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1047B1 - 동기식 분기결합장치의 분기결합제어 스위치 - Google Patents

동기식 분기결합장치의 분기결합제어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1047B1
KR100211047B1 KR1019960062141A KR19960062141A KR100211047B1 KR 100211047 B1 KR100211047 B1 KR 100211047B1 KR 1019960062141 A KR1019960062141 A KR 1019960062141A KR 19960062141 A KR19960062141 A KR 19960062141A KR 100211047 B1 KR100211047 B1 KR 100211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
coupling
ring
output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2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4112A (ko
Inventor
고정훈
김효중
조재일
이유경
Original Assignee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019960062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1047B1/ko
Publication of KR19980044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4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1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10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2Loop networks
    • H04L12/427Loop networks with decentralised control
    • H04L12/43Loop networks with decentralised control with synchronous transmission, e.g. time division multiplex [TDM], slotted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동기식 분기결합장치의 분기결합제어 스위치.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동기식 디지틀 전송망에서 간단한 제어신호의 변경만으로 장치가 단국, 선형 ADM, 링 ADM에 쉽게 변경 적용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서쪽 또는 동쪽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선택하거나 분기결합제어가 완료된 데이터를 선택하여 링스위치 기능을 행하는 수단(1,8); 고속신호에 대한 루프백을 행하는 수단(3,9); 연속신호와 결합신호를 선택하는 수단(2,7); 동작모드에 따라 상위방향으로 출력시키는 결합제어 수단(6); 하위방향으로 출력시키는 분기제어 수단(5); 저속신호에 대한 루프백을 행하는 수단(4)을 구비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SDH 광전송 장치의 단국, 선형 ASDM, BLSR/2의 링 ADM 장치의 분기결합제어부에 이용됨.

Description

동기식 분기결합장치의 분기결합제어 스위치
본 발명은 동기식 디지탈 전송 장치 중 선형 분기결합 다중장치(L-ADM: Linear Add-Drop Multiplexer)와 2선식 양방향 선로절체링 분기결합 다중장치(BLSR/2-ADM: 2 Fiber Bidirectional Line Switching Ring ADM)에서 분기결합 제어를 동시에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동기식 전송망에는 선형 구조의 선형망이 있으며 전송선로나 장치의 장애가 발생했을 때 자기복구(Self Healing)로 전송망의 생존성(Survivalbility)를 높여 주는 링망이 있다. 링망 중에는 2선식 양방향 선로절체 링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선형망은 단국다중창치(TM: Terminal Multiplexer)와 L-ADM으로 구성되며 2선식 양방향 선로절체 링망은 BLSR/2-ADM로 구성된다.
많은 전송장치는 이상의 서로 다른 전송망에서 유연하게 적용되어야 하는데 위와 같이 단국, 선형 ADM, 링 ADM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각 장치의 신호 흐름상의 경로가 서로 상이하므로, 신호의 경로들이 서로 연결되는 장치의 마더보드(Mother Board)를 각 네트워크의 구성에 따라 교체하거나, 비록 하나의 마더보드로 구성되었다 하더라도 신호 연결 케이블링(cabling)을 바꾸어 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동기식 디지틀 전송망에서 간단한 제어신호의 변경만으로 단국, 선형 ADM, 링 ADM에 쉽게 변경 적용될 수 있는 분기결합 스위치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결합제어스위치의 전체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링스위치의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속루프제어기의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저속루프백제어기의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연속선택기의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제어기의 구성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제어기의 구성도,
도 8 은 결합제어기의 선형 ADM 모드에서의 연결도,
도 9 는 결합제어기의 BLSR/2 ADM 모드에서의 연결도,
도 10 은 분기제어기의 선형 ADM 모드에서의 연결도,
도 11 은 분기제어기의 BLSR/2 ADM 모드에서의 연결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서쪽 또는 동쪽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선택하거나 분기결합제어가 완료된 데이터를 선택하여 링스위칭기능을 수행하는 링 스위치 수단과, 동작 모드에 따라 저속부의 신호를 결합시키는 결합제어수단과, 상대 측의 상기 링스위치 수단의 출력이나 상기 결합제어수단에서 출력되는 저속부의 데이터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링스위치 수단으로 제공하는 결합 연속 선택수단과, 상기 서쪽 또는 동쪽으로부터의 데이터와 상기 결합 연속 선택수단의 출력 데이터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단으로 출력함으로써 신호에 대한 루프백을 수행하는 루프백 제어수단, 및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링스위치 수단의 출력을 상기 저속부 측으로 출력하는 분기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 결합 제어 스위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여기서 경로가 제어되는 신호의 단위는 51Mb/s 급이나 155Mb/s급이 될 수 있다. 51Mb/s급 신호는 AU3신호가 되며 155Mb/s 급신호는 3개의 AU3 또는 1개의 AU4 신호가 될 수 있다. 예로서 STM-64의 10Gb/s 용량의 신호를 수용하는 장치에서는 AU3단위로 처리할 때 신호수 N은 192가 되고 3개의 AU3 또는 AU4 단위로 처리할 때는 N이 64가 된다. 또한 이상의 용량을 M개의 스위치로 나누어 수용할 때 N은 다시 192/M 또는 64/M이 된다. 또 서쪽과 동쪽 고속부 그리고 저속부에서는 타임스롯교환(Time Slot Interchange) 기능의 NxN의 크로스포인트 스위치를 사용하여 효율적인 스위칭이 되도록 다음과 같이 신호를 미리 분배한 후 스위치로 입력시킨다.
