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0089B1 - 히트펌프 난방방식의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히트펌프 난방방식의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0089B1
KR100210089B1 KR1019970004008A KR19970004008A KR100210089B1 KR 100210089 B1 KR100210089 B1 KR 100210089B1 KR 1019970004008 A KR1019970004008 A KR 1019970004008A KR 19970004008 A KR19970004008 A KR 19970004008A KR 100210089 B1 KR100210089 B1 KR 100210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heat exchanger
outdoor heat
heating
d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4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7744A (ko
Inventor
김동욱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04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0089B1/ko
Priority to JP10008001A priority patent/JPH10220818A/ja
Priority to CN98104322A priority patent/CN1190721A/zh
Publication of KR19980067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7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0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0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095Devices for preventing damage by free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5/00Other 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 F24D15/04Other 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using heat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12Heat pu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Machines With Reversible Cycl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히터펌프(HEAT PUMP) 난방방식의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실외에 설치된 실외열교환기에서 열을 얻어 실내에 설치된 실내열교환기에서 열을 방출하는 냉매에 의해 실내를 난방하는 난방운전을 하는 한편, 상기 난방운전중에 상기 실외열교환기의 표면에 생기는 서리를 제거하도록 상기 난방운전시의 냉매흐름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냉매가 흐르는 제상운전을 간헐적으로 하는 히터펌프 난방방식의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실외열교환기(50)는, 제상운전시 최초로 냉매가 통과하여 실외열교환기의 하단부를 제상하도록 그 하단부에 형성된 제1냉매통로(51)와, 상기 제1냉매통로(51)를 통과한 냉매가 나뉘어져 실외열교환기의 상측부를 제상하도록 그 상측부에 형성된 다수의 냉매통로(52, 53)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와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제상운전시 실외열교환기에 생긴 서리가 효율적으로 제거되므로 제상운전시간이 단축되어 난방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히터펌프(HEAT PUMP) 난방방식의 공기조화기
본 발명은 히터펌프(HEAT PUMP) 난방방식의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히터펌프 난방방식의 공기조화기는 실외에 설치된 실외열교환기에서 열을 얻어 실내에 설치된 실내열교환기에서 열을 방출하는 냉매에 의해 실내를 난방하는 난방운전을 하는 한편, 상기 난방운전중에 상기 실외열교환기의 표면에 생기는 서리를 제거하도록 상기 난방운전시의 냉매흐름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냉매가 흐르는 제상·운전을 간헐적으로 하게된다.
종래 히터펌프 난방방식의 공기조화기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기(11)의 토출구측에는 난방, 제상운전에 따라 냉매의 흐릅방향을 바꾸도록 4방향밸브(13)가 배설되고, 상기 4방향밸브(13)의 일측포트에는 실내열교환기(20)가 연결되고, 상기 실내열교환기(20)의 일측에는 공기를 강제대류시켜 열교환효율을 높이도록 도시하지 않은 블로아가 배설되며, 상기 4방향밸브(13)의 타측포트에는 실외열교환기(30)가 연결되고, 상기 실외열교환기(30)의 일측에는 공기를 강제대류시켜 열교환효올을 높이도록 도시하지 않은 송풍기가 배설되며, 상기 실내열교환기(20)와 상기 실외열교환기(30)사이에는 냉매를 팽창시키는 괭창수단(40)이 냉매관을 매개로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4방향 밸브(13)에는 상기 압축기(11)의 출구에 연통된 제1포트(13a)와, 상기 실내열교환기(20)에 연통된 제2포트(13b)와, 상기 압축기(11)의 입구에 연통된 제3포트(13c)와, 상기 실외열교환기(30)에 연통된 제4포트(53d)가 형성 되어 있다.
