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2753B1 - 차량의 페일 세이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페일 세이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2753B1
KR100212753B1 KR1019950048374A KR19950048374A KR100212753B1 KR 100212753 B1 KR100212753 B1 KR 100212753B1 KR 1019950048374 A KR1019950048374 A KR 1019950048374A KR 19950048374 A KR19950048374 A KR 19950048374A KR 100212753 B1 KR100212753 B1 KR 100212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ensor
vehicle speed
signal
fail saf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8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6116A (ko
Inventor
김경영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50048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2753B1/ko
Publication of KR970036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6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2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27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2Ensuring safety in case of control system failures, e.g. by diagnosing,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B60W50/029Adapting to failures or work around with other constraints, e.g. circumvention by avoiding use of faile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 B60R16/0232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for measuring vehicle parameters and indicating critical, abnormal or dangerous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2Ensuring safety in case of control system failures, e.g. by diagnosing,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B60W50/029Adapting to failures or work around with other constraints, e.g. circumvention by avoiding use of failed parts
    • B60W2050/0292Fail-safe or redundant systems, e.g. limp-home or backup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13Failsaf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상태에 관한 각종의 정보를 감지한 뒤에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출력하는 센서부와, 상기한 센서부에서 입력되는 신호로부터 차량에 이상이 발생되었다고 판단한 경우에 이상이 발생되었음을 외부에 경고하고, 이상이 발생한 상태에서 차속이 일정 속도를 넘는 경우에는 강제적으로 차속을 일정 한도 내로 저감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전자 제어부와, 상기한 전자 제어부로부터 경고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운전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경고 표시부와, 상기한 전자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온/오프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에어 컴프레셔로부터 발생된 공기를 압축 저장시키는 공기 저장 탱크와, 상기한 솔레노이드 밸브가 개방되는 경우에 상기한 공기 저장 탱크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압축 공기에 의해 동작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한 액츄에이터와 기구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한 액츄에이터의 동작에 의해 개도각이 결정되는 보조 드로틀 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차량에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에 보조 드로틀 밸브를 이용하여 차량의 속력이 일정한 한도 내에서만 가변되도록 함으로써 차량이 무리하게 과속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 차량의 페일 세이프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의 페일 세이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페일 세이프 제어장치의 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페일 세이프 제어방법을 보인 동작 흐름도.
본 발명은 차랑의 페일 세이프(file safe)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차량에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에 보조 드로틀 밸브를 이용하여 차량의 속력이 일정한 한도 내에서만 가변되도록 함으로써 차량이 무리하게 과속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량의 페일 세이프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계공업의 집약체인 자동차는, 세계적으로 모든 메커니즘이 전자화되고 있는 추세에 따라, 최근의 신차종의 거의 모든 기능이 전자화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즉, 자동차에서, 발전기, 조정기, 핸들, 쇽업쇼버, 엔진, 브레이크, 변속기, 섀시 등을 컨트롤러 또는 컴퓨터가 제어하고 있는 추세이며, 그 중에서도 전자 제어 연료 분사, 전자제어 현가장치 등은 상용적으로 이미 널리 보급되어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자동차의 기능이 전자화 되어 감에 따라 전자부품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종래에는 상기한 전자 부품으로 부터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이를 손쉽게 확인하고 수리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차량의 전자 부품 중의 일부가 고장이 났는데도 불구하고, 운전자가 이를 인지하지 못하고 있거나, 강제적으로 운행을 계속하는 경우에는 사고를 유발시키게 되거나 차량의 손상을 가져오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는 단점을 유발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에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에 보조 드로틀 밸브를 이용하여 차량의 속력이 일정한 한도 내에서만 가변되도록 함으로써 차량이 무리하게 과속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량의 페일 세이프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장치의 구성은, 차량의 상태에 관한 각종의 정보를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와, 상기한 센서부에 입력되는 신호로부터 차량에 이상이 발생되었다고 판단한 경우에 외부에 경고하고, 이상이 발생한 상태에서 차속이 일정 속도를 넘는 경우에는 차속을 일정 한도 내로 저감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전자제어부와, 상기한 전자 제어부로부터 경고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운전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경고 표시부와, 상기한 전자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온/오프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에어 컴프레셔로부터 발생된 공기를 압축 저장시키는 공기 저장 탱크와, 상기한 솔레노이드 밸브가 개방되는 경우에 상기한 공기 저장 탱크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고압의 공기에 의해 동작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한 액츄에이터와 기구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한 액츄에이터의 동작에 의해 개도각이 결정되는 보조 드로틀 밸브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구성은, 운전자가 페일 세이프 제어장치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 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방법은, 전원이 인가되면 동작이 시작되어 모든 메모리 변수를 초기화시키는 단계와, 동작 스위치가 온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동작 스위치가 온된 경우에 센서부로부터 입력되는 각종의 감지 신호를 읽어 들이는 단계와, 읽어 들인 감지 신호로부터 차량에 이상이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차량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이상 발생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센서부에서 입력되는 신호로부터 현재의 차속을 산출하는 단계와, 현재의 차속이 기준 차속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현재의 차속이 기준 차속보다 큰 경우에 차속을 강제로 일정 속도이하가 되도록 저감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페일 세이프 제어장치의 구성회로도이다.
