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1935B1 - 물건말리는 기구 - Google Patents

물건말리는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1935B1
KR100211935B1 KR1019970010202A KR19970010202A KR100211935B1 KR 100211935 B1 KR100211935 B1 KR 100211935B1 KR 1019970010202 A KR1019970010202 A KR 1019970010202A KR 19970010202 A KR19970010202 A KR 19970010202A KR 100211935 B1 KR100211935 B1 KR 100211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base
laundry
pivoting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0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2403A (ko
Inventor
야수히로 오오수기
Original Assignee
야수히로 오오수기
가부시키가이샤 엔케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수히로 오오수기, 가부시키가이샤 엔케이지 filed Critical 야수히로 오오수기
Publication of KR980002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2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1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1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12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기체(1)의 주위에 방사현상으로 펼쳐진 복수의 건조대(2) 각각에 세탁물을 집어서 고정하도록 구비된 고정구(4)가 개기 위한 각 건조대(2), (2)의 펼쳐지는 방향으로 역방향 회전이동에 따른 구속기구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한 구속을 해제하도록 구성하고 있고, 이로 의해 고정구(4)(5)의 고정조작과 풀림조작을 용이화하여 각 건조대에 걸린 세탁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물걸말리는 기구.

Description

물건말리는 기구
본 발명은, 세탁이 끝난 의류 등의 세탁물을 한정된 공간 내에 말리도록 사용되는 물건말리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
세탁이 끝난 의류, 특히 기저귀, 내복류, 타올 등의 소물류를 대상으로 하여, 이들을 한정된 공간 내에 일관해서 말리는 것을 목적으로 한 물건말리는 기구가, 종래부터 여러 가지 제안되고 있다. 이 종류의 물건을 말리는 기구 중, 널리 보급되고 있는 것 중의 하나로 일면의 대략 중앙에 매다는 기구를 가지는 기체의 주연부에 그 기체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형상으로 펼쳐지는 형태의 복수 건조대를 부착하여 이루어진 물건말리는 기구가 있다.
이 물건말리는 기구는 물건말리는 대막대기 등의 세탁물에 상기한 매다는 기구에 의하여 상기한 일면이 위로 하여 걸고, 각 건조대의 각각에 세탁이 끝난 의류 등의 세탁물을 걸어서 사용된다. 이 사용상태에 있어서, 각 건조대에 걸린 세탁물은 기체를 중심으로 하고, 각 건조대의 길이를 반경으로 하는 원형 공간내에 수용될 뿐 아니라, 이들 상호간에 적절한 간격이 확보되어서 각각의 사이로 바람의 유동이 저해됨이 없이, 건조효율의 약화를 가져오는 우려가 없는 등 많은 이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 종류의 물건말리는 기구에 있어서, 각 건조대의 끝부를 기체에 피보팅(pivoting)하고, 비사용시에는 각 건조대의 축둘에에 회전 이동시켜서 각각의 선단측을 기체의 중심에 접어 개고 수납을 용이하게 한 구성, 또는 각각의 건조대 선단부에 이것과 일체로 된 고정구를 구비하고, 각 건조대에 걸린 세탁물을 각각의 고정구의 사이에 집어서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 중 바람의 작용에 의한 세탁물의 이동, 탈락을 방지하는 구성등, 사용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연구가 이루어진 것이 있고, 실용화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물건말리는 기구에 있어서 각 건조대에 걸린 세탁물을 사용중의 이동, 탈락을 방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각각의 건조대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비된 고정구, 또는 선택집개 등의 별개로 준비한 고정구에 의하여 집어서 고정되어 있고, 건조종료 후 세탁물의 수거에 있어서, 복수의 건조대 각각에 대하여, 상기한 고정구의 고정조작과 풀림조작이 필요하게 되어 수거하는 작업에 번거로움이 수반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기체 주위에 방사형상으로 펼쳐지는 복수의 건조대 위로 고정구의 고정조작과 풀림조작을 용이화하며 세탁물 수거작업의 번잡을 해소할 수 있는 물건말리는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물건말리는 기구는, 일면의 중앙에 그 일면을 위로하여 세탁물에 걸어 두기 위한 매다는 기구를 가지는 기체와, 기체의 주연부에 각각의 끝부분을 피보팅하고, 각각 피보팅의 회전이동에 의하여 선단이 방사형상으로 펼쳐지고 각각 세탁물을 걸어야 할 복수의 건조대와, 각 건조대의 선단부에 배치되어, 상기한 건조대를 상기한 건조대의 사이에서 집어서 고정하는 고정구와 상기한 건조대의 펼쳐지는 방향의 회전이동에 따라서 해제하는 구속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복수의 건조대가 펼쳐진 사용상태에 있어서, 세탁물을 집어서 고정하도록 각각의 건조대에 구비된 구정구를 개기 위한 각 건조대의 펼쳐지는 방향과 역방향의 회전이동에 따른 구속기구의 동작에 대하여 상기한, 구속을 해제하게 되어 수거 작업에 있어서 건조대 각각을 개는 조작을 하는 것에 의하여, 각 건조대에 걸려진 세탁물을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물건말리는 기구는, 상기한 기체 주연부의 건조대의 피보팅부 보다도 아래 위치에 각각의 끝을 피보팅하여, 선단측을 개별 건조대의 선단부에 형성된 안내부에 삽입 관통 지지시키고 있고, U자형의 각 개별 고정구 일단을 각각의 선단에 피보팅하는 보조건조대를 구비하고, 상기한 보조건조대는 상기한 건조대의 회전이동에 따라서, 상기한 건조대와 동일면 내에서 회전 이동하면서, 전진후퇴 동작하고, 펼쳐지는 방향의 회전 이동시에는 상기한 고정구를 상기한 내부에 밀어넣고, 그 고정구의 타단을 건조대의 선단부 상면에 타접시켜서 구속하는 한편, 역방향 회전 이동시에는 상기한 고정구를 상기한 안내부에서 밀어내서, 상기한 구속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그 끝을 기체의 주연부에 피보팅하고, 선단측을 각 건조대 선단에 설치한 안내부에 삽입 관통 지지시키고 있고, 그 선단에 U자형 고정구의 일단을 피보팅하여 이루어진 보조건조대에 의하여 상기한 구속기구를 간소하게 구성한다.
상기한 보조건조대는 각 개별 건조대의 회전이동에 따라서 회전이동하고, 펼쳐지는 방향의 회전이동에 대해서 상기한 안내부에 인입되고 또 역방향 회전이동에 대해서는 안내부에서 멀어진다. 그리고, 각 보조건조대의 선단에 부착된 U자형 고정구는 상기한 인입에 의하여 일측을 안내부에 인입하면서 회전이동하고, 다른쪽 변을 각 개별 건조대의 상면에 탄접시킨 상태로 구속되고 각 건조대에 걸려 있는 세탁물은 그 건조대와 고정구 사이에 집어 넣음에 의하여 집어서 고정된다.
