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3569B1 - A/t의 학습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A/t의 학습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3569B1
KR100213569B1 KR1019960078298A KR19960078298A KR100213569B1 KR 100213569 B1 KR100213569 B1 KR 100213569B1 KR 1019960078298 A KR1019960078298 A KR 1019960078298A KR 19960078298 A KR19960078298 A KR 19960078298A KR 100213569 B1 KR100213569 B1 KR 100213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pattern
driver
tcu
stand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8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8962A (ko
Inventor
하재준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78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3569B1/ko
Publication of KR19980058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8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3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35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 Feedback Control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T의 학습 제어 방법이 단순히 일정 거리를 주행하는 동안의 운전 습관에 따라 운전 패턴이 결정되고 운전 패턴에 따라 TCU가 자동으로 ㅈ어되므로 운전자의 운전 습관이 나쁠 경우 자동 제어되는 차량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의 나쁜 운전 행태가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운전 조건에 따른 주행 패턴이 기록된 표준 패턴(Standard Pattern)이 입력되고 운전 패턴(Driving Pattern)과 표준 패턴이 비교되는 단계(S3)와, 운전 패턴과 표준 패턴 사이의 편차를 줄이는 방향으로 운전 패턴을 변화시키는 교육 패턴(Education Pattern)이 시행되는 단계(S4)와, 운전 패턴과 표준 패턴이 일치될 경우 표준 패턴으로 TCU가 제어되는 단계(S5)가 추가됨으로써, 운전자의 운전 패턴을 미리 기억된 표준 패턴으로 점차 변화시켜 가므로 운전자의 나쁜 운전 습관을 개선시킬 수 있는 A/T의 학습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A/T의 학습 제어 방법
본발명은 A/T 차량의 변속 조작에 있어서 운전자의 운전 습관에 따라 차량의 TCU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A/T의 학습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운전자의 운전 습관을 점차적으로 일정한 실험에 의한 표준 패턴으로 변화시킴으로서 운전자의 나쁜 운전습관을 개선시킬 수 있는 A/T의 학습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A/T의 학습 제어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의 상태 및 기후 등의 주행 조건을 파악하여 긴급 상황 발생시 운전자의 직접 제어에 의한 노멀 패턴(Normal Pattern)으로 TCU가 제어되는 제1단계(S1)와, 운전 조건에 따른 운전 습관을 학습하여 정규화 함으로써 운전 패턴(Driving Pattern)을 기억하는 제2단계(S2)와, 운전 패턴에 따라 TCU가 자동 제어되는 제3단계(S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A/T의 학습 제어 방법은 운전자의 운전 습관을 학습하여 TCU를 자동으로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운전자가 차량을 운행시키면 일단 주행 조건이 노멀 상태인지 자동 제어 가능 상태인지를 확인한다. 자동차가 노멀 상태, 즉 가속 페달이나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가속도 및 차량의 회전각도 등이 정상치 이상일 경우에는 비상 상황으로 인식 하고 운전자의 직접 제어에 따라 TCU가 제어되는데, 이때의 TCU 제어 패턴을 노멀 패턴이라 한다.
주행 조건이 자동 제어 가능 상태일 경우에는 먼저 주행 거리 합계가 일정 거리(A km)이하인지를 확인하고, 일정 거리 이하일 경우 일정 거리를 주행할 때까지는 운전자의 직접 제어에 의해 TCU가 제어되면서 주행 조건에 따른 운전자의 운전 습관을 기억하게 된다. 운전 습관이 기억되면 이를 정규화 하여 운전자의 운전 패턴으로 기억시키게 된다.
이후, 주행 거리 합계가 일정 거리 이상이 될 경우에는 기억된 운전 패턴에 따라 TCU를 제어함으로써 운전자의 수동 제어 없이도 자동으로 TCU가 제어되어 변속 조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후, 주행 거리 합계가 일정 거리 이상이 될 경우에는 기억된 운전 패턴에 따라 TCU를 제어함으로써 운전자의 수동 제어 없이도 자동으로 TCU가 제어되어 변속 조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A/T의 학습 제어 방법은 단순히 일정 거리를 주행하는 동안의 운전 습관에 따라 운전 패턴이 결정되고 운전 패턴에 따라 TCU가 자동으로 제어되므로 운전자의 운전 습관이 나쁠 경우 자동 제어되는 차량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의 나쁜 운전 형태가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즉, 운전자가 급출발, 급정지, 과적운전, 과속 및 신호 위반과 같은 나쁜 운전 습관을 가지고 있는 경우 자동 제어되는 차량에서도 동일한 운전 습관이 기억되므로 자동 제어로 차량 주행시 차량이 나쁜 운전 행태를 보이게 되어 안전성을 확보하기가 어렵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운전자의 운전 습관을 '나쁨', '일반', '좋음'으로 구별하여 점진적으로 '좋음'의 운전 습관으로 이행되도록 하는 교육 패턴을 추가함으로써 운전자의 나쁜 운전 습관을 개선시킬 수 있는 A/T의 학습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종래의 A/T의 학습 제어 방법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순서도.
