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1207B1 - 디스크드라이브의 트랙점프 안정화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크드라이브의 트랙점프 안정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1207B1
KR100211207B1 KR1019950059420A KR19950059420A KR100211207B1 KR 100211207 B1 KR100211207 B1 KR 100211207B1 KR 1019950059420 A KR1019950059420 A KR 1019950059420A KR 19950059420 A KR19950059420 A KR 19950059420A KR 100211207 B1 KR100211207 B1 KR 100211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king
sled
reached
time
t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9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0900A (ko
Inventor
이도수
고영욱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50059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1207B1/ko
Priority to US08/742,150 priority patent/US5905701A/en
Publication of KR970050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0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1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12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otherwise than during the transducing operation, e.g. for adjustment or preliminary positioning or track change or selection
    • G11B7/08505Methods for track change, selection or preliminary positioning by moving the head
    • G11B7/08541Methods for track change, selection or preliminary positioning by moving the head involving track counting to determine posi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otherwise than during the transducing operation, e.g. for adjustment or preliminary positioning or track change or selection
    • G11B7/08505Methods for track change, selection or preliminary positioning by moving the head
    • G11B7/08517Methods for track change, selection or preliminary positioning by moving the head with tracking pull-in only

Landscapes

  • Moving Of The Hea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청구범위에서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디스크 드라이브(CD-ROM, LDP, MD, DVCK)에 있어서 트랙점프 안정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랙킹과 슬레이드 구동에 있어 시간차를 두어 슬레이드와 트랙킹이 동시에 움직이도록 하여 점프 마진을 일정 트랙 범위내에서 유지되도록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랙점프 안정화 방법에 관한 것임.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트랙킹과 슬레이드 제어에 있어 소정의 시간차를 두어 실제 동시에 구동토록 하여 세트의 덱크 및 전압 편차로 인해 발생되는 불량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회로를 제공함.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디스크 드라이브는 트랙점프 안정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드라이브의 트랙점프 모드에서 동시에 트랙킹을 오프하고 슬레이드를 킥하여 제1타임을 지연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제1타임 지연후 트랙킹을 킥하고 슬레이드를 오프한 후 일차로 제로 크로싱 갯수 발생이 n회 횟수에 도달했으냐를 검색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n횟수에 도달했을시 트랙킹을 브레이크하여 트랙 제로 크로싱 갯수가 제2차로 n의 횟수에 도달했냐를 체킹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서 n횟수에 도달했을지 트랙킹을 오프하고 제2타임 지연하여 트랙킹 이득을 업하고 슬레이드를 온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에서 슬레이드를 온하여 제3타임 지연후 트랙킹을 온하는 제5단계로 이루어짐.
[발명의 중요한 용도]
디스크드라이브 안정화 회로.

Description

디스크드라이브의 트랙 점프 안정화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슬레드 구성 예시도.
제2도는 종래의 트랙킹 액튜에이터의 구조 예시도.
제3도는 종래의 트랙킹 및 슬레드 제어 회로도.
제4도는 종래의 트랙킹 및 슬레드 제어 흐름도.
제5도는 종래의 트랙킹 및 슬레드 제어 타이밍도.
제6도는 종래의 픽업부와 액츄에이트의 이동 예시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랙킹 및 슬레드 제어 타이밍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픽업부와 액츄에이터의 이동 예시도.
