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2342B1 - 향상된 잇점을 갖는 경질 폴리우레탄 및 폴리이소이사누레이트 포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향상된 잇점을 갖는 경질 폴리우레탄 및 폴리이소이사누레이트 포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2342B1
KR100212342B1 KR1019930007992A KR930007992A KR100212342B1 KR 100212342 B1 KR100212342 B1 KR 100212342B1 KR 1019930007992 A KR1019930007992 A KR 1019930007992A KR 930007992 A KR930007992 A KR 930007992A KR 100212342 B1 KR100212342 B1 KR 100212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value
present
surfactants
rigid polyureth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7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임스 페트로프 레닌
다릴 톤스베리 제임스
Original Assignee
맥켈러 로버트 루이스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맥켈러 로버트 루이스,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맥켈러 로버트 루이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2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23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061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characterized by the use of several polymeric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8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향상된 잇점을 갖는 폴리우레탄 포움을 수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 개시된 발명은 반응시킨 포움 혼합물의 시스템 유동성을 제공하여 클로로플루오로카본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클로로플루오로카본이 취입된 시스템에 의해 제공된 포움과 동등한 단열능을 갖는 포움을 수득한다.

Description

향상된 잇점을 갖는 경질 폴리우레탄 및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포움의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된 포움의 유동성 시험장지의 투시적인 정면도이고,
제2도는 장치내 적소에 있는 딕시(Dixie)컵을 도시하는, 제1도의 라인 A-A를 따라 절개한 제1도의 횡단면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향상된 잇점을 갖는 경질 폴리우레탄과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포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우레탄 포움 단열재는 주거용 및 상업용 단열시스템 및 거의 모든 현대식 냉장고 및 냉동기에서 중요한 소재이다. 설비의 에너지 소비량에 대한 최근의 절감분위기에 비추어 단열 성능은 특히 양보할 수 없는 성질이다. 산업적으로 보다 높은 에너지 효율을 갈구함에 따라, 현재 완전히 할로겐화된 클로로플루오로카본이 지구의 오존 보호층에 대해 공격하는 제2의 환경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다. 상기 물질을 궁극적으로 금지하는 국제 의정서는 포움으로 만든 폴리우레탄 및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포움에 대한 통상적인 발포제로, CFC-11과 같은 특정 클로로플루오로카본의 사용을 중지해야 한다고 명시하고있다.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중요한 단계로, 물-이소시아네이트 반응으로부터의 이산화탄소를 보조 발포제로 포움 형성 배합물중에 사용하는 것은 머지않아 대부분의 경질 폴리우레탄 및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포움 용도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이다.
보다 적은 양의 클로로플루오로카본을 사용하기 위한 가장 가능한 시도는 클로로플루오로카본을 사용하는 것보다 발포제로 이산화탄소를 생산하기 위해 물-이소시아네이트 반응에 증가량의 물을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포움 형성 시스템에 다량의 물을 사용하는데는 여러 문제가 내재되어 있다. 가장 심각한 문제는 경화된 포움 쎌에 갇힌 특정 가스가 포움의 단열성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클로로플루오로카본을 이산화탄소로 대체함에 따라 단열능은 감소된다. 이산화탄소는 클로로플루오로카본에 비해 훨씬 더 우수한 열에너지 전도체이다.
포움 형성 배합물에서 일시적인 용매로 작용하는 클로로플루오로카본이 보다 적은 양으로 존재하므로써 수지 점도가 증가하여 가공시 포움의 유동성 감소가 관측될 것이다. 또한 수지의 점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성분의 혼합은 비효율적일 것이다. 따라서 가공이 어렵게 되고 조악한 쎌의 포움이 생성될 것이다. 또한 포움 배합물중 다량의 물은 보다 부서지기 쉬운 포움을 야기시키며, 이들은 냉장고 및 냉동기와 상업용 및 주거용 건축재에 포움을 사용할때 필요조건인, 설비 캐비넷에 대한 및 적층 포움에 사용된 표면재에 대한 접착성을 불량하게 나타낸다. 최종적으로, 이산화탄소가 폴리우레탄 포움 배합물 밖으로 급속히 확산되는 경향은 포움 형성 중합제의 구조적 일체성을 더 많이 요구한다. 이러한 현상은 종종 포움중의 내부 쎌 압력이 이산화탄소가 포움 형성 혼합물로부터 방출되므로써 강하됨에 따라 포움 수축을 일으킬 것이다.
