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4307B1 - 바코드를 이용한 점원등록방법 - Google Patents

바코드를 이용한 점원등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4307B1
KR100214307B1 KR1019960040194A KR19960040194A KR100214307B1 KR 100214307 B1 KR100214307 B1 KR 100214307B1 KR 1019960040194 A KR1019960040194 A KR 1019960040194A KR 19960040194 A KR19960040194 A KR 19960040194A KR 100214307 B1 KR100214307 B1 KR 100214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rk
barcode
registration
input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0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1376A (ko
Inventor
우원회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40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4307B1/ko
Publication of KR19980021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1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4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43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6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comprising security or operator identification provisions, e.g. password en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07G1/0009Details of the software in the checkout register, electronic cash register [ECR] or point of sale terminal [PO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Finance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가.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판매시점 정보관리 시스템이나 전자식 금전등록기에서 바코드를 이용한 점원등록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점원등록시 점원 수에 구애받지 않고, 점원등록의 경비를 절감한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바코드 리더로부터 바코드를 입력받았을 때 점원 키입력이 있으면 점원등록을 수행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판매시점 정보관리 시스템이나 전자식 금전등록기에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바코드를 이용한 점원등록방법{SHOP CLERK REGISTRATION METHOD OF USING BARCODE}
본 발명은 판매시점 정보관리(Point Of Sale; 이하 'POS'라 함) 시스템이나 전자식 금전등록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점원을 등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OS 시스템은 마스터 터미널(Master terminal)과 슬레이브 터미널(Slave terminal)인 다수개의 POS 터미널들이 인 라인(In-Line)으로 연결되어 판매정보를 통신한다. 이때 상기 마스터 터미널은 POS 시스템의 전반적인 프로그램 및 판매에 필요한 각종정보를 관리하며, 상기 슬레이브 터미널들은 매장에 설치되어 판매시점에 발생되는 금전거래 정보를 처리하거나, 점원관리 및 PLU(Price Look Up) 데이타를 조회하는 데 사용한다.
이때 상기 점원관리는 상기 슬레이브 터미널을 사용하는 점원의 출/퇴근 시간 및 판매한 금액 등의 관리를 일컫는다. 상기 점원관리를 위하여 점원등록을 수행하여야 하는 데 종래의 점원등록방법은 기계식 키를 사용하는 방법과 상기 슬레이브 터미널의 조작패널의 점원키를 입력하는 방법이 있었다.
상기 기계식 키를 사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형태가 상기 슬레이브 터미널이 다른 다수의 키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슬레이브 터미널은 상기 다수의 키의 형태에 대응하여 온/오프되는 다수의 스위치를 구비한다. 이에따라 점원이 상기 키입력을 수행하였을 경우에 상기 스위치의 온/오프를 상기 슬레이브 터미널의 제어부가 검색함으로서 점원등록을 수행하였다.
통상적으로 한 슬레이브 터미널에서 구비되는 키의 형태는 15개 정도이다. 이에따라 상기 기계식 키를 사용하여 관리할 수 있는 점원의 수가 15이내로 한정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계식 키를 생산하는 업체는 정해져 있다. 또한 한 제조업체에서 제조하는 키의 형태는 동일하므로 타기계의 점원키로 동작이 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계식 키이므로 복사가 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슬레이브 터미널의 조작패널의 점원키를 입력하는 방법은 점원이 자신의 점원키를 키입력하고, 상기 점원키에 대응하는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상기 비밀번호의 입력은 타인에 의한 점원등록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비밀번호등을 사용자가 잊어버렸을 경우에는 상기 슬레이브 터미널의 사용이 난이하다. 그리고 상기 점원키는 한정되어 있으므로 점원수의 확장에 곤란한 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점원등록방법은 관리가능한 점원의 수가 한정되었다. 그리고, 기계식 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조업체에서 제조하는 키의 형태는 동일하므로 타기계의 점원키로 동작이 가능하고, 기계식 키이므로 복사가 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점원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비밀번호를 잊었을 경우에는 사용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점원 수에 한정되지 않고, 이용이 간편하고, 점원등록의 비밀이 보장되는 바코드를 이용한 점원등록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통상의 판매시점 정보관리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의 터미널의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코드를 이용한 점원등록방법의 흐름도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코드 리더로부터 바코드를 입력받을 때 점원키입력이 있으면 점원등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도면에서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POS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마스터 터미널(MT)과 다수의 슬레이브 터미널들(SV1∼SVn)간에는 인 라인(In-Line)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슬레이브 터미널들(SV1∼SVn)은 매장에 직접 설치되어 판매시점에서 발생하는 정보들을 처리한다. 상기 마스터 터미널(MT)은 상기 인 라인을 통해 상기 슬레이브 터미널들(SV1∼SVn)로부터 발생되는 상품판매현황, 카드조회, 재고관리 등의 정보들을 집계하여 판매정보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한다.