- ADM에서 연속신호(Continued Signal)는 서쪽과 동쪽의 (WI1∼WIN),(WO1∼WON)과 (EI1∼EIN) 중 앞의 번호부터 채워나아가면서 할당시키고 분기결합되는 신호는 끝번호부터 채워나아가면서 할당시킨다.
- 분기결합되는 신호(TI1∼TIN)과 (TO1∼TON)은 L-ADM과 BLSR/2-ADM 모드에 상관없이 서쪽으로 분기결합될 신호는 앞의 번호부터 채워나아가면서 할당하고, 동쪽으로 분기결합되는 신호는 끝번호부터 채워나아가면서 할당되도록 한다.
- BLSR/2-ADM에서 부가채널(Extra Traffic)을 채용할 때는 서쪽으로 분기결합될 부가채널은 (TIN/2)과 (TON/2)부터 (TI1)과 (TO1) 쪽으로 즉, 역으로 채워나아가도록 할당하고, 동쪽으로 분기결합되는 부가채널은 (TIN/2+1)과 (TON/2+1)부터 (TIN)과 (TON) 쪽으로 채워나아가도록 할당한다.
도1에서 서쪽 링스위치(1)는 서쪽으로부터의 입력신호를 그대로 통과시키기도 하고 서쪽결합연속선택기(2)의 출력을 선택하여 BLSR/2-ADM을 위한 링스위치 기능을 수행한 후 동쪽 결합 연속선택기(7)와 분기제어기(5)로 신호를 출력한다.
서쪽 고속루프백제어기(3)는 서쪽입력신호를 루프백하거나 분기결합제어가 완성된 서쪽결합연속선택기(2)의 출력신호를 선택하여 서쪽출력으로 출력시킨다.
서쪽결합연속선택기(2)는 결합제어된 결합제어기(6) 출력신호와 연속신호인 동쪽링스위치(8) 출력신호 중 선택하여 출력한다.
스위치의 동쪽부의 동쪽링스위치(8), 동쪽고속루프백제어기(9)와 동쪽결합연속선택기(7)는 서쪽부의 서쪽링스위치(1), 서쪽고속루프백제어기(3)와 서쪽결합연속선택기(2)와 각각 대칭으로 제어된다.
저속루프백제어기(4)는 저속부로부터의 신호를 선택하여 루프백시키거나 분기제어가 된 분기제어기(5) 출력신호를 선택하여 출력시킨다.
분기제어기(5)와 결합제어기(6)는 서쪽과 동쪽으로부터의 입력신호 중에서 다음 노드로 연속하여 전송되지 않고 저속부로 분기, 결합되는 신호를 분기, 결합제어한다.
도2는 도1에서의 분기결합제어 스위치 중 서쪽링스위치(1)와 동쪽링스위치(8)의 상세 구성도이다.
서쪽에서 입력되는 N개의 신호(WI1∼WIN)는 N개의 2:1 선택기의 한쪽(A)의 N개 단자(A1∼AN)로 연결되고, 결합제어가 완료된 서쪽결합 연속선택기(2)의 출력 중 (WD1∼WDN/2)은 다른 한쪽(B)의 N개 단자 중 (BN/2+1∼BN)에 연결되고 (WDN/2+1∼WDN)은 (B1∼BN/2)에 연결된다. WD1∼WDN 신호가 서쪽링스위치(1)에 연결될 때 상위 절반신호와 하위 절반신호가 서로 바꾸어 하위와 상위 입력단자에 연결되는 것은 BLSR/2-ADM에서의 링스위치를 위한 것이다. 따라서 2:1 선택기의 출력은 한비트의 선택제어신호 S의 값에 따라서 링스위치의 출력단자 (O1∼ON)의 신호 (WR1∼WRN)은 (WI1∼WIN)이나 (WDN/2+1∼WDN,WD1∼WDN/2)가 된다. 동쪽링스위치(8)는 서쪽링스위치(1)과 대칭으로 연결된다.