이 고정구는 안내부에 따른 보조건조대의 압출에 의하여 건조대에서 벗겨지고 그 보조건조대의 선단에서 자유롭게 회전 이동할 수 있는 상태로 되어 각 건조대에 걸린 세탁물의 제거를 저해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물건말리는 기구는 덧붙여서, 상기한 건조대의 일부 또는 전부를 일괄해서 펼침과 아울러 펼친상태에서 구속하는 조작기구를 상기한 기체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있어서 기체에 구비된 조작기구의 조작에 의하여 건조대의 일부 또는 전부를 일괄해서 펼치고, 또 펼쳐진 상태에서 구속할 수 있고, 각 건조대의 펼친조작을 개별로 행함이 없이 용이한 사용상태가 얻어진다. 또, 한편 건조대의 일부 또는 전부를 펼친방향과 역방향, 즉, 개는 방향으로 회전 이동시켯 각각의 고정구 집어서 고정을 해제하여 복수의 건조대에 걸린 세탁물의 수거를 일괄해서 실시할 수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건조대의 선단에 상기한 덮개부를 설치하는 것을 더불어서 실시하는 것에 의하여 복수 건조대에 걸려 있는 세탁물을 개는 조작과 함께 낙하시켜서, 일괄해서 수거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관한 물건말리는 기구는, 상기한 건조는 각각의 피보팅 위치에서 기체의 내측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한 조작기구는 상기한 기체의 상부를 관통하여 내측으로 연장된 압인봉(壓引棒)과, 그 압인봉 내측으로 연장단에 설치되고, 상기한 기체의 내측에 늘어서는 각 건조대의 연장부에 접촉시킨 압력부재를 구비하고, 상기한 압인봉의 압입조작에 의하여 상기한 압력부재를 사이에 끼워 상기한 연장부를 하향으로 압입하며, 상기한 건조대의 각각을 상향으로 펼치고, 또 소정의 펼친 위치에서 상기한 압력부재가 각 연장부의 선단부 사이에 끼워 넣고, 각각의 선단과 상기한 압력부재 사이에 마찰에 의하여 상기한 구속을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있어서 기체의 상부를 관통하여 내측에 연장된 압인봉 연장단에 압력부재를 설치하고, 이것을 각 별개의 피보팅 위치 반대측에 연장되어 기체의 내측에 둘레방향으로 늘어선 건조대 연장부에 접촉시킨 구성에 의하여 조작기구를 간소하게 구성한다.
건조대의 확개조작도는, 압인봉의 압인에 의하여 각 건조대의 연장부를 압력부재를 사이에 끼워 하향으로 밀어 넣어서 행하고, 이 압입(밀어넣음)이 소정 위치에 이를 때에, 압력부재가 연장부 선단간에 들어가고, 이들 선단이 압력부재의 주면에 눌려진 상태로 되어, 펼친 방향과 역방향의 회전이동이 구속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관한 물건말리는 기구는, 덧붙여서 상기한 기체 주연에 부착되어 펼쳐진 건조대에 그 상면에서 탄접하는 제2고정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있어서 펼친상태에 있어서 각 건조대에 탄접하는 제2고정구를 각 건조대 끝측에 배치하고, 끝측 및 선단측의 쌍방에 있어서 세탁물의 집어서 고정을 가능케 하고, 사용시에 있어서 세탁물의 탈락을 유효하게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물건말리는 기구는 상기한 보조건조대의 진퇴동작범위의 대략 전역에 걸쳐서 상기한 고정구의 피보팅부 근방을 양측에서 덮는 덮개부를 상기한 건조대 선단부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있어서 건조대의 회전이동에 따른 상기한 고정구의 회전이동이 피보팅부 근방이 상기한 건조대 선단의 덮개부에 의하여 양측에서 덮여진 상태가 생기고 건조대에 따라서 세탁물을 떼어 낼 때에, 상기한 고정구에 걸릴 우려가 없고, 건조대가 접혀질 때에, 각 건조대에 걸린 세탁물이 각각의 건조대에 따라서 자연 낙하하며, 제거를 위한 특별한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에 관한 물건말리는 기구는 덧붙여서 상기한 건조대의 연장부가 상기한 피보팅을 중심으로 하는 그 회전 이동면에 있어서 원호형상을 이루고 또 상기한 압력부재의 대응면과 점접촉 상태로 접촉하는 접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 상기한 타단과 상기한 압력부재의 접촉위치가, 상기한 건조대의 피보팅보다도 하방이고, 상기한 피보팅위치와 접촉위치와의 수준차(level difference)(X)가 상기한 피보팅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한 접촉부의 회전반경(R)에 대하여 0.55 X 0.85R인 범위로 설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의 발명에 있어서는 건조대 연장부에 압력부재의 접촉단이 건조대의 회전이동면 내에 있어서 원호형상을 이루고, 압력부재와 점접촉상태에 있으므로 양자의 접촉은 건조대에 세탁물의 하중과 역방향, 즉, 상향의 힘을 보태는 것에 의해 해제된다. 이 해제는, 예컨데 건조대를 지지하는 기체에 대하여 하방으로의 강하력을 가한 후에 정지시킨다. 또는 상향으로 되돌리는 조작보다 구체적으로 건조대 각각에 세탁물이 매달린 상태에 있어서 기체의 상부에 설치된 매다는 기구를 파지하여 물건말리는 기구 전체를 지지하여 이 상태에서 하향으로 적당한 힘을 가하는 용이한 조작에 의해 실현된다.
이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 강하 후의 급정지 또는 끌어당김에 의하여 각 건조대의 세탁물에 상향의 관성력이 작용하여 각 건조대가 각각의 연장부를 강하시키는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여, 연장부의 접촉단이 점접촉상태에 있는 압력부재에서 떨어진다. 이때 압력부재에 동일한 관성력이 작용하고 있고, 그 압력부재는 상기한 접촉단이 분리와 함께 상방으로 이동하고 그 후 건조대의 연장부가 원래의 위치에 복귀한 때 압력부재는 접촉하지 않고 구속이 해제되어서 각 건조대는 다시 회전이동해서 일괄하여 개진다. 즉, 상기한 조작을 행하는 것에 의하여 모든 건조대의 갬과, 이에 따르는 세탁물의 낙하가 생겨 건조대 선단에 상기한 덮개부를 설치하는 것과 더불어서 실시하는 것에 의하여 복수의 건조대에 각각 걸어진 건조물을 한 번에 거둘수 있다.
세탁부(건조물)의 하중에 대항해서 건조대의 구속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함에는, 상기한 하중에 의한 건조대 연장부의 상향 회전이동을 구속하기 때문에, 상기한 연장부와 압력부재의 접촉위치가 건조대의 피보팅보다도 하방으로 수준차가 있을 필요가 있고, 또한 상기한 조작에 의한 구속의 해제를 확실하게 행함에는 연장부의 회전반경(R)에 대하여 적정한 수준차(X)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수준차(X)를 크게 할 경우, 건조대의 개기 위한 상기한 조작에 요하는 힘이 경감되는 반면, 사용시에 있어서 약간의 외력(풍력등)의 작용에 의해서 건조대의 구속이 해제되어서 세탁물(건조물)이 낙하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한 회전반경(R)에 대한 상기한 수준차(X)의 비율로 0.55∼0.85인 범위로 설정하고, 건조대의 개는 조작의 용이도를 확보하면서, 사용할 때에 잘못해서 구속이 해제되는 일이 없도록 한다.
그리고 본발명에 관한 물건말리는 기구는 상기한 매다는 기구는 기체에 부착된 고정파지부재와 그 고정파지부재에 분리 피보팅된 가동파지부재와 그 가동파지부재의 일축을 상기한 고정파지부재의 선단부에 누르는 부세기구를 구비하고, 그 부세기구의 부세에 항거해서 개방된 양 파지부재간에서 세탁물이 파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물건말리는 기구는 상기한 개방을 위해 파지되는 상기한 가동파지부재의 타단에 세탁물이 매달아 거는 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의 발명에 있어서는, 물건말리는 대막대 등의 봉형상의 매다는 대상물에 대해서는 고정파지부재와 가동파지부재 사이의 파지에 의하여 확실하게 걸어서 지지시킬 수 있다. 한편, 상인방(lintel) 등 상기한 파지가 불가능한 세탁물에 대해서도 가동파지부재의 타단을 설치한 매달아 거는 부의 걸기에 의하여 걸어서 지지시킬 수 있고, 세탁물을 고르지 않고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관한 물건말리는 기구에 있어서는 상기한 건조대는 상기한 고정파지부의 기부를 축둘레에서 회전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지지구를 사이에 끼워 상기한 기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정파지부재를 축둘레로 회전시킬 수 있고, 가동파지부재 사이의 파지부, 또는 가동파지부에 설치한 매달아 거는 부를 세탁물의 위치에 맞추어서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고, 또, 하중의 작용에 의하여 손상하기 쉬운(매다는 기구)의 대체가 용이하게 행하여 진다.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물건말리는 기구의 전체구성을 표시하는 종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관한 물건말리는 기구의 일부를 파단하여 표시하는 평면도.
