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1440B1 - 신규한 폴리이미드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신규한 폴리이미드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1440B1
KR100211440B1 KR1019960035145A KR19960035145A KR100211440B1 KR 100211440 B1 KR100211440 B1 KR 100211440B1 KR 1019960035145 A KR1019960035145 A KR 1019960035145A KR 19960035145 A KR19960035145 A KR 19960035145A KR 100211440 B1 KR100211440 B1 KR 100211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imide
formula
structural unit
unit represented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5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0831A (ko
Inventor
오사무 오까
다께시 니시가야
Original Assignee
호소이 쇼지로
가부시키가이샤 도모에가와 세이시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소이 쇼지로, 가부시키가이샤 도모에가와 세이시쇼 filed Critical 호소이 쇼지로
Publication of KR970010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0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1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14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10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G73/1057Polyimide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hydrogen, nitrogen or oxygen in the main chain
    • C08G73/106Polyimide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hydrogen, nitrogen or oxygen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6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3/10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G73/1057Polyimide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hydrogen, nitrogen or oxygen in the main chain
    • C08G73/1064Polyimide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hydrogen, nitrogen or oxygen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sulfu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Forming Nitrogen-Containing Linkages In General (AREA)
  • Silver Salt Photography Or Processing Solution Therefor (AREA)
  • Non-Silver Salt Photosensitive Materials And Non-Silver Salt Photography (AREA)

Abstract

광범한 유기용제에 용이하게 용해하는 동시에, 가공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신규한 폴리이미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폴리이미드는 화학식(1) 로 나타내는 구조단위와 화학식(2) 로 나타내는 구조단위를 포함, 수평균 분자량이 4,000 내지 200,000 이다.
[화학식 1]
[화학식 2]
(식중, X 는 -SO2- 및/또는 -C(2=O) -CH2CH2O-C (=0)-, Ar 은 방향고리를 갖는 특정의 구조로부터 선택된 2 가의 기, R 는 탄소수 1 내지 10 의 알킬렌기 또는 -CH2OC6H4- 를 표시, n 는 1 내지 20 의 정수를 의미함).

Description

신규한 폴리이미드 및 그의 제조방법{NOVEL POLYIMIDE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기용제에 가용이며, 또한 내열성이 우수한 신규인 폴리이미드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리이미드는 내열성이 우수한 수지이나, 그의 많은 것은 불용불융이기 때문에, 그의 가공성이 부족한 것이다. 그 때문에 종래 폴리이미드를 필름 등으로 성형하기 위해서는 그의 전구체인 폴리아미드산의 상태에서 유기용매에 용해한 와니스를 사용하여 성형하고, 그후, 고온에 있어 탈수폐환시키는 이미드화 반응을 함으로써, 최종적인 폴리이미드의 성형체를 얻고 있다.
그러나, 폴리아미드산 와니스는, 가수분해나 아미드 결합의 교환반응이 용이하게 발생하여 저분자량화나 겔화를 야기시키기 때문에, 저온에서 보존하는 것이 필요한 것이다. 또 사용되는 용매는 흡습하기 쉬운 것이기 때문에, 흡습에 의하여 수지가 석출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더우기 필름 등으로 성형한 후, 이미드화 반응을 행하면, 생성하는 축합수가 성형물 중에 보이드를 만든다는 문제가 있었다. 더하여 이미드화 반응은 300 ℃ 이상의 고온이 필요하기 때문에 열에 약한 기재상에 폴리이미드 피막을 형성시키는 것은 대단이 곤란하였다.
이들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유기용제에 가용하거나, 또는 연화점을 가지는 폴리이미드, 즉 성형가공가능한 폴리이미드가 개발되어 있다. 그들의 폴리이미드를 예시하면, 일본국 특개소 62-10051 호 공보에는, 화학식(6) 으로 나타내는 디아민과 피로메리트산으로부터 이룬 폴리이미드가 개시되어 있다.
(식중, X' 는 -SO2- 또는 -CO- 를 표시함.)
그러나, 이 폴리이미드는, 300 ℃ 이상의 연화점을 가지며, 성형가공성을 가지고 있으나, 유기용제에는 난용이기 때문에, 필름 등에 성형하는데는 전구체인 폴리이미드산의 와니스를 사용하는 필요가 있으므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 일본국 특개평 1-263116 호 공보 및 특개평 1-263117 호 공보에는, 4, 4' - 메틸렌비스 (2, 6 - 디알킬아닐린) 과 비페닐테트라카르복실산 2 무수물 또는 피로메리트산 2 무수물 등의 테트라카르복실산 2 무수물로 이룬 폴리이미드가 개시되어 있다. 이 폴리이미드는, N - 메틸 - 2 - 피롤리돈이나 m - 크레졸 용매에 가용이며, 400 ℃ 이상의 유리전이온도를 가진 것이다. 그러나, 이들의 용매는, 고비점 화합물이기 때문에, 도공 등에 의한 필름이나 피막의 형성에는 적합치 않다.
특공소 43-18914 호 공보에는, p - 페닐렌비스 트리메리테이트 2 무수물과 벤디딘 및 4, 4' - 디아미노페닐에테르 등의 디아민으로 이룬 폴리이미드가 개시되어 있고, 또 특공소 43-5911 호 공보에는, 비스페놀 A 비스트리메리테이트 2 무수물이 폴리이미드의 원료로서 사용되는 것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들에 의하여 얻어진 폴리이미드가 저극성 용제에 용해하는 것에 대하여는 보고되어 있지 않다.
특개소 60-258225 호 공보에는, 1, 4 - 비스 (p - 아미노쿠밀) 벤젠과 방향족산 또는 지방족산의 2 무수물로 된 폴리이미드가 개시되어 있다. 이 폴리이미드는, N - 메틸 - 2 - 피롤리돈에 가용하나, 저극성 용제 및 저비점 용제에는 불용이며, 또 유리전이온도가 200 ℃ 보다도 낮고, 기계적인 강도가 없기 때문에, 내열성이 낮다는 문제가 있다.
특개평 2-11633 호 공보에는 화학식 (6) 에 표시된 바와 같은 디아민과 비스페놀 A 비스트리메리테이트 2 무수물로 이룬 폴리이미드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또 얻어진 폴리이미드는 N - 메틸 - 2 - 피롤리돈 뿐만 아니라, N, N - 디메틸포름아미드나 디옥산 등에도 용해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폴리이미드는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에는 불용이며, 또 그 원료로 하는 상기 디아민은, 그의 제조가 복잡한 것이기 때문에, 본 방법에 의한 폴리이미드의 제조는 공업적으로는 극히 불리하다.
특개평 5-78481 호 공보에는 화학식(6) 으로 표시되는 디아민과 비스페놀 A 비스트리메리테이트 2 무수물 등이나 화학식(7) 으로 나타내는 2 무수물로 이룬 폴리이미드가 개시되어 있으며, 또 얻어진 폴리이미드는, N - 메틸 - 2 - 피롤리돈, N, N - 디메틸포름아미드 외에,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톨루엔 등에 가용이다. 그러나, 이들 산의 2 무수물은, 고순도로 제조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이 방법은 공업적으로는 극히 불리하며, 또 2, 2', 5, 5' - 테트라이소프로필디페닐메탄과 비스페놀 A 비스트리메리테이트 2 무수물만으로는 폴리이미드가 충분한 가요성을 가지고 있지 않는 것이 나타나 있다.
특개소 64-22963 호 공보에는, 디페닐술폰 - 3, 3', 4, 4' - 테트라카르복실산 2 무수물과 여러가지의 방향족 디아민으로 된 가용성의 폴리이미드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 폴리이미드는, 비교적 연화점이 높고, 또 용해성도 아미드계 용제 또는 페놀계 용제에 한하여져 있으며, 더우기 저농도에서도 고점성으로 되어서 가공성이 부족하다는 난점이 있다.
또, 실록산 골격을 함유하는 폴리이미드도 수많이 보고되어 있으나, 용해성 및 내열성 등의 면에서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폴리이미드는 얻지 못하였다.
그래서,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광범위한 유기용제에 용이하게 용해하는 동시에, 가공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신규인 폴리이미드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폴리이미드는 화학식(1a) 로 나타내는 구조 단위 및 화학식(1b) 으로 나타내는 구조단위 1 적어도 1 종과, 화학식(2a) 로 나타내는 구조단위 및, 화학식(2b) 로 나타내는 구조단위의 적어도 1 종을 함유, 수평균 분자량이 4,000 내지 200,000 의 것이다.
(식중, Ar 는 방향고리를 가지는 하기의 구조로부터 선택된 2 가의 기를 표시.
(식중, R 은 탄소수 1 내지 10 의 알킬렌기 또는 -CH2OC6H4- 를 표시함. n 은 1 내지 20 의 정수를 의미함.)
또, 본 발명의 폴리이미드는, 화학식 (3a) 및 화학식 (3b) 로 나타내는 테트라카르복실산 2 무수물의 적어도 1 종
과 화학식 (4)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 및 화학식 (5) 으로 나타내는 실록산계 화합물
Y - Ar - Y
(식중, Ar 는 상기한 것과 동의의를 가진다. Y 는 아미노기 또는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표시함.)
(식중, R 는 탄소수 1 내지 10 의 알킬렌기 또는 -CH2OC6H4-, Y 는 아미노기 또는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표시, n 는 1 내지 20 의 정수를 의미함.) 과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폴리이미드는, 바람직하게는, 화학식(1a) 로 나타내는 구조단위 및 화학식(1b) 로 나타내는 구조단위의 적어도 1 종을 95 내지 40 몰 % 함유하는 것이다. 이 경우, 화학식(1a) 로 나타내는 구조단위 및 화학식(1b) 로 나타내는 구조단위의 적어도 1 종이란 화학식(1a) 으로 나타내는 구조단위 단독으로 이룬 것, 화학식(1b) 으로 나타내는 구조단위 단독으로 이룬 것 및 양자의 구조단위로 이룬것의 어느 것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화학식 1a]
[화학식 1b]
(식중, Ar 는 상기한 것과 동의의를 가진다.)
또 본 발명의 폴리이미드는, 바람직하게는 화학식(2a) 로 나타내는 구조단위 및 화학식(2b) 로 나타내는 구조단위의 적어도 1 종을 5 내지 60 몰 % 함유하는 것이다. 이 경우, 화학식(2a) 로 나타내는 구조단위 및 화학식(2b) 로 나타내는 구조단위의 적어도 1 종이란, 화학식(2a) 로 나타내는 구조단위 단독으로 이룬 것, 화학식(2b) 로 나타내는 구조단위 단독으로 이룬 것 및, 양자의 구조단위로 이룬 것의 어느 것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화학식 2a]
[화학식 2b]
(식중, R 및 n 는, 상기한 것과 동의의를 가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폴리이미드는, 상기식 (1a) 로 나타내는 구조단위 및 화학식(1b) 으로 나타내는 구조단위의 적어도 1 종을 95 내지 40 몰 % 와, 화학식(2a) 로 나타내는 구조단위 및 상기식 (2b) 로 나타내는 구조단위의 적어도 1 종을 5 내지 60 몰 % 로 이루어지며, 수평균 분자량이 4,000 내지 200,000 인 폴리이미드이다.
본 발명의 폴리이미드에 있어서, 원료로서 사용하는 상기화학식(3a) 및 (3b) 으로 나타내는 테트라카르복실산 2 무수물은 각각 3, 3', 4, 4' - 디페닐술폰테트라카르복실산 2 무수물 및 에틸렌글리콜 비스트리메리테이트 2 무수물이다.
