 : 릴레이 수단 60: 경보음 발생수단
70 : 타이머
이하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회로 구성도로써, 후드 록 장치(3, 4)에 전류를 통과시키는 회로 연결수단(10)과, 상기 회로 연결수단과 병렬연결되어 전압을 강하시키는 저항수단(20)과, 상기 회로 연결수단(10)으로 부터 공급된 전압과 기준전압을 비교출력하는 비교수단(30)과, 상기 비교수단(30)으로 부터 출력된 신호로써 전류공급을 유도하는 스위칭 수단(40)과, 상기 스위칭 수단(40)의 온오프에 따라 1차 전류를 원하는 부분에 통과시키는 릴레이 수단(50)과, 상기 릴레이 수단(50)이 도통시 경고음을 출력시켜 운전자에게 트렁크의 오픈 상태를 인지시키는 디스플레이 수단(60) 및, 비교수단(30)과 스위칭 수단(40) 사이에 설치되며 전원 인가시간을 제한하는 타이머(7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본 발명은 먼저 후드를 닫은 상태에서는 회로단에 위치한 푸쉬버튼(3)이 눌러진 상태이므로, 회로 연결수단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 본 발명의 구성수단은 작동하지 않는다.
한편, 후드를 오픈 시키게 되면 푸쉬버튼(3) 하단에 위치한 탄성스프링(4)의 작용으로 푸쉬버튼(3)이 접점되어 회로 연결수단(10)으로 일정한 전압이 인가된다. 그러면 저항수단(20)과 합쳐져 일정한 전압을 비교수단(30)으로 인가하고, 비교수단(30)은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디지탈 신호를 타이머(70)를 거쳐 스위칭 수단(40)에 출력하며, 스위칭 수단(40)은 비교수단(30)의 온 신호에 따라 1차전류를 스위칭 시켜 릴레이(50)로 하여금 디스플레이 수단(60)으로 1차전류를 흐르도록 유도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수단(60)은 밧데리로 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일정한 주파수 음을 운전자에게 통보하던가 아니면 시각으로 램프를 점멸시켜 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비교수단과 스위칭 수단 사이에는 타이머가 설치되기 때문에 일정시간(약 5초정도) 경고음을 발생시켜, 엔진을 점검하기 위해 일부러 후드를 개폐시켜도 일정시간 지나면 경고음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별 문제가 없다.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은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함이 바람직하며, 만약 운전자가 운행중 경고음을 듣게 되면, 후드가 열린 상태라는 것을 즉각 인식하여 적절히 조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램프회로단에 약간의 장치를 추가구성하는 방법으로 후드의 열림정도를 쉽게 인지할 수 있기 때문에 차량 운행중 후드가 오픈되어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후드 록 장치(3, 4)에 전류를 통과시키는 회로 연결수단(10)과, 상기 회로 연결수단과 병렬연결되어 전압을 강하시키는 저항수단(20)과, 상기 회로 연결수단(10)으로 부터 공급된 전압과 기준전압을 비교출력하는 비교수단(30)과, 상기 비교수단(30)으로 부터 출력된 신호로써 전류공급을 유도하는 스위칭 수단(40)과, 상기 스위칭 수단(40)의 온오프에 따라 1차 전류를 원하는 부분에 통과시키는 릴레이 수단(50)과, 상기 릴레이 수단(50)이 도통시 경고음을 출력시켜 운전자에게 트렁크의 오픈 상태를 인지시키는 디스플레이 수단(60) 및, 비교수단(30)과 스위칭 수단(40) 사이에 설치되며 전원 인가시간을 제한하는 타이머(7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오픈시 감지장치.
KR1019960069045A 1996-12-20 1996-12-20 후드 오픈시 감지장치 KR100214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9045A KR100214940B1 (ko) 1996-12-20 1996-12-20 후드 오픈시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9045A KR100214940B1 (ko) 1996-12-20 1996-12-20 후드 오픈시 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0251A KR19980050251A (ko) 1998-09-15
KR100214940B1 true KR100214940B1 (ko) 1999-08-02

Family

ID=19489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9045A KR100214940B1 (ko) 1996-12-20 1996-12-20 후드 오픈시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494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0251A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4940B1 (ko) 후드 오픈시 감지장치
KR0182989B1 (ko) 차량의 도어열림 경고장치
KR0152335B1 (ko) 차량도어의 닫힘 방지 장치
KR100214939B1 (ko) 해치백 차량 트렁크 오픈 확인 장치
KR970006823Y1 (ko) 자동차의 윈도우 열림 경고장치
SU61664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тревожной сигнализации
KR100197140B1 (ko) 자동차의 연료주입부 개방시 알림장치
SU883945A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тревожной сигнализации
KR100215337B1 (ko) 차량의 덮개열림감지형 액셀러레이터 로크시스템
KR920003941Y1 (ko) 자동차의 글라스(Glass)파손시 경보장치
KR0119405Y1 (ko) 차량의 도어개방경보회로
KR100224166B1 (ko) 연료캡 미장착시 시동불등 및 경고장치
KR970061657A (ko) 차량도난방지방법 및 그 장치
KR970013565A (ko) 자동차용 배터리의 무단방전 방지장치
KR970038047A (ko) 헤드램프 소등 경보장치(a trouble status warning device of head lamp for a car)
KR970008763A (ko) 자동차의 전원 자동 차단회로
KR19990034913A (ko) 자동차의 윈도우 열림 경보 장치
KR970037957A (ko)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경보장치
KR970074074A (ko) 자동차의 밧데리 방전 경보 방법 및 장치
KR970039472A (ko) 자동차 주행 안전 장치
KR19990043277A (ko) 주차 스위치 작동 경보장치
KR19990026076U (ko) 버스의 개문발차 경보장치
KR970037924A (ko) 자동차의 후드 열림 경보장치
KR970026147A (ko) 자동차 도어 오픈시 출발방지장치
KR970074284A (ko) 자동차의 와이퍼와 후드의 접촉 경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