도3은 서쪽고속루프백제어기(3)과 동쪽고속루프백제어기(9)의 상세 구성도이다.
서쪽에서 입력되는 N개의 신호(WI1∼WIN)는 N개의 2:1 선택기의 한쪽(A)의 N개 단자(A1∼AN)로 연결되고 결합제어가 완료된 서쪽의 결합제어기(2)의 출력신호(WD1∼WDN)는 다른 한쪽(B)의 N개 단자인 (B1∼BN)에 연결된다. 2:1 선택기의 출력은 N비트의 선택제어신호 (S1∼SN)의 값에 의해 (WI1∼WIN)과 (WD1∼WDN)의 둘 중에 하나씩을 별도로 선택하여 출력단자 (O1∼ON)로 출력되는 신호 (WO1∼WON)을 만든다. 선택제어신호 (S1∼SN)은 고속신호의 루프백 여부에 결정된다.
동쪽고속루프백제어기(9)는 서쪽고속루프백제어기(3)과 대칭으로 연결된다.
도4는 저속루프백제어기(4)의 상세 구성도이다.
저속부에서 입력되는 N개의 신호(TI1∼TIN)는 N개의 2:1 선택기의 한쪽(A)의 N개 단자(A1∼AN)로 연결되고, 분기제어가 완료된 분기제어기(5)의 출력신호(TD1∼TDN)는 다른 한쪽(B)의 N개 단자인 (B1∼BN)에 연결된다. 2:1 선택기의 출력은 N비트의 선택제어신호 (S1∼SN)의 값에 의해 (TI1∼TIN)과 (TD1∼TDN)의 둘 중에 하나씩을 별도로 선택하여 출력단자 (O1∼ON)로 출력되는 신호 (TO1∼TON)을 만든다. 선택제어신호 (S1∼SN)은 저속신호의 루프백 여부에 결정된다.
도5는 서쪽결합연속선택기(2)와 동쪽결합연속선택기(7)의 상세 구성도이다.
동쪽의 링스위치(8)로부터의 N개의 신호(ER1∼ERN)는 N개의 2:1 선택기의 한쪽(A)의 N개 단자(A1∼AN)로 연결되고 결합제어된 결합제어기(6)의 서쪽출력신호(WA1∼WAN)는 다른 한쪽(B)의 N개 단자인 (B1∼BN)에 연결된다. 2:1 선택기의 출력은 N비트의 선택제어신호 (S1∼SN)의 값에 의해 (ER1∼ERN)과 (WA1∼WAN)의 둘 중에 하나씩을 별도로 선택하여 출력단자 (O1∼ON)로 출력되는 신호 (WD1∼WDN)을 만든다. 선택제어신호 (S1∼SN)은 해당채널의 신호가 연속되는 신호인가 아니면 결합되는 신호인가에 따라서 결정된다. 동쪽결합연속선택기(7)는 서쪽결합연속선택기(2)과 대칭으로 연결된다.
도6은 결합제어기(6)의 상세 구성도이다.
저속부로부터의 신호 (TI1∼TIN)을 결합제어기(6)의 입력단자인 (I1∼IN)에 연결된다. 결합제어기는 스위치가 적용되는 장치에 따라 L-ADM과 BLSR/2-ADM의 두가지 형태로 신호 흐름이 제어되며 모드선택을 위한 한 비트의 모드제어비트(M)를 사용한다. L-ADM에는 TM형도 포함된다.
아래의 표1과 도8은 L-ADM 모드에서의 결합제어기의 연결을 보여주고 표 2와 도9는 BLSR/2-ADM에서의 결합제어기의 신호연결을 보여준다.
