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4914B1 - 슬러리여과장치 및 그것을 가진 배연탈황장치 - Google Patents
슬러리여과장치 및 그것을 가진 배연탈황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14914B1 KR100214914B1 KR1019960014534A KR19960014534A KR100214914B1 KR 100214914 B1 KR100214914 B1 KR 100214914B1 KR 1019960014534 A KR1019960014534 A KR 1019960014534A KR 19960014534 A KR19960014534 A KR 19960014534A KR 100214914 B1 KR100214914 B1 KR 1002149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urry
- filtration
- tank
- sand
- flue gas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3—After-treatment of removed compon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in parallel connec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07—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in series connec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2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provided in an open container
- B01D24/205—Downward filtration without specifications about the filter material support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94—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containing filter material retaining means (e.g. screens, balls) placed on the surface of the filter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48—Sulfur compounds
- B01D53/50—Sulfur oxides
- B01D53/501—Sulfur oxides by treating the gases with a solution or a suspension of an alkali or earth-alkali or ammonium compound
- B01D53/504—Sulfur oxides by treating the gases with a solution or a suspension of an alkali or earth-alkali or ammonium compound characterised by a specific devi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48—Overflow syste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러리여과장치 및 석고의 분리(농축수단으로서 상기 슬러리여과장치를 구비한 습식석회석고법에 배연탈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기수수준에 비추어 설비비와 필요설치면적의 양자를 저감할 수 있는 슬러리여과장치 및 그와 같은 슬러리여과장치를가지고, 특히 간이 배연탈황장치로서 바람직한, 저가격·스페이스절약형의 배연탈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것이며, 그 구성에 있어서,슬러리여과장치(1)는, 상부에 슬러리공급관(22)을 밑바닥부(7)에 여과액빼내기구멍 (5)을 가진 탱크와, 상기 슬러리탱크(11)내에 설치된 슬러리를 진동시키는 진동기(21)를 포함한다. 상기 배연탈황장치는, 석고를 분리하는 장치로서 상기의 슬러리여과장치(1)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로써, 이들은 설비비 및 소요설비스페이스를 삭감할뿐만 아니라, 고액분리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제1a도 및 제1b도는 실시예 1에 따른 슬러리 여과장치를 도시하는 개략 설명도
제2도는 실시예 2에 따른 배연탈황장치를 가진 발전 플랜트의 배기가스 처리 계통도
제3도는 실시예 3에 따른 배연탈황장치를 가진 발전 플랜트의 배기가스 처리 계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73 : 슬러리 여과장치 5 : 여과액 빼내기 구멍
10 : 상청액 11 : 슬러리 탱크
13 : 분리판 15 : 여과 모래층
17 : 쇄석층 19 : 모래기둥
21 : 진동기 22 : 슬러리 공급관
27, 29 : 간막이벽 31 : 상청액 빼내기 관
본 발명은 슬러리를 여과해서 슬러리증의 고체분(固體分) 과 여과액으로 분리하는 슬러리 여과장치와, 석고의 분리(농축)수단으로서 상기 슬러리 여과장치를 구비한 습식 석회석고법 배연탈황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행하여지고 있는, 슬러리를 여과해서 슬러리중의 고체분과 여과액으로 분리하는 슬러리 여과방법의 일예로서, 산화유황을 함유하는 배연(排煙)에 석회계의 흡수제를 함유한 흡수액을 접촉시켜서 산화유황을 흡수시키고, 석고를 회수하는 방법이 있다. 이것에 이용하는 습식 석회석고법 배연탈황장치(이하 간단히 `배연탈황장치`라 함)에 있어서의 석고 슬러리의 농축 분리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런 종류의 배연탈황장치에 있어서는, 흡수탑 등에서, 석고분을 약 20~30중량% 함유한 슬러리가 생성된다. 이 슬러리중의 석고(평균 입자직경이 약 40㎛인 미립자)와 슬러리중의 액체(흡수액, 용해염분을 함유한 물)를 분리해서 부생품(副生品) 인 석고를 꺼내고, 액체의 대부분은 다시 흡수탑으로 복귀시킨다.
이 방법의 있어서는, 석고의 취급성의 관점에서, 석고의 수분함량을 약 20중량% 이하로 하는 것이 하나의 지표가 된다. 그 이유는, 수분함량 22중량%에서는 석고가 진동을 받으면 액상화하므로, 적재나 버킷팅 등의 석고의 취급에 문제가 발생하고, 이에 비해서 수분함량 20중량% 이하에서는 그와 같은 일은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종래의 배연탈황장치에 있어서는, 슬러리의 농축 및 석고의 탈수가, 석고 농축기라고 불리는 슬러리 농축 탱크와 원심분리기의 조합에 의해 행하여지고 있다.