제2a도, 제2b도는 본 발명의 의한 A/T의 학습 제어 방법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운전자의 운전 습관을 학습하여 TCU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A/T 의 학습 제어 방법에 있어서, 운전 조건에 따른 주행 패턴이 기록된 표준 패턴이 입력되고 운전 패턴과 표준 패턴이 비교되는 단계와, 운전 패턴과 표준 패턴 사이의 편차를 줄이는 방향으로 운전 패턴을 변화시키는 교육 패턴이 시행되는 단계와, 운전 패턴과 표준 패턴이 일치될 경우 표준 패턴으로 TCU가 제어되는 단계가 추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A/T의 학습 제어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의 상태 및 기후 등의 주행 조건을 파악하여 긴급 상황 발생시 운전자의 직접 제어에 의한 노멀 패턴(Normal Pattern)으로 TCU가 제어되는 제1단계(S1)와, 운전 조건에 따른 운전 습관을 학습하여 정규화 함으로써 운전 패턴(Driving Pattern)을 기억하는 제2단계(S2)와, 운전 조건에 따른 주행 패턴이 기록된 표준 패턴(Standard Pattern)이 입력되고 운전 패턴과 표준 패턴이 비교되는 제3단계(S3)와, 운전 패턴과 표준 패턴 사이의 편차를 줄이는 방향으로 운전 패턴을 변화시키는 교육 패턴(Education Pattern)이 시행되는 제4단계(S4)와, 운전 패턴과 표준패턴이 일치될 경우 표준 패턴으로 TCU가 제어되는 제5단계(S5)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표준 패턴(Standard Pattern)은 도로 상황과 차량 상태 및 운전자의 상태를 고려하여 실험한 결과에 따른 주행 실험치가 기억된 패턴이고, 상기 제4단계(S4)의 교육 패턴(Education Pattern)은 운전자의 운전 패턴(Driving Pattern)을 점진적으로 표준 패턴(Standard Pattern)에 근접시키면서 TCU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단계는 자동차의 주행거리 합계가 일정 거리를 주행할 때 까지는 운전자의 직접 제어에 의해 TCU가 제어되고, 주행 조건에 따른 운전 패턴을 기억하도록 한다. 상기 제1단계(S1)에서 긴급 상황은 통상적인 운전 패턴과는 판이한 방법으로 TCU를 제어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상기 제2단계(S2)에서 운전 패턴의 조건은 일정한 도로 상황 및 운전 조건에서 운전자가 주행시 대처하는 운전 습관을 데이터화하여 기억한 것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A/T의 학습 제어 방법은 운전자의 운전 패턴을 점차적으로 표준 패턴에 일치시켜 나쁜 운전 습관을 개선시키게 된다.
운전자에 의해 주행이 시작되면 일단 주행 조건이 노멀 상태인지 자동 제어 가능 상태인지를 확인한다. 자동차가 가속 페달이나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가속도 및 차량의 회전각도 등이 정상치 이상일 경우에는 비상 상황으로 인식하고 운전자의 직접 제어에 따라 노멀 패턴(Normal Pattern)으로 TCU가 제어된다.
주행 조건이 자동 제어 가능 상태일 경우에는 먼저 주행 거리 합계가 일정 거리(A km)이하인지를 확인하고, 일정 거리 이하일 경우 거리를 주행할 때까지는 운전자의 직접 제어에 의해 TCU가 제어되면서 주행 조건에 따른 운전자의 운전 습관을 기억하게 된다. 운전 습관이 기억되면 이를 정규화 하여 운전자의 운전 패턴으로 기억시키게 된다.
이어서, 표준 패턴(Standard Pattern)이 입력되고 운전 패턴(Driving Pattern)과 비교하여 그 편차가 점진적으로 줄어들도록 운전 패턴을 변화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표준 패턴은 도로 상황과 차량 상태 및 운전자의 상태를 고려하여 실험한 결과에 따른 메이커(Maker)의 주행 실험치가 기억된 패턴이므로 가장 좋은 운전 습관을 나타내게 된다.
즉, 운전 패턴과 표준 패턴이 다를 경우 운전 패턴을 표준 패턴으로 변화시키는 교육 패턴이 실시되는데, 운전자의 운전 패턴이 표준 패턴으로 변화되면서 TCU를 제어하게 되고, 운전자의 운전 습관을 나쁨, 일반, 좋음으로 구분하여 단계적으로 운전 습관을 개선시키게 된다.