본 발명은 디스크 드라이브(CD-ROM, LDP, MD, DVCR)에 있어서 트랙점프 안정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랙킹과 슬레드 구동에 있어 구동시작 시간차를 두어 슬레드와 액튜에이터가 동시에 움직이도록 하여 점프 마진을 일정 트랙 범위 내에서 안전하게 유지시키도록 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랙점프 안정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1도와 같이 트랙킹서보가 픽업(101)을 디스크의 편심에 추적시켜갔지만 대물렌즈(201)를 구동하는 액튜에이터는 제2도와 같이 트랙킹에 따른 대물렌즈(201)의 가동범위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연주에 따라서 픽업본체(117)를 이동시키지 않으면 안되는 점핑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희망하는 곡을 억세스할 경우에도 픽업본체(117)를 크게 이동시키는 점핑동작이 이루어진다. 이때 최대 점프 범위는 약 ±200트랙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200트랙 이상을 점프할때는 촛점 드롭이나 트랙발진에 의해 억세스 타임이 지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지연이 심할 때는 데이타 손실의 원인이 된다. 종래의 제조과정에서 양산 테스트를 위해 사용하고 있는 점프 알고리즘은 덱크의 편차(부호의 변동)나 드라이브회로 전압의 편차를 테스트 하고 있으나, 상기 디스크드라이브의 양산과정에서 제4도의 점핑 알고리즘을 사용한 테스트 예를 구체적으로 살펴 보면, 제3도는 상기 종래의 점핑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도로서, 마이콤(100)에서 출력되는 트랙킹 및 슬레드 제어용 코멘드를 입력하여 픽업트랙킹, 슬레드 구동제어 신호 및 스위칭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코멘드 논리회로(302)와, 상기 코멘드 논리회로(302)의 출력으로부터 제어되어 상기 픽업부(306)의 트랙킹 킥/브레이크 및 슬레드 구동제어신호를 발생하는 펄스 발생기(303)와, 상기 픽업 및 슬레드를 구동을 제어하는 서보 제어부(304)와, 상기 코멘드 논리회로(302)에서 발생하는 트랙킹 킥/브레이크 및 슬레드 이동 또는 상기 서보 제어부 슬레드 및 픽업 재생용 제어 신호를 선택하여 상기 픽업부(306)로 제공토록 하는 스위칭부(331)로 구성되며, 마이콤(300)은 (3a)과정에서 트랙점프 명령신호를 발생하면, 코멘드 논리회로(302)에서 분석하여 펄스 발생기(303)에 인가된다. 그리고 코멘드 논리회로(302)에서 발생되는 스위칭 신호가 트랙킹과 슬레드 구동 온/오프용 스위치(318, 317)를 온하고, 스위치(319, 320)를 ①접점에 온 되도록 하여 (4b)과정에서 트랙킹을 제5a도의 501의 예와 같이 킥하고, (5B)의 505의 예와 같이 슬레드를 킥하되, 동시에 구동토록 제어한다(301, 305). 이에 따라 픽업(306)은 구동되며, 상기 픽업(306)의 제어 결과는 서보 제어부(304)에 인가된다. 상기 서보 제어부(304)는 상기 픽업(306)의 구동 상태에 따른 제로 크로싱 상태를 검출하여 마이콤(300)에 제공한다. 상기 마이콤(300)은 (4C)과정에서 트랙 제로 크로싱이 50에 도달했는가를 체킹한다. 상기 50에 도달했을시 (4d)과정에서 마이콤(300)은 제5a도의 504와 같이 트랙킹 브레이크하고, 제5b도의 (506)와 같이 슬레드 오프를 위한 제어 신호를 코멘드 논리회로(302)에 인가하고, 상기 코멘드 논리회로(303)의 출력신호를 받아 펄스 발생기(303)에 트랙킹 브레이크 및 슬레드 오프를 위한 신호를 인가하여 펄스 발생기(303)는 이에 해당하는 신호를 발생하여 스위치(319, 320, 318, 313)를 통해 픽업부(306)에 제공한다. 