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0254B1 - 디스크램블 회로 - Google Patents

디스크램블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0254B1
KR100210254B1 KR1019960025637A KR19960025637A KR100210254B1 KR 100210254 B1 KR100210254 B1 KR 100210254B1 KR 1019960025637 A KR1019960025637 A KR 1019960025637A KR 19960025637 A KR19960025637 A KR 19960025637A KR 100210254 B1 KR100210254 B1 KR 100210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cramble
output
switch
blan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5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7679A (ko
Inventor
강권학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60025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0254B1/ko
Publication of KR980007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7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0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02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7Systems rendering the television signal unintelligible and subsequently intelligible
    • H04N7/171Systems operating in the amplitude domain of the television signa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002Switching arrangements with several input- or output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램블 신호를 디스크램블하는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스크램블 신호 검출 회로와 스위치 IC를 이용하여 스크램블 신호가 검출되면 설정해 둔 블랭킹 레벨의 DC 값을 출력하고 함으로써 무의미한 스크램블 신호를 디스크램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스크램블 신호 검출 회로는 수평 블랭킹 신호의 하강 모서리(즉, 수평 동기 신호의 상승 모서리)로부터 일정 폭 뒤에 스크램블 신호의 구간 폭만큼 로우 신호를 출력하고 그 외의 구간에서는 하이를 출력함으로써 영상 신호와 설정해 둔 DC 값을 비교함으로써 스크램블 신호를 검출하고, 스위치 IC는 상기 스크램블 검출 신호에 의해 그 스위칭 동작이 제어되며 스크램블 신호가 검출된 경우 스크램블 신호의 구간에서는 설정해 둔 블랭킹 레벨의 DC 값이 출력되도록 하여 안정된 화면을 제공하고 그 외의 구간에서는 영상 신호를 그대로 출력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디스크램블 회로
제1도의 (a)는 일반적인 영상 신호의 파형도.
(b)는 스크램블 신호를 포함하는 영상 신호의 파형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블록 구성도.
제3도는 (a)는 제2도의 스크램블 검출 회로의 블럭 구성도.
(b)는 제2도의 스크램블 검출 회로의 블랭킹 발생부와 그입출력 신호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스크램블 검출 회로 110 : 블랭킹 발생부
120 : DC 발생부 130 : 비교기
200 : 스위치 IC 300 : 영상 출력부
400 : OSD 처리부 Q1 : 트랜지스터
VR : 가변저항 R1 ∼ R4 : 저항
C1, C2 : 커패시터
본 발명은 수평 동기 신호의 백 포치에 실린 스크램블 신호를 검출하여 이를 디스크램블하는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스크램블 신호 검출 회로와 스위치 IC를 이용하여 스크램블 신호 구간 동안은 스위치 IC가 영상 신호 대신에 설정해 둔 블랭킹 레벨의 DC 값을 출력하고 그 외의 구간에서는 영상 신호를 그대로 출력하는 디스크램블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젼 수상기(이하 TV라 한다)는 수신된 신호를 음성 신호와 영상 신호로 분리 처리하여 음극선관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TV를 시청할 수 있게 되는데, 이들 신호를 처리하는 대략적인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TV는 튜너가 안테나에 유기된 몇 개의 고주파 신호 중에서 수신하려는 채널의 고주파 신호를 선택하며 선국된 신호를 안정하게 증폭하고 필요한 선택도 특성을 얻기 위해 중간 주파수로 주파수 변환하고, 이들 2 ∼ 3 단의 증폭기로 구성되어 있는 영상 중간 주파 증폭 회로에서 튜너에서 뽑아내진 중간 주파 신호를 음극선관(CRT : Cathode Ray Tube)에 필요한 크기까지 증폭하며 증폭된 음성 중간 주파 신호를 영상 신호 처리부와 음성 신호 처리부에 음성 신호 처리부에 공급한다.