도 2는 도 1 중 마스터 터미널(MT) 및 슬레이브 터미널(SV1∼SVn)의 내부 구성도이다. 제어부(10)는 해당 슬레이브 터미널(SV1∼SVn)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메모리(12)는 상기 제어부(10)의 제어하에 판매정보처리 프로그램, 인 라인 통신 프로그램등의 프로그램 및 초기 서비스 데이타를 저장하는 롬 영역과 판매시점에서 발생되는 각종 정보들을 일시저장하는 램 영역으로 구성된다. 통신제어부(14)는 상기 제어부(10)의 제어하에 인 라인을 통해 마스터 터미널(MT)과 데이타 통신을 수행한다. 고객용 모니터(18)는 출력장치로서 판매시점에서 발생되는 각종정보를 고객에게 디스플레이한다. 모니터(20)는 출력장치로서 판매시점에서 발생되는 각종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조작패널(22)은 입력장치로서 각종 기능키 및 숫자키 등으로 구성되는 키보드와 상품명 또는 단품명을 입력하기 위한 키들로 구성되는 상품입력용 키보드로 구성된다. 프린터(24)는 출력장치로서 상기 제어부(10)의 제어하에 고객영수증 또는 감사용 영수증을 프린트한다. 카드리더(26)는 입력장치로서 고객의 카드정보를 리드한다. 바코드 리더(28)는 입력장치로서 상품의 케이스에 바코드로 표시된 상품정보를 리드한다. 입출력 구동부(16)는 상기 제어부(10)와 상기 각 입출력장치들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입력 데이타 수신시 이를 상기 제어부(10)로 인가하며 상기 제어부(10)로부터 출력 데이타 수신시 이를 상기 출력장치로 인가된다.
한편 본 발명은 점원의 등록은 바코드를 이용한다. 이때 상기 바코드는 특정한 바코드를 새로이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상품의 케이스에 표시된 바코드를 사용한다. 이에따라 점원키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며, 기계적인 키와 키입력에 대응하여 온/오프되는 스위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바코드는 어디에서나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것이고, 상품에 따른 바코드는 상당히 다양하므로 점원의 수에 구애를 받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점원에 대응하는 상품은 판매하는 상품에 비하여 매우 적은 수이므로 외부인이 알기란 매우 곤란하다.
메모리(12)에는 상기 바코드에 대응하는 메모리 영역이 있다. 상기 메모리 영역에는 상기 바코드에 대응하는 상품의 정보 즉, 상품명, 가격, 세등이 저장된다. 이때 상기 메모리 영역을 상품정보 저장영역이라 한다.
