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9533B1 - 열교환기의 냉매순환 구조 - Google Patents

열교환기의 냉매순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9533B1
KR100779533B1 KR1020050103875A KR20050103875A KR100779533B1 KR 100779533 B1 KR100779533 B1 KR 100779533B1 KR 1020050103875 A KR1020050103875 A KR 1020050103875A KR 20050103875 A KR20050103875 A KR 20050103875A KR 100779533 B1 KR100779533 B1 KR 100779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refrigerant
inlet
dischar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3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7104A (ko
Inventor
김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50103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9533B1/ko
Publication of KR20070047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7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9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9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6Header boxes; End plates with static flow control means, e.g. with means for uniformly distributing heat exchange media into conduits
    • F28F9/0265Header boxes; End plates with static flow control means, e.g. with means for uniformly distributing heat exchange media into conduits by using guiding means or impingement means inside the header box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22Arrangements for directing heat-exchange media into successive compartments, e.g. arrangements of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22Arrangements for directing heat-exchange media into successive compartments, e.g. arrangements of guide plates
    • F28F2009/222Particular guide plates, baffles or deflectors, e.g. having particular orientation relative to an elongated casing or cond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교환기의 냉매순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냉매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기가 실내 및 실외에 각각 구비되는 히트펌프 방식의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 쪽으로 유입되는 냉매를 분기시키는 분배기가 구비되고, 상기 분배기에서 분기된 냉매는 다수의 유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된 열교환기로 유입되되, 상기 냉매는 열교환기의 상부 및 하부로부터 각각 유입된 다음 열교환기의 내부를 순환하여 열교환기의 중앙부를 통해 토출되어 상기 열교환기의 중앙부에서 집중적으로 냉매의 열교환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된 것이다.
공기조화기, 열교환기, 냉매, 순환, 헤어핀, 분배기, 중앙집중