제1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페일 세이프 제어장치의 구성은, 센서부(10)와, 동작 스위치(SW)와, 상기한 센서부(10) 및 동작 스위치(SW)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연결되어 있는 ECU(20)와, 상기한 ECU(20)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연결되어 있는 경고 표시부(30)와, 상기한 ECU(20)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연결되어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40)와, 상기한 솔레노이드 밸브(40)와 도관을 통해 연결되며 에어 컴프레셔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저장하여 압력을 형성하는 공기 저장 탱크(60)와, 상기한 솔레노이드 밸브(40)와 도관을 통해 연결되며, 솔레노이드 밸브(40)의 온/오프에 따라 차속 조정을 드라이브하는 액츄에이터(70)와, 상기한 액츄에이터(70)와 기구적으로 연결돠어 있는 보조 드로틀 밸브(80)와, 가속페달에 기구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메인 드로틀 밸브(90)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센서브(10)는, 차속센서, 산소 센서, 공기 흐름 센서(Air Flow Sensor, AFS), 대기압 센서(Atomospheric Press Sensor, APS),흡기온 센서, 수온 센서, 드로틀 위치 센서(Throttle Posistion Sensor, TPS), 크랭크각 센서(Crank Angle Sensor, CAS), 아이들 스위치, 1번 실린더 TDC 센서, 모터 위치 센서(Motor Position Sensor, MPS)등의 각종의 센서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ECU(20)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아날로그/디지틀 컨버터, 메모리등을 내장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경고 표시부(30)는 적색의 발광 다이오드(LED)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경고 표시부(30)로서 발광 다이오드(LED)를 사용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음성칩과 스피커를 사용하여 운전자에게 청각적으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페일 세이프 제어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제2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페일 세이프 제어방법의 구성은, 전원이 인가되면 동작이 시작되는 단계(S10)와, 모든 메모리 변수를 초기화시키는 단계(S20)와, 동작스위치가 온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30)와, 동작 스위치가 온 된 경우에 센서부(10)로 부터 입력되는 각종의 감지 신호를 읽어 들이는 단계(S40)와, 읽어 들인 감지신호로부터 차량에 이상이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50) 차량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이상 발생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S60)와, 센서부(10)로 부터 인가되는 현재의 차속을 산출하는 단계(S70)와, 현재의 차속이 기준 차속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단계(S80)와, 현재의 차속이 기준 차속보다 큰 경우에 차속을 강제로 일정 속도 이하가 되도록 저감시키는 단계(S90)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페일 세이프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운전자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면, 프로그램화 되어 ECU(20)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제2도에 도시되어 있는 동작 수순이 ECU(20)에 의해 실행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페일 세이프 제어장치의 동작이 시작된다(S10).
동작이 시작되면, ECU(20)는 모든 메모리 변수를 초기화시킨 뒤에(S20), 동작 스위치(SW)로 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읽어 들여 동작 스위치(SW)가 온되었는지를 판단한다(S30).
동작 스위치(SW)가 온된 경우에, ECU(20)는 센서브(10)로부터 입력되는 각종의 감지 신호를 읽어 들인다.(S40)
상기한 센서부(10)에는, 차속센서, 산소 센서, 공기 흐름 센서, 대기압 센서, 흡기온 센서, 수온센서, 드로틀 위치 센서, 크랭크각 센서, 아이들 스위치, 1번 실린더 TDC 센서, 모터 위치 센서등등의 각종의 센서가 있어서, 차량의 상태에 대한 각종 정보를 감지하여 ECU(20)로 출력한다.
ECU(20)는 센서부(10)를 통해서 읽어 들인 감지 신호로부터 차량에 이상이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S50)
차량에 이상이 발생되지 않은 경우에 ECU(20)는 상기한 과정을 반복 수행하지만, 차량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ECU(20)는 경고 표시부(30)로 이상 발생 경고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경고 표시부(30)의 발광 다이오드(LED)가 발광되도록 한다(S60).
상기한 발광 다이오드(LED)는 적색이기 때문에 차량에 이상이 발생되었음을 운전자가 확실하게 인지할 수 있다.
다음에, ECU(20)는 센서부(10)의 차속센서에서 입력되는 신호로부터 현재의 차속을 산출한 뒤에(S70), 현재의 차속이 기준 차속보다 큰지를 판단한다(S80).
현재의 차속이 기준 치속보다 크지 않은 경우에 ECU(20)는 상기한 과정을 반복 수행하지만, 현재의 차속이 기준차속보다 큰 경우에는 ECU(20)는 솔레노이드 밸브(40)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솔레노이드 밸브(40)가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차속을 강제로 일정 속도 이하가 되도록 저감시킨다(S90).
ECU(20)에 의해 솔레노이드 밸브(40)가 개방되면, 에어 컴퓨레셔로부터 발생되어 공기 저장 탱크(60)에 저장되어 있던 압축 공기가 개방된 솔레노이드 밸브(40)를 거쳐서 액츄에이터(70)로 전달되고, 액츄에이터(70)는 보조 드로틀 밸브(80)가 일정 각만큼 닫혀지게 함으로써 차속이 저감되도록 한다.
