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3480B1 - 음성 출력레벨 조절방법 - Google Patents

음성 출력레벨 조절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3480B1
KR100213480B1 KR1019960053555A KR19960053555A KR100213480B1 KR 100213480 B1 KR100213480 B1 KR 100213480B1 KR 1019960053555 A KR1019960053555 A KR 1019960053555A KR 19960053555 A KR19960053555 A KR 19960053555A KR 100213480 B1 KR100213480 B1 KR 100213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pip
volume control
signal
volu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3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5271A (ko
Inventor
양재모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53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3480B1/ko
Publication of KR19980035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5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3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34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7/00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in amplifiers
    • H03G7/007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in amplifiers of digital or coded signa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001Digital control of analog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Abstract

개시된 음성출력레벨 조절방법은 PIP 기능의 선택여부에 따라 모화면과 PIP화면의 음성출력레벨을 선택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마이컴은 사용자의 키조작에 의한 음략조절키 신호가 입력되면, PIP 기능이 선택되었는지를 체크하고 PIP기능이 선택되지 않았으면, 모화면의 음량을 조절한다. 마이컴은 PIP 기능이 선택되어 있으면, 상기 음량조절키신호의 입력횟수를 카운트하여서 상기 음량조절키신호의 입력회수에 대응되는 모화면의 음량조절동작, PIP화면의 음량조절동작, 또는 모화면 및 PIP 화면의 음량 동시조절동작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헤드폰 플럭을 헤드폰잭으로부터 착탈하지 않더라도 모화면 및 PIP 화면의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성 출력레벨 조절방법
본 발명은 PIP(Picture In Picture) 기능을 갖는 텔레비젼 수상기의 음성출력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PIP 기능의 선택여부에 따라 모화면과 PIP화면의 음성출력레벨을 선택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음성 출력레벨 조절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IP 기능을 구비한 영상처리기기는 PIP 기능을 선택하였을 경우에 모화면의 영상신호에 PIP용 영상신호를 혼합하여 하나의 화면에서 모화면의 영상 및 PIP용 영상을 모두 볼수 있다. 이때, 영상처리기기에 구비된 스피커에서는 모화면의 음성신호가 출력되고, 헤드폰에서는 PIP용 화면의 음성신호가 출력된다.
또한, 종래 영상처리기긱는 사용자에 의해 음량이 조절되면, 헤드폰잭에 헤드폰 플럭이 삽입되었는지를 검출하여서 삽입되지 않았으면 모화면의 음량을 조절하고, 삽입되었으면 PIP화면의 음량을 조절한다.
제1도는 종래 음성출력레벨 조절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블록도이다.
제1도를 참조하면, 종래 음성출력레벨 조절장치는, 음성신호의 처리 및 레벨조절을 제어하기 위해 데이터신호(SDA) 및 클럭신호(CLK)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컴퓨터(이하, '마이컴'이라 함)(1), 사용자의 키조작에 따른 키신호를 마이컴(1)로 출력하는 키입력부(2), 마이컴(1)의 제어에 따라 모화면의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음성다중신호 처리부(3), 마이컴(1)의 제어에 따라 PIP 화면의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PIP용 음성처리부(4), 마이컴(1)의 제어에 따라음성다중신호 처리부(3) 및 PIP용 음성처리부(4)의 출력신호의 레벨을 조절하는 음성프로세서(5), 음성프로세서(5)로부터의 모화면의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7)로 출력하는 증폭기(6), 음성프로세서(5)로부터의 PIP 화면의 음성신호를 헤드폰(미도시)으로 출력하는 헤드폰잭(8), 그리고 헤드폰잭(8)의 삽입여부를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마이컴(1)의 입력단자(IN)로 입력하는 헤드폰 연결검출부(9)를 갖는다. 미설명 부호 R1~R10 및 B+은 각각 저항과 전원을 나타낸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영상처리기기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전원(B+)이 인가된 상태에서 PIP 기능이 선택되면, 음성다중신호처리부(3) 및 PIP용 음성처리부(4)는 데이터신호(SDA) 및 클럭신호(CLK)에 응하여 각각 모화면의 음성신호 및 PIP 화면의 음성신호를 출력한다.