석고 농축기는 농후(濃厚) 슬러리와 상청액(上淸液)으로 분리하는 일종의 침전조(비중차를 이용한 중량 분리)이다. 이와 관련하여 물의 비중 1.0에 대해서, 석고의 비중은 2.32이다. 이 농축기에 의해 슬러리는 석고분 약 60중량%로 농축된다.
원심분리기는, 농축기에 의해 농축된 농후 슬러리를, 원심력에 의해 고액(固液) 분리한다. 원심분리기에 의해 탈수된 석고의 수분함량은 약 5중량%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농축기는 단순한 탱크는 아니고, 공급되어 오는 슬러리를 탱크내에 조용히 분산해서 보내 넣기 위한 피드웰(feed well)이나, 탱크 바닥으로 침강한 석고를 탱크 바닥부 중앙의 슬러리 빼내기부에 모으기 위하여 저속 회전하고 있는 레이크(rake), 및 그의 구동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또, 농축기의 각 부분은 내식성의 관점에서, 고무 라이닝이나 수지 라이닝되어 있기도 하고, 또는 스테인레스 등의 내식재가 사용되고 있기도 하다.
원심분리기는, 고정 외부통, 고속 회전의 바스켓과 그의 구동장치, 여과천, 스크레이퍼(scraper)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부통에는 통상 고무 라이닝이 시행되어 있다. 바스켓은 스테인레스강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액체의 종류에 따라서는 고무 라이닝이 채용되는 경우도 있다. 여과천 재료에는 스테인레스의 철망에 P.P.(폴리프로필렌) 등의 직포(織布)를 배치한 것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스크레이퍼는 바스켓 내의 탈수된 석고를 긁어내기 위한 것이고, 스테인레스강을 모재로하고 칼날 끝은 표면경화처리가 시행된 재료가 사용되고 있다.
전술한 종래기술의 석고 슬러리 처리 시스템은, 극히 대규모이고 또한 고가인 것이었다. 그 때문에, 넓은 시설설치면적을 필요로 하고, 설비비가 고액으로 되고 있었다. 고순도의 부생 석고를 확실하게 얻으려고 하면, 종래와 같은 처리 시스템이 필요하였다. 그러나, 석고의 품질이 그다지 고품질이 아니어도 되는 경우에는, 종래의 시스템은 너무 고급인 것이었다. 그 때문에, 고품위의 석고 회수를 목적으로 하지 않는 간이 배연탈황장치의 경우에는, 설비의 가격을 내리는 것이 무엇보다도 요망된다. 또, 이미 가동중인 발전 플랜트 등에 배연탈황장치를 나중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사용할 수 있는 스페이스가 한정되므로, 배연탈황장치의 필요 설치면적을 극히 좁게 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 수준에 비추어 설비비와 필요 설치면적의 양자를 감소시킬 수 있는 슬러리 여과장치, 및 그와 같은 슬러리 여과장치를 가지며 특히 간이 배연탈황장치로서 바람직한 저가격·스페이스 절약형의 배연탈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① 상부에 슬러리 공급관을, 바닥부에 여과액 빼내기 구멍을 가진 탱크체와, 그 탱크체의 바닥부에 부설된 여과 모래층과, 이 여과 모래층 위의 스러리 탱크와, 상기 슬러리 탱크내에 설치한 슬러리를 진동시키는 진동기를 포함한 슬러리 여과장치, 및 ② 생성된 석고를 함유한 슬러리를 농축하는 수단과, 그 농축된 슬러리를 여과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슬러리 여과장치를 가진 생성된 석고를 분리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산화유황을 함유한 배연에 석회계의 흡수제를 함유한 흡수액을 접촉시킴으로써 산화유황을 흡수시켜서, 석고를 회수하는 습식 석회석고법 배연탈황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슬러리 여과장치의 바람직한 태양으로서는, 상기 슬러리 탱크내에 형성된 상청액을 여과 모래층으로 직접 안내하는 모래기둥(여과 모래의 기둥), 상기 탱크체의 상부에 형성된 상청액을 빼내는 상청액 빼내기 구멍, 또는 상기 여과 모래층의 상면에 설치된 분리판중 선택된 1종 이상을 가진 슬러리 여과장치가 있다.