본원에 개시된 발명은 향상된 잇점을 갖는 폴리우레탄 및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포움을 수득하기 위해 선형 시스템의 문제점중 일부를 극복하고자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반응시킨 포움 혼합물의 시스템 유동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클로로플루오로카본이 취입된 중합체에 의해 제공된 포움과 동등한 단열능을 갖는 포움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단열 용도에 사용하는데 필수적인 밀도를 갖는 포움을 제공하는 것이다. 최종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쉽게 이형되는, 폴리우레탄 및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포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원에서는
(I) (i) 적어도 하나의 반응성 디이소시아네이트;
(ii) 적어도 하나의 반응성 폴리올;
(iii) 적어도 하나의 촉매;
(iv) 유기 발포제;
(v) 물; 및
(vi) 일반식(CH3)3SiO{SiO(CH3)2}x{SiO(CH3)R}ySi(CH3)3[여기에서, R은 -(CnH2n)O(CH2CH2O)w{CH2(CH3)CHO}zR'이고, R'는 -(C=O)R, 수소, C1내지 C6알킬 라디칼 및 -R 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되고, R는 C1내지 C6알킬 라디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되고, n은 3 내지 6의 값을 갖고, x는 27 내지 33의 값을 갖고, y는 3 내지 5의 값을 갖고, z는 0 또는 1 의 값을 가지며, w는 6 내지 100의 값을 갖고, x 대 y의 비는 5 내지 12:1 의 범위내에 있다]를 갖는 폴리우레탄 포움 첨가제를 포함하는 배합물(이때, 유기 발포제(iv)의 양은 초기 혼합물중의 물(v)의 양을 초과하지 않는다)을 혼합하는 단계;
(II) 상기 초기 혼합물을 반응 및 경화시켜 경질 폴리우레탄 및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포움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질 폴리우레탄 및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포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는 폴리알킬렌옥사이드와 공반응된 실리콘 중합체를 기재로하는 폴리우레탄 포움 첨가제의 실례들이 충분하다. 폴리디메틸실록산과 폴리알킬렌옥사이드의 공중합체를 기재로 하는 비-가수분해성 실리콘 계면활성제의 일반적인 부류는 하기 일반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때, R은 일반적으로 알킬이고, R'는 -(CH2)nO(R)a(R''')bRiv를 나타내고, R는 에틸렌 옥사이드 단위이고, R'''는 프로필렌 옥사이드 단위이고, Riv는 말단차단제이고, x, y, a, n 및 b는 각각 반복단위의 수이다.
선행 기술분야의 많은 특허를 연구하므로써 알수 있듯이, 상기 계면활성제의 구조적 특징을 변화시키므로써 다양한 성질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향상된 물성을 갖는 경질 폴리우레탄 및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포움을 제조할때 과량의 물 및 특정의 엄밀히 정의된 폴리실록산과 폴리알킬렌 옥사이드의 계면활성제 블럭 공중합체(이때, 중합체의 블럭들도 실리콘 탄소 결합에 의해 함께 결합된다)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한 바와같은 과량의 물이란 포움성 배합물중의 다른 성분의 양에 비해 경질 포움 배합물중에 통상 존재하는 것보다 많은 양의 물이 초기 포움성 배합물에 존재함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유용한 계면활성제는 일반식(CH3)3SiO{SiO(CH3)2}x{SiO(CH3)R}ySi(CH3)3(이때, R은 -(CnH2n)O(CH2CH2O)w{CH2(CH3)CHO}zR' 이다)을 갖는다. 본 발명을 위해, x 값은 27 내지 33이고, y 값은 3 내지 5이다. 이 값을 실질적으로 벗어나는 값을 갖는 계면활성제는 본 발명의 방법에서 잘 작용하지 못한다. 예를들어, x 값이 약 27 보다 적을때, 계면활성제가 사용되는 포움의 유동성은 실질적으로 감소되는 반면, x 값이 33 보다 많으면 높은 유동성 값을 나타내지만 생성된 포움의 구조적 일체성을 감소시킨다. 더욱더,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x 대 y의 비는 5 내지 12:1의 범위내에 있어야 한다. 통상의 경질 포움 배합물 형태로 경질 폴리우레탄 및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포움을 제조할때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특정 상업용 계면활성제와 비교한 본원의 실시예를 연구하므로써 관측할 수 있듯이, 상기 범위를 실질적으로 벗어난 값은 과량의 물을 포움 배합물에 사용할때 원하는 경질 포움을 제공하지 않는다.
