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3565B1 - 착용후 신발 바닥 내면이 성형되는 신발 - Google Patents

착용후 신발 바닥 내면이 성형되는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3565B1
KR100213565B1 KR1019970026820A KR19970026820A KR100213565B1 KR 100213565 B1 KR100213565 B1 KR 100213565B1 KR 1019970026820 A KR1019970026820 A KR 1019970026820A KR 19970026820 A KR19970026820 A KR 19970026820A KR 100213565 B1 KR100213565 B1 KR 100213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sole
curable polymer
wearing
cur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6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3029A (ko
Inventor
김영범
Original Assignee
김영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범 filed Critical 김영범
Priority to KR1019970026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3565B1/ko
Publication of KR19990003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3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3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3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38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1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of rubb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1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of plastic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0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06Producing footwear having soles or heels formed and joined on to preformed uppers using a moulding technique, e.g. by injection moulding, pressing and vulcanising
    • B29D35/061Producing footwear having soles or heels formed and joined on to preformed uppers using a moulding technique, e.g. by injection moulding, pressing and vulcanising by injection moulding
    • B29D35/064Producing footwear having soles or heels formed and joined on to preformed uppers using a moulding technique, e.g. by injection moulding, pressing and vulcanising by injection moulding using particular materials for the preformed 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12Producing parts thereof, e.g. soles, heels, uppers, by a moulding technique
    • B29D35/122So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
본 발명은 착용후 신발바닥 내면이 성형되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신발바닥 내면이 착용후 착용자의 발바닥 모양에 따라 성형되게 하므로서 발가락의 기형화 및 부상 위험을 감소할 수 있고, 발의 안락감을 향상시키고, 대량 생산되는 기성화에 맞춤 기능을 부여하는 신발을 제공하고자 한다.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발바닥 앞 부위에 접촉하는 신발안창 부분에 경화성 고분자 및 1층 이상의 코팅막으로 캡슐화된 경화제가 밀봉되어 있는 연질의 고분자 주머니(4)를 설치한다.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의 신발은 주로 굽이 높은 여성용 정장 구두 등에 사용된다.