또, 상기 탱크체내에 이 탱크체내를 복수의 구획으로 분할하는 간막이벽이 세워 설치되고, 상류의 구획으로부터 인접하는 구획으로 슬러리 탱크의 상청액이 유입되는 구조로 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슬러리 여과장치에 있어서는, 여과 모래층에 의해서 슬러리가 여과된다. 여과 모래층 위에 고체분이 모이고, 액체분(液體分)은 여과 모래층을 통과해서 바닥부의 여과액 빼내기 구멍을 통해 배출된다. 그리고, 슬러리 탱크내에 설치된 진동기가 부여하는 진동에 의해서, 고액 분리가 촉진된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이 슬러리 여과장치에 의해 석고 슬러리를 처리했을 경우, 석고의 수분을 약 20중량% 정도로까지 낮출 수 있어, 취급성이 좋은 석고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슬러리 여과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슬러리 탱크내에, 상청액을 직접 여과 모래층으로 안내하는 여과 모래의 기둥이 설치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탱크체의 상부에 상청액을 빼내는 상청액 빼내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여과 모래의 기둥 또는 상청액 빼내기 구멍은 양자가 동시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여과 모래의 기둥은, 철망이나 플라스틱의 망 등, 액체는 용이하게 통과시키지만 모래는 유지시킬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된 통에 여과 모래를 충전한 것으로, 모래 기둥의 하부는 여과 모래 탱크의 모래에 접속되어 있다. 슬러리 탱크속에 이와같은 여과 모래기둥을 설치함으로써, 슬러리와 모래층의 접촉면적(즉 여과면적)을 증대시킨다. 상청액의 일부는 여과 모래층 위에 축적된 여과저항이 큰 고체분의 층을 통과하는 일 없이, 모래기둥 속을 통과해서 여과 모래층으로 직접 안내된다.
여과재료 속에서의 여과속도(액체분의 이동속도)는, 통과해야 할 여과재 두께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슬러리 탱크에 모인 고체분은 일종의 여과재로서 작용한다. 이 고체분에 진동기에 위해 진동을 부여하면, 고체분의 상층부의 액체분은, 액체분을 아래로 당기는 중력의 작용보다도 여과저항 쪽이 우세하게 되기 때문에, 여과저항이 낮은 상방향으로 스며 나와서 일종의 상청액이 된다. 상기 여과 모래의 기둥 또는 상청액 빼내기 구멍은, 이와 같은 상청액을 빼내는 작용을 완수하므로, 슬러리의 탈수(액)를 현저하게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여과 모래층 위에 소정량의 고체분이 축적한 시점에서 일단 여과를 중지하고, 축적한 고체분을 버킷으로 긁어내는 등의 방법에 의해 탱크체 밖으로 꺼낸다. 이 때 고체분과 함께 여과 모래가 반출되어서 감량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 또는 석고를 회수하는 경우와 같이 고체분을 유효하게 이용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고체분속에 모래가 흡입되어서 품위가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에 대처하기 위하여, 여과 모래층 위에 격자형상 판, 철망 등의 분리판을 설치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장치의 규모가 큰 경우 등 필요한 경우에는, 탱크체내에 이 탱크체내를 복수의 구획으로 분할하는 간막이벽을 설치한다. 상류의 구획으로부터 인접하는 구획으로, 간막이벽의 상단가장자리로부터 슬러리 탱크의 상청액이 유입하는 구조로 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이 경우, 각 구획마다 여과가 행해지므로, 하류의 구획으로 감에 따라 여과 졍밀도는 향상된다. 슬러리 공급판, 바닥부의 여과액 빼내기 구멍, 진동기, 모래기둥, 상청액 빼내기 구멍 등은 각각의 구획마다 형성해도 된다.
이와 같은 구획을 형성한 슬러리 여과장치에 있어서는, 먼저 제 1 탱크에 슬러리를 공급하여, 제 1 탱크에 슬러리가 채워지면 공급을 중지하고(이 경우, 공급 정지가 지연되어서 슬러리가 간막이벽을 넘어 오버플로우하여 제 2 탱크로 유입되더라도 특별한 문제는 없다), 제 1 탱크에서 고액 분리를 행한다. 제 1 탱크에서 고액분리가 행해지고 있는 동안에 제 2 탱크로의 슬러리 공급이 행해진다. 상기 공정이 제 3 탱크, 제 4 탱크로 순차적으로 옮겨간다. 몇 개의 탱크를 설치할 것인지(몇개의 구획을 형성할 것이지)는 플랜트의 규모에 따라 결정된다. 단 여과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최종의 구획에 슬러리 공급관을 설치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필요에 따라 유사한 여과장치를 복수 계열 설치해도 된다.
본 발명의 슬러리 여과장치는, 각종 고액 혼합액의 여과·분리에 이용할 수 있는 것이며, 특히 습식 배연탈황공정에서 회수되는 석고의 여과용으로 적합하다.
본 발명의 배연탈황장치는, 산화유황을 함유한 배연에 석회계의 흡수제를 함유한 흡수액을 접촉시킴으로써 산화유황을 흡수시켜서 석고를 부생하는 석회법 배연탈황장치로서, 부생된 석고를 회수하는 공정이, 생성된 석고를 함유하는 슬러리를 농축하는 농축수단과, 농축된 슬러리를 여과하기 위한 상기 본 발명의 슬러리 여과장치의 조합에 위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슬러리 여과장치의 앞에서 슬러리를 1차 농축하는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침전 농축하는 방법이나 액체 사이클론을 이용하는 농축방법을 취할 수 있다.