w 및 z 값에 관해서, 본 발명의 방법으로부터 상업적으로 사용가능한 경질 포움을 성공적으로 제조하려면 w 값은 6 내지 100 이어야 하고 z 값은 0 내지 1 이어야 한다. 환언하면, 알킬렌 옥사이드 공중합체중 소량의 프로필렌 옥사이드는 허용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알킬렌 옥사이드는 에틸렌 옥사이드이고 w의 바람직한 값은 약 9내지 약 35이고, w의 가장 바람직한 값은 8 내지 20의 범위내이다.
본 발명에서 n 값은 중요하지 않으며 2 내지 약 8로 변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n 값은 3 또는 4이고, 가장 바람직한 n 값은 3이다.
본 발명을 위해, R'는 임의의 라디칼 -(C=O)R 일 수 있고, 이때, R는 C1내지 C6을 갖는 알킬 라디칼로서 메틸, 에틸 또는 부틸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의 가장 중요한 측면은 본원에서 사용되는 발포제이다. 본 발명을 위해, 본 방법에 사용된 물의 양은 초기 화합물중 유기 발포제의 양을 초과해서는 안된다. 본 발명에서, 초기란 말은 사전적 의미이며, 이소시아네이트와 물 및 폴리올의 반응이 개시되기 전에 배합물 형태의 물질의 양을 혼합 용기 내에 넣은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방법의 배합물에는 또한 경질 폴리우레탄 및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포움을 제조하는 분야에서 유용한 것으로 밝혀진 다른 첨가제 및 애쥬번트 중에서, 반응성 디이소시아네이트, 반응성 폴리올, 촉매, 유기 발포제와 같은 통상의 포움 배합물질을 포함시킨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통상적인 반응성 디이소시아네이트, 적어도 하나의 통상적인 반응성 폴리올, 적어도 하나의 통상적인 촉매 및 적어도 하나의 통상적인 유기 발포제와 같은 통상적인 경질 포움 성분을 물 및 본 발명의 신규한 계면활성제와 함께 포함하는 배합물(이때, 계면활성제내 폴리디메틸 실록산 단위 대 메틸 R 실록산 단위의 비는 5 내지 12의 범위내에 있고, 또한 포움 성분의 초기 혼합물중 물의 함량은 유기 발포제의 양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을 혼합한 후 초기 혼합물을 반응 및 경화시켜 경질 폴리우레탄 포움 제조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유해한 클로로플루오로카본외 양을 감소시키면서, 향상된 물성을 갖는 경질 폴리우레탄 및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포움을 수득함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사용된 모든 계면활성제는 알릴록시 또는 비닐록시로 말단차단된 폴리에테르를 촉매로 백금을 사용하여 이 분야에 공지된 표준 관행에 따라 하이드로실릴화시켜 제조했다.
본원의 실시예에 사용된 모든 포움 배합물은 하기의 4개의 배합물중에서 선택했으며, 이때 pphp는 백 폴리올당부이고, 폴리올도 각 배합물 중 유기 폴리에테르 반응물을 의미하고, 예를들어, (A)에서는 보라놀R490 폴리올이다.