Description

착용후 신발 바닥 내면이 성형되는 신발
본 발명은 착용후 신발 바닥 내면이 성형되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신발 특히 대량 생산되는 기성화의 경우 일정한 형태(표준형)의 모양으로 신발바닥 내면이 미리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자신의 발모양에 적합한 신발을 골라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표준형이 아닌 발바닥 모양을 갖고 있는 사람은 아무리 노력하여도 편안한 기성화를 구입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 여성용 정장 구두의 경우 그 실용성보다는 모양이 강조되어 있어 제1도 및 제2도와 같이 앞코가 길고 뽀족하며 폭이 대체로 좁다. 특히 뒷급이 높은 하이힐 구구의 경우에는 이런 경향이 더욱 심하다. 제1도에서와 같이 구두의 뒷굽이 높이질수록 발바닥면과 지면이 이루는 각도 θ가 커지게 되고, 발바닥이 신발에서 미끄러지는 힘 F는 더욱 커진다. 특히, 여성의 경우 미끄러운 스타킹을 신고 있어서 힘 F는 더욱 커진다. 발바닥이 신발에서 미끄러지는 힘 F가 증가함에 따라 발이 구두 앞쪽으로 밀려들어가는 힘 F1과 체중을 버티는 힘 F2도 증가하게 된다. 그 결과 발가락은 구두볼(측면)의 조임으로 안쪽으로 꺾여 기형화 될 위험이 많아진다. 또한 체중이 발바닥 전체에 고르게 분산되지 못하고 엄지발가락이나 새끼 발가락과 같은 특정 부위에만 집중되어 발의 피로가 쉽게 느껴지고 발가락 및 발목의 부상도 많아지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할 때 신발 바닥 내면이 착용후 발바닥 굴곡에 따라 성형되므로서 발바닥 특정부위에만 집중되는 체중을 발바닥 골고루로 분산시켜 발의 안락감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발목 및 발가락의 기형화 또는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신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종래 신발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신발바닥면이 착용후 착용자의 발바닥 모양에 따라 성형되게 하므로서 발가락이 기형으로 변형되는 것과 발목 및 발가락 등의 부상을 방지하고, 신발 착용시 발의 안락감을 향상시키고, 대량 생산되는 기성화에 맞춤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신발을 제공하고자 한다.
제1도는 종래 여성용 정장 구도의 착용 상태도이다.
제2도는 종래 여성용 정장 구두의 평면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 신발의 사시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 신발의 착용 상태도이다.
제5도는 코팅 피막으로 캡슐화된 경화제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면 2 : 신발
3 : 발 4 : 연질의 고분자 주머니
5 및 7 : 요입부 6 및 8 ; 돌출부
9 : 코팅 피막 10 : 경화제
θ : 발바닥면과 지면의 각도
F : 종래 신발 착용시 발바닥이 신발에서 미끄러지는 힘
F1: 종래 신발 착용시 발이 신발앞쪽으로 밀려들어가는 힘
F2: 체중을 버티는 힘 F3: 돌출부(3)에 걸리는 힘
F' : 본 발명 신발 착용시 발바닥이 신발에서 미끄러지는 힘
F1' : 본 발명 신발 착용시 발이 구도 앞쪽으로 밀려들어가는 힘
본 발명은 착용시 발의 안락감이 우수하며, 발가락의 기형화나 발가락의 기형화나 발가락 및 발목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착용후 신발바닥 내면이 성형되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발바닥 앞부위가 접촉하는 신발 안창 부분에 경화성 고분자 및 1층 이상의 코팅 파막으로 캡슐화된 경화제가 밀봉되어 있는 연질의 교분자 주머니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후 신발바닥 내면이 성형되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신발 착용시의 발바닥 압력에 의해 경화성 고분자가 발바닥의 요철에 따라 변형됨과 동시에 1층 이상의 코팅 피막으로 캡슐화된 경화제의 코팅피막이 파괴됨에 따라 연질 주머니내에 내장된 경화제와 경화성 고분자가 서로 혼합, 경화 반응하여서 경화성 고분자가 발바닥 굴곡 형태로 성형 되도록 한다.
연질 주머니내에 경화제와 함께 밀봉되는 본 발명의 경화제 고분자는 경화제와의 반응에 의해서만 경화되어야 한다. 경화제 고분자로는 폴리우레탄 수지 또는 에폭시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신발 착용시의 촉감을 개선하기 위해서 발포 처리된 고분자 수지를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 하다.
본 발명의 경화성 고분자 및 캡슐화된 경화제는 다음과 같은 2가지 성질을 구비하여야 한다.
첫째, 연질의 주머니내에 밀봉된 경화성 고분자는 일정기간(수일정도)이상 신발을 착용 했을 경우에만 경화되어야 한다. 즉 신발을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적어도 1년 동안은 경화되지 않아야 하며, 단순한 시험 작용(시착)정도에 경화제의 코팅 피막이 파괴되어 경화제와 경화성 고분자의 경화반응이 시작되어서는 안된다.