제3도는 위 본체의 내부구조를 표시하는 평면도.
제4도는 위 본체의 축심부 근방의 상면도.
제5도는 매다는 기구의 구성을 표시하는 측면도.
제6도는 매다는 기구의 부착형태의 설명도.
제7도는 건조대와 보조건조대와의 연계동작의 설명을 위한 양자의 기부 근방의 확대도.
제8도는 건조대와 보조건조대와의 연계동작의 설명을 위한 양자의 기부 근방의 확대도.
제9도는 건조대와 보조건조대와의 연계동작의 설명을 위한 양자의 기부 근방의 확대도.
제10도는 펼쳐진 상태에서 건조대의 구속유지동작의 설명도.
제11도는 건조대의 구속해제동작의 설명도.
제12(a)도,제12(b)도는 연장부의 접촉단 평탄면에 설치한 구성에 있어서 동작설명도.
제13(a)도,제13(b)도,제13(c)도는 건조대와 보조건조대와의 연계동작의 설명을 위한 양자의 선단부 확대부.
제14(a)도,제14(b)도,제14(c)도는 제1의 고정구로 건조물의 걸림을 방지히기 위해 개량된 선단부를 표시하는 동작설명을 위한 확대도.
제15도는 개량된 선단부 근방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을 그 실시의 형태를 표시하는 도면을 따라서 상기한다. 제1도는 본발명에 관한 물건말리는 기구의 전체구성을 표시하는 종단면도, 제2도는 본발명에 관한 물건말리는 기구의 일부를 파단해서 표시하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물건말리는 기구는 일면의 중앙에 매다는 기구(10)를 가지는 기체(1), 그 기체(1)의 주위에 방사형상으로 펼쳐진 복수개의 건조대(2), (2) 각 건조대(2), (2)에 부설된 보조건조대(3), (3), 각 보조건조대(3), (3)의 선단부에 부착된 제1고정구(4), (4) 및 기체(1)의 주연부에 상기한 건조대(2), (2) 각각에 대응시켜서 부착된 제2고정구(5),(5) 등을 구비해서 이루어지고, 이들의 각 부품 및 후술하는 각 부품은 폴리프로필렌 등의 고강도 수지를 사용한 수지성형품이다.
기체(1)는 모두 건조대형을 이루는 상본체(1a)와 하본체(1b)를 각각의 개구측을 맞추어서 포개고, 둘레방향의 여러 곳을 멈춤나사(1c)에 의하여 고정해서, 분리 불능하게 일체화되어 있다. 제2도의 상반부에는 상본체(1a)의 상면이 또, 하반부에 하본체(1b)의 내부가 각각 표시되어 있고, 상기한 멈춤나사(1c)는 상반부에 1개 도시되고 하반부에는 멈춤나사(1c)의 나사결합을 위한 2개의 나사구멍(1d), (1d)이 도시되어 있다.
제3도는, 상본체(1a) 내부구조를 표시하는 평면도이다. 본 도 및 제2도의 하반부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본체(1a) 및 하본체(1b)의 내측에는 각각의 강도를 늘림과 아울러, 건조대(2), (2) 및 보조건조대(3),(3)의 기부를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리브가 중심부에서 방사형상을 이루어서 형성되어 있다. 또, 상본체(1a) 및 하본체(1b)의 내측 중심부에는 동일한 지름의 원형단면을 가지는 맞춤면(1e), (1f)이 일체 형성되어 있다. 이들은 제1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개구측에 있어서, 반부를 잘라서 이루어지는 단이 붙은 단면을 가지고 있고, 상본체(1a)와 하본체(1b)는 상기한 일체화에 있어서 맞춤면(1e),(1f)의 단이 붙은 면을 맞추는 것에 의하여 둘레방향에 위치 결정하도록 되어 있다.
제4도는 상본체(1a) 축심축 근방의 상면도이다. 본도 및 제3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상본체(1a)의 상면에 있어서 맞춤면(1e)의 개구부에는 반경방향으로 대략 대향하는 위치에 상면과 동일면을 이루어서 대략 4분원의 범위에 걸쳐서 내향으로 돌출하는 1쌍의 걸어맞춤돌기(1g), (1g)가 형성되고, 또 상면으로부터 약간 내측으로 밀린 위치에 걸어맞춤돌기(1g)(1g)와 겹치지 않는 범위로 동일하게 돌출하는 1쌍의 걸어맞춤돌기(1h)(1h)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걸어맞춤돌기(1g),(1g) 및 걸어맞춤돌기(1h),(1h)는 상본체(1a) 상면 중앙부에 매다는 기구(10)의 부착에 이용되고 있다. 제5도는 매다는 기구(10)의 구성을 표시하는 측면도, 제6도는 매다는 기구(10)의 부착 형태의 설명도이다. 매다는 기구(10)는 고정파지부재(10a)와 가동파지부재(10b)를 각각의 중간부에 피보팅핀(10c)에 의하여 연결하여 구성되어 있다. 고정파지부재(10a)와 가동파지부재(10b)는 피보팅핀(10c)에 의한 추진위체의 일측에 대략 원호형상으로 만곡한 만곡부를 갖추고, 피보팅핀(10c)의 피보팅 위치에 감겨서 장착된 스프링(10d)의 용수철의 힘에 의하여 각각의 만곡부의 선단을 합치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제5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맞추어져 있다. 고정파지부재(10a) 및 가동파지부재(10b)의 타단은 감김스프링(10d)의 용수철 힘에 의하여 한쪽 손에 의한 일괄 파지가 가능한 정도로 분리시켜서 파지부(10e),(10f)를 구성하고 있고, 이들을 파지하여 상기한 감김스프링(10d)의 용수철 힘에 항거해서 압력을 가해서 상기한 만곡부의 선단을 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가동파지부재(10b)측의 파지부(10f)는 고정파지부재(10a)의 파지부(10e)에 대하여 직각에 가까운 각도를 이루고 연장되어 있고, 이 연장단은 다시 하향으로 굴곡시켜지고, 선단에 고무제의 미끄럼방지구(10g)가 부착된 매달아 거는 부를 구성하고 있다. 한편 구정파지부재(10a)의 파지부(10e) 연장단에는 선단이 확장된 환봉형상의 빠짐방지간(10h)이 설치되어 있고, 그 빠짐방지간(10h)은 통형의 지지구(11)에 축 둘레에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지지구(11)는 한쪽 축심부에 내향으로 설치된 형태로 상기한 빠짐방지간(10h)의 받아들임을 위한 유지통(11a)을 가지고 있다. 이 유지통(11a)은 주면에 복수의 홈을 갖추고, 선단측으로 향해서 약간 축경된 통체이고 외측에서의 빠짐방지간(10h)의 밀어넣음을 선단의 확경부에 의하여 눌러서 선단측을 펼치는 것에 의하여 허용하고, 상기한 확경부를 통한 단계에서 축경하여 제5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빠짐방지간(10h)이 빠지지 않게 유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부착에 의하여 매다는 기구(10)와 지지구(11)의 축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일체화되게 된다. 또 지지구(11)는 타측의 외면에 상본체(1a)의 축심에 형성된 걸어맞춤돌기(1g),(1g) 및 (1h),(1h)와 마찬가지로 단면과 동일면을 이루는 형태로 약4분원의 범위에 걸쳐서 돌출하는 1쌍의 걸어맞춤돌기(11g),(11g)를 구비하고, 또 이들로부터 소정길이 떨어져서 둘레방향으로 겹치지 않는 위치에 동일하게 외향으로 돌출하는 걸어맞춤돌기(11h),(11h)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의 형태는 제6도에 상본체(1a)의 부착구멍에 있어서 걸어맞춤돌기(1g),(1g) 및 걸어맞춤돌기(1h),(1h)와 함께 표시하고 있고, 제5도에는 걸어맞춤돌기(11h),(11h)를 실선에 의하여 표시하고, 양측의 걸어맞춤돌기(11g),(11g)를 2점쇄선에 의하여 표시하고 있다.