음성프로세서(5)는 음성다중신호처리부(3) 및 PIP용 음성처리부(4)로부터 각각 출력된 모화면의 음성신호 및 PIP 화면의 음성신호의 음량을 조절한다.
음성프로세서(5)로부터의 모화면의 음성신호는 증폭시(6)에 의해 증폭되고, 증폭된 모화면의 음성신호는 스피커(7)를 통해 사용자에게 출력된다. 또한, 음성프로세서(5)로부터의 PIP 화면의 음성신호는 헤드폰잭(8)으로 출력된다.
이하, 제2도를 참조하여 종래 음성출력레벨 조절방법을 설명한다.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마이크로 컴퓨터의 제어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마이컴(1)는 사용자의 키조작에 의한 음량조절키신호가 입력되는지를 체크한다(단계 S1). 음량조절키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키조작신호에 해당되는 다른 동작을 수행하고, 음량조절키신호가 입력되면, 마이컴(1)는 헤드폰잭(8)에 헤드폰 플럭이 삽입되었는지를 체크한다(S2). 이때, 헤드폰잭(8)에 헤드폰 플럭이 삽입되면, 헤드폰 연결검출부(9)의 저항(R10)이 접지되므로 마이컴(1)는 상기 입려단자(IN)를 통해 저전위의 검출신호를 입력받고, 헤드폰 플럭이 삽입되면 상기 저항(R10)이 접지되지 않으므로 마이컴(1)은 고전위의 검출신호를 입력받는다.
단계 S2에서, 헤드폰 플럭이 삽입되지 않았으면, 마이컴(1)은 모화면의 음성신호의 레벨을 조절하고(단계 S3), 헤드폰플럭이 삽입되었으면, 마이컴(1)은 PIP화면의 음성신호의 레벨을 조절한다(단계 S4).
그러나, 상술한 방법에서는, 모화면 및 PIP 화면의 음성신호의 레벨이 헤드폰 플럭의 삽입여부에 따라 제어되기 때문에 어느 한 사람의 모화면을 시청하고, 다른 한 사람이 PIP 화면을 시청할 경우 음량을 조절할 때 마다 헤드폰 플럭을 착탈해야만 한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은, 헤드폰 플럭의 삽입여부에 관계없이 모화면 및 PIP 화면의 음량을 각각 조절할 수 있는 음성출력 레벨 조절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따라서, 헤드폰 플럭의 삽입여부에 관계없이 모화면 및 PIP 화면의 음량을 동시에 조절할 수 있는 음성출력레벨 조절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종래 음성출력레벨 조절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블록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마이크로 컴퓨터의 제어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출력레벨 조절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블록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출력레벨 조절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마이크로 컴퓨터 12 : 키입력부
13 : 음성다중신호 처리부 14 : PIP용 음성처리부
15 : 음성프로세서 16 : 증폭기
17 : 스피커 18 : 헤드폰 잭
19 : OSD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음성출력레벨 조절방법에 따르면, 사용자의 키조작에 의한 음량조절키신호가 입력되면, PIP 기능이 선택되었는지를 테크하는 단계와, 상기 PIP 기능이 선택되지 않았으면, 모화면의 음량을 조절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PIP 기능이 선택되어 있으면, 상기 음량조절키신호의 입력횟수를 카운트하여서 상기 음량조절키신호의 입력회수에 대응되는 모화면의 음량조절동작, PIP 화면의 음량조절동작, 또는 모화면 및 PIP 화면의 음량 동시조절동작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음성출력레벨 조절방법에 따르면, 모화면 및 PIP 화면의 음성신호의 음량은 사용자의 음량조절키신호의 입력회수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절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헤드폰 플럭을 헤드폰잭으로부터 착탈하지 않더라도 모화면 및 PIP 화면의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 제3도 및 제4도에 의거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출력레벨 조절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이는 블록도이다.