이후, 운전 패턴과 표준 패턴이 일치하게 되면 주행 조건이 자동 제어 가능 상태에서 표준 패턴으로 TCU를 제어하여 자동으로 변속 조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A/T의 학습 제어 방법은 운전자의 운전 패턴을 미리 기억된 표준 패턴으로 점차 변화시켜 가므로 운전자의 나쁜 운전 습관을 개선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도로의 상태 및 기후 등의 주행 조건을 파악하여 긴급 상황 발생시 운전자의 직접 제어에 의한 노멀 패턴으로 TCU가 제어되는 제1단계(S1)와, 운전 조건에 따른 운전 습관을 학습하여 정규화 함으로써 운전 패턴을 기억하는 제2단계(S2)와, 운전 조건에 따른 주행 패턴이 기록된 표준 패턴이 입력되고 운전 패턴과 표준 패턴이 비교되는 제3단계(S3)와, 운전 패턴과 표준 패턴 사이의 편차를 줄이는 방향으로 운전 패턴을 변화시키는 교육 패턴이 시행되는 제4단계(S4)와, 운전 패턴과 표준 패턴이 일치될 경우 표준 패턴으로 TCU가 제어되는 제5단계(S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의 학습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표준 패턴은 도로 상황과 차량 상태 및 운전자의 상태를 고려하여 실험한 결과에 따른 주행 실험치가 기억된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의 학습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S4)의 교육 패턴은 운전자의 운전 패턴을 점진적으로 표준 패턴에 근접시키면서 TCU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의 학습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2단계는 자동차의 주행 거리 합계가 일정 거리를 주행할 때까지는 운전자의 직접 제어에 의해 TCU가 제어되고, 주행 조건에 따른 운전 패턴을 기억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의 학습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S1)에서 긴급 상황은 통상적인 운전 패턴과는 판이한 방법으로 TCU를 제어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의 학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2단계(S2)에서 운전 패턴의 조건은 일정한 도로 상황 및 운전 조건에서 운전자가 주행시 대처하는 운전 습관을 데이터화하여 기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A/T의 학습 방법.
KR1019960078298A 1996-12-30 1996-12-30 A/t의 학습 제어 방법 KR100213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8298A KR100213569B1 (ko) 1996-12-30 1996-12-30 A/t의 학습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8298A KR100213569B1 (ko) 1996-12-30 1996-12-30 A/t의 학습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8962A KR19980058962A (ko) 1998-10-07
KR100213569B1 true KR100213569B1 (ko) 1999-08-02

Family

ID=19492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8298A KR100213569B1 (ko) 1996-12-30 1996-12-30 A/t의 학습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356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8962A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40042B2 (ja) 車両の制御戦略装置
JP2601003B2 (ja) 車両の走行条件認識装置
US20090076682A1 (en) Vehicle subsystem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US6249733B1 (en) Automatic engine retarder and transmission control in off highway earth moving equipment
JP3525416B2 (ja) オートマチック自動車変速機のための制御装置
KR20050006266A (ko) 자동차 변속기의 제어 장치 구성 방법
DE19711677A1 (de) Regelsystem für ein Automatikgetriebe
JPS6353127A (ja) 自動車の車両制御体の自動切換装置
CN106660558A (zh) 机动车中的驾驶员辅助系统
US7706952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set torque to be applied to wheels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for a motor vehicle and corresponding device
US7069132B2 (en) Method for modifying a defined adaptive driving strategy
CN114439625A (zh) 提升车辆在轮端扭矩控制模式下扭矩响应速度的方法
US4967357A (en) Constant speed holding apparatus
KR100213569B1 (ko) A/t의 학습 제어 방법
EP1079149B1 (de)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im Antriebsstrang eines Kraftfahrzeuges angeordneten CVT
SE1850136A1 (en)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driving power in a motor vehicle
KR970046538A (ko) 자동변속차량의 변속 적합도 판정장치 및 그 방법
US6871130B2 (en) Method of controlling an automatic transmission
KR100290452B1 (ko) 수동및자동변속모드를구비한변속시스템의변속모드전환방법
KR100373050B1 (ko)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에서 티씨유 데이터의 소거방법
RU2008141772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подсистемой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осуществляемого водителем
KR100245725B1 (ko) 댐퍼 클러치를 이용한 주행 도로 인식방법
JPH11123951A (ja) 運転者の活動性及び神経質を認定するため運転者による加速ペダルの操作を評価する方法
JP2666487B2 (ja) 車両の走行特性制御装置
KR100501390B1 (ko) 무부하 전개상태를 방지하기 위한 크루즈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