상기 음성 신호 처리부는 상기 영상 중간 주파 증폭 회로에서 공급받은 신호 중에서 음성 중간 주파 신호를 끌어내고, 음성 중간 주파 신호를 FM 검파에 필요한 진폭까지 증폭함에 동시에 FM파에 포함되는 잡음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진폭을 제한하며, 증폭된 음성 중간 주파 신호에서 저주파의 음성신호를 검출하고, 이를 음성 증폭부가 증폭 및 음질 조정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한편, 상기 영상 신호 처리부는 영상 중간 주파 증폭 회로에서 증폭된 중간 주파 신호에서 영상 신호를 끌어내고, 필요가 없어진 음성 신호의 성분을 트랩을 이용하여 제거함으로써 비이트 방해의 발생을 억제하며, 영상 신호를 증폭하여 음극선관(CRT)에 가하는 신호를 만듬과 동시에 다른 회로에 신호를 분배하으로써 영상 신호를 처리한다.
상기 영상 신호 처리부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는 보통 제1도의 (a)와 같은 파형이나 케이블 텔레비젼 방송(이하 CATV라 한다) 또는 유료 방송의 경우 제1도의 (b)와 같이 통상 컬러 버스트 뒤에 스크램블 신호(scremble signal : C)가 포함되어 있다.
원래 스크램블 신호(c)는 유료인 특정 채널 또는 프로그램의 시청을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스크램블 신호의 해독기를 가지고 있는 시청자만에 정상적인 화면을 시청할 수 있고, 그렇지 않으면 정상적인 TV 시청을 할 수 없다. 즉, 유료 채널 또는 유료 프로그램 프로그램 포함된 스크램블 신호(C)는 가입자의 CATV 수신기에 구비된 스크램블 신호 해독기에서 해독되어 정상적인 화면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고, 비가입자의 정상적인 시청은 불가능하게 함으로써 본래의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는 CATV 도입의 초기 단계로서 가입자 확대를 위하여 무료로 제공되고 있는 채널, 프로그램에도 영상 신호 특정 구간에 무의미한 스크램블 신호가 포함되어 있다.
이 스크램블 신호가 실린 구간이 보통 비디오 IC의 클램프 포인트(clamp point)에 속하기 때문에 스크램블 신호의 DC 레벨에 의해 화면이 영향을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스크램블 신호의 DC 레벨이 높으면 화면은 어두어지고 반대로 낮으면 밝아지게 되어 화면이 불안정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영상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무의미한 스크램블 신호(C)를 검출하여 이를 디스크램블함으로써 정상적인 화면으로 TV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크램블 회로가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영상 신호에 실린 의미없는 스크램블 신호에 의해 화면이 불안정한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스크램블 검출 회로와 스위치 IC를 이용한 디스크램을 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제2도와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 블랭킹 신호(H Blankk)를 이용하여 하기의 트랜지스터(Q1)와 비교기(130)의 동작을 제어하는 블랭킹 발생부(110)와 상기 블랭킹 발생부(110)의 출력이 로우 인 경우 오프되어 영상 신호 처리부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가 비교기(130)의 일측 입력 단자에 공급되도록 하는 트랜지스터(Q1)와 블랭킹 레벨의 DC 값을 비교기의 다른 측 입력 단자 및 하기의 스위치 IC(200)에 공급하는 DC 발생부(120)와 상기 영상 신호의 입력과 DC 발생부(120)로부터의 입력을 비교하여 스위치 IC(200)로 출력하는 비교기(130)로 이루어진 스크램블 검출 회로(100)와, 상기 스크램블 검출 회로(100)의 스크램블 검출 신호 제2출력(OUT2)을 이용하여 입력되는 영상 신호와 DC 발생부(120)의 DC 출력 중 하나를 스위칭하는 스위치 IC(2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제1도 내지 제3도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스크램블 검출 회로를 설명한다.
제3도의 (a)는 스크램블 검출 회로(100)의 블록 구성도이고 (b)는 스크램블 검출 회로(100)의 블랭킹 발생부(110)의 일실시 예 및 그 입출력 신호의 파형도이다.