이때 트랙킹은 브레이크 상태로 되고, 슬레드는 오프된다. 그리고 (4e)과정에서 마이콤(300)은 서보제어부(304)를 통해 제로 크로싱 갯수가 50개에 도달 되었냐를 체킹한다. 여기서 50에 도달했을 때 (4f)과정에서 제5a도의 502와 같이 트랙킹 이득을 업(up)하고, 슬레드를 온하여 (4g)과정에서 시간을 10ms 지연후 코멘드 논리회로(302)의 스위칭 제어단(313)의 신호에 의해 스위치(319, 320)를 ②의 위치에 있도록 하여 (4h)과정에서 트랙킹이 온 되도록 되어있다. 상기한 100트랙 이상 점프시 문제점을 보면 100을 연속 점프할때 트랙킹 즉, 액튜에이터는 트랙 제로크로싱을 체크하기 때문에 정확하게(1.6100TRACK) 160±10%를 도달하게 된다. 하지만 슬레드는 덱크의 부하편차 및 슬레이드 전압의 편차에 의해 25%~30%의 오차(이동거리의 오차 160±30%를 갖게되며, 트랙킹과 슬레드 이동시간의 편차에 의해 더 심화된다. 이는 제6도에 나타내고 있다. 상기 제6도는 20% 오차로 픽업(101)과 대물렌즈(201)가 동시에 이동했을때의 픽업(101)과 대물렌즈(201) 즉, 액튜에이터의 이동이 5회에 걸쳐 도달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1회 점프시 100트랙 정도 점프한다면 상기 제5도의 예와 같이 대물렌즈(201)의 트랙킹과 픽업(101)의 슬레드 구동을 동시에 하면 마진이 75트랙이므로 매 점프시마다 25트랙만큼 부족하여 대물렌즈(201)는 픽업(101)에 부딛치게 된다. 그로 인하여 포커스, 드롭 및 트랙킹 발진이 일어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트랙킹과 슬레드 제어에 있어 소정의 시간차를 두워 실제 동시에 구동토록하여 세트의 덱크 및 전압 편차로 인해 발생되는 불량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흐름도로서, 트랙점프 모드와 동일 시점에서 대물렌즈의 트랙킹을 오프하고 픽업을 이동키 위한 슬레드를 킥하여 상기 킥한 시간을 소정 지연하는 제1과정과, 상기 슬레드를 킥한 후의 소정시간이 지나서 대물렌즈를 이동키 위한 트랙킹을 킥하고 상기 슬레드를 킥한 상기 소정시간 경과후 픽업을 멈추기 위한 슬레드 제어를 오프한 후 일차로 제로크로싱 신호 발생횟수가 n회(n=50)횟수에 도달했느냐를 검색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로크로싱 n횟수에 도달했을시 트랙킹을 브레이크하여 트랙 제로크로싱 신호발생횟수가 다시 n(n=50)횟수에 도달했냐를 체킹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3과정의 n횟수에 도달했을시 대물렌즈의 이동을 멈추기 위한 트랙킹을 오프하고 상기 오프한 상태를 소정지연하여 대물렌즈의 구동에 대해 트랙킹 이득을 업하고, 상기 픽업의 구동에 대해 슬레드를 온하여 점프의 안정화 시간을 가지는 제4과정으로 구성된다.
상기 안정화시간이 소정 지나면 슬레드를 온하여 트랙킹을 온하는 과정을 유지한다.
즉, 본 발명의 요지는 다수의 트랙을 가지는 소망의 트랙을 찾아 가기 위하여 소정의 점프를 하는 중 슬레드 내에 위치한 대물렌즈가 상기 슬레드의 벽면과 충돌을 방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매트랙 점프를 할때 마다 슬레드를 킥 할때 트랙킹을 오프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슬레드의 킥과 상기 트랙킹의 오프 후 슬레드 오프와 상기 트랙킹의 킥과 브레이크를 하는데 있어 트랙의 제로크로스를 카운트하여 실시함을 특징으로 한다.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킹과 슬레드 구동 타이밍도로서, 제8a도는 트랙킹 타이밍도이고, 제8b도는 슬레드 타이밍도이다.