원료로서 사용하는 화학식(4)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로서는, Ar 은 상기한 방향고리를 가지는 구조에서 선택된 2 가의 기로 표시되는 것이며, 또 관능기 Y 가 아미노기인 디아민류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을 들 수가 있다. 3, 3' - 디아미노비페닐, 3, 4' - 디아미노비페닐, 4, 4' - 디아미노비페닐, 3, 3' - 디아미노디페닐메탄, 3, 3' - 디아미노디페닐메탄, 4, 4' - 디아미노디페닐메탄, 2, 2 - (3, 3' - 디아미노디페닐) 프로판, 2, 2 - (3, 4' - 디아미노디페닐) 프로판, 2, 2 - (4, 4' - 디아미노디페닐) 프로판, 2, 2 - (3, 3' - 디아미노디페닐) 헥사플루오로프로판, 2, 2 - (3, 4' - 디아미노디페닐) 헥사플루오로프로판, 2, 2 - (4, 4' - 디아미노디페닐) 헥사플루오로프로판, 3, 3' - 옥시디아닐린, 3, 4' - 옥시디아닐린, 4, 4' - 옥시디아닐린, 3, 3' - 디아미노디페닐술피이드, 3, 4' - 디아미노디페닐술피이드, 4, 4' - 디아미노디페닐술피드, 3, 3' - 디아미노디페닐술폰, 3, 4' - 디아미노디페닐술폰, 4, 4' - 디아미노디페닐술폰, 1, 3 - 비스 [1 - (3 - 아미노페닐) - 1 - 메틸에틸] 벤젠, 1, 3 - 비스 [1 - (4 - 아미노페닐) - 1 - 메틸에틸] 벤젠, 1, 4 - 비스 [1 - (3 - 아미노페닐) - 1 - 메틸에틸] 벤젠, 1, 4 - 비스 [1 - (4 - 아미노페닐) - 1 - 메틸에틸] 벤젠, 1, 3 - 비스 (3 - 아미노페녹시) 벤젠, 1, 3 - 비스 (4 - 아미노페녹시) 벤젠, 1, 4 - 비스 (3 - 아미노페녹시) 벤젠, 1, 4 - 비스 (4 - 아미노페녹시) 벤젠, 3, 3' - 비스 (3 - 아미노페녹시) 디페닐에테르, 3, 3' - 비스 (4 - 아미노페녹시) 디페닐에테르, 3, 4' - 비스 (3 - 아미노페녹시) 디페닐에테르, 3, 4' - 비스 (4 - 아미노페녹시) 디페닐에테르, 4, 4' - 비스 (3 - 아미노페녹시) 디페닐에테르, 4, 4' - 비스 (4 - 아미노페녹시) 디페닐에테르, 3, 3' - 비스 (3 - 아미노페녹시) 비페닐, 3, 3' - 비스 (4 - 아미노페녹시) 비페닐, 3, 4' - 비스 (3 - 아미노페녹시) 비페닐, 3, 4' - 비스 (4 - 아미노페녹시) 비페닐, 4, 4' - 비스 (3 - 아미노페녹시) 비페닐, 4, 4' - 비스 (4 - 아미노페녹시) 비페닐, 비스 [4 - (3 - 아미노페녹시) 페닐] 술폰, 비스 [4 - (4 - 아미노페녹시) 페닐] 술폰, 2, 2 - 비스 [3 - (3 - 아미노페녹시) 페닐] 프로판, 2, 2 - 비스 [3 - (4 - 아미노페녹시) 페닐] 프로판, 2, 2 - 비스 [4 - (3 - 아미노페녹시) 페닐] 프로판, 2, 2 - 비스 [4 - (4 - 아미노페녹시) 페닐] 프로판, 2, 2 - 비스 [3 - (3 - 아미노페녹시) 페닐] 헥사플루오로프로판, 2, 2 - 비스 [3 - (4 - 아미노페녹시) 페닐] 헥사플루오로프로판, 2, 2 - 비스 [4 - (3 - 아미노페녹시) 페닐] 헥사플루오로프로판, 2, 2 - 비스 [4 - (4 - 아미노페녹시) 페닐] 헥사플루오로프로판, 9, 9 - 비스 (3 - 아미노페닐) 플루오렌, 9, 9 - 비스 (4 - 아미노페닐) 플루오렌 등이다. 또 화학식(4) 로 나타내는 화합물에 있어서, 관능기 Y 는 이소시아네이트기인 디이소시아네이트류로서는, 상기에 예시한 디아민류에 있어서, [아미노] 를 [이소시아네이트] 로 치환한 것을 들 수 있다.
원료로서 사용하는 화학식(5)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에 있어서, 관능기 Y 가 아미노기인 디아민류로서는, 비스 (3 - 아미노프로필) 테트라메틸디실록산, 비스 (10 - 아미노데카메틸렌) 테트라메틸디실록산, 아미노프로필 말단의 디메틸실록산의 4 량체 및 8 량체, 비스 (3 - 아미노페녹시메틸) 테트라메틸디실록산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을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화학식(5)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에 있어서, 관능기 Y 가 이소시아네이트기인 디이소시아네이트류로서는, 상기에 예시한 디아민류에 있어서, 「아미노」를 「이소시아네이트」로 치환한 것을 들 수 있다.
화학식(4) 및 화학식(5) 로 나타내는 화합물에 있어서, 관능기 Y 가 이소시아네이트기인 디이소시아네이트류는, 상기에 예시한 대응하는 디아민을 상법에 의해 포스겐과 반응시킴으로서 용이하게 제조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이미드는 상기한 원료등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신규 폴리이미드로서, 수평균 분자량이 4,000 내지 200,000 의 범위인 것이 필요하며, 바람직하게는, 8,000 내지 100,000 의 범위의 것이다. 그의 수 평균분자량이 4,000 미만의 경우에는, 성막성이 불충분하며, 예컨대 막이 형성되어도 내열성 불량의 것이 된다. 한편, 수평균 분자량이 200,000 을 초과하여 큰 경우는 용제에 대한 용해성이 나쁘고, 또 가령 용제에 용해하여도 그의 용액의 점도가 높기 때문에 가공성이 곤란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수평균 분자량은 겔퍼메이션크로마토그래피 (GPC) 에 의해 측정한 값이며,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용리액으로 하여, 컬럼으로서 Shodex 80M ×2 를 사용하여 폴리스티렌 환산에 의해 산출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폴리이미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화학식(1a) 으로 나타내는 구조단위 및 화학식(1b) 으로 나타내는 구조단위의 적어도 1 종을 95 내지 40 몰 % 와 화학식(2a) 로 나타내는 구조단위 및 화학식(2b) 로 나타내는 구조단위 5 내지 60 몰 % 로 이루어진 공중합체이다. 이 공중합체에 있어서, 화학식(2a) 및 화학식(2b) 로 나타내는 구조단위의 몰비가, 5 몰 % 미만이면 용제에 의한 용해성이 나쁘고, 한편, 60 몰 % 보다 과잉이면, 형성된 수지막은 내열성이 불량한 것으로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폴리이미드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테트라카르복실산 2 무수물과 디아민을 원료로서 사용하는 폴리이미드의 제조방법으로서는, 이하의 방법이 있다. 즉 테트라카르복실산 2 무수물과 디아민과를 유기용매 중, 필요에 따라서, 트리부틸아민, 트리에틸아민, 아인산트리페닐 등의 촉매 (반응물의 20 중량부 이하) 의 존재하, 100 ℃ 이상, 바람직하게는 180 ℃ 이상으로 가열함으로써 직접 폴리이미드를 얻는 방법이 있다. 또 테트라카르복실산 2 무수물과 디아민과를 유기용매 중, 100 ℃ 이하로 반응시킴으로써, 폴리이미드의 전구체인 폴리아미드산을 얻은후, 필요에 따라서, p - 톨루엔술폰산 등의 탈수촉매 (테트라카르복실산 2 무수물의 1 내지 5 배 몰량) 을 가하고, 이어서, 이 용액을 가열하여 이미드화 반응을 행함으로써 폴리이미드를 제조하는 방법이 있다. 더우기, 상기한 폴리이미드산을, 무수아세트산, 무수프로피온산, 무수벤조산 등의 산무수물, 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등의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 등의 탈수폐환제와, 필요에 따라서 피리딘, 이소퀴놀린, 이미다졸, 트리에틸아민 등의 폐환촉매 (탈수폐환제 및 폐환촉매는 테트라카르복실산 2 무수물의 2 내지 10 배 몰량) 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100 ℃ 정도의 비교적 저온에서 폐환반응시키는 방법등이 있다.
상기의 반응에 사용하는 유기용매로서는, N - 메틸 - 2 - 피롤리돈, N, N - 디메틸아세토아미드, N, N -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 술포란, 헥사메틸인산트리아미드, 1, 3 - 디메틸 - 2 - 이미다졸리돈 등의 비프로톤성 극성용매, 페놀, 크레졸, 퀴시레놀, p - 클로로페놀 등의 페놀계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또 필요에 따라서 벤젠, 톨루엔, 퀴시렌, 메틸에틸케톤, 아세톤,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모노구라임, 디구라임, 메틸세로솔부, 세로솔부아세테이트,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 트리크렌, 니트로벤젠 등을 상기의 용매에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 원료로서, 테트라카르복실산 2 무수물과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는 경우는, 상기한 폴리이미드를 직접 얻는 방법에 준하여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때의 반응온도는 실온 이상, 특히 6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테트라카르복실산 2 무수물과 디아민 또는 디이소시아네이트를 등몰량으로 반응시킴으로써, 고중합도의 폴리이미드를 얻을 수가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 어느 것이나 한쪽을 10 몰 % 이하의 범위에서 과잉량 사용하여 폴리이미드를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얻어지는 폴리이미드는, N - 메틸 - 2 - 피롤리돈, N, N - 디메틸아세토아미드, N, N -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 술포란, 헥사메틸인산트리아미드, 1, 3 - 디메틸 - 2 - 이미다조리돈 등의 비프로톤성 극성용매, 페놀, 크레졸, 퀴시레놀, p - 클로로페놀 등의 페놀계 용매, 이소포론, 시클로헥사논, 칼비톨아세테이트, 디구라임,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의 광범한 유기용매에 가용이며, 또 400 ℃ 이상에 있어서 열분해 개시온도를 가지는 것이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교반기를 갖춘 플라스크에 3, 4' - 디아미노비페닐 12.34 g (67 밀리몰) 과 1, 3 - 비스 (3 - 아미노프로필) - 1, 1, 3, 3 - 테트라메틸디시록산 8.20 g (33 밀리몰) 과 3, 3', 4, 4' - 디페닐술폰테트라카르복실산 2 무수물 35.83 g (100 밀리몰) 및 N - 메틸 - 2 - 피롤리돈 300 ml 를 빙온하에 도입하여, 1 시간 교반을 계속하였다. 이어서, 이 용액을 실온에서 3 시간 반응시켜서 폴리아미드산을 합성하였다.
얻어진 폴리아미드 산에 50 ml 의 톨루엔과 1.0 g 의 p - 톨루엔술폰산을 더하여 160 ℃ 로 가열하고, 반응의 진행에 따라서 톨루엔과 공비시켜생긴 수분을 분리하면서, 3 시간 이미드화 반응을 행하였다. 그후 톨루엔을 유거하여, 얻어진 폴리이미드 와니스를 메탄올 중에 주입하여 얻어진 침전물을 분리, 분쇄, 세정 및 건조시키는 공정을 거침으로서, 상기한 식으로 나타내는 각 구조단위의 몰비가 [(1a) + (1b)] : [(2a) + (2b)] = 67 : 33 [(1a) : (1b) = 100 : 0, (2a) : (2b) = 100 : 0] 으로 표시되는 폴리이미드 50.0 g (수율 95 %) 를 얻었다.
얻어진 폴리이미드의 적외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한바, 1718 cm-1및 1783 cm-1에 전형적인 이미드의 흡수가 인정이 되었다. 또, 그 분자량 유리전이점 및 열분해 개시온도를 측정하였다. 그들의 결과를 표 1 에 표시함.
이 폴리이미드의 용해성은, 5 중량 % 의 농도로 실온에서 12 시간 방치후의 용해상태를 관찰함으로써 확인하였다. 그 결과, N - 메틸 - 2 - 피롤리돈, N, N - 디메틸아세토아미드, N, N -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 술포란, 헥사메틸인산트리아미드, 1, 3 - 디메틸 - 2 - 이미다졸리돈, 페놀, 크레졸, 퀴시레놀, p - 클로로페놀, 시클로헥사논, 카르비톨 아세테이트, 디그라임,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 (THF) 의 각 용매에 가용이였다.
이 폴리이미드를 THF 에 20 중량 % 의 농도가 되도록 용해시켜, 얻어진 와니스를 유리판상에 유연한 후, 100 ℃ 에서 10 분간 건조하면, 거의 무색 투명한 자립성의 강인한 필름을 얻었다. 이 폴리이미드필름의 가요성 시험을 행하기 위해, 필름을 180 °로 꺾어 구부린바, 필름은 쪼개어지는 일없이 양호한 가요성을 표시하였다.
실시예 2
4, 4' - 옥시디아닐린 13.41 g (67 밀리몰) 과, 1, 3 - 비스 (3 - 아미노프로필) - 1, 1, 3, 3 - 테트라메틸디실론산 8.20 g (33 밀리몰) 과 3, 3', 4, 4' - 디페닐술폰테트라카르복실산 2 무수물 35.83 g (100 밀리몰) 및 N - 메틸 - 2 - 피롤리돈 300 ml 를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의 방법으로 각 구조단위의 몰비가 [(1a) + (1b)] : [(2a) + (2b)] = 67 : 33 [(1a) : (1b) = 100 : 0, (2a) : (2b) = 100 : 0) 으로 표시되는 폴리이미드 51.0 g (수율 95 %) 를 얻었다.