석회석(탄산칼슘)을 흡수제로 하는 배연탈황장치 흡수탑에 있어서는, 이하와 같은 반응이 일어난다.
SO2+H2O→H++HSO3 -(1)
H++HSO3 -+1/202→2H++SO4 2-(2)
H++SO4 2-+CaCO3+H2O→CaSO4·2H2O+CO2(3)
이와 같이 해서, 배연속의 SO2가 제거되고, CaSO4·2H2O(석고)가 얻어진다. 또한, 흡수탑의 운전에 따라 소비되는 석회석 및 물은 적당히 보급되고, 생성되는 석고분을 함유한 슬러리는 적당히 빼내지며 흡수탑의 운전은 계속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생성된 석고 슬러리를, 1차 농축하지 않고 직접 슬러리 여과장치에 넣어서 처리하는 것도 일단은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다음의 점에서 문제가 있으므로, 채용할 수 없다. 즉 고체분에 비해서 여과수가 많게 되므로, 여과탈수 시간이 길어진다. 이 대책은, 여과층의 면적을 넒히고 석고의 케이크 두께를 얇게 하여 시간 단축을 도모할 필요가 있으므로 유효하다고 말할 수 없다.
그래서, 전술한 1차 농축수단과 슬러리 여과장치를 조합해서, 석고 슬러리 처리 시스테을 구축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슬러리 여과장치 및 배연탈황장치는 이하의 효과를 발휘한다.
① 간단한 구조의 탱크체와 염가의 여과 모래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농축기와 원심분리기의 조합과 비교해서, 설비비가 현격히 싸다.
② 마찬가지로, 종래의 조합과 비교해서, 소요 설비 스페이스가 좁아도 된다.
③ 진동기와 상청액 빼내기용의 모래기둥 또는 상청액 빼내기 구멍 등을 조합함으로써, 고액 분리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④ 석고 슬러리 처리 시스템의 가격이 싸고, 또한 소요 설비 스페이스가 좁아도 되므로, 저가격·스페이스 절약형의 배연탈황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특히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장치에 대한 나중 장착형의 간이 탈황장치로서 적합한 배연탈황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것은, 소위 산성비 대책의 하나로서, 산업상 극히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이하, 도면을 이용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1]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리 여과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제1a도는 종단면도, 제1b도는 제1a도의 A-A선 단면도이다.
이 슬러리 여과장치(1)는, 측벽(3, 9)과 바닥(7)으로 이루어진 탱크체와, 모래층(15) 및 쇄석층(碎石層)(17)으로 이루어진 여과 모래층과, 슬러리 탱크(11) 등을 구비한다.
탱크체는, 가로로 긴 사각의 피트와 같은 구조체이다. 탱크체의 바닥(7)과 각 측벽(3, 9, 23, 25)은 철근 콘크리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예의 장치에서는 제1b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탱크체의 횡방향 중간부의 2개소에 간막이벽(27, 29)이 설치되어 있다. 탱크체 내부는, 좌로부터 제 1 탱크(41), 제 2 탱크(43), 제 3 탱크(45)로 분할되어 있다. 제 1 탱크(41)의 중앙부로는, 슬러리 공급관(22)으로부터 슬러리가 공급된다. 간막이벽(27)은 측벽(23)보다도 낮게 되어서, 슬러리 탱크(11) 상부의 상청액(10)이 간막이벽(27)의 위를 넘어서 제 1 탱크(41)로부터 제 2 탱크(43)로 오버플로우하도록 하고 있다.
탱크체[측벽(3)]의 바닥부에는 여과액 빼내기 구멍(5)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여과액 빼내기 구멍(5)으로부터 여과액이 탱크체 밖으로 배출된다. 여과액 빼내기 구멍(5)(또는 여과액 빼내기 관)은, 각 탱크(41, 43, 45)에 형성되어 있다.
제 3 탱크(45) 측벽(25)에는, 상부에 상청액 빼내기 관(31)이, 바닥부에 여과액 빼내기 관(35)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관에는 밸브(33, 37)가 장착되어 있다. 상청액 빼내기 관(31)으로부터는, 슬러리 탱크 상부의 상청액을 슬러리 여과장치(1) 밖으로 빼낸다. 또, 양관의 중간부에 빼내기 관을 설치해서, 제 3 탱크(45)내로의 슬러리 유입 과정의 상청액을 단계적으로 빼내도 된다. 이와 같은 빼내기 관을 설치함으로써 여과도의 선택을 할 수 있고, 또 소정시간의 경과후에 순차적으로 아래의 빼내기 관으로 절환함으로써, 여과도의 변동을 작게 역제할 수 있다. 또 제 1 탱크(41)나 제 2 탱크(43)에, 이와 같은 빼내기 관을 설치해도 된다.