둘째, 경화성 고분자와 경화제의 경화 반응은 제4도의 요입부(5번 및 7번)와 같이 체중이 수많이 걸리는 부분에서 시작하여 돌출부(6번 및 8번)와 같이 체중이 적게 걸리는 부분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이와같은 요건을 만족하기 위해서 경화성 고분자 및 캡슐화된 경화제는 제3도와 같이 유연하고 탄력성이 있는 연질의 고분자 주머니(4)에 밀봉하여 사용한다. 이는 경화성 고분자가 발에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연질의 고분자 주머니(4)는 평편한 모양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질의 고분자 주머니(4)는 천연고무, 폴리이소프렌과 같은 합성고무, 실리콘고무, 폴리우레탄 수지 및 탄성폴리에스테르 등의 신축성 물질로서 제조한다.
경화성 고분자와 1층 이상의 코팅 피막으로 캡슐화된 경화제가 밀봉된 연질의 고분자 주머니(4)를 발바닥 앞부뷔와 접촉하는 신발 안창 부분에 설치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신발을 본격적으로 착용하기전 상태 즉, 신발을 사용하지 않았거나 단지 시험 착용(시착)시에, 상기 경화성 고분자가 경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연질의 고분자 주머니내에 밀봉되는 경화제를 1층 이상의 코팅 피막으로 캡슐화 시킴으로서 경화제와 경화성 고분자의 반응을 차단한다. 이때, 경화제의 캡슐화에 사용되는 코팅 피막은 시험 착용(시착)수준에서 파괴되지 않을 정도로 단단한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제의 캡슐화를 위한 코팅 피막은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또는 폴리이소설폰 등과 같은 적당한 경도를 갖는 고분자 물질로 제조된다.
한편, 경화성 고분자의 경화반응이 체중을 많이 받는 부분에서 체중을 적게 받는부분으로서 서서히 진행되게 하기 위해서는 경화제의 크기를 작게하여 코팅피막이 파괴된 후에는 경화성 고분자 전체에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경화제로는 경화성 고분자가 폴리우레탄 수지의 경우에는 디이소시안염 또는 방향족 디아민등을 사용하고, 경화성 고분자가 에폭시 수지인 경우에는 과산화 벤조산 또는 과산화프탈산 등을 사용한다.
경화성 고분자와 캡슐화된 고분자가 밀봉되어 있는 연질의 고분자 주머니는 신발 안창중 발바닥의 앞부위가 접촉되는 부분에 설치된다.
본격적인 착용단계에서 보행에 따른 체중압과 마찰에 의해 연질의 고분자 주머니에 있는 경화제의 코팅 피막은 파괴된다. 경화제의 코팅 피막이 파괴되면 경화제는 경화성 고분자로 분산되어 경화성 고분자를 경화시킨다.
아울러 본격적인 착용 단계에서 경화성 고분자는 체중압에 의해 발바닥 굴곡을 따라 변형된다. 이와같은 변형과 경화에 의해 신발의 바닥 내면은 발바닥 굴곡과 같은 형태로 성형되게 된다.
이와같이 신발의 바닥면이 발바닥 요철과 같이 변형된 신발을 착용하면 제4도에서와 같이 발바닥이 신발에서 미끄러지는 힘 F'는 종래 신발착용시 발바닥이 신발에서 미끄러지는 힘F보다 돌출부(3)에 걸리는 힘 F3만큼 감소한다. 이에따라 발이 신발 앞쪽으로 밀려 들어가는 힘 F1'도 종래 신발 착용신발이 신발 앞쪽으로 밀려 들어가는 힘 F1보다 작아진다. 그 결과 신발 볼(측면)에 의해 엄지 또는 새끼 발가락이 받는 압력도 감소함에 따라 발가락의 기형화 및 부상 위험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신발을 체중을 발바닥 전면으로 골고루 분산시킬 수 있어서 발가락 및 발목관절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신발 착용시 안락감이 향상되고 피로감이 감소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폴리우레탄의 경화성 고분자와 폴리이소설폰의 코팅 피막으로 캡슐화된 방향족디아민의 경화제를 실리콘 고무의 연질주머니내에 밀봉한다. 상기 연질 주머니를 여성용 하이힐 구도의 안창 앞부분에 설치한 후 6일 동안 착용한 결과 상기 경화성 고분자가 착용자의 발바닥 모양으로 경화/성형 되었다. 아울러 상기 여성용 하이힐 구두를 2개월 동안 지속적으로 착용한 결과발이 편안하고, 발가락 및 발목의 부상 위험도 감소 되었다.
[실시예 2]
에폭시수지의 경화성 고분자와 폴리아크릴레이트의 코팅 피막으로 캡슐화된 과산화프탈산의 경화제를 천연고무의 연질 주머니내에 밀봉한다. 상기 연질 주머니를 여성용 하이힐 구두의 안창 앞부분에 설치한 후 7일 동안 착용한 결과 상기 경화성 고분자가 착용자의 발바닥 모양으로 경화/성형 되었다. 아울러 상기 여성용 하이힐 구두를 2개월 동안 지속적으로 착용한 결과 발이 편안하고, 발가락 및 발목의 부상 위험도 감소 되었다.
본 발명의 신발은 신발바닥 내면이 착용후 착용자의 발바닥 모양에 따라 성형되어 발가락이 기형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발목 및 발가락의 부상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체중을 발바닥 전체 면으로 골고루 분산 시킬수 있어서 발의 안락감이 향상된다. 특히 대량 생산되는 기성화에 맞춤기능을 부여할 수도 있다.