얻어진 폴리이미드의 적외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한 바, 1718 cm-1및 1783 cm-1에 전형적인 이미드의 흡수가 인정되었다. 또 그의 분자량, 유리전이점 및 열분해 개시온도를 측정하였다. 그들의 결과를 표 1 에 표시함.
이 폴리이미드의 용해성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확인한 바, 이 폴리아미드는 실시예 1 에 기재의 것과 동일의 용매에 용해하였다.
이 폴리이미드를 THF 에 20 중량 % 의 농도가 되도록 용해시켜, 얻어진 와니스를 유리판상에 유연한 후, 100 ℃ 로 10 분간 건조하면, 거의 무색투명한 자립성의 강인한 필름을 얻었다. 이 폴리이미드 필름의 가요성 시험을 행하기 위해 필름을 180° 로 벤딩한바, 필름은 깨지는 일 없이 양호한 가요성을 표시하였다.
실시예 3
4, 4' - 디아미노디페닐메탄 13.29 g (67 밀리몰) 과 1, 3 - 비스 (3 - 아미노프로필) - 1, 1, 3, 3 - 테트라메틸디실록산 8.20 g (33 밀리몰) 과, 3, 3', 4, 4' - 디페닐술폰테트라카르복실산 2 무수물 35.83 g (100 밀리몰) 및 N - 메틸 - 2 - 피롤리돈 300 ml 를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의 방법으로, 각 구조단위의 몰비가 [(1a) + (1b)] : [(2a) + (2b)] = 67 : 33 [(1a) : (1b) = 100 : 0, (2a) : (2b) = 100 : 0] 으로 표시되는 폴리이미드 52.0 g (수율 97 %) 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이미드의 적외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한바, 1718 cm-1및 1783 cm-1에 전형적인 이미드의 흡수가 인정되었다. 또 그의 분자량, 유리전이점 및 열분해 개시온도를 측정하였다. 이들의 결과를 표 1 에 표시함.
이 폴리이미드의 용해성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확인한 바, 이 폴리이미드는 실시예 1 에 기재의 것과 동일의 용매에 용해하였다.
이 폴리이미드를 THF 에 20 중량 % 의 농도가 되도록 용해시켜, 얻어진 와니스를 유리판상으로 유연한 후, 100 ℃ 에서 10 분간 건조하면, 거의 무색투명한 자립성의 강인한 필름이 얻어졌다. 이 폴리이미드 필름의 가요성 시험을 행하기 위해, 필름을 180°로 벤딩을 한바, 필름은 깨지는 일없이 양호한 가요성을 표시하였다.
실시예 4
4, 4' - 디아미노디페닐술피드 14.49 g (67 밀리몰) 과 1, 3 - 비스 (3 - 아미노프로필) - 1, 1, 3, 3 - 테트라메틸디실록산 8.20 g (33 밀리몰) 과, 3, 3', 4, 4' - 디페닐술폰테트라카르복실산 2 무수물 35.83 g (100 밀리몰) 및 N - 메틸 - 2 - 피롤리돈 300 ml 를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의 방법으로 각 구조단위의 몰비가 [(1a) + (1b)] : [(2a) + (2b)] = 67 : 33 [(1a) : (1b) = 100 : 0, (2a) : (2b) = 100 : 0] 으로 표시되는 폴리이미드 51.0 g (수율 93 %) 를 얻었다.
얻어진 폴리이미드의 적외 흡수스펙트럼을 측정한바 1718 cm-1및 1780 cm-1로 전형적인 이미드의 흡수가 인정이 되었다. 또, 그의 분자량, 유리전이점 및 열분해 개시온도를 측정하였다. 그들의 결과를 표 1 에 표시함.
이 폴리이미드의 용해성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확인한 바, 이 폴리아미드는 실시예 1 에 기재의 것과 동일의 용매에 용해하였다.
이 폴리이미드를 THF 에 20 중량 % 의 농도가 되도록 용해시켜, 얻어진 와니스를 유리판상으로 유연한 후, 100 ℃ 에서 10 분간 건조하면 거의 무색 투명한 자립성의 강인한 필름을 얻었다. 이 폴리이미드 필름의 가요성 시험을 행하기 위해, 필름을 180°로 벤딩한다. 필름은 깨지는 일없이 양호한 가요성을 표시하였다.
실시예 5
3, 3' - 디아미노디페닐술폰 16.64 g (67 밀리몰) 과 1, 3 - 비스 (3 - 아미노프로필) - 1, 1, 3, 3 - 테트라메틸디실록산 8.20 g (33 밀리몰) 과, 3, 3', 4, 4' - 디페닐술폰테트라카르복실산 2 무수물 35.83 g (100 밀리몰) 및 N - 메틸 - 2 - 피롤리돈 300 ml 를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의 방법으로, 각 구조단위의 몰비가 [(1a) + (1b)] : [(2a) + (2b)] = 67 : 33 [(1a) : (1b) = 100 : 0, (2a) : (2b) = 100 : 0] 으로 표시되는 폴리이미드 51.5 g (수율 90 %) 를 얻었다.
얻어진 폴리이미드의 적외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한 바, 1715 cm-1및 1783 cm-1에 전형적인 이미드의 흡수가 인정되었다. 또 그의 분자량, 유리전이점 및 열분해 개시온도를 측정하였다. 그들의 결과를 표 1 에 표시함.
이 폴리이미드와 용해성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확인한바, 이 폴리아미드는 실시예 1 에 기재의 것과 동일한 용매로 용해하였다.
이 폴리이미드를 THF 에 20 중량 % 의 농도가 되도록 용해시켜, 얻어진 와니스를 유리판상으로 유연한 후, 100 ℃ 에서 10 분간 건조하면, 거의 무색 투명한 자립성의 강인한 필름을 얻었다. 이 폴리이미드 필름의 가요성시험을 행하기 위해, 필름을 180°에 벤딩한 바, 필름을 깨지는 일 없이 양호한 가요성을 표시하였다.
실시예 6
2, 2 - 비스 (4 - 아미노페닐) 프로판 15.16 g (67 밀리몰) 와 1,3 - 비스 (3 - 아미노프로필) - 1, 1, 3, 3 - 테트라메틸디실록산 8.20 g (33 밀리몰) 과 3, 3', 4, 4' - 디페닐술폰테트라카르복실산 2 무수물 35.83 g (100 밀리몰) 및 N - 메틸 - 2 - 피롤리돈 300 ml 를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의 방법으로, 각 구조단위의 몰비가 [(1a) + (1b)] : [(2a) + (2b)] = 67 : 33 [(1a) : (1b) = 100 : 0 , (2a) : (2b) = 100 : 0] 으로 표시되는 폴리이미드 54.0 g (수율 97 %) 를 얻었다.
얻어진 폴리이미드의 적외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한바, 1718 cm-1및 1783 cm-1로 전형적인 이미드의 흡수가 인정이 되었다. 또 그의 분자량, 유리전이점 및 열분해 개시온도를 측정하였다. 그들의 결과를 표 1 에 표시함.
이 폴리이미드의 용해성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확인한 바, 이 폴리이미드는 실시예 1 에 기재의 것과 동일의 용매에 용해하였다.
이 폴리이미드를 THF 에 20 중량 % 의 농도가 되도록 용해시켜, 얻어진 와니스를 유리판상으로 유연한 후, 100 ℃ 에서 10 분간 건조하면, 거의 무색투명한 자립성의 강인한 필름을 얻었다. 이 폴리이미드 필름의 가요성 시험을 행하기 위해서는, 필름을 180°로 벤딩한바, 필름을 깨지는 일없이 양호한 가요성을 표시하였다.
실시예 7
2, 2 - 비스 (4 - 아미노페닐) 헥사플루오로프로판 22.40 g (67 밀리몰) 과, 1, 3 - 비스 (3 - 아미노프로필) - 1, 1, 3, 3 - 테트라메틸디실록산 8.20 g (33 밀리몰) 과 3, 3', 4, 4' - 디페닐술폰테트라카르복실산 2 무수물 35.83 g (100 밀리몰) 및 N - 메틸 - 2 - 피롤리돈 300 ml 를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의 방법으로 각 구조단위의 몰비가 [(1a) + (1b)] : [(2a) + (2b)] = 67 : 33 [(1a) : (1b) = 100 : 0, (2a) : (2b) = 100 : 0] 으로 표시되는 폴리이미드 60.0 g (수율 95 %) 를 얻었다.
얻어진 폴리이미드의 적외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한바, 1721 cm-1및 1783 cm-1로 전형적인 이미드의 흡수가 인정되었다. 또, 그의 분자량, 유리전이점 및 열분해 개시온도를 측정하였다. 그들의 결과를 표 1 에 표시함.
이 폴리이미드의 용해성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확인한 바, 이 폴리아미드는 실시예 1 에 기재의 것과 동일의 용매에 용해하였다.
이 폴리이미드를 THF 에 20 중량 % 의 농도가 되도록 용해시켜, 얻어진 와니스를 유리판상으로 유연한 후, 100 ℃ 에서 10 분간 건조하면 거의 무색 투명한 자립성의 강인한 필름을 얻었다. 이 폴리이미드 필름의 가요성 시험을 행하기 위해, 필름을 180°로 벤딩한 바, 필름은 깨지는 일없이 양호한 가요성을 표시하였다.
실시예 8
1, 4 - 비스 (4 - 아미노페녹시) 벤젠 19.58 g (67 밀리몰) 과, 1, 3 - 비스 (3 - 아미노프로필) - 1, 1, 3, 3 - 테트라메틸디실록산 8.20 g (33 밀리몰) 과, 3, 3', 4, 4' - 디페닐술폰테트라카르복실산 2 무수물 35.83 g (100 밀리몰) 및 N - 메틸 - 2 - 피롤리돈 300 ml 를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의 방법으로, 각 구조단위의 몰비가 [(1a) + (1b)] : [(2a) + (2b)] = 67 : 33 [(1a) : (1b) = 100 : 0 , (2a) : (2b) = 100 : 0] 으로 표시되는 폴리이미드 58.0 g (수율 97 %) 를 얻었다.
얻어진 폴리이미드의 적외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한 바, 1718 cm-1및 1780 cm-1에 전형적인 이미드의 흡수가 인정되었다. 또 그의 분자량, 유리전이점 및 열분해 개시온도를 측정하였다. 그들의 결과를 표 1 에 표시함.
이 폴리이미드의 용해성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확인한 바, 이 폴리이미드는 실시예 1 에 기재의 것과 동일의 용매에 용해하였다.
이 폴리이미드를 THF 에 20 중량 % 의 농도가 되도록 용해시켜, 얻어진 와니스를 유리판상에 유연한 후, 100 ℃ 에서 10 분간 건조하면, 거의 무색투명한 자립성의 강인한 필름이 얻어진다. 이 폴리이미드 필름의 가요성 시험을 행하기 위해, 필름을 180°로 벤딩한바, 필름은 깨지는 일 없이 양호한 가요성을 표시하였다.
실시예 9
1, 3 - 비스 (4 - 아미노페녹시) 벤젠 19.58 g (67 밀리몰) 과 1, 3 - 비스 (3 - 아미노프로필) - 1, 1, 3, 3 - 테트라메틸디실록산 8.20 g (33 밀리몰) 과 3, 3', 4, 4' - 디페닐술폰테트라카르복실산 2 무수물 35.83 g (100 밀리몰) 및 N - 메틸 - 2 - 피롤리돈 300 ml 를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의 방법으로, 각종 구조단위의 몰비가 [(1a) + (1b)] : [(2a) + (2b)] = 67 : 33 [(1a) : (1b) = 100 : 0, (2a) : (2b) = 100 : 0] 으로 폴리이미드 58.0 g (수율 97 %) 를 얻었다.
얻어진 폴리이미드의 적외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한 바, 1718 cm-1및 1780 cm-1에 전형적인 이미드의 흡수가 인정되었다. 또 그의 분자량, 유리전이점 및 열 분해개시온도를 측정하였다. 그들의 결과를 표 1 에 표시.
이 폴리이미드의 용해성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확인한 바, 이 폴리이미드는 실시예 1 에 기재의 것과 동일의 용매에 용해하였다.