폴리올, 촉매(들) 및 물의 마스터 배치는 목적하는 특정 포움 배합물에 따라 초기에 제조한다. 상기 배합물을 마개가 있는 병내에서 제조한후 성분들을 완전히 혼합시키기 위해 1시간동안 볼 밀 상에서 회전시켰다. 그후 상기 마스터 배치의 지정된 양을 8oz.(236.8cc) 용량의 프렌치 각 병(French square bootle)에 가하고 CFC-11의 적당량을 가한다. 상기 병의 마개를 꼭 닫은후 상기 혼합물을 공기식 휘일 장치에 고정시키고 20분 동안 혼합시켜 폴리올 예비 혼합물을 제조한다. 완전히 혼합되면 상기 혼합물이 투명해질 때까지 20의 항온기 중에서 저장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된 포움의 유동성 시험장치(1)의 투시적인 정면도이다. 장치(1)은 본질적으로 반응 및 포움형성된 혼합물을 유지 및 보유하기 위한 금형이다. 제1도의 경우, 하기에 더욱 상세히 정의된 구획(10)과 구획(20) 및 장치를 함께 유지시키는데 사용되는 클램핑 시스템(여기서 클램프(17)는 적절한 위치에 나타나 있다)이 있다.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장치(1)은 제1 L-형 구조물(10)을 형성하기 위해 P 점에서 함께 단단히 연결되어 있는 배면부(2) 및 저부(3)로 이루어져 있다. 정면부(4) 및 상부(5)는 제2 L-형 구조물(20)을 형성하기 위해 P' 점에서 함께 단단히 연결되어 있으며, 구조물(20) 자체에는 상부(6), 정면부(7) 및 측면부(7')가 있다. 선택적으로 장치(1)은 컵 홀더(15)및 딕시컵(16)을 사용할 수 있도록 테이블등의 표면으로부터 장치(1)을 위로 올리기에 충분한 길이를 갖는 다리(8)가 있다. 달리, L-형 구조물(10)이 테이블 또는 기타 편평한 표면상에 위치하고 딕시컵을 보유하고 있는 L-형 구조물의 일부분이 상기 표면 위로 나온 경우에는 다리없이 장치(1)을 사용할 수 있다.
L-형 표면(20)에는 상부(5)의 거의 중심을 통과하고, 경첩이 달린 마개(11)(경첩은 부호(12)로 나타나 있다)가 덮힌 환형 홀(9)이 있다. 상기 마개에는 래치(13)가 있으며, 이는 포움 형성 반응 도중 마개(11)를 장치내 보유하기에 충분히 강해야 한다. 홀(9)은 하기 홀(14)에 위치한 컵 홀더(15)및 딕시컵(6)이 통과하기 에 충분히 크다.
제2 환형 홀(14)은 컵 홀더(15) 및 딕시컵(16)을 포함하는 것으로 제2도에 나타나 있다. 컵 홀더(15)는 그의 상부에서 홀(14)의 직경보다 다소 크고, 컵 홀더(15)가 홀(14)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그의 상부 가장자리에서 컵 홀더(15)를 약간 회전시킨다. 사용시, 구획(10)을 구획(20)에 맞추어 단단히 고정시킨다(제1도에 나타낸 형태). 2개의 구획사이 접촉계면은 P-P 라인으로 나타낸다. 그후, 장치(1)을 시험 온도로 만들기 위해 오븐내에 놓는다.