제3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출력레벨 조절장치는, 음성 신호의 처리 및 레벨조절을 제어하기 위해 데이터신호(SDA) 및 클럭신호(CLK)를 출력하기 위한 마이크로 컴퓨터(11), 사용자의 키조작에 따른 키신호를 마이컴(11)로 출력하기 위한 키입력부(12), 마이컴(11)의 제어에 따라 모화면의 음성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음성다중신호 처리부(13), 마이컴(11)의 제어에 따라 PIP 화면의 음성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PIP용 음성처리부(14), 마이컴(11)의 제어에 따라 음성다중신호 처리부(13) 및 PIP용 음성처리부(14)로부터의 음성출력신호의 레벨을 조절하기 위한 음성프로세서(15), 음성프로세서(15)로부터의 모화면의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17)로 출력하기 위한 증폭기(16), 음성프로세서(15)로부터의 PIP 화면의 음성신호를 헤드폰(미도시)으로 출력하기 위한 헤드폰잭(18), 그리고 마이컴(11)의 제어에 응하여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상기 사용자의 카조작에 따른 상기 음량조절키신호의 입력회수 및 음량조절상태 등을 나타내는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n Screen Display)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OSD부(19)를 갖는다.
이하, 제4도를 참조하여 상술한 구성을 갖는 음성출력레벨 조절장치의 음성출력레벨 조절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출력레벨 조절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마이컴(11)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키입력부(12)를 조작하는 것에 따라 발생되는 음량조절키신호가 발생되는지를 체크한다(단계 S11). 음량조절키신호가 입력되지 않는다고 체크되면, 마이컴(11)은 상기 사용자의 키조작에 해당되는 다른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음량조절키신호가 입력된다고 체크되면, 마이컴(11)은 현재 PIP 기능이 선택되어 있는지를 체크한다(단계 S12). 상기 PIP 기능이 선택되어 있지 않으면, 현재 모화면만이 사용자에게 출력되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마이컴(11)은 상기 모화면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의 레벨, 즉 음량을 조절한다. 이때, 상기 모화면에는 상기 모화면의 음량조절상태가 OSD 화면으로 함께 출력된다. 상기 PIP 기능이 선택되어 있으면, 마이컴(11)은 상기 음량조절키신호의 입력회수를 카운팅한다(단계 S14).
다음, 마이컴(11)은 상기 음량조절키신호의 입력회수가 1회인지를 판단한다(단계 S15). 상기 음량조절키신호의 입력회수가 1회이면, 마이컴(11)은 상기 모화면으로부터의 음성신호의 레벨을 조절한다.(단계 S18). 이때, 상기 모화면에는 상기 모화면의 음량조절상태가 OSD 화면으로 함께 출력된다.
상기 음량조절키신호의 입력회수가 1회가 아니면, 마이컴(11)은 상기 음량조절키신호의 입력회수가 2회인지를 판단한다(단계 S16). 상기 음량조절키신호의 입력회수가 2회이면, 마이컴(11)은 상기 PIP 화면으로부터의 음성신호의 레벨을 조절한다(단계 S19). 이때, 상기 PIP 화면에는 상기 모화면의 음량조절상태가 OSD 화면으로 함께 출력된다.
상기 음량조절키신호의 입력회수가 2회가 아니면, 마이컴(11)은 상기 음량조절키신호의 입력회수가 3회인지를 판단한다(단계 S17). 상기 음량조절키신호의 입력회수가 3회이면, 마이컴(11)은 상기 모화면 및 상기 PIP화면으로부터의 음성신호의 레벨을 동시에 조절한다.(단계 S20). 마찬가지로 상기 모화면 및 PIP 화면의 음량조절상태가 OSD 화면으로 함께 출력된다.
다음, 상기 음량조절키신호의 입력회수가 3회가 아니면, 즉 상기 음량조절키신호가 4회 이상 입력되면 마이컴(11)은 상기 음량조절키신호의 카운트 회수를 클리어하고 음량조절동작을 종료한다(단계 S21).