그리하여 지지부(11)와 일체화된 매다는 기구(10)는 상본체(1a)측의 부착구멍에 대하여 제6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걸어맞춤돌기(11g),(11g)의 형성위치를 걸어맞춤돌기(1h),(1h)의 형성위치에 맞추어서 위치결정하고, 이 상태에서 지지구(11)의 기부를 상기한 부착구멍에 삽입한 후 걸어맞춤돌기(1h),(1h)의 상면을 따라서 지지구(11)를 약90°회전시켜 부착구멍의 걸어맞춤돌기(1g),(1g)를 아래로 밀어 넣고, 걸어맞춤돌기(11g)와 걸어맞춤돌기(11h)의 사이에 집어 넣어서 고정된다. 상기한 걸어맞춤돌기(11h),(11h)의 상면에는 그 대략 중앙에 그 상면과 지지구(11)의 외주면에 대략 직각을 이루어서 손걸기돌기(11b),(11b)가 형성되어 있고, 부착구멍에 삽입 후 지지구(11)의 회전조작은 손걸기돌기(11b),(11b)에 힘을 가해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부착에 의하여 매다는 기구(10)는 기체(1)의 상본체(1a)의 축심부에 제1도에 표시하듯이 설치된 상태로 되고, 본 발명에 관한 물건말리는 기구는 파지부(10e),(10f) 고정파지부재(10a) 및 가동파지부재(10b)의 선단측 만곡부를 열고, 양자간에 받아 넣은 물건말리는 대막대 등의 봉형상의 세탁물을 잡고, 그 세탁물에 걸어 지지시켜서 사용할 수 있고, 또, 가동파지부(10b)측의 파지부(10f)를 이용하여 상반부 등의 단부에 매달아 걸어서 지지시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파지부(10e)의 선단에 피착된 미끄럼방지구(10g)는 상기한 매달아 거는 지지에 있어, 매다는 대상물에 대한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또 매다는 기구(10)는 기체(1) 상본체(1a)에 고정된 지지구(11)에 대하여 축둘레의 회전이 가능하고, 적절하게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세탁물의 부착이 용이하게 된다.
제2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기체(1)의 주연부에는 둘레방향으로 15개의 건조대(2),(2)가 등간격으로 부착되어 있고, 각각의 건조대(2),(2)의 아래위치에는 같은 수의 보조건조대(3),(3)가 또 상위치에는 마찬가지로 같은 수의 고정구(5),(5)가 부착되어 있다.
건조대(2)는 그 끝부측에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양측으로 돌출하는 지축(2a)과 그 지축(2a)의 타단에 연장된 연장부(2b)를 구비하고 있고, 기체(1) 상본체(1a)의 내측에 하향으로 설치된 지지리브(13)(제9도참조)의 사이에 지축(2a)을 지지하고, 각각의 연장부(2b)를 기체(1)의 내측을 향해서 지축(2a)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이동 가능하게 피보팅되어 있다.
또, 보조건조대(3)는 기체(1)의 내측에 삽입된 끝부에 지축(2a)과 마찬가지로 양측으로 돌출하는 지축(3a)을 구비하고, 그 지축(3a)을 하본체(1b) 저면에 설치된 지지리브(14)(제7도∼제9도참조)에 지지시켜, 지축(3a)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건조대(2)와 동일면 내에서 회전이동 가능하게 피보팅되어 있다. 보조건조대(3),(3) 선당부는 제1도에 표시하듯이 각 개별의 건조대(2),(2)의 선단부에 각각의 하측에 삽입 관통되어 있고, 이들에 제1고정구(4),(4)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부착되어 있다.
제2고정구(5),(5)는 상본체(1b)의 상면 외측에 그 끝을 피보팅하고, 건조대(2),(2) 및 보조건조대(3),(3)와 동일면 내에서 회전이동 가능하게 피보팅되어 있다. 제2고정구(5),(5)는 선단측으로 향해서 소정의 만곡을 붙이고, 상기한 회전이동 방향으로 소정의 탄성을 한 수지제의 셩형품이다.
이상과 같이 부착되어진 건조대(2),(2)는 제1도의 좌반부 및 제2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기체(1)의 주위에 각각의 선단을 방사형상으로 펼친 상태에 있어서, 그 상부에 의류 등의 세탁물(A)을 걸어서 사용된다. 이때 선단측에 있어서 제1고정구(4)가 끝측에 있어서는 제2고정구(5)가 각각 건조대(2),(2)의 상측에 탄접하고, 상기한 세탁물(A)도 제1,2고정구(4)(5)의 상하에 상측으로부터 집어서 고정되어 그 탈락을 방지할 수 있게 하고 있다.
한편, 건조대(2),(2)는 제1도의 우반부에 표시하듯이 각각의 선단이 기체(1)의 하방에 모아진 갠 상태로 된다. 이 상태로 될 때, 본 발명에 관한 물건말리는 기구에 있어서 보조건조대(3) 선단이 건조대(2) 선단측으로 돌출하여 그 보조건조대(3)의 선단에 부착된 제1고정구(4) 및 끝측 제2고정구(5) 건조대(2)의 탄접이 해제되어서 이들 고정구(4),(5)에 의하여 집어서 고정되고 있던 세탁물은, 선단을 하방으로 향한 각 개별 건조대(2)에 따라서 아래쪽으로 자연 낙하한다.
제7도∼제9도는 건조대(2) 기부 근방의 확대도이고, 제7도는 건조대를 하방으로 늘어뜨려 갠 상태를 제9도는 건조대(2)를 펼친 사용상태를 표시하고, 제8도는 양자의 중간적인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제9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기체(1) 내측으로 늘어나는 건조대(2) 연장부(2b)는 지축(2a)의 설치 위치에서 하방으로 굴곡하고, 다시 내향으로 굴곡된 형상을 가지고 있고, 그 연장부(2b)는 제7도에 표시하는 갠 상태에 있어서, 기체(1)의 중심에서 적당 길이 떨어진 위치에서 그 선단을 상향으로 한 상태로 있다. 기체(1)의 상본체(1a)에는 상향으로 된 상기한 선단을 면할 수 있는 위치에 내외로 관통하는 삽입관통구멍(60)이 형성되어 있고, 그 삽입관통구멍(60)에는 이를 따라서 미끄럼 가능하게 압인봉(6)이 삽입되어 있다.
기체(1)의 내측으로 진입시킨 압인봉(6)의 하단에는 압력부재(61)가 설치되고 기체(1) 외측으로 돌출하는 압인봉(6)의 상단에는 매끄러운 표면을 덮는 모자(62)가 설치되어 있다. 제2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압인봉(6)은 기체(1)의 중심을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1쌍 배치되어 있고, 이들 내측에 설치된 압력부재(61)는 제2도 및 제3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기체(1) 내측에 있어서 15개의 건조대(2),(2)의 연장부(2b),(2b)에 다른쪽이 7개의 건조대(2),(2)의 연장부(2b),(2b)에 각각의 상측으로부터 접촉시키고 있다.
제7도에 표시하는 갠 상태에 있어서 압인봉(6)은 기체(1) 내측에 있어서 대응하는 건조대(2) 연장부(2b)로 압상되어서, 상방으로 돌출한 상태에 있고, 이 상태에 있는 압인봉(6)을 도면중 화살표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하방으로 밀어 넣으면 기체(1) 내측에 있어서 압력부재(61)에 접촉하는 상기한 연장부(2b)가 하방으로 밀리고 기체(1) 외측으로 늘어나는 건조대(2)는 제8도에 표시하듯이 상방, 즉, 선단측을 펼치는 방향으로 회전 이동한다. 이 회전이동은 1쌍의 압인봉(6),(6)의 한쪽, 또는 양쪽의 밀어 넣는 조작에 의하여 건조대(2),(2)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하여 일괄해서 행하게 할 수 있다.