슬러리 여과장치(1)의 탱크체내의 바닥에는, 쇄석층(17)이 부설되어 있다. 쇄석층(17)위에는 모래층(15)이 부설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슬러리 여과장치는, 배연탈황으로부터 나오는 석고 슬러리의 여과용이고, 쇄석층(17) 및 모래층(15)의 제원(諸元)은 그것에 적합한 것으로 되어 있다.
즉, 여과 모래층은 평균 입자직경이 10∼30㎜인 쇄석으로 이루어진 층두께 100∼300㎜의 쇄석층과, 이 쇄석층 위에 깔린 평균 입자직경이 0.5∼2㎜인 모래로 이루어진 층두께 100∼300㎜의 모래층으로 이루어진다. 이 범위내에 있어서는, 양호한 여과를 행할 수 있다.
제1a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모래층(15)의 상면에는 격자판으로 이루어진 분리판(13)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격자형상 판(13)은, 일예로서 두께 3㎜의 강철판에 50㎜의 간격으로 1변 100㎜의 구멍을 격자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 격자형상 판의 역할은, 슬러리 탱크(11)의 석고를 버킷 등으로 꺼낼 때에 버킷이 모래층(15)(여과 모래층)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해서, 버킷속의 석고에 모래가 섞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석고 속에 모래가 섞이면, 석고의 품위를 떨어뜨림과 동시에, 여과 모래가 소모되어 버리게 된다. 여과 모래를 교환할 때에는 격자형상 판(13)을 떼어내면 된다.
슬러리 탱크(11)내에는 모래기둥(19)아 세워 설치되어 있다. 이 모래기둥(19)의 바깥쪽은 철망으로 되어 있으며, 그 속에는 모래층(15)의 모래와 동일한 모래가 채워져 있다. 모래기둥(19)의 하부는 모래층(15)과 연결되어 있다. 모래기둥(19)의 상부는 슬러리 탱크(11)의 상면의 상청액(10)에 도달하고 있다. 상청액(10)은, 모래기둥(19)내에 들어 가서 아래로 떨어지고, 모래층(15), 쇄석층(17)을 빠져 나와서, 여과액 빼내기 구멍(5)을 통해 밖으로 나온다.
또 슬러리 탱크(11)내에는 진동기(2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진동기(21)는, 슬러리 탱크(11)에 진동을 부여하여, 여과액이 잘 빠지도록 한다. 슬러리 탱크(11)에 진동을 부여하면, 슬러리중의 고체분과 액체분의 점착이 방해되어, 양자의 분리가 촉진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석고 슬리러(평균 입자직경 40㎛, 석고분 60중량%)를 여과하는 실험에 있어서, 진동기를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의 여과후의 석고의 수분함량은, 장시간이 걸렸지만 약 22%에서 포화하였다. 그러나, 진동기를 설치한 경우에는, 수분함량을 신속히 20% 전후로 낮출 수 있었다. 이 진동기(21)로서는, 예를 들면 건축·토목용의 타설(打設) 콘크리트에 진동을 부여하는 진동기[에쿠센(주)사제, 멀티바이브레이터 고주파 48V 시리즈, HBM30ALH 또는 40ZLH, 진동수 12∼14KHz)]를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2]
이어서, 본 발명의 슬러리 여과장치를 가진 배연탈황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연탈황장치를 가진 발전 플랜트의 배기가스 처리계의 계통도이다. 이 도면의 배연탈황장치는, 소위 연돌(煙突) 일체형의 흡수탑과, 침전 슬러리 농축 탱크를 가진 유형의 간이 배연탈황장치이다.
제2도의 보일러(51)(석탄연소식)에서 발생한 배연은, 연도(煙道)(57)를 통과해서 연소용 공기 예열기(52)로 나아가 연소용 공기와 열교환된다. 다음에 수막식 제진기(水膜式 除震機)(53)로 들어가서, 배연속의 플라이 애시가 제거된다. IDF(유인 팬)(54)는, 배연에 유동력(드래프트)을 부여한다. 부호(55)는 바이패스 댐퍼로서, 통상은 폐쇄되어 있지만, 배연탈황장치를 바이패스해서, 배연은 연돌(56)로부터 직접 배출할 때에 개방된다.
통상시에는, 배연이 연도(62)를 통과해서, 배연탈황장치의 흡수탑(65)으로 들어간다. 흡수탑(65)내에는 흡수액의 액체기둥(6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흡수탑내를 상승하는 배연속의 SO2가 흡수된다. 배연은, 미스트 일리미네이터(64)에 의해 미스트가 제거된 후, 연돌(63)을 통과해서 대기중으로 방출된다. 한편, 흡수액은, 흡수탑(65) 바닥부의 흡수액 저장 탱크(67)에 모인다. 공기취입 헤더(79)(산화수단)로부터 불어 넣어지는 공기속의 효소에 의해서, SO2흡습에 의해 생성된 아황산염이 산화된다.