이 폴리이미드를 THF 에 20 중량 % 의 농도가 되도록 용해시켜서 얻어진 와니스를 유리판상에 유연한 후, 100 ℃ 에서 10 분간 건조하면 거의 무색 투명한 자립성의 강인한 필름을 얻었다. 이 폴리이미드 필름의 가요성 시험을 행하기 위해서 필름을 180 °로 벤딩한 바 필름은 깨지는 일 없이 양호한 가요성을 표시하였다.
실시예 10
1, 3 - 비스 (4 - 아미노페닐) - 1 - 메틸에틸] 벤젠 23.08 g (67 밀리몰) 과 1, 3 - 비스 (3 - 아미노프로필) - 1, 1, 3, 3 - 테트라메틸디실록산 8.20 g (33 밀리몰) 와 3, 3', 4, 4' - 디페닐술폰테트라카르복실산 2 무수물 35.83 g (100 밀리몰) 및 N - 메틸 - 2 - 피롤리돈 300 ml 를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의 방법으로, 각 구조단위의 몰비가 [(1a) + (1b)] : [(2a) + (2b)] = 67 : 33 [(1a) : (1b) = 100 : 0, (2a) : (2b) = 100 : 0] 으로 표시되는 폴리이미드 62.5 g (수율 98 %) 를 얻었다.
얻어진 폴리이미드의 적외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한 바, 1718 cm-1및 1783 cm-1에 전형적인 이미드의 흡수가 인정되었다. 또 그의 분자량, 유리전이점 및 열분해 개시온도를 측정하였다. 그들의 결과를 표 1 에 표시함.
이 폴리이미드의 용해성을 실시예 1 과 동일의 방법으로 확인한 바, 이 폴리이미드는 실시예 1 에 기재의 것과 동일의 용매에 용해하였다.
이 폴리이미드를 THF 에 20 중량 % 의 농도로 되도록 용해시켜, 얻어진 와니스를 유리판상에 유연한 후, 100 ℃ 에서 10 분간 건조하면, 거의 무색투명한 자립성의 강인한 필름을 얻었다. 이 폴리이미드 필름의 가요성 시험을 행하기 때문에, 필름을 180°로 벤딩한 바, 필름은 깨지는 것이 없이 양호한 가요성을 표시하였다.
실시예 11
비스 (4 - 아미노페녹시) 비페닐 24.68 g (67 밀리몰) 과 1, 3 - 비스 (3 - 아미노프로필) - 1, 1, 3, 3 - 테트라메틸디실록산 8.20 g (33 밀리몰) 과 3, 3', 4, 4' - 디페닐술폰테트라카르복실산 2 무수물 35.83 g (100 밀리몰) 및 N - 메틸 - 2 - 피롤리돈 300 ml 를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의 방법으로, 각 구조단위의 몰비가 [(1a) + (1b)] : [(2a) + (2b)] = 67 : 33 [(1a) : (1b) = 100 : 0, (2a) : (2b) = 100 : 0] 으로 표시되는 폴리이미드 64.0 g (수율 98 %) 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이미드의 적외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한바, 1718 cm-1및 1780 cm-1에 전형적인 이미드의 흡수가 인정이 되었다. 또 그의 분자량, 유리전이점 및 열분해 개시온도를 측정하였다. 그들의 결과를 표 1 에 표시함.
이 폴리이미드의 용해성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확인한 바, 이 폴리아미드는 실시예 1 에 기재의 것과 동일의 용매에 용해하였다.
이 폴리이미드를 THF 에 20 중량 % 의 농도가 되도록 용해시켜, 얻어진 와니스를 유리판상에 유연한 후, 100 ℃ 에서 10 분간 건조하면 거의 무색투명한 자립성의 강인한 필름이 얻어진다. 이 폴리이미드 필름의 가요성 시험을 행하기 위해, 필름을 180°에 벤딩한 바, 필름은 깨지는 것없이 양호한 가요성을 표시하였다.
실시예 12
비스 (4 - 아미노페녹시) 디페닐에테르 25.75 g (67 밀리몰) 와 1, 3 - 비스 (3 - 아미노프로필) - 1, 1, 3, 3 - 테트라메틸디실록산 8.20 g (33 밀리몰) 과, 3, 3', 4, 4' - 디페닐술폰테트라카르복실산 2 무수물 35.83 g (100 밀리몰) 및 N - 메틸 - 2 - 피롤리돈 300 ml 를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의 방법으로, 각 구조단위의 몰비가 [(1a) + (1b)] : [(2a) + (2b)] = 67 : 33 [(1a) : (1b) = 100 : 0, (2a) : (2b) = 100 : 0] 으로 표시되는 폴리이미드 64.0 g (수율 97 %) 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이미드의 적외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한 바, 1718 cm-1및 1783 cm-1에 전형적인 이미드의 흡수가 인정되었다. 또 그의 분자량, 유리전이점 및 열분해 개시온도를 측정하였다. 그들의 결과를 표 1 에 표시함.
이 폴리이미드의 용해성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확인한 바, 이 폴리아미드는 실시예 1 에 기재의 것과 동일의 용매에 용해하였다.
이 폴리이미드를 THF 에 20 중량 % 의 농도로 되도록 용해시켜, 얻어진 와니스를 유리판상에 유연한 후, 100 ℃ 에서 10 분간 건조하면, 거의 무색 투명한 자립성의 강인한 필름이 얻어졌다. 이 폴리이미드 필름의 가요성 시험을 행하기 위해, 필름을 180°벤딩한 바, 필름은 깨지는 일없이 양호한 가요성을 표시하였다.
실시예 13
비스 [4 - (4 - 아미노페녹시) 페닐] 술폰 28.98 g (67 밀리몰) 과 1, 3 - 비스 (3 - 아미노프로필) - 1, 1, 3, 3 - 테트라메틸디실록산 8.20 g (33 밀리몰) 과 3, 3', 4, 4' - 디페닐술폰테트라카르복실산 2 무수물 35.83 g (100 밀리몰) 및 N - 메틸 - 2 - 피롤리돈 300 ml 를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의 방법으로, 각 구조단위의 몰비가 [(1a) + (1b)] : [(2a) + (2b)] = 67 : 33 [(1a) : (1b) = 100 : 0, (2a) : (2b) = 100 : 0] 으로 표시되는 폴리이미드 65.0 g (수율 94 %) 를 얻었다.
얻어진 폴리이미드의 적외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한 바, 1719 cm 및 1785 cm-1에 전형적인 이미드의 흡수가 인정되었다. 또, 그의 분자량, 유리전이점 및 열분해개시온도를 측정하였다. 그들의 결과를 표 1 에 표시함.
이 폴리이미드의 용해성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확인한 바, 이 폴리아미드는 실시예 1 에 기재의 것과 동일의 용매에 용해하였다.
이 폴리이미드를 THF 로 20 중량 % 의 농도가 되도록 용해시켜, 얻어진 와니스를 유리판상으로 유연한 후, 100 ℃ 에서 10 분간 건조하면, 거의 무색투명한 다립성의 강인한 필름을 얻었다. 이 폴리이미드 필름의 가요성 시험을 행하기 위해, 필름을 180°로 벤딩한 바, 필름은 깨지는 일 없이 양호한 가요성을 표시하였다.
실시예 14
2, 2 - 비스 [4 - (4 - 아미노페녹시) 페닐] 프로판 27.50 g [67 밀리몰) 과 1, 3 비스 (3 - 아미노프로필) - 1, 1, 3, 3 - 테트라메틸디실록산 8.20 g (33 밀리몰) 과 3, 3', 4, 4' - 디페닐술폰테트라카르복실산 2 무수물 35.83 g (100 밀리몰) 및 N - 메틸 - 2 - 피롤리돈 300 ml 를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의 방법으로 각 구조단위의 몰비가 [(1a) + (1b)] : [(2a) + (2b)] = 67 : 33 [(1a) : (1b) = 100 : 0, (2a) : (2b) = 100 : 0] 으로 표시되는 폴리이미드 65.0 g (수율 96 %) 를 얻었다.
얻어진 폴리이미드의 적외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한 바, 1720 cm-1및 1783 cm-1에 전형적인 이미드의 흡수가 인정되었다. 또, 그의 분자량, 유리전이점 및 열분해 개시온도를 측정하였다. 그들의 결과를 표 1 에 표시함.
이 폴리이미드의 용해성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확인한 바, 이 폴리아미드는 실시예 1 에 기재의 것과 동일의 용매에 용해하였다.
이 폴리이미드를 THF 로 20 중량 % 의 농도가 되도록 용해시켜, 얻어진 와니스를 유리판상에 유연한 후, 100 ℃ 에서 10 분간 건조하면, 거의 무색투명한 자립성의 강인한 필름을 얻었다. 이 폴리이미드 필름의 가요성 시험을 행하기 위해, 필름을 180°로 벤딩한 바, 필름은 깨지는 일 없이 양호한 가요성을 표시하였다.
실시예 15
2, 2 - 비스 [4 - (4 - 아미노페녹시) 페닐] 헥사플루오로프로판 34.74 g (67 밀리몰) 과, 1,3 - 비스 (3 - 아미노프로필) - 1, 1, 3, 3 - 테트라메틸디실록산 8.20 g (33 밀리몰) 과 3, 3', 4, 4' - 디페닐술폰테트라카르복실산 2 무수물 35.83 g (100 밀리몰) 및 N - 메틸 - 2 - 피롤리돈 300 ml 를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의 방법으로, 각 구조단위의 몰비가 [(1a) + (1b)] : [(2a) + (2b)] = 67 : 33 [(1a) : (1b) = 100 : 0, (2a) : (2b) = 100 : 0] 로 표시되는 폴리이미드 74.0 g (수율 98 %) 를 얻었다.
얻어진 폴리이미드의 적외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한 바, 1715 cm-1및 1786 cm-1에 전형적인 이미드의 흡수가 인정되었다. 또 그의 분자량, 유리전이점 및 열분해 개시온도를 측정하였다. 그들의 결과를 표 1 에 표시함.
이 폴리이미드의 용해성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확인한 바, 이 폴리이미드는 실시예 1 에 기재의 것과 동일의 용매에 용해하였다.
이 폴리이미드를 THF 에 20 중량 % 의 농도가 되도록 용해시켜, 얻어진 와니스를 유리판상에 유연한 후, 100 ℃ 에서 10 분간 건조하면, 거의 무색투명한 자립성의 강인한 필름을 얻었다. 이 폴리이미드 필름의 가요성 시험을 행하기 위해, 필름을 180°로 벤딩한바, 필름은 깨지는 일 없이 양호한 가요성을 표시하였다.
실시예 16
9, 9 - 비스 (4 - 아미노페녹시) 플루오렌 23.35 g (67 밀리몰) 과 1, 3 - 비스 (3 - 아미노프로필) - 1, 1, 3, 3 - 테트라메틸디실록산 8.20 g (33 밀리몰) 과 3, 3', 4, 4' - 디페닐술폰테트라카르복실산 2 무수물 35.83 g (100 밀리몰) 및 N - 메틸 - 2 - 피롤리돈 300 ml 를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의 방법으로, 각 구조단위의 몰비가 [(1a) + (1b)] : [(2a) + (2b)] = 67 : 33 [(1a) : (1b) = 100 : 0, (2a) : (2b) = 100 : 0] 으로 표시되는 폴리이미드 60.5 g (수율 95 %) 를 얻었다.
얻어진 폴리이미드의 적외 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한다. 1720 cm-1및 1780 cm-1로 전형적인 이미드의 흡수가 인정되었다. 또 그의 분자량, 유리전이점 및 열분해 개시온도를 측정하였다. 그들의 결과를 표 1 에 표시함.
이 폴리이미드의 용해성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확인한 바, 이 폴리이미드는 실시예 1 에 기재의 것과 동일의 용매에 용해하였다.
이 폴리이미드를 THF 에 20 중량 % 의 농도가 되도록 용해시켜, 얻어진 와니스를 유리판상에 유연한 후, 100 ℃ 에서 10 분간 건조하면, 거의 무색투명한 자립성의 강인한 필름을 얻었다. 이 폴리이미드 필름의 가요성 시험을 행하기 위해, 필름을 180°로 벤딩한 바, 필름은 깨지는 일 없이 양호한 가요성을 표시하였다.
실시예 17
3, 4' - 디아미노비페닐 13.82 g (75 밀리몰) 과, 1, 3 - 비스 (3 - 아미노프로필) - 1, 1, 3, 3 - 테트라메틸디실록산 6.21 g (25 밀리몰) 과 에틸렌글리콜 비스 트리메리테이트 2 무수물 41.03 g (100 밀리몰) 및 N - 메틸 - 2 - 피롤리돈 300 ml 를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각 구조단위의 몰비가 [(1a) + (1b)] : [(2a) + (2b)] = 75 : 25 [(1a) : (1b) = 0 : 100, (2a) : (2b) = 0 : 100] 로 표시되는 폴리이미드 54.0 g (수율 94 %) 를 얻었다.