압인봉(6)의 압인을 다시 계속해서, 제8도에 표시하듯이 연장부(2b)가 지축(2a)보다 아래위치로 된 후는 그 연장부(2b)의 선단이 하향의 회전이동에 따라서 외측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압력부재(61)의 외경을 넘는 위치까지 이동한 때, 제9도에 표시하듯이 압력부재(61)가 연장부(2b)의 선단 내측에 끼워 넣은 상태로 되고 그 연장부(2b)의 선단 사이의 마찰에 의하여 구속된 결과, 그 건조대(2)는 기체(1) 주면에 펼쳐진 사용상태에서 확실하게 구속된다.
그리고 기체(1)의 상본체(1a)에는 압인봉(6),(6) 삽입관통 위치의 외측에 각각 위치하여 상방에서 걸기가 가능한 면을 가지고 손걸음부(7),(7)가 형성되어 있고, 건조대(2),(2)를 펼치기 위한 압인봉(6),(6)의 압입조작은 상기한 손걸음부(7),(7)에 걸은 지점으로 하여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구속상태에서 기체(1) 주변에 펼쳐진 건조대(2),(2)에 각각 걸려진 세탁물(A)에 의하여 하향의 하중이 가해져서, 기체(1)내측에 있어서 압력부재(61)에 접촉하는 상기한 연장부(2b),(2b) 선단에는 상기한 하중에 따른 상향의 힘이 작용하나, 상기한 구속은 이와 같은 작용력에 영향없이 확실하게 유지된다. 제10도는 펼쳐진 상태에 있는 건조대(2),(2)의 구속유지동작설명도이다. 도면 중 화살표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건조대(2)에 하향의 하중이 가하여진 경우, 그 건조대(2)의 피보팅되는 상기한 지축(2a)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한 접촉부(B)의 원호형상 회전궤적(B')의 접선방향에 상기한 하중에 상당하는 항력(F)가 더해지고, 상기한 연장부(2b)는 압력부재(61)와의 접촉면에 따른 방향의 상기한 항력(F)의 1분력(F1) 작용에 의하여 끌어 올라가게 된다.
그런데, 이때 상기한 접촉부(B)에는 상기한 제1분력(F1)과 직교하는 방향의 제2분력(F2)은 압력부재(61)의 가압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고, 이 제 2분력(F2)은 건조대(2)의 작용하중에 상당하는 상기한 항력(F)의 증대에 따라서 증대하므로, 압력부재(61)의 주면에 접촉부(B)의 가압이 상기한 작용하중의 증대에 따라서 강화되어 건조대(2)의 구속은 확실하게 유지된다. 이는 연장부(2b)와 압력부재(61)의 접촉부(B)가 건조대(2)의 피보팅되는 상기한 지축(2a)에 대하여 하방으로 수준차를 두어 설정하고 있는 것에 의하여 실현된다.
세탁물(A)을 수거하기 위해 건조대(2),(2)를 개고 이상과 같은 구속상태를 해제하는 경우, 이 해제는 건조대(2),(2)에 사용할 때에 있어서 작용하중 방향과 역방향, 즉, 상향의 힘을 가하는 것에 의해 실현된다. 이와 같은 상향의 힘은, 건조대(2),(2)의 기부를 지지하는 상기한 기체(1)를 예컨대 중앙에 설치된 상기한 매다는 기구(10)를 파지하여 떠받히고, 강하력을 가한 후에 급정지시키는 조작, 또는 강하 후에 상향으로 되돌리는 조작을 행하는 것에 의해 복수 건조대(2),(2)에 대하여 일괄해서 가할 수 있다.
제11도는 건조대(2),(2)의 구속해제동작 설명도이다. 상기한 조작이 행하여진 경우, 강하 후의 정지 또는 되돌림에 따라서 건조대(2)에는 각각 걸려있는 세탁물(A)의 관성력이 도면중 화살표로 표시하듯이 상향으로 작용하고 그 건조대(2)는 그 선단측을 올리는 방향, 바꾸어 말하면 끝측의 상기한 연장부(2b)를 내리는 방향으로 회전 이동한다. 연장부(2b) 하측으로 건조대(2)가 펼쳐진 상태에 있어서, 기체(1)의 하본체(1b)와 저면과의 사이에 적절한 간극(δ)(제9도 참조)이 확보되어 있고, 상기한 회전이동은 이 간극(δ)의 범위내에서 허용된다. 연장부(2b) 압력부재(61)와 접촉부(B)는 지축(2a)을 중심으로 하는 건조대(2)의 회전이동면 내에 있어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호형상을 이루고, 상기한 압력부재(61)의 주면에 점접촉상태로 접촉시키고 있고, 상기한 관성력의 작용에 의해서 연장부(2b)가 하향으로 회전 이동한 경우, 압력부재(61)의 주면에서 저항없이 분리된다. 그리고 건조대(2) 및 연장부(2b)는 소정의 폭을 가지고, 도시한 점접촉상태는 폭방향으로 연속해서 생기고 있기 때문에 접촉부(B)와 압력부재(61)와의 접촉은 엄밀하게는 폭방향으로 점접촉상태가 연속한 선접촉이다.
한편, 상기한 조작에 따른 상향의 관성력은 접촉부(B)의 접촉에 의하여 구속상태로 있던 압력부재(61)에도 작용하고 있고, 그 압력부재(61)는 접촉부(B)의 분리에 따라서 압인봉(6)과 함께 상향으로 이동한다. 상기한 관성력의 작용에 의한 건조대(2)의 회전이동은 상기한 조작이 이루어진 시점에 있어서 순간적으로 일어나고 그 후 건조대(2)는 자신의 하중 및 자신에 걸려 있는 세탁물(A)의 하중에 의하여 하향으로 회전 이동한다. 그런데 제11도중 2점 쇄선에 의하여 표시하듯이, 이 회전이동에 의하여 연장부(2b)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 때, 그 위치에 있었던 압력부재(61)는 마찬가지로 2점 쇄선으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방으로 이동하고 있고, 연장부(2b)의 접촉부(B)는 새로운 회전이동에 의하여 압력부재(61) 하면에 접촉하고, 그 압력부재(61)를 밀어 올리면서 다시 회전 이동하여 제1도중의 우반부 및 제7도에 표시하는 갠 상태가 실현된다.
제12(a)도 및 제12(b)도는 상기한 연장부(2b)의 접촉부(B)에 평탄면을 설치한 경우에 있어서 구속해제 동작의 설명도이다. 제12(a)도에 표시하는 구속상태에 있어서 상기한 조작을 행하고, 건조대(2)에 상향의 관성력을 작용시킨 경우, 그 건조대(2)의 연장부(2b)는 하향으로 회전이동하나, 이 때 도제12(b)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접촉부(B)에 설치한 평탄면의 상면이 압력부재(61)의 주면에 닿는 상태로 되어 그 압력부재(61) 상방으로의 이동동작에 저해된다. 따라서 그후에 연장부(2b)가 복귀한 때, 그 연장부(2b)는 재차 구속상태로 될 뿐이고, 상기한 갠 상태는 얻어지지 않는다. 이와 같이 건조대(2),(2)의 기부를 지지하는 상기한 기체(1)를 하강력을 가한 후에 급정지시키는 조작, 또는 상향으로 되돌리는 조작에 의해서, 건조대(2),(2)를 일괄해서 개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연장부(2b)의 압력부재(61)와의 접촉부(B)가 지축(2a)을 중심으로 하는 건조대(2)의 회전이동면 내에서 원호형상을 이루고 압력부재(61)의 주면에 점접촉상태로 접촉시키고 있는 구성에 의하여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건조대(2),(2)의 갬은 상기한 조작과는 다른 조작, 예컨대 사용자 손에 의해 건조대(2),(2) 선단부에 상향의 힘을 직접적으로 가하는 조작에 의해서도 실현할 수 있으나, 이때 기체(1)의 상부에 압인봉(6)을 끌어올리는 조작은 더불어서 행할 필요가 있고, 기체(1)의 강하력을 가하는 조작과 비교한 경우, 그 용이도에 있어서 뒤떨어진다.