흡수탑(65)에 있어서의 주요한 화학반응의 식은 전술한 바 있다. 흡수액은 흡수탑(65)내를 순환하고 있으며, 흡수액 저장 탱크(67)로부터 펌프(69), 배관을 통과해서 노즐 헤더(80)로 급송되어, 흡수액의 액체기둥(66)을 형성한다. 또한, 반응에 따라 소모하는 소석회나 물은, 슬러리 제조기(70)로부터 흡수액 저장 탱크(67)로 보충된다.
흡수액 저장 탱크(67)내의 측벽부에는 슬러리 농축 탱크(68)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슬러리 농축 탱크(68)내에는 슬러리가 조용히 놓여져 있으며, 석고가 탱크의 바닥으로 침전한다. 침전한 농후 슬러리는 석고분이 약 60%가 된다. 이 농후 슬러리는, 스크루 펌프(71)에 의해서 슬러리 배관(72)을 통과하여, 슬러리 여과장치(73)로 급송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슬러리 여과장치(73)로서 실시예 1에 기재한 슬러리 여과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농후 슬러리는 슬러리 여과장치(73)에 의해 여과되어, 여과 모래위에 퇴적한 수분이 약 20중량%인 케이크가 석고(74)로서 배출된다. 또한 슬러리 여과장치(73)로부터 배출되는 여과액은, 일단 여과액 피트(75)에 모인후, 펌프(76)에 의해서 배관(77)을 거쳐 흡수탑(65)으로 순환되거나, 배관(78)을 통과해서 플라이 애시 침전 탱크(59)로 보내진다.
[실시예 3]
제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연탈황장치를 가진 발전 플랜트의 배기가스 처리계통의 계통도이다. 제3도의 배연탈황장치는, 액체 사이클론을 가진 유형이다. 제2도와 마찬가지의 부위는 동일 부호로 표시되어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3도의 배연탈황장치가 제2도의 배연탈황장치와 다른 점은, 침전식의 슬러리 농측 탱크[제2도의 부호(68)]대신에 액체 사이클론(83)이 설치되어 있다는 것이다. 즉 흡수탑(65)의 흡수액 저장 탱크(67)속의 서고 슬러리(석고분 약 30중량%)를 직접 빼내어, 배관(81)을 통해 액체 사이클론(83)으로 보낸다. 액체 사이클론(83)에서 석고분 약 60중량%로 한 후에, 슬러리 여과장치(73)로 투입한다. 이와 같이 하면, 여러 가지의 과정을 많이 거치는 농후 슬러리의 반송을 합리화할수 있다.
Claims (10)
- 상부에 슬러리 공급관을, 바닥부에 여과액 빼내기 구멍을 가진 탱크체와, 그 탱크체의 바닥부에 부설된 여가 모래층과, 이 여과 모래층위의 슬러리 탱크와, 상기 슬러리 탱크내에 설치한 슬러리를 진동시키는 진동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리 여과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리 탱크내에 형성된 상청액을 직접 여과 모래층으로 안내하는 모래 기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리 여과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체의 상부에 형성된 상청액을 빼내기 위한 상청액 빼내기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리 여과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모래층의 상면에 설치된 분리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리 여과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리 탱크의 상청액이 상류의 구획으로부터 인접하는 구획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탱크체내에, 이 탱크체내를 복수의 구획으로 분할하는 간막이벽을 세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리 여과장치.
- 생성된 석고를 함유하는 슬러리를 농축하는 수단과, 그 농축된 슬러리를 여과하는 수단으로서 청구범의 제 1 항에 기재된 슬러리 여과장치를 가진 생성된 석고를 분리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산화유황을 함유하는 배연에 석회계의 흡수제를 함유하는 흡수액을 접촉시켜서 산화유황을 흡수시킴으로써, 석고를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석회석고법 배연탈황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평균 입자직경이 10∼30㎜인 쇄석으로 이루어진 층두께 100∼300㎜의 쇄석층과, 이 쇄석층위에 깔린 평균 입자직경이 0.5∼2㎜인 모래로 이루어진 층두께 100∼300㎜의 모래층을 가진 슬러리 여과장치의 여과 모래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석회석고법 배연탈황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모래층의 상면에 설치된 분리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리 여과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리 탱크의 상청액이, 상류의 구획으로부터 인접하는 구획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탱크체내에, 이 탱크체내를 복수의 구획으로 분할하는 간막이벽을 세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리 여과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리 탱크의 상청액이, 상류의 구획으로부터 인접하는 구획으로 유입 되도록, 상기 탱크체내에, 이 탱크체내를 복수의 구획으로 분할하는 간막이벽을 세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리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11205795 | 1995-05-10 | ||
JP95-112057 | 1995-05-10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214914B1 true KR100214914B1 (ko) | 1999-08-02 |
Family
ID=14576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60014534A KR100214914B1 (ko) | 1995-05-10 | 1996-05-04 | 슬러리여과장치 및 그것을 가진 배연탈황장치 |
Country Status (9)
Country | Link |