얻어진 폴리이미드의 적외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한 바, 1718 cm-1및 1783 cm-1로 전형적인 이미드의 흡수가 인정되었다. 또 그의 분자량 유리 전이점 및 열분해 개시온도를 측정하였다. 이들의 결과를 표 1 에 표시함.
이 폴리이미드의 용해성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확인한 바, 이 폴리아미드는 실시예 1 에 기재의 것과 동일의 용매에 용해하였다. 이 폴리이미드를 THF 에 20 중량 % 의 농도가 되도록 용해시켜 얻어진 와니스를 유리판상에 유연한 후, 100 ℃ 에서 10 분간 건조하면, 거의 무색 투명한 자립성의 강인한 필름을 얻었다. 이 폴리이미드 필름의 가요성 시험을 행하기 위해, 필름을 180°로 벤딩한 바, 필름은 깨지는 일 없이 양호한 가요성을 표시하였다.
실시예 18
4, 4' - 옥시다아닐린 15.02 g (75 밀리몰) 과 1, 3 - 비스 (3 - 아미노프로필) - 1, 1, 3, 3 - 테트라메틸디실록산 6.21 g (25 밀리몰) 과 에틸렌글리콜 피스트리메리테이트 2 무수물 41.03 g (100 밀리몰) 및 N - 메틸 - 2 - 피롤리돈 300 ml 를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의 방법으로, 각 구조단위의 몰비가 [(1a) + (1b)] : [(2a) + (2b)] = 75 : 25 [(1a) : (1b) = 0 : 100, (2a) : (2b) = 0 : 100] 로 표시되는 폴리이미드 52.0 g (수율 89 %) 를 얻었다.
얻어진 폴리이미드의 적외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한 바, 1718 cm-1및 1783 cm-1로 전형적인 이미드의 흡수가 인정되었다. 또, 그의 분자량, 유리전이점 및 열분해 개시온도를 측정하였다. 그들의 결과를 표 1 에 표시함.
이 폴리이미드의 용해성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확인한 바, 이 폴리아미드는 실시예 1 에 기재의 것과 동일의 용매에 용해하였다.
이 폴리이미드를 THF 에 20 중량 % 의 농도로 되도록 용해시켜 얻어진 와니스를 유리판상으로 유연한 후, 100 ℃ 에서 10 분간 건조하면, 거의 무색 투명한 자립성의 강인한 필름을 얻었다. 이 폴리이미드 필름의 가요성 시험을 행하기 위해, 필름을 180°로 벤딩을 한 바, 필름은 깨지지 않고 양호한 가요성을 표시하였다.
실시예 19
4, 4' - 디아미노디페닐메탄 14.87 g (75 밀리몰) 과 1, 3 - 비스 (3 - 아미노프로필) - 1, 1, 3, 3 - 테트라메틸디실록산 6.21 g (25 밀리몰) 과 에틸렌글리코올비스트리메리테이트 2 무수물 41.03 g (100 밀리몰) 및 N - 메틸 - 2 - 피롤리돈 300 ml 를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의 방법으로, 각 구조단위의 몰비가 [(1a) + (1b)] : [(2a) + (2b)] = 75 : 25 [(1a) : (1b) = 0 : 100, (2a) : (2b) = 0 : 100] 로 표시되는 폴리이미드 55.0 g (수율 94 %) 를 얻었다.
얻어진 폴리이미드의 적외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한 바, 1718 cm-1및 1783 cm-1로 전형적인 이미드의 흡수가 인정되었다. 또 그의 분자량, 유리전이점 및 열분해 개시온도를 측정하였다. 그들의 결과를 표 1 에 표시함.
이 폴리이미드의 용해성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확인한 바, 이 폴리아미드는 실시예 1 에 기재의 것과 동일의 용매에 용해하였다.
이 폴리이미드를 THF 에 20 중량 % 의 농도가 되도록 용해시켜, 얻어진 와니스를 유리판상으로 유연한 후, 100 ℃ 에서 10 분간 건조하면 거의 무색 투명한 자립성의 강인한 필름을 얻었다. 이 폴리이미드 필름의 가요성 시험을 행하기 때문에, 필름을 180°로 벤딩한 바, 필름은 깨지는 일 없이 양호한 가요성을 표시하였다.
실시예 20
4, 4' - 디아미노디페닐술피이드 16.22 g (75 밀리몰) 과 1, 3 - 비스 (3 - 아미노프로필) - 1, 1, 3, 3 - 테트라메틸디실록산 6.21 g (25 밀리몰) 과 에틸렌글리코올 비스트리메리테이트 2 무수물 41.03 g (100 밀리몰) 및 N - 메틸 - 2 - 피롤리돈 300 ml 를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의 방법으로, 각 구조단위의 몰비가 [(1a) + (1b)] : [(2a) + (2b)] = 75 : 25 [(1a) : (1b) = 0 : 100, (2a) : (2b) = 0 : 100] 로 표시되는 폴리이미드 54.0 g (수율 90 %) 를 얻었다.
얻어진 폴리이미드의 적외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한 바, 1718 cm-1및 1780 cm-1로 전형적인 이미드의 흡수가 인정되었다. 또 그의 분자량, 유리전이점 및 열분해개시온도를 측정하였다. 그들의 결과를 표 1 에 표시함.
이 폴리이미드의 용해성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확인한 바, 이 폴리아미드는 실시예 1 에 기재의 것과 동일의 용매에 용해하였다.
이 폴리이미드를 THF 에 20 중량 % 의 농도가 되도록 용해시켜, 얻어진 와니스를 유리판상으로 유연한 후, 100 ℃ 에서 10 분간 건조하면, 거의 무색투명한 자립성의 강인한 필름을 얻었다. 이 폴리이미드 필름의 가요성 시험을 행하기 위해, 필름을 180°에 벤딩한 바, 필름은 깨지는 일없이 양호한 가요성을 표시하였다.
실시예 21
3, 3' - 디아미노디페닐술폰 18.63 g (75 밀리몰) 과 1, 3 - 비스 (3 - 아미노프로필) - 1, 1, 3, 3 - 테트라메틸디실록산 6.21 g (25 밀리몰) 과 에틸렌글리코올 비스트리메리테이트 2 무수물 41.03 g (100 밀리몰) 및 N - 메틸 - 2 - 피롤리돈 300 ml 를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의 방법으로, 각 구조단위의 몰비가 [(1a) + (1b)] : [(2a) + (2b)] = 75 : 25 [(1a) : (1b) = 0 : 100, (2a) : (2b) = 0 : 100] 로 표시되는 폴리이미드 55.5 g (수율 89 %) 를 얻었다. 얻어진 폴리이미드의 적외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한 바, 1715 cm-1및 1783 cm-1로 전형적인 이미드의 흡수가 인정되었다. 또 그의 분자량, 유리전이점 및 열분해 개시온도를 측정하였다. 그들의 결과를 표 1 에 표시함.
이 폴리이미드의 용해성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확인한 바, 이 폴리아미드는 실시예 1 에 기재한 것과 동일의 용매에 용해하였다.
이 폴리이미드를 THF 에 20 중량 % 의 농도가 되도록 용해시켜, 얻어진 와니스를 유리판상으로 유연한 후, 100 ℃ 로 10 분간 건조하면, 거의 무색투명한 자립성의 강인한 필름을 얻었다. 이 폴리이미드는 필름에 가요성 시험을 행하기 위해, 필름을 180°로 벤딩한 바, 필름은 깨지는 일 없이 양호한 가요성을 표시하였다.
실시예 22
2, 2 - 비스 (4 - 아미노페닐) 프로판 16.97 g (75 밀리몰) 과 1, 3 - 비스 (3 - 아미노프로필) - 1, 1, 3, 3 - 테트라메틸디실록산 6.21 g (25 밀리몰) 과 에틸렌글리콜비스트리메리테이트 2 무수물 41.03 g (100 밀리몰) 및 N - 메틸 - 2 - 피롤리돈 300 ml 를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의 방법으로, 각 구조단위의 몰비가 [(1a) + (1b)] : [(2a) + (2b)] = 75 : 25 [(1a) : (1b) = 0 : 100, (2a) : (2b) = 0 : 100] 로 표시되는 폴리이미드 57.0 g (수율 94 %) 를 얻었다.
얻어진 폴리이미드의 적외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한 바, 1718 cm-1및 1783 cm-1로 전형적인 이미드의 흡수가 인정되었다. 또, 그의 분자량, 유리전이점 및 열분해개시온도를 측정하였다. 그들의 결과를 표 1 에 표시함.
이 폴리이미드의 용해성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확인한 바, 이 폴리아미드는 실시예 1 에 기재한 것과 동일의 용매에 용해하였다.
이 폴리이미드를 THF 에 20 중량 % 의 농도가 되도록 용해시켜, 얻어진 와니스를 유리판상에 유연한 후, 100 ℃ 에서 10 분간 건조하면, 거의 무색투명한 자립성의 강인한 필름을 얻었다. 이 폴리이미드 필름의 가요성 시험을 행하기 위해, 필름을 180°로 벤딩을 한 바, 필름은 깨어지는 일 없이 양호한 가요성을 표시하였다.
실시예 23
2, 2 - 비스 (4 - 아미노페닐) 헥사플루오로프로판 25.07 g (75 밀리몰) 과 1, 3 - 비스 (3 - 아미노프로필) - 1, 1, 3, 3 - 테트라메틸디실록산 6.21 g (25 밀리몰) 과 에틸렌글리콜비스트리메리테이트 2 무수물 41.03 g (100 밀리몰) 및 N - 메틸 - 2 - 피롤리돈 300 ml 를 사용, 실시예 1 과 동일의 방법으로 각 구조단위의 몰비가 [(1a) + (1b)] : [(2a) + (2b)] = 75 : 25 [(1a) : (1b) = 100 : 0, (2a) : (2b) = 100 : 0] 로 표시되는 폴리이미드 67.0 g (수율 98 %) 를 얻었다.
얻어진 폴리이미드의 적외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한 바, 1721 cm-1및 1783 cm-1로 전형적인 이미드의 흡수가 인정되었다. 또, 그의 분자량, 유리전이점 및 열분해개시온도를 측정하였다. 그들의 결과를 표 1 에 표시함.
이 폴리이미드의 용해성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확인한 바, 이 폴리아미드는 실시예 1 에 기재의 것과 동일의 용매에 용해하였다.
이 폴리이미드를 THF 에 20 중량 % 의 농도가 되도록 용해시켜, 얻어진 와니스를 유리판상에 유연한 후, 100 ℃ 에서 10 분간 건조하면, 거의 무색투명한 자립성의 강인한 필름을 얻었다. 이 폴리이미드 필름의 가요성 시험을 행하기 위해, 필름을 180°로 벤딩을 한 바, 필름은 깨지는 일이 없이 양호한 가요성을 표시하였다.
실시예 24
1, 4 - 비스 (4 - 아미노페녹시) 벤젠 21.92 g (75 밀리몰) 과, 1, 3 - 비스 (3 - 아미노프로필) - 1, 1, 3, 3 - 테트라메틸디실록산 6.21 g (25 밀리몰) 과 에틸렌글리콜 비스트리메리테이트 2 무수물 41.03 g (100 밀리몰) 및 N - 메틸 - 2 - 피롤리돈 300 ml 를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의 방법으로, 각 구조 단위의 몰비가 [(1a) + (1b)] : [(2a) + (2b)] = 75 : 25 [(1a) : (1b) = 0 : 100, (2a) : (2b) = 0 : 100] 로 표시되는 폴리이미드 62.0 g (수율 95 %) 를 얻었다.
얻어진 폴리이미드의 적외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한 바, 1718 cm-1및 1780 cm-1로 전형적인 이미드의 흡수가 인정되었다. 또 그의 분자량, 유리전이점 및 열분해 개시온도를 측정하였다. 그들의 결과를 표 1 에 표시함.
이 폴리이미드의 용해성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확인한 바, 이 폴리아미드는 실시예 1 에 기재의 것과 동일의 용매에 용해하였다.
이 폴리이미드를 THF 에 20 중량 % 의 농도가 되도록 용해시켜, 얻어진 와니스를 유리판상에 유연한 후, 100 ℃ 에서 10 분간 건조하면, 거의 무색투명한 자립성의 강인한 필름이 얻어졌다. 이 폴리이미드 필름의 가요성 시험을 행하기 위해, 필름을 180°에 벤딩한 바, 필름은 깨지는 것 없이 양호한 가요성을 표시하였다.