또한, 본 발명자는 이상과 같은 건조대(2),(2)의 개기 위한 조작을 사용상태에 있어서 구속에 지장을 가져오는 일없이 확실하게 실현하기 위하여 연장부(2b)와 압력부재(61)와의 접촉부(B)의 상기한 지축(2a)에 대한 하방으로 수준차(X)(제10도 참조)를 적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수준차(X)를 크게 한 경우, 건조대(2),(2)의 조작을 위한 상기한 조작이 용이하게 행하여지는 반면, 사용상태에서 건조대(2),(2)의 구속이 확실하게 되지 않고, 이들의 풍력등 외력의 작용에 의하여, 갠 상태로 되어 각 건조대(2),(2)에 걸린 건조물(A)이 탈락할 우려가 있고, 반대로 작게 한 경우, 건조대(2),(2)의 개는 조작에 큰 힘을 요하여 사용하기가 나쁘게 될 우려가 있다.
수준차(X)의 적정치는 물건말리는 기구 전체의 크기에 따라 달라서, 임의적으로 결정할 수 없으나 상기한 지축(2a)을 중심으로 하여 일어나는 연장부(2b) 접촉부(B)의 회전반경(R)을 대표수치로 하여 아래 식에 표시하는 범위로 한정할 수 있다.
Figure kpo00002
(1)식에 표시하는 범위 내에서 수준차(X)를 설정한 경우, 사용할 때에 상정되는 외력의 작용에 의하여 건조대(2),(2)의 구속이 잘못해서 해제될 우려를 해소할 수 있고, 세탁물(건조물)(A)의 탈락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로 건조대(2),(2) 갬의 용이도가 확보되어 사용하기에 뛰어난 것이 된다.
수준차(X)의 최적치는 (1)식에 표시하는 범위에 있어서 약간 큰 값이고 수치 예를 들면 회전반경(R)이 45.4mm 일 때 수준차(X)를 34mm(≒0.75R)로 하는 것에 의하여 양호한 결과가 얻어지고 있다. 이때 상기한 접촉부(B)의 회전궤적(B')이 지축(2a)에서 가장 떨어진 위치에 있을 때의 수평방향 이격길이(Y) 및 그 위치에서 압력부재(61)의 주면에 대한 오버랩길이(Y1)(어느것이나 제10도 참조)는 일반적으로 정해지고 , 상기한 수치예에 있어서 Y=R=45.4mm, Y1=16.7mm로 된다.
건조대(2)의 상위치에 그 기부를 피보팅한 제2고정구(5)는 건조대(2)의 펼침에 따라서 그 선단측을 상면에 접촉시켜서 새로운 회전이동에 따라서 회전 이동한다.
제2고정구 회전이동은 그 피보팅부의 외주에 설치된 걸어맞춤고리(5a)가 상본체(1a)의 대응위치에 형성된 블록부(15)에 걸어맞춘 위치에서 구속되고, 이 구속은 건조대(2)가 완전한 펼침으로 이르기 전에 일어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대해서 제2고정구(5)는 펼친상태로 된 고정구(5)의 상면에 선단측의 탄성에 의하여 탄접하게 되어, 상기한 바와 같이 건조대(2)에 걸려 있는 세탁물(세탁물)(A)을 끝에서 집어서 고정하도록 사용할 수 있다.
또, 건조대(2)의 아래위치에 그 기부를 피보팅된 보조건조대(3)는 선단측에 있어서 건조대(2)에 삽입 관통시키고 있고, 이 삽입 관통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건조대(2)의 회전이동에 따라서 회전 이동한다. 이때, 양자의 피보팅 위치가 다르게 되어 있으므로, 보조건조대(3)는 건조대(2)에 대한 길이방향의 상대적인 진퇴동작에 따라서 회전이동하고, 이 회전이동에 따라서 보조건조대(3)의 선단이 건조대(2)의 선단에서 출입한다. 그리고, 보조건조대(3)의 끝부에서 사용상태에 있어서 하향으로 되는 위치에 작은 고리(3b)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은 구두끈, 손수건 등의 소품을 매달아 걸도록 사용된다.
제13(a)도, 제13(b)도, 제13(c)도는 건조대(2) 선단부 근방의 확대도이며, 제13(a)도는 건조대(2) 및 보조건조대(3)가 기체(1)의 하방에 수하한 개는 상태를, 제13(c)도는 건조대(2) 및 보조건조대(3)가 펼쳐진 사용상태를 표시하고, 제13(b)도는 양자의 중간적인 상태를 표시하고 있다.
건조대(2)의 선단부는 하부가 개방된 역U자형의 단면을 가지고 있고, 그 선단에는 U자의 양단부를 연결하는 형태로 대들보(20)가 횡가되고, 구형단면의 안내부가 형성되어 있다.
보조건조대(3)는 상기한 안내부에 삽입 관통되고 그 하측을 대들보(20)에 의해 지지되어서 길이방향으로의 미끄럼이 가능하다.
제1고정구(4)는 U자형의 굴곡형상을 가지며 단부를 여는 힘에 대하여 소정의 탄성을 갖도록 한 수지제의 성형품이고, 두 갈래로 된 보조건조대(3)의 선단에 그 일단을 피보팅하고, 그 보조건조대(3) 및 건조대(2)의 동일면 내에서 회전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 그 타단은 피보팅축 보다 긴 치수로 하고, 같은 축 단부를 두껍게 하여 중량을 집중시켜서 고정부(4a)를 구성하고 있다.
제13(a)도에 표시하는 개는 상태에 있어서, 건조대(2)의 선단은 실제로는 하향으로 되어 있고, 그 건조대(2)보다도 아래위치에 피보팅된 보조건조대(3)의 선단은 상기한 건조대(2)의 선단으로부터 돌출한 상태에 있고, 그 보조건조대(3)에는 제13(c)도에 표시하는 상태로 이행에 따르는 건조대(2)의 펼침에 따라서 도면중 화살표로 표시하듯이 끝부로 향해서 후퇴하고 보조건조대(3)의 선단은 상기한 안내부에 안내되어서 건조대(2)의 선단부내에 들어간다.
보조건조대(3)의 선단에 피보팅된 제1고정구(4)는 제13(a)도에 표시하는 갠상태에 있어서 중량을 집중시킨 고정부(4a)를 아래(제13(a)도∼제13(c)도에 있어서 왼쪽)로 한 회전이동위치에 있고 건조대(2)의 펼침에 따른 보조건조대(3)의 후퇴에 의하여 그 보조건조대(3)와의 연결판에서 상기한 안내부에 들어간다. 제1고정구(4)는 제13(b)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한 인입의 중간에 상기한 대들보(20)에 그 일부를 접촉시킨 상태로 되고, 이후는 상기한 인입에 따라서 대들보(20)와의 접촉부가 눌려져 도면중 화살표로 표시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제13(c)도에 표시하는 사용상태에 있어서는 보조건조대(3)와의 연결측이 소정길이에 걸쳐서 건조대(2)내에 들어가고 타측의 고정부(4a)가 건조대(2)의 일면(상면)에 탄접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건조대(2)에 걸려있는 세탁물(A)을 선단측에서 집어서 고정하도록 사용할 수 있다.
고정부(4a)측의 내면에는 폭방향의 중앙에 타변으로 향해서 끼움쇠부(4b)가 설치되어 있고, 건조대(2)의 선단부 상면에는 마찬가지로 폭방향의 중앙에 끼움쇠부(4b)와 대응하는 폭을 가지고 안내홈(21)이 형성되어 있고, 보조건조대(3)의 후퇴에 따르는 제1고정구(4)의 인입은 제13(c)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끼움쇠부(4b)와 안내홈(21)과의 걸어맞춤에 의하여 폭방향 위치밀림을 수반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양자의 걸어맞춤 관계는 후에 설명하는 제15도에 명백하다.