---|---|
US (1) | US5653944A (ko) |
EP (1) | EP0742037B1 (ko) |
KR (1) | KR100214914B1 (ko) |
CN (1) | CN1097474C (ko) |
DK (1) | DK0742037T3 (ko) |
ES (1) | ES2140017T3 (ko) |
PL (1) | PL183751B1 (ko) |
TR (1) | TR199600107A2 (ko) |
TW (1) | TW330153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1722C (zh) * | 1997-01-29 | 2003-02-19 | 三菱重工业株式会社 | 浆体固液分离方法和设备 |
NL1020211C2 (nl) * | 2002-03-20 | 2003-09-29 | Lse B V | Opslaghouder voor stortgoed alsmede gebruik van een dergelijke opslaghouder. |
US7524470B2 (en) | 2006-07-13 | 2009-04-28 | Alstom Technology Ltd | Reduced liquid discharge in wet flue gas desulfurization |
US7641876B2 (en) | 2006-07-13 | 2010-01-05 | Alstom Technology Ltd | Reduced liquid discharge in wet flue gas desulfurization |
FR3033262B1 (fr) * | 2015-03-03 | 2017-03-24 | Nge | Dispositif de filtration gravitaire des eaux de ruissellement |
TWI579031B (zh) * | 2015-07-01 | 2017-04-21 | Slow filtration system | |
CN106525904B (zh) * | 2015-09-11 | 2023-09-15 | 上海上电漕泾发电有限公司 | 一种脱硫吸收塔ph值测量装置 |
US11027997B2 (en) * | 2018-05-29 | 2021-06-08 | Brian Moore | Animal waste filter |
CN108465296A (zh) * | 2018-06-07 | 2018-08-31 | 毛渊 | 一种用于废水处理的设备 |
CN108654169A (zh) * | 2018-07-09 | 2018-10-16 | 泰安杰普石膏科技有限公司 | 一种化学石膏用均化过滤设备及均化过滤方法 |
US10245546B1 (en) | 2018-08-22 | 2019-04-02 | H & H Inventions & Enterprises, Inc. | Exhaust gas purification method and system |
CN111977993B (zh) * | 2019-05-21 | 2022-04-12 | 江苏苏盐井神股份有限公司 | 一种纯碱生产中将返石、返砂制浆进行脱硫或化灰的装置及方法 |
CN110604993A (zh) * | 2019-09-27 | 2019-12-24 | 上海华闵环境科技发展有限公司 | 塑料造粒废气处理系统及处理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2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23439A (en) * | 1899-04-18 | Water-filter | ||
US773946A (en) * | 1904-01-11 | 1904-11-01 | John E Langill | Filter. |
US2072848A (en) * | 1936-03-16 | 1937-03-09 | James T Brown | Water filtering and purifying device |
US2093370A (en) * | 1936-05-27 | 1937-09-14 | Sebring George | Filter |
US3029950A (en) * | 1958-09-29 | 1962-04-17 | Benjamin J Frasca | Combined septic tank and filter |
US3078188A (en) * | 1959-06-02 | 1963-02-19 | Rohm & Haas | Filtration process |
US3202286A (en) * | 1962-05-14 | 1965-08-24 | Octrooien Mij Activit Nv | Filtering apparatus |
DE2225057A1 (de) * | 1971-12-27 | 1973-07-12 | Dover Corp | Filter |
US4073729A (en) * | 1972-01-13 | 1978-02-14 | Wasag-Chemie Ag | Filtering process using inorganic synthetically prepared filter sand |
US4048068A (en) * | 1974-01-09 | 1977-09-13 | Amsted Industries, Inc. | Method of and apparatus for filtering |
EP0053094A3 (de) * | 1980-11-26 | 1984-12-19 | Mario Schelling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usscheidung von festen teilchenförmigen Materialien aus ihrer Mischung mit Flüssigkeit sowie von Gasen aus derartigen Mischungen und Anwendung des Verfahrens |
US4487784A (en) * | 1982-02-22 | 1984-12-11 | Babcock-Hitachi Kabushiki Kaisha | Limestone-gypsum flue gas desulfurization process |
JPS60179120A (ja) * | 1984-02-28 | 1985-09-13 | Mitsubishi Heavy Ind Ltd | 石膏とダストを分離回収する排ガス処理方法 |
US4765892A (en) * | 1984-08-29 | 1988-08-23 | Applied Industrial Materials Corporation | Sand filter media and an improved method of purifying water |
US5270015A (en) * | 1986-11-07 | 1993-12-14 |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 Apparatus for removing sulfur from sulfur containing gases |
JPH0194909A (ja) * | 1987-10-02 | 1989-04-13 | Masatoshi Takahashi | 水の急速濾過方法及びそのためのフロック除去用の濾過材料 |