실시예 25
1, 3 - 비스 (4 - 아미노페녹시) 벤젠 21.92 g (75 밀리몰) 과 1,3 - 비스 (3 - 아미노프로필) - 1, 1, 3, 3 - 테트라메틸디실록산 6.21 g (25 밀리몰) 과 에틸렌글리콜비스트리메리테이트 2 무수물 41.03 g (100 밀리몰) 및 N - 메틸 - 2 - 피롤리돈 300 ml 를 사용, 실시예 1 과 동일의 방법으로, 각 구조단위의 몰비가 [(1a) + (1b)] : [(2a) + (2b)] = 75 : 25 [(1a) : (1b) = 0 : 100, (2a) : (2b) = 0 : 100] 로 표시되는 폴리이미드 64.0 g (수율 97 %) 를 얻었다.
얻어진 폴리이미드의 적외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한 바, 1718 cm-1및 1780 cm-1로 전형적인 이미드의 흡수가 인정되었다. 또 그의 분자량, 유리전이점 및 열분해 개시온도를 측정하였다. 그들의 결과를 표 1 에 표시함.
이 폴리이미드의 용해성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확인한 바, 이 폴리아미드는 실시예 1 에 기재의 것과 동일의 용매에 용해에 용해하였다.
이 폴리이미드를 THF 에 20 중량 % 의 농도가 되도록 용해시켜, 얻어진 와니스를 유리판상에 유연한 후, 100 ℃ 에서 10 분간 건조하면, 거의 무색투명한 자립성의 강인한 필름이 얻어졌다. 이 폴리이미드 필름의 가요성 시험을 행하기 위해, 필름을 180°로 벤딩한 바, 필름은 깨지는 일 없이 양호한 가요성을 표시하였다.
실시예 26
1, 3 - 비스 [1 - (4 - 아미노페닐) - 1 - 메틸에틸] 벤젠 25.84 g (75 밀리몰) 과 1, 3 - 비스 (3 - 아미노프로필) - 1, 1, 3, 3 - 테트라메틸디실록산 6.21 g (25 밀리몰) 과 에틸렌글리콜 비스트리메리테이트 2 무수물 41.03 g (100 밀리몰) 및 N - 메틸 - 2 - 피롤리돈 300 ml 를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의 방법으로, 각 구조단위의 몰비가 [(1a) + (1b)] : [(2a) + (2b)] = 75 : 25 [(1a) : (1b) = 0 : 100, (2a) : (2b) = 0 : 100] 로 표시되는 폴리이미드 67.0 g (수율 96 %) 를 얻었다.
얻어진 폴리이미드의 적외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한 바, 1718 cm-1및 1783 cm-1로 전형적인 이미드의 흡수가 인정되었다. 또 그의 분자량, 유리전이점 및 열분해개시온도를 측정하였다. 그들의 결과를 표 1 에 표시함.
이 폴리이미드의 용해성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확인한 바, 이 폴리아미드는 실시예 1 에 기재의 것과 동일의 용매에 용해하였다.
이 폴리이미드를 THF 에 20 중량 % 의 농도와 되도록 용해시켜, 얻어진 와니스를 유리판상으로 유연한 후, 100 ℃ 에서 10 분간 건조하면, 거의 무색 투명한 자립성의 강인한 필름을 얻었다. 이 폴리이미드 필름의 가요성 시험을 행하기 위해, 필름을 180°로 벤딩한 바, 필름은 깨지는 일없이 양호한 가요성을 표시하였다.
실시예 27
비스 (4 - 아미노페녹시) 비페닐 27.63 g (75 밀리몰) 과 1, 3 - 비스 (3 - 아미노프로필) - 1, 1, 3, 3 - 테트라메틸디실록산 6.21 g (25 밀리몰) 과 에틸렌글리콜 비스트리메리테이트 2 무수물 41.03 g (100 밀리몰) 및 N - 메틸 - 2 - 피롤리돈 300 ml 를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의 방법으로 각 구조단위의 몰비가 [(1a) + (1b)] : [(2a) + (2b)] = 75 : 25 [(1a) : (1b) = 0 : 100, (2a) : (2b) = 0 : 100] 로 표시되는 폴리이미드 69.5 g (수율 98 %) 를 얻었다.
얻어진 폴리이미드의 적외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한 바, 1718 cm-1및 1780 cm-1로 전형적인 이미드의 흡수가 인정되었다. 또 그의 분자량, 유리전이점 및 열분해 개시온도를 측정하였다. 그들의 결과를 표 1 에 표시함.
이 폴리이미드의 용해성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확인한 바, 이 폴리아미드는 실시예 1 에 기재의 것과 동일의 용매에 용해하였다.
이 폴리이미드를 THF 에 20 중량 % 의 농도가 되도록 용해시켜, 얻어진 와니스를 유리판상에 유연한 후, 100 ℃ 에서 10 분간 건조하면, 거의 무색 투명한 자립성의 강인한 필름을 얻었다. 이 폴리이미드 필름의 가요성 시험을 행하기 위해, 필름을 180°로 벤딩한 바, 필름은 깨지는 것 없이 양호한 가요성을 표시하였다.
실시예 28
비스 (4 - 아미노페녹시) 디페닐에테르 28.82 g (75 밀리몰) 과 1, 3 비스 (3 - 아미노프로필) - 1, 1, 3, 3 - 테트라메틸디실록산 6.21 g (25 밀리몰) 과 에틸렌글리콜 비스트리메리테이트 2 무수물 41.03 g (100 밀리몰) 및 N - 메틸 - 2 - 피롤리돈 300 ml 를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의 방법으로, 각 구조단위의 몰비가 [(1a) + (1b)] : [(2a) + (2b)] = 75 : 25 [(1a) : (1b) = 0 : 100, (2a) : (2b) = 0 : 100] 로 표시되는 폴리이미드 70.0 g (수율 97 %) 를 얻었다.
얻어진 폴리이미드의 적외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한 바, 1718 cm-1및 1783 cm-1로 전형적인 이미드의 흡수가 인정되었다. 또 그의 분자량, 유리전이점 및 열분해 개시온도를 측정하였다. 그들의 결과를 표 1 에 표시함.
이 폴리이미드의 용해성을 실시예 1 과 동일의 방법으로 확인한 바, 이폴리아미드는 실시예 1 에 기재의 것과 동일의 용매에 용해하였다.
이 폴리이미드를 THF 에 20 중량 % 의 농도가 되도록 용해시켜, 얻어진 와니스를 유리판상에 유연한 후, 100 ℃ 에서 10 분간 건조하면, 거의 무색투명한 자립성의 강인한 필름을 얻었다. 이 폴리이미드 필름의 가요성 시험을 행하기 위해서 필름을 180°로 벤딩한 바, 필름은 깨지는 일 없이 양호한 가요성을 표시하였다.
실시예 29
비스 [4 - (4 - 아미노페녹시) 페닐] 술폰 32.08 g , (75 밀리몰) 과 1,3 - 비스 (3 - 아미노프로필) - 1, 1, 3, 3 - 테트라메틸디실록산 6.21 g (25 밀리몰) 과 에틸렌글리콜비스트리메리테이트 2 무수물 41.03 g (100 밀리몰) 및 N - 메틸 - 2 - 피롤리돈 300 ml 를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의 방법으로 각 구조 단위의 몰비가 [(1a) + (1b)] : [(2a) + (2b)] = 67 : 33 [(1a) : (1b) = 100 : 0, (2a) : (2b) = 100 : 0] 로 표시되는 폴리이미드 74.0 g (수율 97 %) 를 얻었다.
얻어진 폴리이미드의 적외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한 바, 1719 cm-1및 1785 cm-1로 전형적인 이미드의 흡수가 인정되었다. 또 그 분자량, 유리전이점 및 열분해 개시온도를 측정하였다. 그들의 결과를 표 1 에 표시함.
이 폴리이미드의 용해성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확인한 바, 이 폴리아미드는 실시예 1 에 기재의 것과 동일의 용매에 용해하였다.
이 폴리이미드를 THF 에 20 중량 % 의 농도가 되도록 용해시켜, 얻어진 와니스를 유리판상에 유연한 후, 100 ℃ 에서 10 분간 건조하면, 거의 무색투명한 자립성의 강인한 필름을 얻었다. 이 폴리이미드 필름의 가요성 시험을 행하기 위해, 필름을 180°로 벤딩한 바, 필름은 깨지는 일 없이 양호한 가요성을 표시하였다.
실시예 30
2, 2 - 비스 [4 - (4 - 아미노페녹시) 페닐] 프로판 30.78 g (75 밀리몰) 과 1, 3 - 비스 (3 - 아미노프로필) - 1, 1, 3, 3 - 테트라메틸디실록산 6.21 g (25 밀리몰) 과 에틸렌글리콜비스트리테이트 2 무수물 41.03 g (100 밀리몰) 및 N - 메틸 - 2 - 피롤리돈 300 ml 를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의 방법으로, 각 구조단위의 몰비가 [(1a) + (1b)] : [(2a) + (2b)] = 75 : 25 [(1a) : (1b) = 0 : 100, (2a) : (2b) = 0 : 100] 로 표시되는 폴리이미드 73.0 g (수율 98 %) 를 얻었다.
얻어진 폴리이미드의 적외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한 바, 1720 cm-1및 1783 cm-1로 전형적인 이미드의 흡수가 인정되었다. 또 그의 분자량, 유리전이점 및 열분해 개시온도를 측정하였다. 그들의 결과를 표 1 에 표시함.
이 폴리이미드의 용해성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에서 확인한 바, 이 폴리아미드는 실시예 1 에 기재의 것과 동일의 용매에 용해하였다.
이 폴리이미드를 THF 에 20 중량 % 의 농도가 되도록 용해시켜, 얻어진 와니스를 유리판상에 유연한 후, 100 ℃ 에서 10 분간 건조하면, 거의 무색 투명한 자립성이 강인한 필름이 얻어졌다.
이 폴리이미드 필름의 가요성 시험을 행하기 위해, 필름을 180°로 벤딩한 바, 필름은 깨지는 일 없이 양호한 가요성을 표시하였다.
실시예 31
2, 2 - 비스 [4 - (4 - 아미노페녹시) 페닐] 헥사플루오로프로판 38.89 g (75 밀리몰) 과 1,3 - 비스 (3 - 아미노프로필) - 1, 1, 3, 3 - 테트라메틸디프로실산 6.21 g (25 밀리몰) 과 에틸렌글리콜 비스트리메리테이트 무수물 41.03 g (100 밀리몰) 및 N - 메틸 - 2 - 피롤리돈 300 ml 를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의 방법으로, 각 구조단위의 몰비가 [(1a) + (1b)] : [(2a) + (2b)] = 75 : 25 [(1a) : (1b) = 0 : 100, (2a) : (2b) = 0 : 100] 로 표시되는 폴리이미드 80.0 g (수율 97 %) 를 얻었다.
얻어진 폴리이미드의 적외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한 바, 1715 cm-1및 1786 cm-1로 전형적인 이미드의 흡수가 인정되었다. 또 그의 분자량, 유리전이점 및 열분해 개시온도를 측정하였다. 그들의 결과를 표 1 에 표시함.
이 폴리이미드의 용해성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확인한 바, 그의 폴리아미드는 실시예 1 에 기재의 것과 동일의 용매에 용해하였다.
이 폴리이미드를 THF 에 20 중량 % 의 농도로 되도록 용해시켜, 얻어진 와니스를 유리판상에 유연한 후, 100 ℃ 에서 10 분간 건조시키면, 거의 무색 투명한 자립성의 강인한 필름이 얻어진다. 이 폴리이미드 필름의 가요성 시험을 행하기 위해, 필름을 180°에 벤딩한 바, 필름은 깨지는 것 없이 양호한 가요성을 표시하였다.
실시예 32
9, 9 - 비스 (4 - 아미노페녹시) 플루오렌 26.14 g (75 밀리몰) 과 1, 3 - 비스 (3 - 아미노프로필) - 1, 1, 3, 3 - 테트라메틸디실록산 6.21 g (25 밀리몰) 과 에틸렌글리콜비스트리메리테이트 2 무수물 41.03 g (100 밀리몰) 및 N - 메틸 - 2 - 피롤리돈 300 ml 를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의 방법으로, 각 구조단위의 몰비가 [(1a) + (1b)] : [(2a) + (2b)] = 75 : 25 [(1a) : (1b) = 0 : 100, (2a) : (2b) = 0 : 100] 로 표시되는 폴리이미드 66.0 g (수율 95 %) 를 얻었다.