본 발명의 메모리(12)에서는 상기 바코드에 대응하는 메모리 영역을 더 구비한다. 상기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메모리 영역에는 점원에 대한 정보와 점원의 판매정보등이 저장된다. 이때 상기 메모리 영역을 점원정보 저장영역이라 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바코드에 대응하는 점원정보 저장영역과 상품정보 저장영역의 사용은 특정 바코드가 입력되었을 경우에 점원키가 입력되는지를 검색함으로서 구별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코드를 이용한 점원등록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 도 3이다. 점원은 상품의 판매시나 또는 자신을 등록하기 위하여 바코드 리더(28)를 사용하여 상품의 바코드를 리드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점원을 나타내는 상품을 '왕새우깡'이라 하자. 점원이 바코드 리더(28)를 사용하며 상기 '왕새우깡'의 바코드를 리드하면 제어부(10)는 (30)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30)단계에서 제어부(10)는 상기 입력된 바코드에 따른 데이타를 입력받는다. 한편 상기 바코드의 입력이 종료되면 제어부(10)는 (32)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32)단계에서 제어부(10)는 마스터 터미널(MT) 또는 슬레이브 터미널(SV1∼SVn)이 프로그램 모드인지를 검색한다. 이때 상기 마스터 터미널(MT) 또는 슬레이브 터미널(SV1∼SVn)의 모드는 조작패널(22)의 모드키를 사용하여 프로그램 모드, 등록 모드등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새로운 점원을 등록하거나 변경할 경우에는 새로운 바코드를 입력하고 점원키가 입력하고, 상기 마스터 터미널(MT) 또는 슬레이브 터미널(SV1∼SVn)의 모드를 프로그램 모드로 선택하면 새로운 바코드에 대응하는 새로운 점원을 등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32)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마스터 터미널(MT) 또는 슬레이브 터미널(SV1∼SVn)이 프로그램 모드이면 (34)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마스터 터미널(MT) 또는 슬레이브 터미널(SV1∼SVn)이 프로그램 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42)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34)단계에서 제어부(10)는 조작패널(22)에 점원키 입력이 있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제어부(10)는 조작패널(22)로부터 점원키 입력이 있을 경우에는 (36)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조작패널(22)로부터 점원키 입력이 없을 경우에는 (40)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36)단계에서 제어부(10)는 메모리(12)에 상기 입력된 바코드에 대응하는 점원정보 저장영역이 이미 할당되었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제어부(10)는 상기 바코드에 대응하는 점원정보 저장영역이 이미 할당되어 있지 않으면 (38)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할당되었으면 (40)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38)단계에서 제어부(10)는 메모리(12)에 상기 바코드에 대응하는 점원정보 저장영역을 할당한다. 상기 할당이 종료되면 본 흐름을 종료한다.
상기 (40)단계에서 제어부(10)는 메모리(12)로부터 에러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데이타를 리드하여 모니터(20)에 제공한다. 이때 모니터(20)는 상기 데이타를 입력받아 에러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에러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되면 본 흐름은 종료된다.
한편 상기 (42)단계에서 제어부(10)는 마스터 터미널(MT) 또는 슬레이브 터미널(SV1∼SVn)이 등록모드인지를 검색한다. 이때 마스터 터미널(MT) 또는 슬레이브 터미널(SV1∼SVn)이 등록모드이면 (44)단계를 수행하고, 등록모드가 아니면 (46)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44)단계에서 제어부(10)는 조작패널(22)에 점원키 입력이 있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제어부(10)는 조작패널(22)로부터 점원키 입력이 있을 경우에는 (48)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조작패널(22)로부터 점원키 입력이 없을 경우에는 (46)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46)단계에서 제어부(10)는 해당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48)단계에서 제어부(10)는 메모리(12)에 입력된 바코드에 대응하는 점원정보 저장영역이 있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상기 입력된 바코드에 대응하는 점원정보 저장영역이 있으면 (50)단계를 수행하고, 없으면 (52)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50)단계에서 제어부(10)는 입력된 바코드에 대응하는 점원정보 저장영역에 판매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상기 판매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점원의 판매정보를 저장하는 것이다. 점원등록은 점원의 판매정보 내지 출퇴근시간등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점원등록시에 점원의 판매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예로 들었다.