상기 실내열교환기(20)와 실외열교환기(30)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다수의 플레이트(P)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설되고, 상기 플레이트(P)를 가로질러 다수의 튜브(T)가 열교환기의 길이방향으로 왕복되게 배설되어 다수의 냉매통로를 형성하는 구조로 되어 있고, 프레임(33)상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실내열교환기(20)에는, 다수의 튜브(T)에 의해 4개의 냉매통로(21, 22,23, 24)가 형성되어 있고, 각 냉매통로(21, 22, 23, 24)에는 독립적인 냉매출입구(21a, 21b) (22a, 22b) (23a, 23b) (24a, 24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외열교환기(30)에는 다수의 튜브(T)에 의해 4방향밸브(13)의 제4포트(13d)측(열교환기의 상단부)에는 2개의 냉매출입구(31a, 31b)가 형성되고 팽창수단(40)측 (열교환기의 하단부)에는 합쳐진 하나의 냉매출입구(31c)가 형성되어, 제상운전시 냉매는 열교환기의 상단부에서 2개의 냉매출입구(31a, 31b)에서 유입하여 2개의 통로를 따라 하측으로 흐른 후 열교환기의 하단부에서 합쳐져 1개의 냉매출입구(31c)를 통해 팽창수단(40)으로 흐르는 냉매통로(3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팽창수단(40)은 상기 실내열교환기(20)와 실외열교환기(30)사이를 흐르는 냉매를 팽창하도록 제1모세관(41)이 배설되고, 제상운전시 상기 실외열교환기(30)에서 상기 제1모세관(41)으로만 대부분의 냉매가 흐르도록 상기 제1모세관(41)에 대해 직렬로 첵밸브(42)가 연결되며, 난방운전시 상기 제1모세관(41)에서 상기 실외열교환기(30)로 흐르는 냉매를 괭창시키도록 상기 첵밸브(42)에 대해 병혈로 제2모세관(43)이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히터펌프 난방방식의 공기조화기에서 난방운전시에는, 제1도에서 실선의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압축기(11)로부터 토출된 고온고압의 냉매가스는 4방향밸브(13)의 제1포트(13a)와 제2포트(13b)를 통해 실내열교환기(20)내로 유입하여 냉각되어 응축되면서 실내공기를 온기로 바꾼다. 이때, 냉매는 냉매출입구(21a, 22a, 23a, 24a)로 분기하여 각 냉매통로(21, 22, 23, 24)로 흐른다.
상기 냉매통로(21, 22, 23, 24)를 지나면서 응축된 냉매는 각 냉매출입구(21b, 22b, 23b, 24b)를 통하여 유출하여 모인 후, 팽창수단(40)의 제1, 제2모세관(41, 43)을 순차적으로 지나면서 상기 모세관의 단열팽창효과에 의해 저압의 냉매액으로 변환된다. 이때, 첵밸브(42)로 냉매는 흐르지 않는다.
상기 괭창수단(40)을 지난 저압의 냉매액은 실외열교환기(30)내에 유입되고, 상기 실외열교환기(30)내의 냉매통로(31)에서 냉매액은 증발되면서 실외공기와 열교환되어 냉매가스로 변환된다. 이때, 냉매는 하나의 냉매출입구(31c)로 유입한 후 두 개의 통로로 나뉘어져 흘러 증발하게 되어 열을 흡수하면서 냉매가스로 변함에 따라, 실외공기중에 포함된 수분이 실외열교환기의 플레이트(P)표면에 얼어 붙어 서리가 생성된다.
상기 냉매통로(31)를 지나면서 가스로 된 냉매는 냉매출입구(31a, 31b)를 통하여 유출하여 모인 후, 4방향밸브(13)의 제4포트(13d)와 제3포트(13c)를 통해 압축기(11)내에 유입되어 상기 압축기(11)에 의해 고온고압의 냉매가스로 변환되는 사이클을 이루면서, 실내기가 설치된 각 실내공간을 난방한다.
일정시간이상 상기 난방운전을 하게 되면, 상기 실외열교환기(30)에 생성된 서리에 의해 열교환효율이 낮아져 난방효율이 떨어지므로, 상기 서리를 제거하는 제상운전을 하게 된다.
