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3308B1 - 아라미드 복합직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아라미드 복합직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3308B1
KR100213308B1 KR1019940015629A KR19940015629A KR100213308B1 KR 100213308 B1 KR100213308 B1 KR 100213308B1 KR 1019940015629 A KR1019940015629 A KR 1019940015629A KR 19940015629 A KR19940015629 A KR 19940015629A KR 100213308 B1 KR100213308 B1 KR 100213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amid
fabric
fibers
fiber
composite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5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1245A (ko
Inventor
최상렬
최원준
Original Assignee
하기주
주식회사코오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기주, 주식회사코오롱 filed Critical 하기주
Priority to KR1019940015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3308B1/ko
Publication of KR960001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3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33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42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inorganic, e.g. basalt
    • D03D15/267Gla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0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0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101/00Inorganic fibres
    • D10B2101/02Inorganic fibres based on oxides or oxide ceramics, e.g. silicates
    • D10B2101/06Glas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amides
    • D10B2331/021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amides aromatic polyamides, e.g. aramid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1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elast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3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high strength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02Reinforcing materials; Prepre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라미드 섬유와 유리섬유를 각각 경사 및 위사 양 방향에 일정비율로 배열하여 제직하여 아라미드 복합직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아라미드 복합직물은 아라미드 섬유의 높은 탄성율에 의하여 직물의 강직성이 향상되고 유리섬유의 수지와의 친화력에 의하여 보강효과가 향상되어서, 높은 강직성과 기계적 강도가 요구되는 건축자재, 공업재료, 선박 및 보트 등의 강화플라스틱용 보강직물로 매우 유용하다.

Description

아라미드 복합직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아라미드 복합직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방향족 폴리아미드 섬유(이하, 아라미드)와 유리섬유로 구성되는 복합직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보강용 직물로서, 나일론이나 폴리에스테르 등의 열가소성섬유와 유리섬유로 구성되는 복합직물을 사용하거나, 유리섬유 단독의 직물을 사용해 왔는데, 강화플라스틱용 보강직물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폭시수지, 실리콘수지 등으로 처리되어 성형과정을 거친 뒤 제품화 되기 때문에, 이러한 수지와의 친화성으로 보강효과가 뛰어나야 하며, 또한 높은 탄성율로 직물의 강직성이 우수해야 하고, 제품의 중량도 가능한 가벼워야 하는 특성이 요구된다.
그러나, 상기의 열가소성 섬유와 유리섬유와의 복합직물 또는, 유리섬유만으로 된 직물은 수지와의 친화력은 좋으나, 탄성율이 떨어지므로 직물의 강직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카본섬유나 아라미드 섬유로되는 복합직물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들 직물은 탄성율이 높아 직물의 강직성은 뛰어나지만 수지와의 친화력면에서는 단점을 가지고 또한 고가이기 때문에 경제성 측면에서 불리한 점이 많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높은 탄성율을 가지는 아라미드 섬유로 직물의 강직성을 보완하고, 수지와의 친화력을 위해 유리섬유를 보완하므로써, 강화 플라스틱용 보강직물로 유용한 아라미드 복합직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아라미드섬유와 유리섬유를 각각 경사 및 위사 양 방향에 일정비율로 배열하여 제직후 온수로 세정하고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라미드 복합직물의 제조방법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아라미드 섬유는 인장탄성율이 500~1,200g/d이고, 강도가 20g/d 이상이며, 절단신도가 5% 이하인 400~1,500 데니어의 필라멘트사를 사용하고 이러한 아라미드섬유와 유리섬유를 경사와 위사에 각각 일정배열로 교대로 하여 제직한다.
만일, 아라미드섬유의 인장탄성율이 500g/d 미만이면 직물의 강직성이 떨어지고, 1,200g/d를 초과하면 섬유의 강도가 떨어진다.
또한, 아라미드 섬유의 강도가 20g/d 미만이면 충분한 보강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되고, 절단신도가 5%를 초과하면 수지함침 공정시 직물이 신장되어 형태안정성이 불량해지고 수지와 직물간에 박리가 일어날 수 있다.
그리고 아라미드 섬유의 굵기가 400데니어 미만이면 직물의 강력이 부족하며, 1,500데니어를 초과하면 수지가 섬유내부로 과량 침투되어 오히려 강력이 떨어질 수 있고 수지함침 후의 직물의 두께가 두꺼워질 수 있다.
이러한 아라미드 섬유와 유리섬유를 경사나 위사에 각각 일정배율로 교대로 하여 제직하게 되는데, 아라미드섬유와 유리섬유를 경사나 위사의 한 방향에만 사용하든지 배열을 불균일하게 하면 최종제품의 기계적 강도나 강직성에서 방향성을 가지게 되어 불량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경사나 위사 별로 아라미드 섬유와 유리섬유를 1 : 1 또는 2 : 1의 배열로 균일하게 제직함이 중요하다. 각 섬유를 균일하게 배열하되 제직후 전체 직물에서 아라미드 섬유가 차지하는 비율이 25~95 중량%가 되도록 한다. 아라미드 섬유가 전체에서 25 중량% 미만이면 복합직물의 강직성이 떨어지고, 95 중량%를 초과하면 수지와의 친화력이 저하되어 보강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된다.
또한, 제직시 피복율(cover-factor)이 24~30이 되게 하여야 하는데, 피복율이 24미만이면 수지함침시 수지가 섬유내부로 많이 침투되어 직물의 강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고 직물을 적층시 수지가 직물에 불균일하게 부착되어 제품이 불량해지게 된다. 피복율이 30을 초과하면 제직성이 떨어져 생산성이 저하된다.
이렇게 제조된 직물을 온수로 세정후 건조시키는데, 이는 섬유의 방사시 처리된 유제성분을 제거해 주므로써 후처리되는 각종 수지와 직물간의 접착성을 좋게 하기 위함이다.
이상의 방법으로 제조된 아라미드 섬유와 유리섬유와의 복합직물은 높은 탄성율에 의한 직물의 강직성과 수지와의 친화력에 의한 보강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에 높은 강직성과 기계적 강도가 요구되는 건축자재, 공업재료, 선박 및 보트 등의 강화플라스틱용 보강직물로 매우 유용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2, 비교예 1~3]
인장탄성율 1,120g/d, 인장강도 22g/d, 절단신도 2.5%인 1,000D/666F의 아라미드 섬유를 이용하여 다음 표1과 같은 방법으로 직물을 제조하고 에폭시 수지로 침지후 직물을 적층한 뒤 두께가 2㎜되게 성형하였으며, 굴곡강도와 굴곡탄성율을 평가하였다.