이어서 항온기로부터 8 oz.(236.8cc) 용량의 프렌치 각병을 꺼낸다. 성분들을 혼합하는데 사용되는 혼합기 가까이에 L-판넬을 놓는다. 각각의 경우, 판넬의 중공내에서 반응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판넬을 140로 고정시킨 오븐내에서 예열한다. 그후, 폴리올 예비 혼합물의 지정된 양을 32 oz.(947.2cc) 딕시컵 내에서 칭량한다. 이어서 적당한 양의 계면활성제를 컵에 첨가하고 이때, 본원 샘플의 경우 1g의 계면활성제는 1pphp와 동일하다. 이어서, 지정된 양의 이소시아네이트를 포장된 250유리 비이커로부터 컵에 가한다. 성분들을 6초 동안 32 oz.(947.22cc) 딕시컵에서 혼합한다. 그후 컵을 신속히 L-판넬 기부의 홀에 삽입하고 컵이 경첩 개구부를 통과하여 컵의 가장자리가 기부의 저부에 있는 금형 내부에 오도록 위치시킨다. 그후 경첩이 달린 마개를 닫아 상승하는 포움을 담고 L-판넬 개구부로 수직으로 밀어넣는다.
상기 포움을 금형에서 15분간 경화시킨다. 그후 금형의 배면부를 꺼내어 포움을 취한다. 그후, 다음 시험을 위해 금형을 오븐내에 다시 놓는다. 포움의 수직 부분의 최대 높이를 측정하고, 이는 포움 덩어리의 유동 특성의 지표이다. 포움을 혼합하고 1 시간후, 7in7in7in(17.8cm17.8cm17.8cm)사각형을 포움의 수직인 변의 중심으로 부터 절단한다. 아나콘 모델(Anacon Model) 88 K-인자 측정 기구를 사용하여 상기 샘플의 K-인자를 측정한다. 또한 상기 샘플의 밀도를 측정하여 결정한다. 상기 시험의 경우, 간단히 L-판넬의 수직인 변을 771½ (17.8cm17.8cm3.8cm) 사각형으로 절단하여 무게를 칭량한다. 실제 길이, 나비, 높이를 측정하고 식(길이나비높이)에 따라 부피를 계산하였다. 이어서, 중량을 부피로 나누어 밀도를 계산해 내고 단위는 1b/ft3으로 나타낸다.
[실시예 1]
4개의 샘플 계면활성제를 전술한 바에 따라 제조하였다. 상기 샘플은 하기와 같다:
샘플 A 및 C는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다. 샘플 B는 20개의 폴리디메틸실록산 단위 만을 가지며 샘플 D는 9개의 폴리디메틸실록산 단위만을 가지므로 샘플 B 및 D는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난다. 샘플 A 및 C 와 샘플 B 및 D를 비교하기 위해 가공 범위를 측정하도록 세가지 다른 양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상기 샘플들을 시험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으며, 하기 표로 샘플 A및 C가 본 발명에 따라 유효한 결과를 얻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경질 폴리우레탄 및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포움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몇몇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계면활성제들을 제조하여 전술한 과잉 수 포움 배합물에 사용한다. 본 실시예는 수득한 포움에 대한 폴리에테르의 영향을 나타내기 위해 폴리에테르의 일반식을 변화시키면서 계면활성제로는 표준 실록산 중합체를 사용한다. 본 실시예에서 계면활성제는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는 않지만 본 실시예는 통상의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계면활성제가 본 발명에서는 유용하지 않음을 예시한 것이며 또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의 폴리에테르 일반식만을 배합시킬 수 없고 본 발명의 방법에서 상기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잇점을 얻을 수 없음을 예시한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한 실록산 중합체는 (CH)SiO{(CH)SiO}(CHRSiO)Si(CH)(여기서, 9 및 4는 평균치이다)이다.
포움 시험시, 상기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난 결과를 수득하였다. 상기 결과는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경질 폴리우레탄 계면활성제의 폴리에테르 부분에 단지 필적할 수 없고 과잉 수 포움 배합물에서 목적하는 결과를 얻을 수 없음을 명확히 나타내고 있다.
상기 물질들중 어느 것도 중요한 특성 모두를 가진 계면활성제를 얻지 못했다. 예를들어, 유동 특성을 시험할때, 계면활성제 F는 가장 높은 유동값을 얻지만 K-인자는 희생된다. 유동 특성 시험시 계면활성제 E는 양호한 K-인자를 얻지만 한계 유동값만을 갖는다.