얻어진 폴리이미드의 적외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한 바, 1720 cm-1및 1780 cm-1로 전형적인 이미드의 흡수가 인정되었다. 또 그의 분자량, 유리전이점 및 열분해 개시온도를 측정하였다. 그들의 결과를 표 1 에 표시함.
이 폴리이미드의 용해성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확인한 바, 이 폴리아미드는 실시예 1 에 기재의 것과 동일의 용매에 용해하였다.
이 폴리이미드를 THF 에 20 중량 % 의 농도로 되도록 용해시켜, 얻어진 와니스를 유리판상에 유연한 후, 100 ℃ 로 10 분간 건조하면, 거의 무색투명한 자립성이 강인한 필름을 얻었다. 이 폴리이미드 필름의 가요성 시험을 행하기 위해, 필름을 180°에 벤딩한 바, 필름은 깨지는 것 없이 양호한 가요성을 표시하였다.
실시예 33
2, 2 - 비스 [4 - (4 - 아미노페녹시) 페닐] 프로판 20.53 g (50 밀리몰) 과 1, 3 - 비스 (3 - 아미노프로필) - 1, 1, 3, 3 - 테트라메틸디실록산 12.43 g (50 밀리몰) 과 3, 3', 4, 4' - 디페닐술폰테트라카르복실산 2 무수물 35.83 g (100 밀리몰) 및 N - 메틸 - 2 - 피롤리돈 300 ml 를 사용하여, 실시예 1 와 동일의 방법으로 각 구조단위의 몰비가 [(1a) + (1b)] : [(2a) + (2b)] = 50 : 50 [(1a) : (1b) = 100 : 0, (2a) : (2b) = 100 : 0] 로 표시되는 폴리이미드 61.0 g (수율 93 %) 를 얻었다.
얻어진 폴리이미드의 적외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한 바, 1715 cm-1및 1786 cm-1로 전형적인 이미드의 흡수가 인정되었다. 또 그의 분자량, 유리전이점 및 열분해 개시온도를 측정하였다. 그들의 결과를 표 1 에 표시함.
이 폴리이미드의 용해성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확인한 바, 이 폴리아미드는 실시예 1 에 기재의 것과 동일의 용매에 용해하였다.
이 폴리이미드를 THF 에 20 중량 % 의 농도가 되도록 용해시켜, 얻어진 와니스를 유리판상으로 유연한 후, 100 ℃ 로 10 분간 건조하면, 거의 무색투명한 자립성의 강인한 필름을 얻었다. 이 폴리이미드 필름의 가요성 시험을 행하기 위해, 필름을 180°로 벤딩한 바, 필름은 깨지는 일 없이 양호한 가요성을 표시하였다.
실시예 34
2, 2 - 비스 [4 - (4 - 아미노페녹시) 페닐] 프로판 30.79 g (75 밀리몰) 과 1, 3 - 비스 (3 - 아미노프로필) - 1, 1, 3, 3 - 테트라메틸디실록산 6.21 g (25 밀리몰) 과 3, 3', 4, 4' - 디페닐술폰테트라카르복실산 2 무수물 35.83 g (100 밀리몰) 및 N - 메틸 - 2 - 피롤리돈 300 ml 를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의 방법으로, 각 구조단위의 몰비가 [(1a) + (1b)] : [(2a) + (2b)] = 75 : 25 [(1a) : (1b) = 100 : 0, (2a) : (2b) = 100 : 0] 로 표시되는 폴리이미드 65.0 g (수율 94 %) 를 얻었다.
얻어진 폴리이미드의 적외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한 바, 1720 cm-1및 1783 cm-1로 전형적인 이미드의 흡수가 인정되었다. 또 그의 분자량, 유리전이점 및 열분해 개시온도를 측정하였다. 그들의 결과를 표 1 에 표시함.
이 폴리이미드의 용해성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확인한 바, 이 폴리아미드는 실시예 1 에 기재의 것과 동일의 용매에 용해하였다.
이 폴리이미드를 THF 에 20 중량 % 의 농도가 되도록 용해시켜, 얻어진 와니스를 유리판상으로 유연한 후, 100 ℃ 에서 10 분간 건조시키면 거의 무색 투명한 자립성의 강인한 필름을 얻었다. 이 폴리이미드 필름의 가용성 시험을 행하기 위해 필름을 180°로 벤딩한 바, 필름은 깨지는 일없이 양호한 가요성을 표시하였다.
실시예 35
2, 2 - 비스 [4 - (4 - 아미노페녹시) 페닐] 프로판 32.84 g (80 밀리몰) 과 1, 3 - 비스 (3 - 아미노프로필) - 1, 1, 3, 3 - 테트라메틸디실록산 4.97 g (20 밀리몰) 과 3, 3', 4, 4' - 디페닐술폰테트라카르복실산 2 무수물 35.83 g (100 밀리몰) 및 N - 메틸 - 2 - 피롤리돈 300 ml 를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각 구조단위의 몰비가 [(1a) + (1b)] : [(2a) + (2b)] = 80 : 20 [(1a) : (1b) = 100 : 0, (2a) : (2b) = 100 : 0] 로 표시되는 폴리이미드 68.0 g (수율 97 %) 를 얻었다.
얻어진 폴리이미드의 적외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한 바, 1720 cm-1및 1783 cm-1로 전형적인 이미드의 흡수가 인정되었다. 또, 그의 분자량, 유리전이점 및 열분해 개시온도를 측정하였다. 그들의 결과를 표 1 에 표시함.
이 폴리이미드의 용해성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확인한 바, 이 폴리아미드는 실시예 1 에 기재의 것과 동일의 용매에 용해하였다.
이 폴리이미드를 THF 에 20 중량 % 의 농도가 되도록 용해시켜, 얻어진 와니스를 유리판상으로 유연한 후, 100 ℃ 에서 10 분간 건조하면, 거의 무색 투명한 자립성의 강인한 필름을 얻었다. 이 폴리이미드 필름의 가요성 시험을 행하기 위해, 필름을 180°로 벤딩한 바, 필름은 깨지는 일 없이 양호한 가요성을 표시하였다.
실시예 36
2, 2 - 비스 [4 - (4 - 아미노페녹시) 페닐] 프로판 36.95 g (90 밀리몰) 과 1, 3 - 비스 (3 - 아미노프로필) - 1, 1, 3, 3 - 테트라메틸디실록산 2.49 g (10 밀리몰) 과 3, 3', 4, 4' - 디페닐술폰테트라카르복실산 2 무수물 35.83 g (100 밀리몰) 및 N - 메틸 - 2 - 피롤리돈 300 ml 를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각 구조단위의 몰비가 [(1a) + (1b)] : [(2a) + (2b)] = 90 : 10 [(1a) : (1b) = 100 : 0, (2a) : (2b) = 100 : 0] 로 표시되는 폴리이미드 69.0 g (수율 97 %) 를 얻었다.
얻어진 폴리이미드의 적외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한 바, 1720 cm-1및 1783 cm-1로 전형적인 이미드의 흡수가 인정되었다. 또 그의 분자량, 유리전이점 및 열분해 개시온도를 측정하였다. 그들의 결과를 표 1 에 표시함.
이 폴리이미드의 용해성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확인한 바, 이 폴리아미드는 실시예 1 에 기재의 것과 동일의 용매에 용해하였다.
이 폴리이미드를 THF 에 20 중량 % 의 농도가 되도록 용해시켜서, 얻어진 와니스를 유리판상으로 유연한 후, 100 ℃ 에서 10 분간 건조하면, 거의 무색 투명한 자립성 강인한 필름이 얻어졌다. 이 폴리이미드 필름의 가요성 시험을 행하기 위해, 필름을 180°로 벤딩한 바, 필름은 깨지는 일 없이 양호한 가요성을 표시하였다.
실시예 37
2, 2 - 비스 [4 - (4 - 아미노페녹시) 페닐] 프로판 30.79 g (75 밀리몰) 과, 1, 3 - 비스 (3 - 아미노프로필) - 1, 1, 3, 3 - 테트라메틸디실록산 6.21 g (25 밀리몰) 과 3, 3', 4, 4' - 디페닐술폰테트라카르복실산 2 무수물 17.91 g (50 밀리몰) 과 에틸렌글리코올비스트리메리테이트 2 무수물 20.53 g (50 밀리몰) 및 N - 메틸 - 2 - 피롤리돈 300 ml 를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의 방법으로, 각 구조단위의 몰비가 [(1a) + (1b)] : [(2a) + (2b)] = 75 : 25 [(1a) : (1b) = 50 : 50, (2a) : (2b) = 50 : 50] 로 표시되는 폴리이미드 68.5 g (수율 95 %) 를 얻었다.
얻어진 폴리이미드의 적외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한 바, 1715 cm-1및 1786 cm-1로 전형적인 이미드의 흡수가 인정되었다. 또 그의 분자량, 유리전이점 및 열분해 개시온도를 측정하였다. 그들의 결과를 표 1 에 표시함.
이 폴리이미드의 용해성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확인한 바, 이 폴리아미드는 실시예 1 에 기재의 것과 동일의 용매에 용해하였다.
이 폴리이미드를 THF 에 20 중량 % 의 농도가 되도록 용해시켜, 얻어진 와니스를 유리판상에 유연한 후, 100 ℃ 로 10 분간 건조하면, 거의 무색투명한 자립성이 강인한 필름을 얻었다. 이 폴리이미드 필름의 가요성 시험을 행하기 위해서는, 필름을 180°로 벤딩한 바, 필름은 깨지는 일 없이 양호한 가요성을 표시하였다.
실시예 38
2, 2 - 비스 [4 - (4 - 아미노페녹시) 페닐] 프로판 30.79 g (75 밀리몰) 과 1, 3 - 비스 (3 - 아미노프로필) - 1, 1, 3, 3 - 테트라메틸디실록산 6.21 g (25 밀리몰) 과 3, 3', 4, 4' - 디페닐술폰테트라카르복실산 2 무수물 8.96 g (25 밀리몰) 과 에틸렌글리코올비스 트리메리테이트 2 무수물 30.77 g (75 밀리몰) 및 N - 메틸 - 2 - 피롤리돈 300 ml 를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의 방법으로 각 구조단위의 몰비가 [(1a) + (1b)] : [(2a) + (2b)] = 75 : 25 [(1a) : (1b) = 25 : 75, (2a) : (2b) = 25 : 75] 로 표시되는 폴리이미드 69.5 g (수율 95 %) 를 얻었다.
얻어진 폴리이미드의 적외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한 바, 1715 cm-1및 1786 cm-1로 전형적인 이미드의 흡수가 인정되었다. 또 그의 분자량 유리전이점 및 열분해 개시온도를 측정하였다. 그들의 결과를 표 1 에 표시함.
이 폴리이미드의 용해성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확인한 바, 이 폴리아미드는 실시예 1 에 기재의 것과 동일의 용매에 용해하였다.
이 폴리이미드를 THF 에 20 중량 % 의 농도가 되도록 용해시켜, 얻어진 와니스를 유리판상에 유연한 후, 100 ℃ 에서 10 분간 건조하면, 거의 무색투명한 자립성의 강인한 필름을 얻었다. 이 폴리이미드 필름의 가요성 시험을 행하기 위해, 필름을 180°로 벤딩을한 바, 필름은 깨지는 일없이 양호한 가요성을 표시하였다.
실시예 39
2, 2 - 비스 [4 - (4 - 아미노페녹시) 페닐] 프로판 30.79 g (75 밀리몰) 과 1, 3 - 비스 (3 - 아미노프로필) - 1, 1, 3, 3 - 테트라메틸디실록산 6.21 g (25 밀리몰) 과 3, 3', 4, 4' - 디페닐테트라카르복실산 2 무수물 26.87 g (75 밀리몰) 과 에틸렌글리코올비스트리메리테이트 2 무수물 10.26 g (25 밀리몰) 및 N - 메틸 - 2 - 피롤리돈 300 ml 를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의 방법으로, 각 구조단위의 몰비가 [(1a) + (1b)] : [(2a) + (2b)] = 75 : 25 [(1a) : (1b) = 75 : 25, (2a) : (2b) = 75 : 25] 로 표시되는 폴리이미드 66.0 g (수율 94 %) 를 얻었다.
얻어진 폴리이미드의 적외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한 바, 1715 cm-1및 1786 cm-1로 전형적인 이미드의 흡수가 인정되었다. 또 그의 분자량 유리전이점 및 열분해 개시온도를 측정하였다. 그들의 결과를 표 1 에 표시함.