제9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핑시 픽업과 엑튜에이터 변화 예시도로서, 제9a도는 점프전의 픽업(101)과 대물렌즈(201)의 편차예를 도시한 것이며, 제9b도는 상기 제9a도로 부터 상기 제7도의 (7b)과정에서 트랙킹 점프로 인하여 대물렌즈(201)가 픽업(101)의 중앙으로 부터 자유복원 및 슬레드 이동 시작예를 도시한 것이며, 제9c도는 상기 제9b도로부터 슬레드와 트랙킹의 약4ms지연으로 인해 슬레드의 제어전압이 먼저 제어했으나 동시에 움직이는 예를 도시한 것이며, 제9d도는 상기 제9c도로부터 상기 (7i)과정에서 트랙킹 오프로 픽업의 중앙에 대물렌즈가 자유 복원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체적 일 실시예를 제3도~제7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7a)과정에서 마이콤(300)에서 트랙점프 모드에 있으면 (7b)과정에서 제8a도의 801)와 같이 트랙킹을 오프하고, 제8b도의 (807)의 예와 같이 슬레드를 킥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발생하면 코멘드 논리부(302)에서 이를 분석하여 스위치 제어단(313)을 통해 스위치(318, 317)를 온하고, 스위치(319, 320)의 접점 위치를 ①의 위치에 두어 코멘드 논리회로(303)에서 발생되는 신호에 의해 펄스 발생기(303)에서 발생된 트랙킹 킥, 브레이크와 슬레이드 신호가 픽업 및 슬레드로 전달 되도록 한다. 그리고 (7C)과정에서 제1지연타임으로 2.5ms 지연후 (7d)과정에서 마이콤(300)은 제어 명령 신호를 코멘드 논리회로(302)에 인가하여 코멘드 논리회로(302)에서 발생되는 펄스 발생기(303)에서 트랙킹 킥 신호는 제8a도의 (802)와 같이 발생하며, 제8b도의 (808)와 같이 슬레드를 오프하도록 하는 신호를 발생하여 스위치(319, 318, 317)를 통해 픽업(306)과 슬레드에 인가한다. 상기 픽업부(306) 상기 슬레드 구동에 따라 서보 제어부(306)로 부터 제로 크로싱이 50개 도달했는지를 체킹하여 이에 도달했을시 마이콤(300)은 (7f)과정에서 제8a도의 803와 같이 트랙킹이 브레이크 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트랙킹 브레이크에 따라 픽업 및 슬레이드 구동으로 서보 제어부(804)에서 발생되는 트랙 제로 크로스 횟수가 50에 도달되었느냐를 (7g)과정에서 체크하여 도달되었을때 (7i)과정에서 제8a도의 (804)와 같이 트랙킹이 오프되도록 하고, 마이콤(300)은 (7j)과정에서 제2지연타임 2.5ms 지난후 (7h)과정에서 제8a도의 (805)의 예와 같이 트랙킹 이득을 업하도록 제어하고, 제8b도의 809와 같이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슬레이드를 온 하도록 제어한다. 다음 제8c도과정에서 제3지연 타임을 10ms지연 후 제8a도의 806의 예와 같이 트랙킹을 온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트랙킹과 슬레이드 구동 시간차를 두어 슬레이드와 트랙킹이 동시에 움직이도록 하여 슬레이드 킥 동안에 트랙킹을 오프하여 대물렌즈가 픽업 중앙으로 이동하게 하여 점프마진을 키웠고, 트랙킹(ACTUATOR) 점프후 마진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시간 동안 트랙 오프를 하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제9도의 예와 같이 제9a도 점프전에서 제9b도와 같이 트랙킹 오프로 인하여 픽업의 중앙으로 자유복원 및 슬레드 이동을 시작하여 제9c도와 같이 슬레드와 트랙킹의 약 4ms 지연으로 인해 슬레드 전압이 먼저 제어 되었으나 동시에 움직여지므로 제9d도와 같이 트랙킹 오프로 트랙킹 발진방지 및 슬레드의 중앙에 자유로 복원되어 1회 점프가 1단계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슬레드와 액튜에이터는 트랙킹 이동 편차에 의해 점프마진이 부족하였으나 제7도에서 보듯이 1회 점프시 액튜에이터는 항상(픽업본체) 슬레드 중앙에 위치하게 됨으로 항상 점프 마진을 ±200프랙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다수의 트랙을 가지는 기록매체상의 소망의 트랙을 찾아가기 위하여 소정수의 트랙 점프를 하는 중 슬레드 내에 위치된 대물렌즈가 상기 슬레드의 벽면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트랙점프 모드와 동일 시점에서 상기 대물렌즈의 트랙킹을 오프하고 픽업을 이동키 위한 슬레드를 킥하여 상기 킥한 시간을 소정 지연하는 제1과정과, 상기 슬레드를 킥한 후의 소정시간이 지나서 대물렌즈를 이동키 위한 트랙킹을 킥하고 상기 슬레드를 킥한 상기 소정시간 경과후 픽업을 멈추기 위한 슬레드 제어를 오프한 후 일차로 제로 크로싱 신호 발생횟수가 n횟수에 도달했으냐를 검색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로크로싱이 상기 n횟수에 도달했을시 트랙킹을 브레이크하여 트랙 제로 크로싱 신호 발생횟수가 다시 n횟수에 도달했냐를 체킹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3과정의 n횟수에 도달했을시 대물렌즈의 이동을 멈추기 위한 트랙킹을 오프하고 상기 오프한 상태를 소정 지연하여 대물렌즈의 구동에 대해 트랙킹 이득을 업하고, 상기 픽업의 구동에 대해 슬레드를 온하여 점프의 안정화 시간을 가지는 제4과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의 트랙점프의 안정화 방법.