[실시예 3]
경질 폴리우레탄 및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포움 제조방법에 사용하는 몇몇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계면활성제들을 제조하여 전술한 과잉 수 포움 배합물에 사용하였다. 본 실시예는 수득한 포움에 대한 영향을 나타내기 위해 분자량의 변화와 함께 폴리디메틸실록산 단위 대 폴리메틸 R 단위의 비에 대해 폴리실록산의 일반식을 변화시키면서 계면활성제로는 표준 폴리에테르 중합체를 사용한다. 본 실시예에 나타낸 계면활성제중 어느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벗어나지는 않지만 본 실시예는 통상의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계면활성제가 본 발명에 유용하지 않음을 예시하고 또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의 폴리실록산 일반식을 배합할 수 없고 본 발명의 방법에서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잇점을 얻을 수 없음을 예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폴리에테르 중합체 R은 -(CH)O(CHCHO)(C=O)CH이다. 실록산은 표 3에 설명되어 있다. 실시예 O, R 및 U는 시험 방법에서 계면활성제의 특성의 반복성을 통계학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동일한 실록산 일반식을 복사한 것이다.
포움 시험시, 상기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하기 표 5에 나타난 결과를 수득하였다. 상기 결과는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경질 폴리우레탄 계면활성제의 폴리실록산 부분에 단지 필적할 수 없고 과잉 수 포움 배합물에서 목적하는 결과를 얻을 수 없음을 명확히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4]
몇몇 부가적인 계면활성제를 제조하여 폴리에테르 부분에서 무시될 수 있는 말단 캡화 형태를 평가하였다. 계면활성제는 하기 일반식을 갖는 표준 폴리실록산을 사용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폴리에테르 부분을 변화시켰으며 이들은 표 5에 나타낸 일반식을 갖는다. 폴리에테르 상의 캡화 그룹을 특히 주지해야 한다.
포움 시험시, 상기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하기 표 6에 나타난 결과를 수득하였다. 상기 결과는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경질 폴리우레탄 계면활성제의 말단캡화 부분에 단지 필적할 수 없고 과잉 수 포움 배합물에서 목적하는 결과를 얻을 수 없음을 명확히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5]
상기 표 1로 부터 본 발명의 청구범위 이내에서 제조한 계면활성제, 즉 포움 배합물 단락의 상기 설명한 세가지 포움 배합물중 계면활성제 A에 대해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계면활성제 E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냈다.

Claims (1)

  1. (I) (i) 적어도 하나의 반응성 디이소시아네이트; (ii) 적어도 하나의 반응성 폴리올; (iii) 적어도 하나의 촉매; (iv) 유기 발포제; (v) 물; 및 (vi) 일반식(CH3)3SiO{SiO(CH3)2}x{SiO(CH3)R}ySi(CH3)3을 갖는 폴리우레탄 포움 첨가제 [여기에서, R은 -(CnH2n)O(CH2CH2O)w{CH2(CH3)CHO}zR'이고, R'는 -(C=O)R, 수소, C1내지 C6알킬 라디칼 및 -R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되고, R는 C1내지 C6알킬 라디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되고, n은 3 내지 6의 값을 갖고, x는 27 내지 33의 값을 갖고, y는 3 내지 5의 값을 갖고, z는 0 또는 1 의 값을 가지며, w는 6 내지 100의 값을 갖고, x 대 y의 비는 5 내지 12:1 의 범위내에 있다]를 포함하는 배합물을 혼합하는 단계(이때, 유기 발포제(iv)의 양은 초기 혼합물중의 물(v)의 양을 초과하지 않는다); 및 (II) 상기 초기 혼합물을 반응 및 경화시켜 향상된 시스템 유동성 및 K-인자 값을 갖는 경질 폴리우레탄 및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포움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질 폴리우레탄 및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포움을 제조하는 방법.