Claims (4)

  1. 아라미드 섬유와 유리섬유를 각각 경사 및 위사 양 방향에 일정비율로 배열하여 제직후 온수로 세정하고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라미드 복합직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라미드 섬유는 인장탄성율이 500~1,200g/d이고, 강도가 20g/d 이상이며, 절단신도가 5% 이하인 400~1,500데니어의 필라멘트사임을 특징으로 하는 아라미드 복합직물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아라미드 섬유가 직물전체에 대하여 25~9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라미드 복합직물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제직시 직물의 피복율이 24~30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라미드 복합직물의 제조방법.
KR1019940015629A 1994-06-30 1994-06-30 아라미드 복합직물의 제조방법 KR100213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5629A KR100213308B1 (ko) 1994-06-30 1994-06-30 아라미드 복합직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5629A KR100213308B1 (ko) 1994-06-30 1994-06-30 아라미드 복합직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1245A KR960001245A (ko) 1996-01-25
KR100213308B1 true KR100213308B1 (ko) 1999-08-02

Family

ID=19386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5629A KR100213308B1 (ko) 1994-06-30 1994-06-30 아라미드 복합직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330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142B1 (ko) * 2008-04-30 2013-09-23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아라미드 멀티필라멘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310139B1 (ko) * 2008-04-30 2013-09-23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아라미드 멀티필라멘트의 제조방법
WO2013151194A1 (ko) * 2012-04-05 2013-10-10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레저용 보트판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376219B1 (ko) * 2008-04-30 2014-03-20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아라미드 멀티필라멘트의 제조방법
KR101436820B1 (ko) 2012-10-04 2014-09-02 한화첨단소재 주식회사 아라미드 하이브리드 매트를 이용하여 중량은 줄이고 충돌성능은 향상시킨 복합소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5386B1 (ko) 2018-03-30 2020-12-24 한국세라믹기술원 건축물 내진 보강용 난연 섬유복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142B1 (ko) * 2008-04-30 2013-09-23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아라미드 멀티필라멘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310139B1 (ko) * 2008-04-30 2013-09-23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아라미드 멀티필라멘트의 제조방법
KR101376219B1 (ko) * 2008-04-30 2014-03-20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아라미드 멀티필라멘트의 제조방법
WO2013151194A1 (ko) * 2012-04-05 2013-10-10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레저용 보트판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436820B1 (ko) 2012-10-04 2014-09-02 한화첨단소재 주식회사 아라미드 하이브리드 매트를 이용하여 중량은 줄이고 충돌성능은 향상시킨 복합소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1245A (ko) 1996-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20160A (en) Fabric structure for fiber reinforced plastics
EP0050854B1 (en) Composite fibrous product
US5168006A (en) Woven fabric for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resin laminate
JPH0422933B2 (ko)
US4590121A (en) Sail cloth
KR100213308B1 (ko) 아라미드 복합직물의 제조방법
CN1194126C (zh) 一种机织物的织造方法
JPH0135101B2 (ko)
CN1068607A (zh) 一种三轴向正交立体织物的新的织造方法
EP3692190B1 (en) Lyocell filament lining fabric
CN1095001C (zh) 中空层连织物复合材料
JPH05272020A (ja) 結合した糸束、その製法、およびそれから得られる繊維シート材料
US3207659A (en) Method of making papermaker's fabric and the finished fabric
AU2021266240A1 (en) High thread/ yarn count woven textile fabric and process of preparation thereof
US5180633A (en) Composite textile material capable of being employed for resin reinforcement
CN1093190C (zh) 层连织物及其织造方法和设备
JPS6356330B2 (ko)
GB2375772A (en) Sailcloth
CN109338567B (zh) 一种具有经向或纬向高弹的单向弹性机织物及其生产方法
CN213232636U (zh) 一种高强度玻璃纤维机织单向布
CN220318082U (zh) 速干涤纶面料
CN214422816U (zh) 一种芳纶尼龙双层织物热缩护套
CN218989559U (zh) 一种耐磨尼龙牛津布
CN219650763U (zh) 一种高强度网布
CN214164275U (zh) 一种防水防静电涤纶梭织面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12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