KR1019950059420A 1995-12-27 1995-12-27 디스크드라이브의 트랙점프 안정화 방법 KR100211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9420A KR100211207B1 (ko) 1995-12-27 1995-12-27 디스크드라이브의 트랙점프 안정화 방법
US08/742,150 US5905701A (en) 1995-12-27 1996-10-31 Track jump stabilizing method of disk driv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9420A KR100211207B1 (ko) 1995-12-27 1995-12-27 디스크드라이브의 트랙점프 안정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0900A KR970050900A (ko) 1997-07-29
KR100211207B1 true KR100211207B1 (ko) 1999-07-15

Family

ID=19445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9420A KR100211207B1 (ko) 1995-12-27 1995-12-27 디스크드라이브의 트랙점프 안정화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905701A (ko)
KR (1) KR1002112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5051B1 (ko) * 1997-08-30 2006-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광 디스크 시스템의 슬레드 풀인 제어방법 및 장치
KR100915869B1 (ko) * 2008-01-02 2009-09-07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광디스크 시크 제어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4932B1 (ko) * 2000-02-15 2006-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레드 모터를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광 디스크 시스템
TW588336B (en) * 2001-02-28 2004-05-2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apparatus for reading and/or writing a data disk
TWI229323B (en) * 2001-05-18 2005-03-11 Via Tech Inc Track-searching control method of optical disc drive
WO2003028017A1 (en) * 2001-09-24 2003-04-0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reproducing apparatus for performing an actuator jump operation
JP4384387B2 (ja) * 2002-02-20 2009-12-16 ティアック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
TWI234140B (en) * 2003-09-15 2005-06-11 Liteon It Corp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led motor control signal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09417A (en) * 1991-10-09 1994-05-03 Nippon Conlux Co., Ltd.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for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JPH07129973A (ja) * 1993-10-29 1995-05-19 Pioneer Electron Corp サンプルドサーボ方式のトラッキング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5051B1 (ko) * 1997-08-30 2006-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광 디스크 시스템의 슬레드 풀인 제어방법 및 장치
KR100915869B1 (ko) * 2008-01-02 2009-09-07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광디스크 시크 제어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905701A (en) 1999-05-18
KR970050900A (ko) 1997-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13684B2 (ja) 多層光ディスク再生装置および方法
EP0739002B1 (en) Optical disk player with digital servo-control circuit
US7333412B2 (en) Optic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focusing method therefor, and optical disk recording medium
KR100211207B1 (ko) 디스크드라이브의 트랙점프 안정화 방법
JPH1125468A (ja) フォーカス制御装置
US5184338A (en) Optical disc system with improved track jumping operation
EP0420375B1 (en) Tracking servo system
JP3367444B2 (ja) 光ディスクの記録再生装置に適用される光ピックアップ装置
EP0296338A2 (en) Optical disc system
CN100505050C (zh) 光盘装置和物镜的退避移动控制方法
KR970008281B1 (ko) 레이저디스크재생장치의 리드인(Lead In)시간 단축방법
JPH0432031A (ja) 光ディスク再生装置
US5684767A (en) Track jump control circuit of optical disk apparatus properly controlling timing of accelerating pulses and decelerating pulses, and performing stable track jump
JP2671363B2 (ja) トラッキング制御装置
US6711104B2 (en) Disk reading apparatus
KR100200344B1 (ko) 광학 시스템에서의 포커스 풀-인 방법
KR100237638B1 (ko) 광학식디스크 플레이어의 트랙점프 제어방법
JPH08273171A (ja) 光ディスク装置
JPH073694B2 (ja) 光デイスク制御装置
JP2899505B2 (ja) トラックジャンプ装置
JPH0664747B2 (ja) 光デイスク装置のトラツクジヤンプ回路
JP3172654B2 (ja) 光ディスク再生装置のフォーカスサーボ回路
JPH1125471A (ja) フォーカス制御装置
JPH08279164A (ja) 情報記憶媒体駆動装置
KR960029690A (ko) 광자기 디스크의 재생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6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