한편, 사용상태에 있는 건조대(2)의 구속이 해제되어 그 건조대(2)가 펼쳐지는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이동한 경우, 선단측에 있어서 제13(c)도로부터 제13(a)도로의 상태변화가 생기고 보조건조대(3)가 건조대(2)의 선단측에서 나오고, 제1고정구(4)는 상기한 탄접을 해제하고 그 자중에 의하여 회전이동하고, 제13(a)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U자의 개구측을 하향(제13(a)도∼제13(c)도에 있어서는 좌방향)으로 한 상태로 되고, 제1도의 좌반부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건조대(2)에 걸린 세탁물(A)은 그 자중에 의하여 하향으로 자연 낙하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물건말리는 기구에 있어서 펼친상태에 있는 건조대(2),(2)가 상기한 개는 조작에 의하여 회전이동한 경우, 이 회전이동에 따라서 각각 선단측의 제1고정구(4),(4)에 의한 고정이 해소되고 또한, 끝측의 제2고정구(5),(5)에 의한 고정도 해소되므로 건조물(세탁물)(A)의 수거에 있어 사용자는 건조대(2),(2)를 개기 위한 상기한 조작을 필요로 할 뿐이고, 상기한 건조물(세탁물)(A)은 자중에 의하여 자연낙하하여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건조물(A)의 낙하는 각각의 건조대(2),(2)에 따라서도 일어나지만, 이때 각 건조대(2),(2) 선단에 있어서 회전 이동하는 제1고정구(4)에 걸려서, 일부 건조물(A)의 탈락이 저해될 우려가 있다. 제14(a)도, 제14(b)도 및 제14(c)도와 제15도에는 이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개량된 선단부가 표시되어 있고, 제14(a)도, 제14(b)도, 제14(c)도는 동작설명을 위한 확대도, 제15도는 선단 근방의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건조대(2)의 선단부는 보조건조대(3)의 진퇴동작 범위의 대략 전역에 걸쳐서 제1고정구(4)의 피보팅부 근방을 양측에서 덮는 덮개부(22)를 구비하고 있다. 제15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부(22)는 ㄷ자형의 건조대(2) 양 측변을 선단부로 향해서 연장해서 형성되고, 제14(a)도, 제14(b)도, 제14(c)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제1고정구(4)의 회전이동이 덮개부(22)에 의하여 씌워진 범위내에서 일어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건조대(2)에 따라서 건조물(세탁물)(A)이 낙하하는 사이, 제1고정구(4) 양측이 덮개(22)에 의하여 씌워진 상태로 되어, 낙하 도중에 있어서, 제1고정구(4)에 걸릴 우려는 대폭 저감되어, 건조대(2),(2)의 개는 조작에 따르는 건조물(A)의 탈락이 확실하게 생기게 되고 건조물(A)의 수거가 번잡도 없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물건말리는 기구에 있어서는 기체 주위에 방사현상으로 펼쳐지는 복수의 건조대의 개는 조작에 따라서, 이들 선단측 고정구의 고정조작과 풀림조작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건조물(세탁물)의 수거작업의 번잡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건조대 선단에 고정구 피보팅 위치의 양측을 덮는 덮개부를 설치하였으므로, 건조대의 개는 조작에 따르는 건조물의 낙하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 건조대의 펼침, 펼친위치에서의 구속 및 개기 위한 조작기구를 기체에 설치하였으므로, 건조대의 개는 조작을 일괄해서 행할 수 있고, 건조물(세탁물)의 수거가 더욱 용이하게 됨과 아울러, 건조대의 펼침과 일괄해서 확실하게 행할 수 있고, 용이하게 사용상태가 얻어진다. 또한, 건조대 끝의 연장부를 그 건조대의 피보팅보다 하방(아래쪽)에 적당길이 편심시킨 위치에서 압력부재의 일면에 점접촉시켜서 구속을 실현하였으므로 구속의 해제가 용이하고 확실하게 행하여진다.
또, 펼친상태에 있어서 각 건조대에 탄접하는 제2고정구를 설치하였으므로 선단측 고정구에 의하여 건조대에 걸려있는 건조물(세탁물)을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고, 바람의 작용에 의한 건조물(세탁물)의 탈락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체중앙의 매다는 기구에 쥐는 부 및 매달아 거는 부를 설치하였으므로 여러 가지의 세탁물을 걸어서 사용이 가능하고, 또, 상기한 매다는 기구를 회전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지지구와 함께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였으므로 사용할 때에 있어서 거는 것이 용이하게 행해지고, 지지 하중의 작용에 의하며 손상하기 쉬운 매다는 기구의 대체가 가능하드는 등 본 발명은 뛰어난 효과를 발휘한다.

Claims (19)

  1. 일면의 중앙에, 그 일면을 위로하여 세탁물을 걸기 위한 매다는 기구(16)를 보유하는 기체(1)와, 상기한 기체(1)의 주연부에 각각 끝부를 피보팅하여 각 개별 피보팅둘레의 회전이동에 의하여 선단이 방사현상으로 펼쳐지고 각각에 세탁물(건조물)(A)을 걸 복수의 건조대(2),(2)와 상기한 건조대(2),(2) 선단부에 배치되고, 상기한 세탁물(A)을 상기한 건조대(2),(2)와의 사이에서 집어서 고정하는 고정구(4)와 상기한 건조대(2),(2)의 펼쳐지는 방향의 회전이동에 따라서 상기한 고정구(4)를 고정상태로 구속하고, 그 구속을 상기한 건조대(2),(2)의 역방향 회전이동에 따라서 해제하는 구속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건말리는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구속기구는 상기한 기체(1) 주연부에 상기한 건조대(2),(2)의 피보팅부보다 아래위치에 각각의 끝을 피보팅하고, 선단측을 각 개별 건조대(2),(2) 선단부에 형성된 안내부에 삽입 관통지지되어 있고, U자형을 이루는 각 개별 고정구(4)의 일단을 각각의 선단에 피보팅하는 보조건조대(3)와 상기한 보조건조대(3)는 상기한 건조대(2),(2)의 회전이동에 따라서 상기한 건조대(2),(2)와 동일면 내에서 회전이동하면서 진퇴동작하고, 펼쳐지는 방향의 회전이동 시에는 상기한 고정구(4)를 상기한 안내부에 인입하고, 상기한 고정구(4)의 타단을 건조대(2),(2)의 상단부 상면을 탄접시켜서 구속하는 한편, 역방향 회전이동시에는 상기한 고정구(4)를 상기한 안내부에서 밀어내어 상기한 구속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건말리는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기체(1)는 상기한 건조대(2),(2)의 일부 또는 전부를 일괄하여 펼침과 아울러 펼친상태에서 구속하는 조작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건말리는 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기체(1)의 주연에 부착되고, 펼쳐진 건조대(2),(2)에 그 상부로부터 탄접하는 제2고정구(5)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건말리는 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매다는 기구는 기체(1)에 부착된 고정파지부(10a)를 포함하고, 상기한 고정파지부재(10a) 중간에 피보팅된 가동파지부재(10b)와, 그 가동파지부재(10b)의 일측을 상기한 고정파지부재(10a)의 선단에 가압하는 부세기구와 그 부세기구의 부세에 항거해서 개방된 양 파지부재 사이에서, 세탁물이 파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건말리는 기구.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기체(1)는 상기한 건조대(2),(2)의 일부 또는 전부를 일괄하여 펼침과 아울러, 펼친 상태에서 구속하는 조작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건말리는 기구.