상기 블랭킹 발생부(110)는 입력으로 수평 블랭킹 신호를 이용하여 스크램블 신호 구간(W2) 동안 트랜지스터(Q1)을 오프 시키고 비교기(30)을 인에 이블시키기 위해 로우 신호를 출력한다.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제1입력단자(IN1)에 입력되는 수평 브랭킹 신호(H Blank)는 수평 동기 신호가 하이에서 로우로 떨어지고 일정 구간 로우를 유지한 다음 하이로 상승하는 동안 이와는 반대로 로우에서 하이로 상승하고 일정 구간 하이를 유지한 다음 로우로 다시 떨어지고, 상기 수평 블랭킹 신호(H Blank)의 하강 모서리(falling edge)에서 제1출력(OUT1)은 트리거(trigger)되어 로우에서 하이를 상승한다.
상기 제1출력(OUT1)은 제2입력(IN2)으로 이용되며 일정 폭(W1) 동안 하이를 유지하는데, 이 때 일정 폭(W1)은 수평 동기 신호의 상승 모서리(rising edge)로부터 스크램블 신호가 존재하기 까지의 구간 폭이며 이 폭(W1)은 CATV 방송 신호 중에 스크램블 신호가 실리는 위치에 의해 정해져 있고 커패시터(C1)와 정항(R3)의 값을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1출력(OUT1) 즉 제2입력(IN2)의 신호의 하강 모서리에서 제2출력(OUT2)은 트리거되어 로우에서 하이로 상승하고 이는 스크램블 신호의 폭(W2) 만큼 하이를 유지한 다음 다시 로우로 떨어지는데 이 폭(W2)역시 일정하므로 커패시터(C2)와 저항(R4)를 적정하게 설정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은 주기적으로 일정 구간 하이인 수평 블랭킹 신호(H Blank)가 제1입력(IN1)에 입력됨으로써 반복된다.
블랭킹 발생부(110)는 제2출력(OUT2)의 반전출력()을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하여 트랜지스터(Q1)을 제어하는 한편 비교기(130)의 인에이블 신호()로 작용하여 비교기를 동작을 제어하는데 블랭킹 발생부(110)의 반전출력()에 따른 트랜지스터(Q1) 및 비교기(13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블랭킹 발생부의 출력이 하이인 경우, 즉 스크램블 신호 구간외의 모든 구간에서는 트랜지스터(Q1)은 온 상태이며 이때 영상 신호 처리부에서 처리되어 저항(R1)을 통해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에 인가되는 영상 신호는 비교기(130)에 공급되지 않고 에미터를 통해 그라운드로 흐르며, 비교기(130)의 인에이블단자는 활성화되지 않아 비교기(30)은 동작하지 않는다.
한편, 블랭킹 발생부의 출력이 로우 인 경우, 즉 스크램블 신호 구간에서는 트랜지스터(Q1)은 오프 상태로 전환되고 이때 영상 신호 처리부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는 저항(R1)을 통해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에 인가되지 않고 비교기(130)의 일측 입력단자에 공급되며, 비교기(30)의 인에이블단자는 활성화되어 비교기(130)가 동작하게 된다.
상기 비교기(130)는 저항(R2)을 적절히 선정하고 가변저항(VR)을 조절하여 브랭킹 레벨의 기준 값으로 설정하여 둔 DC 발생부(120)의 출력 값과 입력된 영산 신호의 DC 값을 비교한 결과로 스크램블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데 영상 신호의 DC값이 블랭킹 레벨의 DC 값보다 높으면 하이 신호가, 같을면 로우 신호가 출력된다.