Wi W1 W2 W3 . . . WN-1 WN
Ii IN IN-1 IN-2 . . . I2 I1
Ei E1 E2 E3 . . . EN-1 EN
Ii I1 I2 I3 . . . IN-1 IN
Wi W1 W2 . . . WN/2-1 WN/2 WN+1 WN/2+1 . . . WN-1 WN
Ii IN/2 IN/2-1 . . . I2 I1 I1 I2 . . . IN/2-1 IN/2
Ei E1 E2 . . . EN/2-1 EN/2 EN+1 EN/2+1 . . . EN-1 EN
Ii IN/2+1 IN/2+2 . . . IN-1 IN IN IN+1 . . . IN/2+2 IN/2+1
L-ADM을 위한 모드에서는 서쪽의 i 번째 출력신호 (Wi ) (i=1~N)은 역순인 N-i+1번째 입력신호인 (IN-i+1)가 되며, 동쪽 출력신호 (Ei)는 입력신호가 그대로 연결되어 (Ii)가 된다. BLSR/2-ADM에서는 서쪽출력신호 중 앞의 반인 (Wi)(i=1~N/2)는 (IN/2-i+1)이 연결되고 나머지 반인 (Wi)(i=N/2+1~N)는 (Ii-N/2)로 연결된다. 또한 동쪽출력신호의 앞의 반인 (Ei)(i=1~N/2)는 (IN/2+i)이 연결되고 나머지 반인 (Ei)(i=N/2+1~N) 은 (I3N/2-i+1)로 연결된다.
도7은 분기제어기(5)의 상세 구성도이다.
분기제어기(5)에서는 서쪽링스위치(1)의 출력신호(WR1∼WRN)를 서쪽입력단자(W1∼WN)에 연결시키며 동쪽링스위치(8)의 출력신호(ER1∼ERN)를 동쪽입력단자인 (E1∼EN)에 연결시키고 입력된 신호를 선택하여 저속부로 신호를 분기시킨다. 분기제어기도 결합제어기와 마찬가지로 두 가지 모드를 갖고 있으며 아래의 표3과 도10은 L-ADM 모드에서의 분기제어기의 신호연결을 보여주고 표 4와 도 11은 BLSR/2-ADM에서의 분기제어기의 신호연결을 보여준다.
S1~ S16 O1 O2 O3 . . . ON-1 ON
0 WN WN-1 WN-2 . . . W2 W1
1 E1 E2 E3 . . . EN-1 EN
S1~S16 O1 O2 . . . ON/2-1 ON/2 ON/2+1 ON/2+2 . . . ON-1 ON-1
0 WN/2 WN/2-1 . . . W2 W1 E1 E2 . . . EN/2-1 EN/2
1 WN/2+1 WN/2+2 . . . WN-1 WN EN EN-1 . . . EN/2+2 EN/2+1
L-ADM을 위한 모드에서 출력단자 (Oi)(i=1∼N)은 서쪽의 (N-i+1)번째 단자인 (WN-i+1)와 동쪽의 (i)번째 단자인 (Ei) 중 하나를 선택하여 연결된다. N개 2:1 선택을 위해서 N개의 선택제어 신호가 사용된다. BLSR/2-ADM을 위한 모드에서는 앞의 반의 출력단자 (Oi)(i=1∼N/2)는 서쪽의 (N/2-i+1)번째 단자인 (WN/2-i+1)와 서쪽의 (N/2+i)번째 단자인 (WN/2+i) 중 하나를 선택하여 연결되며 나머지 반의 출력단자 (Oi)(i=N/2+1∼N)는 동쪽의 (i-N/2)번째 단자인 (Wi-N/2)와 서쪽의 (3N/2+1-i)번째 단자인 (W3N/2+1-i) 중 하나를 선택하여 연결된다. 두가지의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1개의 모드제어신호(M)과 2:1 선택기를 제어하기 위한 N비트의 선택제어신호 (S1∼SN)가 필요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서쪽 또는 동쪽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선택하거나 분기결합제어가 완료된 데이터를 선택하여 링스위치 기능을 행하는 수단(1,8); 고속신호에 대한 루프백을 행하는 수단(3,9); 연속신호와 결합신호를 선택하는 수단(2,7); 동작모드에 따라 상위방향으로 출력시키는 결합제어 수단(6); 하위방향으로 출력시키는 분기제어 수단(5); 저속신호에 대한 루프백을 행하는 수단(4)을 구비하는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SDH 광전송 장치의 단국, 선형 ASDM, BLSR/2의 링 ADM 장치의 분기결합제어부에 적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동작하는 본 발명은 제어신호의 간단한 변경만으로 장치를 단국, 선형 ADM, 링 ADM형의 장치로 변경이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Claims (6)

  1. 서쪽 또는 동쪽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선택하거나 분기결합제어가 완료된 데이터를 선택하여 링스위칭기능을 수행하는 링 스위치 수단과,
    동작 모드에 따라 저속부의 신호를 결합시키는 결합제어수단과,
    반대 측의 상기 링스위치 수단의 출력이나 상기 결합제어수단에서 출력되는 저속부의 데이터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링스위치 수단으로 제공하는 결합 연속 선택수단과,
    상기 서쪽 또는 동쪽으로부터의 데이터와 상기 결합 연속 선택수단의 출력 데이터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단으로 출력함으로써 신호에 대한 루프백을 수행하는 루프백 제어수단, 및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링스위치 수단의 출력을 상기 저속부 측으로 출력하는 분기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 결합 제어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스위치 수단은,
    입력되는 N개의 신호를 그대로 통과시켜 상기 분기제어수단에 제공하거나 결합연속 선택수단의 출력을 선택하여 2선식 양방향 선로절체링 분기결합 다중장치를 위한 링스위칭 기능을 수행하는 2:1 선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 결합 제어스위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백 제어수단은,