상기 저장이 종료되면 본 흐름은 종료된다. 한편 상기 (52)단계에서 제어부(10)는 메모리(12)로부터 점원 미등록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데이타를 리드하여 모니터에 제공한다. 이때 상기 모니터는 상기 데이타를 입력받아 점원 미등록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디스플레이가 종료되면 본 흐름은 종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바코드를 이용한 점원등록방법은 통상의 POS에 구비된 바코드 리더를 사용하고, 기존 상품의 케이스에 표시된 바코드를 이용하므로 점원키와 키박스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경비가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점포에서 판매되는 상품은 매우 다양하므로 외부인이 점포에서 점원등록을 위하여 사용하는 바코드를 알기란 매우 곤란하여 비밀이 보장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바코드를 이용한 점원등록방법에 있어서,
    바코드 리더로부터 바코드를 입력받았을 때 프로그램모드인지를 검색하는 프로그램 모드 검색단계와,
    상기 프로그램 모드일 경우에 점원키입력이 있으면 메모리에 상기 바코드에 대응하는 점원정보 저장영역을 할당하는 점원정보 저장영역 할당단계와,
    상기 프로그램 모드가 아닐 경우에 등록모드인지를 검색하는 등록모드검색단계와,
    상기 등록모드일 경우에 점원키입력이 있으면 메모리에 상기 입력된 바코드에 대응하는 점원정보 저장영역에 점원등록을 수행하는 점원등록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를 이용한 점원등록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원등록단계가,
    상기 입력된 바코드에 대응하는 메모리에 점원코드가 할당되었는지를 검색하는 점원코드 할당검색단계와,
    상기 점원코드가 할당되었으면 점원을 등록하는 점원등록단계와,
    상기 점원코드가 할당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점원미등록에 대한 문구를 디스플레이장치에 디스플레이 하는 점원 미등록 디스플레이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를 이용한 점원등록방법.
KR1019960040194A 1996-09-16 1996-09-16 바코드를 이용한 점원등록방법 KR100214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0194A KR100214307B1 (ko) 1996-09-16 1996-09-16 바코드를 이용한 점원등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0194A KR100214307B1 (ko) 1996-09-16 1996-09-16 바코드를 이용한 점원등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1376A KR19980021376A (ko) 1998-06-25
KR100214307B1 true KR100214307B1 (ko) 1999-08-02

Family

ID=19473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0194A KR100214307B1 (ko) 1996-09-16 1996-09-16 바코드를 이용한 점원등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430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1376A (ko) 199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55908A (en) POS system
EP0187523B1 (en) Pos systems
KR20030003044A (ko) 거래 시스템
KR910006866A (ko) 금전등록기의 거래선 관리방법
EP0294436B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storing data
KR100214307B1 (ko) 바코드를 이용한 점원등록방법
JP4183128B2 (ja) 商品販売データ処理装置
JP2001126144A (ja) 情報提供装置
JP2012048276A (ja) 商品データ処理装置とそのプログラム
JP2001118151A (ja) 情報端末装置
JPH0465795A (ja) 商品管理方式
KR100446951B1 (ko) 동시등록이가능한금전등록기의제어방법
KR970062931A (ko) 포스 터미널(POS terminal)에 연결된 조회용 터미널을 이용한 금액/상품 진열 위치 조회 장치 및 방법
KR100263340B1 (ko) 금전등록기의 점원등록방법
JP2001256565A (ja) 非接触icカード決済端末機
JP3771411B2 (ja) ポイント処理装置
JP2584549B2 (ja) 商品販売データ処理装置
KR0185309B1 (ko) 판매관리 시스템의 상품가격 조회방법
JPH10269461A (ja) Posターミナル
KR19980027693A (ko) 포스 단말기를 이용한 신용카드 조회방법
JP2729109B2 (ja) 2段バーコードフラグデータ設定処理装置
JPH10269456A (ja) 商品販売登録データ処理装置
KR19990009217A (ko) 전자식 금전등록기의 초기치 자동 설정 방법
JPH08167078A (ja) データ処理装置
JPH04102195A (ja) 商品単価管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