한편, 스위치 IC(200)는 상기 블랭킹 발생부(110)의 제2출력(OUT2), 비교기(130)의 스크램블 검출 신호를 이용하여 영상 신호와 DC 발생부(120)의 출력 중 하나를 스위칭하여 출력하는데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위치 IC(200)는 스크램블 신호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즉 비교기(130)의 스크램블 검출 신호가 로우이면 영상 신호를 그대로 통과시키는 한편, 스크램블 신호가 검출되어 비교기(130)의 출력이 하이즉 스크렘블 검출 신호이면 스위치IC(200) 블랭킹 발생부(130)의 제2출력(OUT2)이 하이 상태인 동안만 DC발생부(120)의 DC 출력을 스취칭하여 영상 출력부(300)에 출력하여 OSD 처리부(400)를 거쳐 음극선관(CRT)에 출력하여 화면이 정상적으로 나타나도록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스크램블 신호 구간 동안 상승된 블랭킹 레벨을 정상적이인 블랭킹 레벨의 DC 값으로 바꾸어 출력하여 화면이 불안정하게 되는 것을 방지 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디스램블 회로는 영상 신호 중에 포함된 무의미한 스크램블 신호를 검출하여, 스크램블 신호가 검출되면 스크램블 검출 신호를 이용하여 스크램블 신호 구간 동안은 설정해 둔 블랭킹 레벨의 DC 값이 출력되고, 스크램블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원래의 영상 신호가 출력하는 스위치 IC를 이용함으로써 무의미한 스크램블 신호로 인해 화면이 불안정한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수평 블랭킹 신호를 이용하여 하기의 트랜지스터(Q1)와 비교기(130)의 동작을 제어하는 블랭킹 발생부(110)와 상기 블랭킹 발생부(110)의 출력이 로우인 경우 오프 되어 영상 신호 처리부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가 비교기(130)의 일측 입력 단자에 공급되도록하는 트랜지스터(Q1)와 블랭킹 레벨의 DC 값을 비교기의 다른 측 입력 단자 및 하기의 스위치 IC(200)에 공급하는 DC 발생부(120)와 상기 영상 신호의 입력과 DC 발생부(120)로부터의 입력을 비교하여 스위치 IC(200)로 출력하는 비교기(130)로 이루어진 스크램블 검출 회로(100)와, 상기 스크램블 검출 회로(100)의 스크램블 검출 신호, 제2출력(OUT2)을 이용하여 입력되는 영상 신호와 DC발생부(120)의 DC 출력중 하나를 스위칭하는 스위치 IC(2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램블 회로.
KR1019960025637A 1996-06-29 1996-06-29 디스크램블 회로 KR100210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5637A KR100210254B1 (ko) 1996-06-29 1996-06-29 디스크램블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5637A KR100210254B1 (ko) 1996-06-29 1996-06-29 디스크램블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7679A KR980007679A (ko) 1998-03-30
KR100210254B1 true KR100210254B1 (ko) 1999-07-15

Family

ID=19464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5637A KR100210254B1 (ko) 1996-06-29 1996-06-29 디스크램블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025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7679A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27511A (en)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 for controlling gain of video signal in television receiver
KR950006240B1 (ko) 비데오 신호 처리 시스템
JP2556318B2 (ja) スクランブル信号用の利得制御装置
US4670904A (en) System for processing a scrambled video signal
JP3134165B2 (ja) 信号処理装置
US5113439A (en) Catv terminal and video apparatus having a noise eliminating circuit
KR100210254B1 (ko) 디스크램블 회로
KR100210253B1 (ko) 스크램블 신호 검출회로
EP0136823A2 (en) On-screen display system
US4216502A (en) Peak detector circuit
KR100244989B1 (ko) 텔레비젼 시스템의 동기 펄스성분 보정장치
KR960006754B1 (ko) 티브이의 영상 이득 자동조절회로
US5274706A (en) Tuning system for television signal
JPS60239188A (ja) テレビジヨン信号復調装置
WO2002001854A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sandcastle signal generation in a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device
JPH05115018A (ja) 映像信号処理装置
KR100193625B1 (ko) 안정화된 이득제어 방법
KR100192787B1 (ko) Tv 수신기에 있어서 스크램블된 방송수 신시신호처리방법 및 회로
JPS623974Y2 (ko)
WO1999048295A1 (en) Video signal correction apparatus for satellite receiver
JPS6384280A (ja) スクランブルデコ−ダ装置
JPH04360487A (ja) 同期圧縮伸長型ディスクランブル回路
JPH06189221A (ja) 映像の黒レベル再生装置
JPH04117789A (ja) Agc回路
KR19980014550A (ko) 부화면 밝기보정기능을 갖춘 텔레비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