    입력 데이터와 상기 결합 연속 선택수단의 출력 데이터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2:1 선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 결합 제어스위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연속 선택수단은 상대 측의 링스위치 수단의 출력이나 상기 결합제어수단에서 출력되는 저속부의 데이터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2:1 선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 결합 제어스위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제어수단은,
    저속부로부터의 신호를 선형분기 결합 다중장치(L-ADM)와 2선식 양방향 선로절체링 분기결합 다중장치(BLSR/2-ADM)에 의해 모드 변환되어 스위칭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결합 제어스위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제어수단은,
    서쪽과 동쪽으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선형분기 결합 다중장치(L-ADM)와 2선식 양방향 선로절체링 분기결합 다중장치(BLSR/2-ADM)에 의해 모드 변환되어 스위칭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분기결합 제어 스위치.
KR1019960062141A 1996-12-05 1996-12-05 동기식 분기결합장치의 분기결합제어 스위치 KR100211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2141A KR100211047B1 (ko) 1996-12-05 1996-12-05 동기식 분기결합장치의 분기결합제어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2141A KR100211047B1 (ko) 1996-12-05 1996-12-05 동기식 분기결합장치의 분기결합제어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4112A KR19980044112A (ko) 1998-09-05
KR100211047B1 true KR100211047B1 (ko) 1999-07-15

Family

ID=19486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2141A KR100211047B1 (ko) 1996-12-05 1996-12-05 동기식 분기결합장치의 분기결합제어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104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4112A (ko) 1998-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19336B1 (en) Terminal multiplexer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terminal multiplexer
US7269130B2 (en) Redundant add/drop multiplexor
CA2076844C (en) 1:n ring-type signal protection apparatus
US5546403A (en) Bidirectional line switch ring network
US5406549A (en) Ring interworking between path-switched ring transmission systems
US5452286A (en) Digital transmission apparatus for subscribers having switching function from active transmission line to protection transmission line
US6693902B1 (en) Cross-connection architecture for SDH signals comprising time-and-space division switch groups
KR19980703548A (ko) 광망 및 이의 구성 및 이러한 망에서의 방법
KR100211047B1 (ko) 동기식 분기결합장치의 분기결합제어 스위치
US6317429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network system using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used in network system
US7161965B2 (en) Add/drop multiplexor with aggregate serializer/deserializers
US7145922B2 (en) Composite add/drop multiplexor with crisscross loop back
US7110424B2 (en) Bi-directional serializer/deserializer with discretionary loop-back
KR100211982B1 (ko) 선형 망 및 2선식 양방향 링 망을 위한 분기/결합 제어기
KR100256683B1 (ko) 제어신호를 이용한 분기 및 결합 제어 장치
KR100277715B1 (ko) 디지탈 전송 시스템의 링절체 제어 장치
KR930011250B1 (ko) 155Mbps급 동기식 전송시스팀의 선로 절체기
KR0147506B1 (ko) 개선된 멀티플랙서/디멀티플랙서
KR0164109B1 (ko) 동기식 전송시스템에서 시험 액세스를 위한 3 x 6N 교차 스위칭 장치
KR100602889B1 (ko) 광섬유 경로의 가상 보호 방법 및 장치
KR100223366B1 (ko) 데이터 통신채널 선택회로
KR100281740B1 (ko) 동기식 디지탈 전송장치의 분기/결합/링절체 제어 시스템
JP3334868B2 (ja) 同期光伝送装置
KR0168921B1 (ko) 동기식 전송시스템에서 시험액세스를 위한 24x3교차 스위치 회로
WO1997001905A1 (en) Implementation of a fault-tolerant bus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