Description

열교환기의 냉매순환 구조{Structure for Refrigerant Circulation in Heat Exchanger}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열교환기에서 냉매의 흐름방향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열교환기를 순환하는 냉매의 온도분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에서 냉매의 흐름방향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를 순환하는 냉매의 온도분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열교환기 100a : 헤어핀
110 : 제1유입구 115 : 제2유입구
120 : 제3유입구 125 : 제1토출구
130 : 제2토출구 135 : 제3토출구
140 : 제1유입관 145 : 제2유입관
150 : 제1토출관 155 : 제2토출관
160 : 제3유입관 200 : 분배기
300 : 냉각팬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구비되는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열교환기의 내부를 흐르는 냉매의 흐름 방향을 변경하여 신속한 급속난방 및 급속냉방 운전을 가능하게 함은 물론, 열교환기의 제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열교환기의 냉매순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히트펌프 방식 공기조화기는 냉방 기능과 난방 기능이 함께 구비된 것으로, 통상 사방밸브를 통해 냉매의 흐름을 변경함으로써 냉방 운전 및 난방 운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히트펌프 방식 공기조화기는 실내와 실외에 각각 열교환기가 구비되는데, 여기서 종래의 열교환기 내부를 흐르는 냉매의 흐름을 살펴보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열교환기(10)에는 냉매가 흐르는 헤어핀(Hair Pin;10a)이 구비되며, 이 헤어핀(10a)은 'U'밴드에 의해 상호 연결되면서 냉매의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열교환기(10)의 상부에는 냉매가 유입되는 유입구(11)가 형성되는 한편, 하부에는 상기 열교환기(10)를 경유한 냉매가 토출되는 토출구(12)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유입구(11)를 통해 열교환기(10)의 내부로 유입된 냉매는 헤어핀(10a)을 경유하여 상기 토출구(12)를 통해 토출되는데, 이 과정에서 냉매는 냉각팬(20)에 의해 송풍되는 외부 공기와 열교환하게 된다.
한편, 도 2는 종래의 열교환기를 순환하는 냉매의 온도분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종래의 열교환기(10)의 내부를 흐르는 냉매는 단순히 열교환기(10)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만 흐르기 때문에, 열교환기(10) 내부에서 냉매의 온도분포(D1)는 열교환기(10)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역삼각형(도 2에서 점선으로 도시됨)을 이루게 된다.
이렇게 열교환기(10) 내부에서 냉매의 온도분포(D1)가 일측으로 편중되어 불균일하게 되면, 열교환기(10)의 증발 및 응축효율이 저하되면서 급속난방 및 급속냉방이 곤란해지고, 압축기의 기동시 크랭크 케이스 내의 압력이 급격히 떨어지면서 오일과 냉매가 분리되어 유면이 약동하고 심하게 거품이 일어나는 오일포밍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열교환기(10)의 제상운전시에도 냉매의 온도분포(D1)가 불균일함에 따라 제상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열교환기의 내부를 흐르는 냉매의 흐름을 중앙집중식으로 변경하여 냉매의 온도분포를 균일하게 하여 압축기의 손상을 방지함을 물론, 신속한 급속난방 및 급속냉방 운전을 가능하게 하고, 열교환기의 제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열교환기의 냉매순환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냉매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기가 실내 및 실외에 각각 구비되는 히트펌프 방식의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 쪽으로 유입되는 냉매를 분기시키는 분배기가 구비되고, 상기 분배기에서 분기된 냉매는 다수의 유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된 열교환기로 유입되되, 상기 냉매는 열교환기의 상부 및 하부로부터 각각 유입된 다음 열교환기의 내부를 순환하여 열교환기의 중앙부를 통해 토출되어 상기 열교환기의 중앙부에서 집중적으로 냉매의 열교환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배기에서 연장된 제1유입관 및 제2유입관은 상기 열교환기의 상ㆍ하부에 각각 형성된 제1유입구 및 제2유입구에 연결되고, 상기 제1유입구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열교환기의 상부에서 중앙부 쪽으로 순환하여 제1토출구를 통해 제1토출관으로 토출되는 한편, 상기 제2유입구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열교환기의 하부에서 중앙부 쪽으로 순환하여 제2토출구를 통해 제2토출관으로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토출관 및 제2토출관은 하나로 합쳐져서 제3유입관과 연결되고, 상기 제3유입관은 상기 열교환기의 중앙부에 형성된 제3유입구와 연결되며, 상기 제3유입구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열교환기의 중앙부를 순환하여 상기 열교환기의 중앙부에 형성된 제3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3유입관의 직경은 상기 제1토출관 및 제2토출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에서 냉매의 흐름방향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를 순환하는 냉매의 온도분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10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수의 유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열교환기(100) 쪽으로 유입되는 냉매는 상기 열교환기(100)로 유입되기 전에 분배기(200)에 의해 분기된다.
이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상기 분배기(200)에서 연장된 제1유입관(140) 및 제2유입관(145)은 상기 열교환기(100)의 상ㆍ하부에 각각 형성된 제1유입구(110) 및 제2유입구(115)에 연결되어, 상기 제1유입구(110)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열교환기(100)의 상부에서 중앙부 쪽으로 순환하여 제1토출구(125)를 통해 제1토출관(150)으로 토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2유입구(115)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열교환기(100)의 하부에서 중앙부 쪽으로 순환하여 제2토출구(130)를 통해 제2토출관(155)으로 토출된다.
한편, 상기 제1토출관(150) 및 제2토출관(155)은 하나로 합쳐져서 제3유입관(160)과 연결되고, 상기 제3유입관(160)은 상기 열교환기(100)의 중앙부에 형성된 제3유입구(120)와 연결되어, 상기 제3유입구(120)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열교환기 (100)의 중앙부를 순환하여 상기 열교환기(100)의 중앙부에 형성된 제3토출구(135)를 통해 토출된다.
여기서, 상기 제1토출관(150)과 제2토출관(155)에서 동시에 토출되는 냉매에 의해 상기 제3유입관(160)에서 냉매 흐름의 병목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3유입관(160)의 직경을 상기 제1토출관(150) 및 제2토출관(155)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분배기(200)에서 분기된 냉매가 다수의 유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된 열교환기(100)로 유입되되, 상기 냉매는 열교환기(100)의 상부 및 하부로부터 각각 유입된 다음 열교환기(100)의 내부를 순환하여 열교환기(100)의 중앙부를 통해 토출되어, 냉각팬(300)을 통해 상기 열교환기(100)의 중앙부에서 집중적으로 냉매의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열교환기(100)의 내부를 흐르는 냉매의 온도분포(D2)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와 하부는 좁고 중앙은 넓은 다이아몬드 형상(도 2에서 점선으로 도시됨)을 이루게 되며,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100)에서는 전체적으로 균일한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열교환기의 내부를 흐르는 냉매의 흐름이 중앙집중식으로 변경됨에 따라 냉매의 온도분포가 균일하게 되어 압축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신속한 급속난방 및 급속냉방 운전이 가능하며, 제 상운전시에는 열교환기의 제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열교환기의 열교환 효율이 증대되고, 열교환이 균일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열교환기의 크기 자체를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냉각팬의 회전속도도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공기조화기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냉매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기가 실내 및 실외에 각각 구비되는 히트펌프 방식의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 쪽으로 유입되는 냉매를 분기시키는 분배기;
    상기 분배기와 상기 열교환기의 상부 및 하부를 각각 연결하는 제1유입관 및 제2유입관;
    상기 열교환기를 순환한 냉매가 외부로 토출되는 복수의 토출관; 및
    상기 복수의 토출관과 연결되어, 상기 토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냉매를 상기 열교환기로 재유입시키는 제3유입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의 냉매순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입관 및 상기 제2유입관은 상기 열교환기의 상ㆍ하부에 각각 형성된 제1유입구 및 제2유입구에 연결되고, 상기 제1유입구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열교환기의 상부에서 중앙부 쪽으로 순환하여 제1토출구를 통해 제1토출관으로 토출되는 한편, 상기 제2유입구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열교환기의 하부에서 중앙부 쪽으로 순환하여 제2토출구를 통해 제2토출관으로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의 냉매순환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토출관 및 상기 제2토출관은 상기 제3유입관과 연결되고, 상기 제3유입관은 상기 열교환기의 중앙부에 형성된 제3유입구와 연결되며, 상기 제3유입구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열교환기의 중앙부를 순환하여 상기 열교환기의 중앙부에 형성된 제3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의 냉매순환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유입관의 직경은 상기 제1토출관 및 제2토출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의 냉매순환 구조.
KR1020050103875A 2005-11-01 2005-11-01 열교환기의 냉매순환 구조 KR100779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3875A KR100779533B1 (ko) 2005-11-01 2005-11-01 열교환기의 냉매순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3875A KR100779533B1 (ko) 2005-11-01 2005-11-01 열교환기의 냉매순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7104A KR20070047104A (ko) 2007-05-04
KR100779533B1 true KR100779533B1 (ko) 2007-11-27