상술한 바와 같은 음성출력레벨 조절방법에 따르면, 모화면 및 PIP 화면의 음성신호의 음량은 사용자의 음량조절키신호의 입력회수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절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헤드폰 플럭을 헤드폰잭으로부터 착탈하지 않더라도 모화면 및 PIP 화면의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1. (i) 사용자의 키조작에 의한 음량조절키신호가 입력되면, PIP 기능이 선택되었는지를 체크하는 단계;
    (ii) 상기 PIP 기능이 선택되지 않았으면, 모화면의 음량을 조절하는 단계; 및
    (iii) 상기 PIP 기능이 선택되어 있으면, 상기 음량조절키신호의 입력횟수를 카운트하여서 상기 음량조절키신호의 입력회수에 대응되는 모화면의 음량조절동작, PIP 화면의 음량조절동작, 또는 모화면 및 PIP 화면의 음량 동시조절동작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출력레벨 조절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단계(iii)는,
    (iii-1) 상기 음량조절키신호의 입력횟수가 1회인지를 체크하는 단계;
    (iii-2) 상기 입력회수가 1회이면, 상기 모화면의 음량을 조절하는 단계;
    (iii-3) 상기 입력회수가 1회가 아니면, 상기 음량조절키신호의 입력회수가 2회인지를 체크하는 단계;
    (iii-4) 상기 입력회수가 2회이면, 상기 PIP 화면의 음량을 조절하는 단계;
    (iii-5) 상기 입력회수가 2회가 아니면, 상기 음량조절키신호의 입력회수가 3회인지를 체크하는 단계;
    (iii-6) 상기 입력회수가 3회이면, 상기 모화면 및 PIP 화면의 음량을 동시에 조절하는 단계; 및
    (iii-7) 상기 입력회수가 3회가 아니면, 음량조절키신호를 종료하고 리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출력레벨 조절방법.
KR1019960053555A 1996-11-12 1996-11-12 음성 출력레벨 조절방법 KR100213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3555A KR100213480B1 (ko) 1996-11-12 1996-11-12 음성 출력레벨 조절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3555A KR100213480B1 (ko) 1996-11-12 1996-11-12 음성 출력레벨 조절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5271A KR19980035271A (ko) 1998-08-05
KR100213480B1 true KR100213480B1 (ko) 1999-08-02

Family

ID=19481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3555A KR100213480B1 (ko) 1996-11-12 1996-11-12 음성 출력레벨 조절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34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3862A (ko) * 2001-10-25 2003-05-01 넥스필전자 주식회사 볼륨 자동 설정방법
KR101681224B1 (ko) 2014-04-18 2016-12-01 서덕희 다중 결합구조의 자동차용 와이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5271A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84990B2 (en) Apparatus for detecting connection state between stereo earphone plug and corresponding jack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230102B1 (ko) 볼륨레벨에 따른 음성조정방법
KR100213480B1 (ko) 음성 출력레벨 조절방법
JPH05344435A (ja) ミュート回路
KR19980043272A (ko) 텔레비전 수상기의 외부 입력신호 선택방법
JP4747830B2 (ja) オーディオ装置及び出力切替え方法
JPH06311448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0809770B1 (ko) 이어폰 임피던스에 따른 이어폰 출력보상장치 및 방법
JP2006140866A (ja) 電子機器
JP2004064172A (ja) 音声再生装置
JPH08223493A (ja) オーディオ/ビデオの記録/再生システムでのオーディオ/ビデオ入力信号自動スイッチング装置
KR200231807Y1 (ko)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비디오신호 출력이득 조정장치
KR980010689A (ko) 라디오 수신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0162581B1 (ko) 음향출력자동 제어장치
KR930007372Y1 (ko) 음향기기의 기능절환회로
KR100412488B1 (ko) 선택적 음량조절이 가능한 홈시어터 시스템 및 홈시어터 시스템의 음량조절 방법
KR0133433Y1 (ko) 영상재생장치의 뮤트상태 제어회로
JP3036983B2 (ja) コントロールキー制御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0245524B1 (ko) 텔레비전에서의 통신버스자체진단방법
KR0109259Y1 (ko) 영상 기기의 잡음 제거장치
KR200252656Y1 (ko) 모니터음성과 가변음성의 선택적 출력이 가능한 텔레비젼
JPH0374912A (ja) グラフィックイコライザ
KR940000737Y1 (ko) 레벨 메터기를 이용한 트랙킹 조정회로
JP3481125B2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H053557A (ja) テレビジヨン受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