이 폴리이미드의 용해성을 실시예 1 과 동일의 방법으로 확인한 바, 이 폴리아미드는 실시예 1 에 기재의 것과 동일의 용매에 용해하였다.
이 폴리이미드를 THF 에 20 중량 % 의 농도가 되도록 용해시켜, 얻어진 와니스를 유리판상으로 유연한 후, 100 ℃ 에서 10 분간 건조하면, 거의 무색 투명한 자립성의 강인한 필름을 얻었다. 이 폴리이미드 필름의 가요성 시험을 행하기위해, 필름을 180°로 벤딩한 바, 필름은 깨지는 일 없이 양호한 가요성을 표시하였다.
실시예 40
2, 2 - 비스 [4 - (4 - 아미노페녹시) 페닐] 프로판 30.79 g (75 밀리몰) 과 1, 3 - 비스 [(아미노페녹시) 메틸] - 1, 1, 3, 3 - 테트라메틸디실록산 9.42 g (25 밀리몰) 과 3, 3', 4, 4' - 디페닐술폰테트라카르복실산 2 무수물 35.83 g (100 밀리몰) 및 N - 메틸 - 2 - 피롤리돈 300 ml 를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의 방법으로, 각 구조단위의 몰비가 [(1a) + (1b)] : [(2a) + (2b)] = 75 : 25 [(1a) : (1b) = 100 : 0, (2a) : (2b) = 100 : 0] 로 표시되는 폴리이미드 69.0 g (수율 95 %) 를 얻었다.
얻어진 폴리이미드의 적외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한 바, 1720 cm-1및 1783 cm-1로 전형적인 이미드의 흡수가 인정되었다. 또 그의 분자량, 유리전이점 및 열분해 개시온도를 측정하였다. 그들의 결과를 표 1 에 표시함.
이 폴리이미드의 용해성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확인한 바, 이 폴리아미드는 실시예 1 에 기재의 것과 동일의 용매에 용해하였다.
이 폴리이미드를 THF 에 20 중량 % 의 농도가 되도록 용해시켜, 얻어진 와니스를 유리판상으로 유연한 후, 100 ℃ 에서 10 분간 건조하면, 거의 무색투명한 자립성의 강인한 필름을 얻었다. 이 폴리이미드 필름의 가요성 시험을 행하기 위해, 필름을 180°로 벤딩을 한 바, 필름은 깨지는 일 없이 양호한 가요성을 표시하였다.
실시예 41
2, 2 - 비스 [4 - (4 - 아미노페녹시) 페닐] 프로판 30.79 g (75 밀리몰) 과 화학식(5) 로 표시되는 아미노프로필 말단의 디메틸실록산 4 량체 (Y = NH2, R = 프로필렌, n = 3) 10.72 g (25 밀리몰) 과
[화학식 5]
3, 3', 4, 4' - 디페닐술폰테트라카르복실산 2 무수물 35.83 g (100 밀리몰) 및 N - 메틸 - 2 - 피롤리돈 300 ml 를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의 방법으로, 각 구조단위의 몰비가 [(1a) + (1b)] : [(2a) + (2b)] = 75 : 25 [(1a) : (1b) = 100 : 0, (2a) : (2b) = 100 : 0] 로 표시되는 폴리이미드 67.0 g (수율 91 %) 를 얻었다.
얻어진 폴리이미드의 적외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한 바, 1712 cm-1및 1783 cm-1로 전형적인 이미드의 흡수가 인정되었다. 또 그의 분자량 유리전이점 및 열분해 개시온도를 측정한 바, 그들의 결과를 표 1 에 표시함.
이 폴리이미드의 용해성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확인한 바, 이 폴리아미드는 실시예 1 에 기재의 것과 동일의 용매에 용해하였다.
이 폴리아미드를 THF 로 20 중량 % 의 농도가 되도록 용해시켜서 얻어진 와니스를 유리판상으로 유연한 후 100 ℃ 로 10 분간 건조하면, 거의 무색투명한 자립성의 강인한 필름을 얻었다. 이폴리이미드 필름의 가요성 시험을 행하기 위해 필름을 180°로 벤딩한 바 필름은 깨지는 일 없이 양호한 가요성을 표시하였다.
표 1 에 있어서, 분자량은 GPC 에 의한 수평균 분자량이며, 그 측정은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용리액으로 하여, 컬럼은 Shodex 80M X2 를 사용하여 행한, 폴리스틸렌 환산에 의한 값이다. 유리전이점은, 시차열분석 (질소 중, 10 ℃/분으로 승온) 에 의해 측정하여, 또 열분해 개시온도는, 열중량 분석 (질소중 0 ℃/분으로 승온) 에 의해 측정한 것이다.
본 발명의 폴리이미드는 상기한 구체예 등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저비점 용제에서 고비점 용제에 걸친 광범위한 각종 용제에 용해할 뿐만 아니라, 그 용해도는 높으므로 성형가공이 용이하다는 잇점을 가지는 것이며, 또, 연화점을 가지면서도 내열성에 우수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신규 폴리아미드를 용이하게 고수율로 제조할 수가 있는 동시에, 얻어지는 폴리이미드는, 필름, 성형품, 와니스, 결합제 및 구조재 등으로서 광범위한 분야에 응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8)

  1. 화학식 (1a) 로 나타내는 구조단위 및 화학식 (1b) 로 나타내는 구조단위의 적어도 1 종과, 화학식 (2a) 로 나타내는 구조단위 및, 화학식 (2b) 로 나타내는 구조단위의 적어도 1 종을 포함하며, 화학식 (1a) 및/또는 (1b) 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비율이 75∼40 몰% 이고, 화학식 (2a) 및/또는 (2b) 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비율이 25∼60 몰% 이며, 또한 수평균 분자량이 4,000 내지 200,000 인 폴리이미드.
    [화학식 1a]
    [화학식 1b]
    (식중, Ar 은 방향 고리를 가지는 하기의 구조로부터 선택된 2 가의 기를 표시,
    [화학식 2a]
    [화학식 2b]
    (식중, R 은 탄소수 1 내지 10 의 알킬렌기 또는 -CH2OC6H4- 를 표시함. n 은 1 내지 20 의 정수를 의미함.)
  2.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이미드가 화학식 (1a) 로 나타내는 구조단위 및 화학식 (1b) 로 나타내는 구조단위와, 화학식 (2a) 로 나타내는 구조단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이미드.
  3. 제 1 항에 있어서, 화학식 (1a) 로 나타내는 구조단위 및 화학식 (1b) 로 나타내는 구조단위와, 화학식 (2b) 로 나타내는 구조단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이미드.
  4.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이미드가 화학식 (1a) 로 나타내는 구조단위 및 화학식 (1b) 로 나타내는 구조단위와, 화학식 (2a) 로 나타내는 구조단위 및 화학식 (2b) 로 나타내는 구조단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이미드.
  5. 화학식 (3a) 및 화학식 (3b) 로 나타내는 테트라카르복실산 2 무수물의 적어도 1 종과,
    [화학식 3a]
    [화학식 3b]
    화학식 (4) 로 나타내는 화합물 및 화학식 (5) 로 나타내는 실록산계 화합물과를,
    [화학식 4]
    Y - Ar - Y
    (식중, Ar 은 방향 고리를 가진 하기의 구조로부터 선택된 2 가의 기를 표시,
    Y 는 아미노기 또는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표시.)
    [화학식 5]
    (식중, R 은 탄소수 1 내지 10 의 알킬렌기 또는 -CH2OC6H4-, Y 는 아미노기 또는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표시, n 은 1 내지 20 의 정수를 의미함.)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식 (1a) 로 나타내는 구조단위 및 화학식 (1b) 로 나타내는 구조단위의 적어도 1 종과, 화학식 (2a) 로 나타내는 구조단위 및, 화학식 (2b) 로 나타내는 구조단위의 적어도 1 종을 포함하며, 화학식 (1a) 및/또는 (1b) 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비율이 75∼40 몰% 이고, 화학식 (2a) 및/또는 (2b) 로 표시되는 구조단위의 비율이 25∼60 몰% 이며, 또한 수평균 분자량이 4,000 내지 200,000 인 폴리이미드의 제조방법.
    [화학식 1a]
    [화학식 1b]
    (식중, Ar 은 상기 정의한 것과 동의의를 가진다.)
    [화학식 2a]
    [화학식 2b]
    (식중, R 및 n 은 상기 정의한 것과 동의의를 가진다.)
  6. 제 5 항에 있어서, 폴리이미드가 화학식 (1a) 로 나타내는 구조단위 및 화학식 (1b) 로 나타내는 구조단위와, 화학식 (2a) 로 나타내는 구조단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이미드의 제조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폴리이미드가 화학식 (1a) 로 나타내는 구조단위 및 화학식 (1b) 로 나타내는 구조단위와, 화학식 (2b) 로 나타내는 구조단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이미드의 제조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폴리이미드가 화학식 (1a) 로 나타내는 구조단위 및 화학식 (1b) 로 나타내는 구조단위와 화학식 (2a) 로 나타내는 구조단위 및 화학식 (2b) 로 나타내는 구조단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이미드의 제조방법.
KR1019960035145A 1998-08-31 1996-08-23 신규한 폴리이미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2114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245148 1995-08-31
JP10245148A JP2000075453A (ja) 1998-08-31 1998-08-31 ハロゲン化銀写真感光材料、感光性ハロゲン化銀乳剤製造方法、これを用いたレンズ付きフィルム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方法並びにディジタル画像情報作成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0831A KR970010831A (ko) 1997-03-27
KR100211440B1 true KR100211440B1 (ko) 1999-08-02

Family

ID=17129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5145A KR100211440B1 (ko) 1998-08-31 1996-08-23 신규한 폴리이미드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0075453A (ko)
KR (1) KR1002114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6092B1 (ko) 2011-09-29 2019-02-08 제이에스알 가부시끼가이샤 수지 조성물 및 그것을 이용한 막 형성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3253A (ko) * 1997-12-24 1999-07-15 유현식 가용성 폴리이미드계 수지 조성물
US6500590B2 (en) 2000-06-13 2002-12-31 Eastman Kodak Company Dual process compatible color photothermographic element comprising dry thermal development
KR102475655B1 (ko) * 2022-04-21 2022-12-08 주식회사 토모아이 지대백 개포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6092B1 (ko) 2011-09-29 2019-02-08 제이에스알 가부시끼가이샤 수지 조성물 및 그것을 이용한 막 형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0831A (ko) 1997-03-27
JP2000075453A (ja) 2000-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2325B1 (ko) 피로멜리트산 디무수물(pmda), 디아미노디페닐에테르(dade), 비페닐테트라카르복실산 디무수물(bpda) 및 비시클로옥텐테트라카르복실산 디무수물(bcd)을 함유하는 유기 용매에 가용인 폴리이미드
US6100365A (en) Soluble polyimide resin,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and polyimide resin solution composition
KR20090087515A (ko) 실록산 변성 다분기 폴리이미드
WO2006070728A1 (ja) 含フッ素ジアミンおよびそれを用いた重合体
JP2949568B2 (ja) 新規なポリイミド及びその製造方法
US6054554A (en) Soluble polyimide resin comprising polyalicyclic structure
KR940007322B1 (ko) 신규한 방향족 폴리아미드와 그의 제조방법
KR100200540B1 (ko) 폴리이미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211440B1 (ko) 신규한 폴리이미드 및 그의 제조방법
EP0092846B1 (en) Process for producing a polyimide solution
JP2888920B2 (ja) ジオキシジフタル酸無水物をベースとするポリイミド及びコポリイミド
JP2932052B2 (ja) 新規なポリイミ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S6128526A (ja) 有機溶媒可溶性ポリイミド化合物の製法
JPS63199239A (ja) 新規な溶剤可溶性ポリイミド及びその製造方法
US5817741A (en) Flexible diamine compound, and polyamide and polyimide prepared therefrom by polycondensation
US6137008A (en) Flexible diamine compound for preparation of polyamide and polyimide
JP2697161B2 (ja) 新規なポリイミド樹脂及びその製造法
JP3456256B2 (ja) ポリイミド共重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5194565A (en) Poly(amide-acid) compositions derived from tetracarboxylic acid dianhyrides capable of solution imidization
JPS63225629A (ja) ポリイミド系樹脂
JP2653401B2 (ja) ポリアミドイミドシリコン重合体の製造法
US6087470A (en) Preparation of soluble polyamide, polyimide and poly(amide-imide)
KR960015452B1 (ko) 폴리이미드 수지 및 그의 제조방법
JPH10218994A (ja) 新規なポリイミド及びその製造方法
KR0137039B1 (ko) 폴리이미드수지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2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