Family

ID=38272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3875A KR100779533B1 (ko) 2005-11-01 2005-11-01 열교환기의 냉매순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95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575B1 (ko) 2008-03-26 2009-08-26 이해열 냉매의 자기 열 교환 방식에 의한 냉난방 냉온수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5741A (ja) * 1994-07-22 1996-02-06 Sanyo Electric Co Ltd 熱交換器
KR970066341A (ko) * 1996-03-26 1997-10-13 김광호 공기조화기의 열교환장치
KR19980067744A (ko) * 1997-02-11 1998-10-15 김광호 히트펌프(heat pump) 난방방식의 공기조화기
KR19990066035A (ko) * 1998-01-21 1999-08-16 윤종용 일체형 에어컨의 실내열교환기
KR20030074892A (ko) * 2002-03-14 2003-09-22 김근모 골프장 특성 및 게임 자료 입/출력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5741A (ja) * 1994-07-22 1996-02-06 Sanyo Electric Co Ltd 熱交換器
KR970066341A (ko) * 1996-03-26 1997-10-13 김광호 공기조화기의 열교환장치
KR19980067744A (ko) * 1997-02-11 1998-10-15 김광호 히트펌프(heat pump) 난방방식의 공기조화기
KR19990066035A (ko) * 1998-01-21 1999-08-16 윤종용 일체형 에어컨의 실내열교환기
KR20030074892A (ko) * 2002-03-14 2003-09-22 김근모 골프장 특성 및 게임 자료 입/출력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575B1 (ko) 2008-03-26 2009-08-26 이해열 냉매의 자기 열 교환 방식에 의한 냉난방 냉온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7104A (ko) 2007-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52401B2 (ja) 空気調和装置
WO2006095993A2 (en) Refrigerant distributing device for multi-type air conditioner
CN102272546B (zh) 换热器、热泵系统和空调系统
CN205048677U (zh) 空调机导风结构、风管机及空调机
JPWO2019008664A1 (ja) 冷凍サイクル装置
AU2016340648B2 (en) Air conditioner
CN107883486A (zh) 用于干燥炎热地区的板管式间接‑直接蒸发冷却冷水机组
CN107941054B (zh) 气液热交换装置
KR100779533B1 (ko) 열교환기의 냉매순환 구조
WO2020129180A1 (ja) 熱交換器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H1019416A (ja) 熱交換器
JP4902625B2 (ja) ヒートポンプ給湯機及び冷凍機器
KR101497347B1 (ko) 열교환기
RU2752210C2 (ru) Теплообме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теплообмена между воздухом и текучей средой, транспортируемой внутри теплообменника
CN104114953B (zh) 空调装置的室内机
JP6641070B1 (ja) 空気調和機
KR200187032Y1 (ko) 공기조화기의냉매분배기
JPH09184636A (ja) 空気調和機
KR100220725B1 (ko) 공기 조화기용 응축기의 냉매 분배 구조
JPH1151412A (ja) 空気調和機用室内ユニットとその室内熱交換器
CN210511917U (zh) 空调柜机
CN205536252U (zh) 冷暖型空调器和单冷型空调器
CN218686487U (zh) 一种液态物料的冷却结晶装置
JP2001208486A (ja) 空水冷式冷却塔
JP2013185757A (ja) 冷媒分配器およびヒートポン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