  7. 제2항에 있어서, 건조대(2),(2)는 상기한 보조건조대(3)의 진퇴동작범위의 전역에 걸쳐서 상기한 고정구(4)의 피보팅부 근방을 양측에서 덮는 덮개부(22)를 선단부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건말리는 기구.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건조대(2),(2)는 각각의 피보팅 위치에서 기체(1)의 내측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기구는 상기한 기체(1) 상부를 관통하여 내측으로 연장된 압인봉과 그 압인봉 내측으로 연장단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한 기체(1) 내측에 늘어서는 각 건조대(2),(2)의 연장부에 접촉시킨 압력부재(61)를 구비하고, 그 압인봉의 압인조작에 의하여, 상기한 압력부재(61)를 매개로 하여 상기한 연장부를 하향으로 눌러서 상기한 건조대(2),(2)의 각각을 상향으로 펼치고, 또 소정의 펼친 위치에서 상기한 압력부재(61)가 각 연장부의 선단부사이에 끼워넣어 각각의 선단과, 상기한 압력부재(61) 주면과의 마찰에 의하여 상기한 구속을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건말리는 기구.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한 개방을 위해 파지되는 상기한 가동파지부재(10b)의 타측에 세탁물을 매달아 거는 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건말리는 기구.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한 매다는 기구(10)는 상기한 고정파지부재(10a)의 기부를 축둘레에서 회전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지지구(11)를 끼워서 상기한 기체(1)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건말리는 기구.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한 건조대(2),(2)는 각각의 피보핑 위치에서 기체(1) 내측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한 조작기구는 상기한 기체(1)의 상부를 관통하여 내측으로 연장된 압인봉과 그 압인봉 내측으로 연장단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한 기체(1) 내측으로 늘어서는 건조대(2),(2)의 연장부에 접촉시킨 압력부재(61)를 구비하고, 상기한 압인봉의 압인조작에 의하여 상기한 압력부재(61)를 매개로 하여 상기한 연장부를 하향으로 눌러서, 상기한 건조대(2),(2)의 각각을 상향으로 펼치고 또 소정 펼친 위치에서 상기한 압력부재(61)가 각 연장부 선단부 사이에 끼워넣고 각각의 선단과 상기한 압력부재(61) 주면과의 사이에 마찰에 의하여 상기한 구속을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건말리는 기구.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한 건조대(2),(2)의 연장부는 상기한 피보팅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이동면 있어서 원호형상을 이루고 상기한 압력부재(61)의 대응면과 점접촉상태로 접촉하는 접촉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건말리는 기구.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한 건조대(2),(2)의 연장부는 상기한 피보팅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이동면 내에 있어서 원호형상을 이루고, 상기한 압력부재(61)의 대응면과 점접촉상태로 접촉하는 접촉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건말리는 기구.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한 기체(1)의 주연에 부착되고, 펼쳐진 건조대(2),(2)에 그 상부에서 탄접하는 제2고정구(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건말리는 기구.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한 접촉면과 상기한 압력부재(61)와의 접촉위치는 상기한 건조대(2),(2)의 피보팅보다 하방이고, 상기한 피보팅위치와 접촉위치와의 수준차(X)는 상기한 피보팅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한 접촉면의 회전반경(R)에 대하여 하기식을 만족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건말리는 기구.
    0.55R X 0.85R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한 접촉면과 상기한 압력부재(61)와의 접촉위치는 상기한 건조대(2),(2)의 피보팅보다 하방이고, 상기한 피보팅위치와 접촉위치와의 수준차(X)는 상기한 피보팅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한 접촉면의 회전반경(R)에 대하여 하기식을 만족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건말리는 기구.
    0.55R X 0.85R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한 매다는 기구(10)는 기체(1)에 부착된 고정파지부재(10a)를 포함하고, 그 고정파지부재(10a) 중간에 가동파지부재(10b)와, 그 가종파지부재(10b)의 한쪽을 상기한 고정파지부재(10a)의 선단에 누르는 부세기구와 그 부세기구의 부세에 항거해서 개방된 양 파지부재 사이에서 세탁물이 파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건말리는 기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한 개방을 위해 파지되는 상기한 가동파지부재(10b)의 타단을 세탁물에 매달아 거는 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건말리는 기구.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한 매다는 기구(10)는 상기한 고정파지부(10a)의 기부를 축둘레에서 회전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지지구(11)를 매개로 하여 상기한 기체(1)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건말리는 기구.
KR1019970010202A 1996-04-15 1997-03-25 물건말리는 기구 KR1002119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92779 1996-04-15
JP96-092779 1996-04-15
JP9277996 1996-04-15
JP8154461A JPH10294A (ja) 1996-04-15 1996-06-14 物干し具
JP96-154461 1996-06-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2403A KR980002403A (ko) 1998-03-30
KR100211935B1 true KR100211935B1 (ko) 1999-08-02

Family

ID=26434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0202A KR100211935B1 (ko) 1996-04-15 1997-03-25 물건말리는 기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845414A (ko)
EP (1) EP0802272A3 (ko)
JP (1) JPH10294A (ko)
KR (1) KR100211935B1 (ko)
AU (1) AU689200B2 (ko)
CA (1) CA2200391A1 (ko)
ID (1) ID1679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79772A1 (en) * 2002-10-25 2004-04-29 Susan Shih Garment hanger using waste bottle
US6902139B2 (en) * 2003-11-10 2005-06-07 Chi Yu Steel Co., Ltd. Detachable folding clotheshorse
US8567614B2 (en) * 2009-12-22 2013-10-29 Invue Security Products Inc. Counter display for securely displaying merchandise
US9609970B2 (en) * 2015-02-28 2017-04-04 Vincent A Piraino Collapsible drying rod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Z260536A (en) * 1993-05-20 1996-10-28 Hills Industries Ltd Foldable clothes line; each arm independently movable having pivotally connected inner and outer portions
US5405065A (en) * 1993-12-10 1995-04-11 Olson; Donna K. Collapsible portable radial clothes hanger
JPH07204390A (ja) * 1994-01-20 1995-08-08 Taichi Sugiyama 物干し器
JPH07328283A (ja) * 1994-06-08 1995-12-19 Taichi Sugiyama 物干し器
JPH0747193A (ja) * 1994-06-28 1995-02-21 Shohei Takahara オートフツ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00391A1 (en) 1997-10-15
ID16791A (id) 1997-11-13
JPH10294A (ja) 1998-01-06
AU1511097A (en) 1997-10-23
AU689200B2 (en) 1998-03-26
US5845414A (en) 1998-12-08
EP0802272A3 (en) 1998-05-27
EP0802272A2 (en) 1997-10-22
KR980002403A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1935B1 (ko) 물건말리는 기구
WO2014098459A1 (ko) 거꾸로 접히는 우산
KR20170006026A (ko) 주름방지 옷걸이
US4586524A (en) Clothes hanger handle for umbrellas
EP0220565A3 (en) Laundry support
KR101012349B1 (ko) 펼침 및 접힘 가능한 자동우산
JPS63246200A (ja) 衣服乾燥装置
CA1331836C (en) Clothes drying apparatus
JP5822196B2 (ja) 物干しハンガー
KR200489934Y1 (ko) 투피스용 옷걸이
JPS589592Y2 (ja) 物干具
JPH07204390A (ja) 物干し器
KR20120105508A (ko) 집게 및 집게옷걸이
KR20000031386A (ko) 자중으로 작동하는 회전캠형 핵연료 체결기
WO2023233466A1 (ja) 雨傘脱水装置
CN209300396U (zh) 一种新型提袋器
WO2010027201A2 (ko) 자동우산
KR920007168Y1 (ko) 소방호스 클램프용 스패너
JPH07328283A (ja) 物干し器
KR200154981Y1 (ko) 쓰레기 봉투 지지대
KR200194895Y1 (ko) 절첩식 우산
JP3067473U (ja) 洗濯物干し具
JP3427124B2 (ja) 円形状物干し具
GB2280471A (en) Clothes line clip
EP0663465A1 (en) Improvements in clothes driers or air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