KR1019930007992A 1992-05-11 1993-05-10 향상된 잇점을 갖는 경질 폴리우레탄 및 폴리이소이사누레이트 포움의 제조방법 KR1002123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880,879 US5169872A (en) 1992-05-11 1992-05-11 Process for preparing rigid polyurethane and polyisocyanurate foams having enhanced benefits
US880,879 1997-06-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12342B1 true KR100212342B1 (ko) 1999-08-02

Family

ID=25377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7992A KR100212342B1 (ko) 1992-05-11 1993-05-10 향상된 잇점을 갖는 경질 폴리우레탄 및 폴리이소이사누레이트 포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169872A (ko)
EP (1) EP0570174B1 (ko)
JP (1) JPH0649163A (ko)
KR (1) KR100212342B1 (ko)
AU (1) AU659729B2 (ko)
DE (1) DE69301497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7952A (ko) * 2010-12-16 2012-06-26 에보니크 골트슈미트 게엠베하 경질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용 실리콘 안정화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90855A (en) * 1994-01-11 1997-11-25 Sealed Air Corporation Polyol blend, cellular polyurethane foam product made therefrom, and halogenated hydrocarbon-free process therefor
US6121336A (en) * 1994-06-28 2000-09-19 Basf Corporation Surfactants for incorporating silica aerogel in polyurethane foams
US5883142A (en) * 1997-05-08 1999-03-16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Silicone surfactants for rigid polyurethane foam made with third generation blowing agents
DE19805879A1 (de) * 1998-02-13 1999-08-19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Hartschaumstoffen auf Isocyanatbasis
US20040176494A1 (en) * 2003-03-05 2004-09-09 Feske Elbert F. Preparation of flame retarded polyisocyanurate foams
DE102008000266A1 (de) 2008-02-11 2009-08-13 Evonik Goldschmidt Gmbh Die Erfindung betrifft die Verwendung von Schaumstabilisatoren, die auf Basis nachwachsender Rohstoffe hergestellt werden, zur Herstellung von Polyurethanschäumen
DE102008043343A1 (de) 2008-10-31 2010-05-06 Evonik Goldschmidt Gmbh Silikonpolyetherblock-Copolymere mit definierter Polydispersität im Polyoxyalkylenteil und deren Verwendung als Stabilisatoren zur Herstellung von Polyurethanschäumen
DE102009029363A1 (de) 2009-09-11 2011-03-24 Evonik Goldschmidt Gmbh Lecithin enthaltende Zusammensetzung geeignet zur Herstellung von Polyurethanhartschäumen
DE102010063241A1 (de) 2010-12-16 2012-06-21 Evonik Goldschmidt Gmbh Siliconstabilisatoren für Polyurethan- oder Polyisocyanurat-Hartschaumstoffe
DE102011003150A1 (de) 2011-01-26 2012-07-26 Evonik Goldschmidt Gmbh Silikonpolyetherblock-Copolymere mit hochmolekularen Polyetherresten und deren Verwendung als Stabilisatoren zur Herstellung von Polyurethanschäumen
CN105873994B (zh) 2013-12-30 2019-08-16 赢创德固赛有限公司 适用于制备硬质聚氨酯或聚异氰脲酸酯泡沫的组合物
KR102383870B1 (ko) 2016-06-23 2022-04-11 에보니크 오퍼레이션즈 게엠베하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경질 발포체를 제조하는데 적합한 조성물
US20210395432A1 (en) * 2018-12-14 2021-12-23 Dow Global Technologies Llc Rigid polyisocyanurate and polyurethane foams and methods for preparing the same
ES2898877T3 (es) 2019-01-07 2022-03-09 Evonik Operations Gmbh Producción de espuma dura de poliuretano
BR112021013162A2 (pt) 2019-01-07 2021-09-28 Evonik Operations Gmbh Composição para produção de espuma de poliuretano rígida, processo de produção, espuma de poliuretano rígida e usos
EP3919539A1 (de) 2020-06-04 2021-12-08 Evonik Operations GmbH Herstellung von polyurethanschaum