보조 드로틀 밸브(80)가 일정 각만큼 닫혀지게 되면, 운전자가 아무리 가속페달을 밟아서 메인 드로틀 밸브(90)를 개방시켜도 차량의 속력은 보조 드로틀 밸브(80)의 개도각에 의해서 설정되는 일정한 한도 내의 속력 내에서 가변됨으로써 차량이 무리하게 과속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량에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에 보조 드로틀 밸브를 이용하여 차량의 속력이 일정한 한도 내에서만 가변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무리하게 과속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 차량의 페일 세이프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효과는 자동차의 전지장치 분야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이용될 수가 있다

Claims (8)

  1. 차량의 상태에 관한 각종의 정보를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출력하는 센서부와, 상기한 센서부의 신호를 분석하여 차량의 이상여부 판단과 경보발생 및 차속조정을 제어하는 전자 제어부와, 상기한 전자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경고 표시부와, 상기한 전자제어부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차속 조정을 드라이브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동작에 의해 개도각이 결정되는 보조 드로틀 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페일 세이프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운전자가 페일 세이프 제어장치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 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페일 세이프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센서부는, 차속센소, 산소 센소, 공기 흐름 센서, 대기압 센서, 흡기온 센서, 수온 센서, 드로틀 위치 센서, 크랭크각 센서, 아이들 스위치, 1번 실린더 TDC 센서, 모터 위치센서 등등의 각종의 센서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페일 세이프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전자 제어부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애널로그/디지틀 컨버터, 메모리 등을 내장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페이 세이프 제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경고 표시부는 적색의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페일 세이프 제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경고 표시부는, 음성 칩과 스피커를 사용하여 운전자에게 청각적으로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페일 세이프 제어장치.
  7. 전원이 인가되면 동작이 시작되어 모든 메모리 변수를 초기화시키는 단계와, 동작 스위치가 온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동작 스위치가 온된 경우에 센서부로부터 입력되는 각종의 감지 신호를 읽어 들이는 단계와, 읽어 들인 감지 신호로부터 차량에 이상이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차량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이상 발생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차속센서에서 입력되는 신호로부터 현재의 차속을 산출하는 단계와, 현재의 차속이 기준 차속보다 큰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현재의 차속이 기준 차속보다 큰 경우에 차속을 강제로 일정 속도 이하가 되도록 저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페일 세이프 제어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어부에서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온/오프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에어 컴프레셔로부터 발생된 공기를 압축저장시키는 공기 저장 탱크와, 상기한 솔레노이드 밸브가 개방되는 경우에 상기한 공기 저장 탱크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압축 공기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보조 드로틀 밸브를 구동하는 액츄에이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페일 세이프 제어장치.
KR1019950048374A 1995-12-11 1995-12-11 차량의 페일 세이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212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8374A KR100212753B1 (ko) 1995-12-11 1995-12-11 차량의 페일 세이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8374A KR100212753B1 (ko) 1995-12-11 1995-12-11 차량의 페일 세이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6116A KR970036116A (ko) 1997-07-22
KR100212753B1 true KR100212753B1 (ko) 1999-08-02

Family

ID=19439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8374A KR100212753B1 (ko) 1995-12-11 1995-12-11 차량의 페일 세이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27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8830B1 (ko) * 2002-08-13 2004-09-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페일세이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6116A (ko) 1997-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47959B2 (en) Fail-safe device for electronic throttle control system
US456630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a pressure sensor
JP2002532646A5 (ko)
KR101407998B1 (ko)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EP0276003A2 (en) Fail-safe method and system for automotive engines
JPH02169843A (ja) 自動車の電子制御装置
JPS6251737A (ja) 自己着火式内燃機関の安全緊急走行方法及び装置
US6513492B1 (en) Limited acceleration mode for electronic throttle control
US4531490A (en) Idling speed feedback control method having fail-safe function for abnormalities in functioning of crank angle position-detecting system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GB2228803A (en) "abnormality detection system for ic engine"
KR100212753B1 (ko) 차량의 페일 세이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H06201496A (ja) 大気圧センサの異常判定装置
KR20080088626A (ko) 하이브리드 구동기용 모니터링 방법
US5550740A (en) Process and device for controll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3702585B2 (ja) エンジンの制御装置
KR19990068582A (ko) 자동차급발진방어전자제어기
JP2985521B2 (ja) 自動車用データ記録装置
US8838306B2 (en)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a drive unit
KR200161272Y1 (ko) 차량의 트로들 몸체내 카본 누적시 경고 발생 시스템
KR100410592B1 (ko) 림프 홈기능 제어 방법
JPS63147936A (ja) 内燃機関用スロツトル弁制御装置
KR100476199B1 (ko) 차량의 스로틀 레버 스프링 복원력 진단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334645B1 (ko) 자동차 급발진에 관한 다중 방지 장치
JP2000080934A (ja) 燃料供給量制御装置
JP3477929B2 (ja) 車両用運転状態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