제상운전시에는, 제1도에서 점선의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압축기(11)로부터 토출된 고온고압의 냉매가스는 4방향밸브(13)의 제1포트(13a)와 제4포트(13d)를 통해 실외열교환기(30)의 냉매통로(31)내로 유입하여 냉각되어 응축되면서 열을 방출하게 되어, 실외열교환기(30)에 생긴 서리를 녹이게 된다. 이때, 냉매는 냉매출입구(31a, 31b)로 분기하여 흐른다
상기 냉매통로(31)를 분기하여 흐르면서 응축되는 냉매는 모여 하나의 냉매출입구(31c)를 통하여 유출하여, 괭창수단(40)의 첵밸브(42)와 제1모세관(41)을 순차적으로 지나면서 상기 제1모세관(41)의 단열팽창효과에 의해 저압의 냉매액으로 변환된다. 이때, 제2모세관(43)을 통과하는 냉매량은 극히 적으므로 무시될 수 있다.
상기 팽창수단(40)을 지난 저압의 냉매액은 실내열교환기(20)내로 유입되고, 상기 실내열교환기(20)내에서 냉매액은 증발되면서 실외공기와 열교환되어 냉매가스로 변환된다. 이때, 냉매는 냉매출입구(21b, 22b, 23b, 24b)로 분기하여 각 냉매통로(21, 22, 23, 24)로 흐른다.
상기 냉매통로(21, 22, 23, 24)를 지나면서 가스로 된 냉매는 각 냉매출입구(21a, 22a, 23a, 24a)를 통하여 유출하여 모인 후, 4방향밸브(13)의 제2포트(13b)와 제3포트(13c)를 통해 압축기(51)내에 유입되어 상기 압축기(51)에 의해 고온고압의 냉매가스로 변환되는 사이클을 이루게 된다.
그런데,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히터펌프(HEAT PUMP) 난방방식의 공기조화기는, 난방운전시 팽창수단(40)을 통과한 냉매가 실외열교환기(30)의 하단부에서 유입하여 실외열교환기(30)의 상단부로 유출하고, 제상운전시 압축기(11)에서 토출된 고온의 냉매가 실외열교환기(30)의 상단부에서 유입하여 하단부로 유출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난방운전시 냉매가 실외열교환기(30)에 유입하는 하단부에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외열교환기(30)의 상측부에서 응축하여 화살표방향으로 낙하하는 응축수가 냉매중발초기의 많은 냉매증발량에 의해 대부분 얼게 되어, 생성되는 서리의 양이 많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상운전시에 뜨거운 냉매는 실외열교환기(30)의 상단부에서 유입하여 실외공기와 열교환하면서 실외열교환기(30)의 하단부로 흐르므로, 실외열교환기(30)의 하단부에 이른 냉매는 온도가 낮아져 실외열교환기(30)의 하단부에 생긴 서리를 효과적으로 녹이지 못하게 된다. 이는 제상운전시간을 길게 한다.
따라서, 제상운전중에는 난방운전을 할 수 없고, 제상운전이 길게 되면 실내열교환기(20)에 의해 실내가 냉방되므로, 다시 난방운전을 하더라도 난방효율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상운전시 실외열교환기에 생긴 서리를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제상운전시간을 단축하므로써, 난방효율을 향상시키는 히터펌프(HEAT PUMP) 난방방식의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제1도는 종래 히터펌프(HEAT PUMP) 난방방식의 공기조화기를 나타내는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의 실외열교환기의 하단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히터펌프(HEAT PUMP) 난방방식의 공기조화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압축기 13 : 4방향밸브
20 : 실내열교환기 40 : 팽창수단
50 : 실외열교환기 51 : 제1냉매통로
52,53 : 제2, 제3냉매통로