US20220056231A1 (en) 2020-08-20 2022-02-24 Evonik Operations Gmbh Production of polyurethane foam
CN112375195B (zh) * 2020-11-13 2022-07-08 南京红宝丽新材料有限公司 用于与异氰酸酯反应的组合物、硬质聚氨酯板材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63468A (en) * 1966-05-02 1972-05-16 Dow Corning Method of making rigid polyurethane foams
US4751251A (en) * 1987-05-19 1988-06-14 Dow Corning Corporation Surfactant composition for rigid urethane and isocyanurate foams
US4857583A (en) * 1987-07-02 1989-08-15 Union Carbide Corporatio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organopolysiloxane surfactants
US4847398A (en) * 1987-09-09 1989-07-11 Union Carbide Corporatio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siloxane-oxyalkylene copolymers
US4950694A (en) * 1989-06-29 1990-08-21 Union Carbide Chemicals And Plastics Company Inc. Preparation of polyurethane foams without using inert blowing agents
EP0615526A4 (en) * 1991-03-25 1994-11-17 Material Tech & Science FOAM FOAMED WITH WAT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7952A (ko) * 2010-12-16 2012-06-26 에보니크 골트슈미트 게엠베하 경질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용 실리콘 안정화제
KR101884023B1 (ko) * 2010-12-16 2018-07-31 에보니크 데구사 게엠베하 경질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발포체용 실리콘 안정화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70174B1 (en) 1996-02-07
DE69301497D1 (de) 1996-03-21
US5169872A (en) 1992-12-08
AU659729B2 (en) 1995-05-25
JPH0649163A (ja) 1994-02-22
EP0570174A1 (en) 1993-11-18
DE69301497T2 (de) 1996-09-12
AU3845193A (en) 1993-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2342B1 (ko) 향상된 잇점을 갖는 경질 폴리우레탄 및 폴리이소이사누레이트 포움의 제조방법
EP0493836B1 (en) Surfactants for manufacture of urethane foams
Zhang et al. Role of silicone surfactant in flexible polyurethane foam
JP3052282B2 (ja) ウレタンフォームを製造するためのポリエーテルシリコーン界面活性剤
CA2162948C (en) High viscosity surfactants for the manufacture of polyurethane foams
EP0780414B1 (en) A method for preparing flexible polyurethane foams
US5726211A (en) Process for making a foamed elastometric polymer
EP0253834B1 (en) Flexible polyurethane foams prepared from poly(ethylene carbonate) polyols
US20070049717A1 (en) PROCESS FOR PREPARATION OF SiOC-LINKED, LINEAR POLYDIMETHYLSILOXANE-POLYOXYALKYLENE BLOCK COPOLYMERS
US3920587A (en) Open-cell rigid polyether polyurethane foam
JPH05247163A (ja) ヒドロクロロフルオロカーボン類を用いて発泡させた硬質ポリウレタンフオームを製造するためのキヤツプされた界面活性剤の使用
BRPI0418824B1 (pt) Processo para a preparação de uma espuma de poliuretano, espuma de poliuretano e artigo
EP0183367A2 (en) Silicone foam, water-based, aerosol composition
JPH06206970A (ja) Rim成形エネルギー吸収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KR930007307B1 (ko) 고탄성 우레탄 발포체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2급 또는 3급 하이드록시 말단화된 폴리에테르 실리콘 공중합체
JPS60245623A (ja) 低通気性を有する軟質ポリエ−テルウレタンフオ−ムの製造方法
CA1189247A (en) Reducing the flammability of flexible polyurethane foams
JPS61120837A (ja) 独立気泡フエノール樹脂フオームの製造方法
JPH0137962B2 (ko)
CN110283325A (zh) 一种用于制备聚氨酯硬质泡沫的有机硅表面活性剂的制备方法
Harikrishnan et al. Effect of monomer temperature on foaming and properties of flexible polyurethane foams
JP2001526728A (ja) 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JP3319833B2 (ja) 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US6235804B1 (en) Silicone surfactants for making polyurethane flexible molded foams
JP3955119B2 (ja) 低密度高弾性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