US5176826A (en) * | 1989-03-14 | 1993-01-05 | Rosedale Products, Inc. | Purge construction for a vibrating sieve filter |
CN1026661C (zh) * | 1989-09-26 | 1994-11-23 | 贝奥菲尔公司 | 过滤器 |
JP2691041B2 (ja) * | 1990-02-14 | 1997-12-17 | 三菱重工業株式会社 | フライアッシュを含む吸収液スラリーの処理方法 |
US5084176A (en) * | 1990-03-09 | 1992-01-28 | Delaware Capital Formation, Inc. | Vibrating filter |
JP2695678B2 (ja) * | 1990-06-20 | 1998-01-14 | 三菱重工業株式会社 | 排煙脱硫方法 |
DE4128843C2 (de) * | 1991-08-30 | 1993-11-04 | Lutz Lange | Auswaschbarer filter |
CN2128555Y (zh) * | 1992-07-03 | 1993-03-24 | 中国矿业大学 | 振动过滤脱水机 |
SE501523C2 (sv) * | 1993-01-21 | 1995-03-06 | Flaekt Ab | Sätt och anordning vid rening av svaveldioxidinnehållande gaser |
-
1996
- 1996-01-05 TW TW085100101A patent/TW330153B/zh active
- 1996-01-17 US US08/587,501 patent/US5653944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6-01-31 CN CN96101339A patent/CN1097474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6-02-09 TR TR96/00107A patent/TR199600107A2/xx unknown
- 1996-04-18 PL PL96313834A patent/PL183751B1/pl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6-05-04 KR KR1019960014534A patent/KR10021491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6-05-07 EP EP96201192A patent/EP0742037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6-05-07 ES ES96201192T patent/ES2140017T3/es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6-05-07 DK DK96201192T patent/DK0742037T3/da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S2140017T3 (es) | 2000-02-16 |
US5653944A (en) | 1997-08-05 |
PL313834A1 (en) | 1996-11-12 |
EP0742037A3 (en) | 1997-05-14 |
CN1135372A (zh) | 1996-11-13 |
EP0742037A2 (en) | 1996-11-13 |
EP0742037B1 (en) | 1999-12-08 |
TW330153B (en) | 1998-04-21 |
CN1097474C (zh) | 2003-01-01 |
PL183751B1 (pl) | 2002-07-31 |
TR199600107A2 (tr) | 1996-11-21 |
MX9600792A (es) | 1998-05-31 |
DK0742037T3 (da) | 2000-05-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214914B1 (ko) | 슬러리여과장치 및 그것을 가진 배연탈황장치 | |
CN1089265C (zh) | 烟气洗涤设备 | |
US3989797A (en) | Process for removing sulfur oxides from gas streams | |
CN112312988B (zh) | 烟气洗涤液净化系统及其方法 | |
CN1319894C (zh) | 水泥窖氯硫旁通系统 | |
US5635149A (en) | Wet scrubbing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sulfur oxides from combustion effluents | |
CA1037227A (en) | Process for the purification of flue gas and other waste gases | |
KR100286574B1 (ko) | 연도가스 처리방법 | |
GB2154468A (en) | Method for treating waste gas to separate and recover gypsum and dust therein | |
JPH06285326A (ja) | 排煙脱硫方法と排煙脱硫装置 | |
JP2009045614A (ja) | 泡回収装置及び泡回収システム | |
CN101306319A (zh) | 直排式烟气处理方法 | |
US7306776B2 (en) |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rocessing flue gas scrubber material flows | |
EP0744209B1 (en) | Slurry thickening tank and absorption tower for use in wet flue gas desulphurization systems | |
KR101076140B1 (ko) | 액상 수산화칼슘과 이산화탄소가 반응하여 생성된 경질탄산칼슘을 이용하여 배기가스중에 황성분을 제거하는 장치 | |
CN205886367U (zh) | 一种脱硫石膏缓冲箱自动过滤装置 | |
JPH0924203A (ja) | スラリ脱水方法及び装置並びにそれを有する排煙脱硫装置 | |
CN205442667U (zh) | 一种脱硫废液中石膏回收装置 | |
JP3840374B2 (ja) | 湿式排煙脱硫装置 | |
JP3232513B2 (ja) | 湿式排煙脱硫装置とその遠心分離機排出液の回収方法 | |
MXPA96000792A (es) | Dispositivo para la filtracion de pastas acuosas y sistema para la desulfuracion del gas de humero | |
CN1159087C (zh) | 湿式烟气脱硫除尘二段吸收和捕集法设备 | |
JPH08126814A (ja) | 湿式排煙脱硫装置と方法 | |
CN213965554U (zh) | 一种用于氨法脱硫工艺中的除杂装置 | |
CN1362277A (zh) | 静电湿法脱硫除尘系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40507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