몬 발명은 실외에 설치된 실외열교환기에서 열을 얻어 실내에 설치된 실내열교환기에서 열을 방출하는 냉매에 의해 실내를 난방하는 난방운전을 하는 한편, 상기 난방운전중에 상기 실외열교환기의 표면에 생기는 서리를 제거하도록 상기 난방운전시의 냉매흐름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냉매가 흐르는 제상운전을 간헐적으로 하는 히터펌프 난방방식의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실외열교환기는, 제상운전시 최초로 냉매가 통과하여 실외열교환기의 하단부를 제상하도록 그 하단부에 형성된 제1냉매통로와, 상기 제1냉매통로를 통과한 냉매가 나뉘어져 실외열교환기의 상측부를 제상하도록 그 상측부에 형성된 다수의 냉매통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히터펌프 난방방식의 공기조화기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제1도에 도시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4방향밸브(13)와 괭창수단(40)사이에는 실외에 설치되어 그 내부에 흐르는 냉매와 실외공기가 열교환되는 실외열교환기(5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실외열교환기(50)에는 제상운전시 최초로 냉매가 통과하여 실외열교환기(50)의 하단부를 제상하도록 그 하단부에 형성된 제1냉매통로(51)와, 상기 제1냉매통로(51)를 통과한 냉매가 나뉘어져 실외열교환기의 상측부를 제상하도록 그 상측부에 형성된 제1,제2냉매통로(52, 5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냉매통로(51)는 4방향밸브(13)의 제4포트(13d)측에 연통된 2개의 냉매출입구(51a, 51b)와, 상기 냉매출입구(51a, 51b)의 반대측에 형성된 1개의 냉매출입구(51c)를'구비하여, 실외열교환기의 하단부에 다수의 튜브(T)로 형성되어, 제상운전시 실외열교찬기의 하단부를 제상하게 되어 있다.
상기 제2냉매통로(52)는 다수의 튜브(T)에 의해 제1냉매통로(51)의 냉매출입구(51c)측 (실외열교환기의 상단부)에는 2개의 냉매출입구(52a, 52b)가 형성되고, 팽창수단(40)측 (실외열교찬기의 중간부)에는 합쳐진 하나의 냉매출입구(52c)가 형성되어, 제상운전시 냉매는 실외열교찬기의 상단부에서 2개의 냉매출입구(52a, 52b)에서 유입하여 2개의 통로를 따라 하측으로 흐른 후 실외열교환기의 증간부에서 합쳐져 1개의 냉매출입구(52c)를 통해 괭창수단(40)으로 흐르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제3냉매통로(53)는 다수의 튜브(T)에 의해 제1냉매통로(51)의 냉매출입구(51c)측 (실외열교환기의 중간부)에는 2개의 냉매출입구(53a, 53b)가 형성되고, 팽창수단(40)측 (실외열교환기의 하측부)에는 합쳐진 하나의 냉매출입구(53c)가 형성되어, 제상운전시 냉매는 실외열교환기의 증간부에서 2개의 냉매출입구(53a, 53b)에서 유입하여 2개의 통로를 따라 하측으로 흐른 후 실외열교환기의 하측부에서 합쳐져 1개의 냉매출입구(53c)를 통해 괭창수단(40)으로 흐르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히터펌프(HEAT PUMP) 난방방식의 공기조화기에서, 난방운전시는 팽창수단(40)을 통과한 냉매가, 실외열교환기(50)의 제2냉매통로(52)의 냉매출입구(52c) (실외열교환기의 중간부)와 실외열교환기(50)의 제3냉매통로(53)의 냉매출입구(53c) (실외열교환기의 하측부)로 유입하여, 제2냉매통로(52)의 냉매출입구(52a, 52b) (실외열교환기의 상단부)와 실외열교환기 (50)의 제3냉매통로(53)의 냉매출입구(53a, 53b) (실외열교환기의 중간부)로 유출한 후, 다시 제1냉매통로(51)의 냉매출입구(51c) (실외열교환기의 하단부)로 유입하여, 냉매출입구(51a, 51b)로 유출한다.
그러므로, 난방운전시 실외열교환기(50)의 하단부에는 냉매증발후기의 냉매가 유동하므로, 실외열교환기(50)의 상측부에서 응축하여 낙하하는 응축수의 과도한 결빙이 방지된다.