Claims (8)

  1. 발바닥 앞부위가 접촉하는 신발 안창 부분에 경화성 고분자 및 1층 이상의 코팅 피막으로 캡슐화된 경화제가 밀봉되어 있는 연질의 주머니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후 신발바닥 내면이 성형되는 신발.
  2. 제1항에 있어서, 경화성 고분자가 폴리우레탄 수지 또는 에폭시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후 신발 바닥 내면이 성형되는 신발.
  3. 제1항에 있어서, 경화성 고분자가 폴리우레탄 수지인 경우 경화제가 디이소시안염 또는 방향족디아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후 신발바닥 내면이 성형되는 신발.
  4. 제1항에 있어서, 연질의 주머니가 천연고무, 합성고무, 실리콘고무, 또는폴리우레탄 수지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후 신발바닥 내면이 성형되는 신발.
  5. 제1항에 있어서, 경화성고분자가 발포 처리된 고분자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후 신발바닥 내면이 성형되는 신발.
  6. 제1항에 있어서, 경화성 고분자가 경화제와의 대응에 의해서만 경화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후 신발바닥 내면이 성형되는 신발.
  7. 제1항에 있어서, 코팅 피막이 폴리아클릴레이트,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또는 폴리이소설폰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후 신발바닥 내면이 성형되는 신발.
  8. 제1항에 있어서, 경화성 고분자가 에폭시 수지인 경우 경화제가 과산화프탈산 또는 과산화 벤조산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후 신발바닥내면이 성형되는 신발.
KR1019970026820A 1997-06-24 1997-06-24 착용후 신발 바닥 내면이 성형되는 신발 KR100213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6820A KR100213565B1 (ko) 1997-06-24 1997-06-24 착용후 신발 바닥 내면이 성형되는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6820A KR100213565B1 (ko) 1997-06-24 1997-06-24 착용후 신발 바닥 내면이 성형되는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3029A KR19990003029A (ko) 1999-01-15
KR100213565B1 true KR100213565B1 (ko) 1999-08-02

Family

ID=19510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6820A KR100213565B1 (ko) 1997-06-24 1997-06-24 착용후 신발 바닥 내면이 성형되는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35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3665A (ko) 2022-07-01 2024-01-09 이기호 무극성 고무와 무극성 물질의 작용을 이용한 실리콘 깔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9242A (ko) * 2001-10-31 2001-12-08 오세순 맞춤형 신발의 성형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3665A (ko) 2022-07-01 2024-01-09 이기호 무극성 고무와 무극성 물질의 작용을 이용한 실리콘 깔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3029A (ko) 199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66487A (en) Cast shoe
US10383399B1 (en) Adhesive footwear and devices
JP5417042B2 (ja) つま先保護サンダル
US4821430A (en) Heel counter for athletic shoe and footwear incorporating same
US3968577A (en) Method and construction of footwear incorporating a customized, form fitted casting unit
US6098315A (en) Self molding insole insert
US6523206B2 (en) Custom orthotic sandal and process for constructing
US20040194352A1 (en) Orthopedic insole for a diabetic shoe
US5189814A (en) Reinforced rubber footwear product
EP0643931B1 (en) Gym shoes
JPH06507319A (ja) 防護ブーツ
US20040194342A1 (en) Sandals and flip-flops with non-slip foot surface
KR100213565B1 (ko) 착용후 신발 바닥 내면이 성형되는 신발
KR20240019193A (ko) 미끄럼 방지용 신발 깔창
US3984925A (en) Hybrid sole for shoes
CA1217987A (en) Arch support especially for the therapy of pes valgus with children
JPS5849101A (ja) 運動シユ−ズ用ソ−ル
AU2010202361B2 (en) Heel-lock shoe
CN109330092B (zh) 一种脚踝矫正鞋
JPH0537218U (ja) 靴 下
CN211268875U (zh) 一种长距离行走脚底保护垫
CN216875245U (zh) 一种具有稳定支撑功能的运动鞋及运动鞋底
JP6984830B2 (ja) カスタマイズされた整形外科的インソール、及びその製作方法
KR200208652Y1 (ko) 신발창을 갖는 양말
JP3067446U (ja) 足型成形と衝撃吸収と足裏のマメ防止用インソ―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