그리고, 제상운전시에 실외열교환기(50)의 내부에는 상기 난방운전시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냉매가 흐른다. 즉, 압축기(11)에서 토출된 뜨거운 냉매는 실외열교환기(50)의 하단부에서 유입하여 유출한 후, 다시 실외열교환기(50)의 상단부와 중간부로 각각 유입하여 실외공기와 열교환하면서 실외열교환기(50)의 증간부와 하측부로 각각 흐르므로, 난방운전시 실외열교환기(50)의 하단부에 생긴 서리를 효과적으로 녹이게 되어 제상운전시간이 짧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히터펌프(HEAT PUMP) 난방방식의 공기조화기에 의하면, 제상운전시간이 짧게 되므로, 실내열교환기에 의해 실내가 냉방되는 시간이 그만큽 짧아져, 동일한 난방운전시간에서 난방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Claims (1)

  1. 실외에 설치된 실외열교환기에서 열을 얻어 실내에 설치된 실내열교환기에서 열을 방출하는 냉매에 의해 실내를 난방하는 난방운전을 하는 한편, 상기 난방운전중에 상기 실외열교환기의 표면에 생기는 서리를 제거하도록 상기 난방운전시의 냉매흐름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냉매가 흐르는 제상운전을 간헐적으로 하는 히터펌프 난방방식의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실외열교환기(50)는, 제상운전시 최초로 냉매가 통과하여 실외열교환기의 하단부를 제상하도록 그 하단부에 형성된 제1냉매통로(51)와, 상기 제1냉매통로를 통과한 냉매가 나뉘어져 실외열교환기의 상측부를 제상하도록 그 상측부에 형성된 다수의 냉매통로(52, 53)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펌프(HEAT PUMP) 난방방식의 공기조화기.
KR1019970004008A 1997-02-11 1997-02-11 히트펌프 난방방식의 공기조화기 KR100210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4008A KR100210089B1 (ko) 1997-02-11 1997-02-11 히트펌프 난방방식의 공기조화기
JP10008001A JPH10220818A (ja) 1997-02-11 1998-01-19 ヒートポンプ方式の空気調和機
CN98104322A CN1190721A (zh) 1997-02-11 1998-01-20 热泵型空调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4008A KR100210089B1 (ko) 1997-02-11 1997-02-11 히트펌프 난방방식의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7744A KR19980067744A (ko) 1998-10-15
KR100210089B1 true KR100210089B1 (ko) 1999-07-15

Family

ID=19496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4008A KR100210089B1 (ko) 1997-02-11 1997-02-11 히트펌프 난방방식의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10220818A (ko)
KR (1) KR100210089B1 (ko)
CN (1) CN119072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533B1 (ko) * 2005-11-01 2007-11-2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열교환기의 냉매순환 구조
CN102840629B (zh) * 2011-06-20 2016-02-0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热泵空调系统
CN110617625A (zh) * 2019-10-11 2019-12-27 广东纽恩泰新能源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带有五根毛细管的热泵热水器系统及其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220818A (ja) 1998-08-21
KR19980067744A (ko) 1998-10-15
CN1190721A (zh) 1998-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95124B (zh) 空调机
US20090173091A1 (en) Multi-range composite-evaporator type cross-defrosting system
JP6827542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
CN103857976A (zh) 制冷循环装置
KR20130092249A (ko) 히트 펌프
US5660056A (en) Air conditioner
JP2003232553A (ja) 空気調和機
KR100210089B1 (ko) 히트펌프 난방방식의 공기조화기
JP2001066017A (ja) 空気調和機
KR101124872B1 (ko) 복수 개의 증발부재를 구비한 히트펌프
JPH10246506A (ja) 空気調和機用室内ユニット
KR20120043916A (ko) 열교환 장치
KR20000031340A (ko) 실내측 열교환기
KR100493871B1 (ko) 제습 및 건조설비
WO2011111602A1 (ja) 空気調和機
KR19990020151A (ko) 보조 응축기를 구비한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
KR100863639B1 (ko) 공기 조화기
KR20060019433A (ko) 냉동시스템
KR20100052345A (ko) 공기 조화 시스템
JPH10318618A (ja) 空気調和機
JP3575035B2 (ja) 空気調和機
KR100252655B1 (ko)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패스라인구조
JPWO2018037452A1 (ja) 空気調和装置
JP2021143771A (ja) 空気調和機
JP2006046696A (ja) 冷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8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