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9676B1 - 에러정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에러정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9676B1
KR100209676B1 KR1019960079292A KR19960079292A KR100209676B1 KR 100209676 B1 KR100209676 B1 KR 100209676B1 KR 1019960079292 A KR1019960079292 A KR 1019960079292A KR 19960079292 A KR19960079292 A KR 19960079292A KR 100209676 B1 KR100209676 B1 KR 100209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rror
polynomial
coefficient
errors
error cor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9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9945A (ko
Inventor
김진욱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60079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9676B1/ko
Publication of KR19980059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9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9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96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33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by adding special lis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AREA)

Abstract

DVD용 데이타의 에러정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입력데이타 워드로부터 신드롬을 산출하고, 상기 신드롬을 사용하여 에러 위치 다항식의 계수와 에러 평가 다항식의 계수를 산출하는 에러 다항식부와, 상기 에러 위치 다항식의 계수와 에러 평가 다항식의 계수를 이용하여 에러 위치 및 에러 값을 구하는 에러 위치 및 에러 값 계산부와, 상기 검출된 에러 위치로부터 에러 갯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와, 상기 카운트된 에러 갯수가 내부 코드의 정정능력을 초과하는지를 비교하는 비교부와, 섹터 동기가 검출되지 않거나 그 위치가 틀리면 GFS 신호를 발생하는 GFS 신호 발생부와, 에러 갯수가 정정 능력을 초과하거나 GFS 신호가 발생되면 소거 플래그를 발생하는 오아 게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PI 에러정정에서 에러 갯수가 정정능력을 초과하지 않아도 GFS 신호가 발생하면 그 프레임에 대해 강제적으로 소거 플래그를 발생시킴으로써, PO 에러정정시 오정정을 방지하여 PO 에러정정 능력을 높인다.

Description

에러정정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디지탈 비데오 디스크(Digital Video Disc; DVD)용 데이타의 에러정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로 방향으로 에러정정을 수행한 후 에러가 있을 확률이 높은 경우에는 강제적으로 소거 플래그(Erasure Flag)를 발생시켜 세로 방향의 에러정정 능력을 높이는 에러정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고효율 코딩 기술을 이용하여 화상을 압축한 후 고밀도의 광 디스크에 또는 광 디스크로부터 동화상을 기록 및 재생하기 위한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중 하나가 DVD 시스템이다.
상기 DVD 시스템은 복잡한 화상정보에 응답하여 발생된 코드량이 변화되는 가변비트 레이트 코딩 기술과 고화질의 영상을 보장하기 위한 MPEG 2(Moving Picture Experts Group 2)에 유사한 시스템을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DVD 시스템에서 채용하는 에러정정 기법은 제1도에서와 같이 내부 코드(Inner Code)와 외부 코드(Outer code)로 이루어지는 적(Product) 코드이다.
상기 내부 코드는 가로방향의 소스 데이타 172개의 심볼에 10바이트의 패리티를 추가하여 182 바이트(Byte)로 1개의 코드 워드(Codeword)를 구성하는데, 이때의 정정능력은 5바이트까지이다.
따라서, 디코딩에서는 1프레임 즉, 1코드 워드의 데이타가 전송되면 5에러까지 정정을 수행하고, 5개 이상의 에러가 존재하면 정정능력을 초과하게 되므로 소거 플래그를 해당 프레임에 찍는다.
이때, 내부 코드 워드 208개가 모여서 하나의 블럭을 구성하므로, 208 프레임에 대해서 모두 내부 코드가 끝나면 세로 방향인 외부 코드를 생성하는데, 외부 코드는 세로 방향으로 192개의 심볼에 16바이트의 패리티를 추가하여 구성한다.
이때는 상기 내부 코드시에 소거 플래그가 생긴 에러 위치의 데이타에 대해 에러정정을 수행하는데, 16개 이하의 플래그가 발생하면 외부 코드에서 모두 정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DVD 시스템의 에러정정은 리드-솔로몬(Reed-Solomon) 에러정정 포맷으로 되어 있어 통상 37856바이트의 데이타를 가로로 182바이트, 세로로 208바이트 단위로 행하여진다. 이때, 내부 코드로서 가로로 하는 정정을 PI(Parity Inner) 에러정정, 그리고 외부 코드로서 세로로 하는 정정을 PO(Parity Outer) 에러정정이라 일컫는다.
제2도는 이러한 종래의 DVD 시스템의 에러정정 장치의 구성 블럭도로서, 디스크로부터 독출된 데이타의 코드 워드로부터 신드롬(Syndrom)을 산출하여 에러를 검출하는 신드롬 계산부(10), 소거 플래그 신호를 입력받아 소거수를 계산하는 소거 다항식부(20), 상기 신드롬 계산부(10)의 출력을 이용하여 에러 위치 계수를 계산하거나 소거 다항식부(20)의 출력을 이용하여 소거 플래그 위치 계수를 계산하는 에러 위치 다항식부(30), 상기 신드롬 계산부(10)의 출력과 에러 위치 다항식부(50)의 출력을 이용하여 에러 평가 다항식의 계수를 계산하는 에러 평가 다항식부(40), 상기 에러 위치 다항식부(30)에서 출력되는 에러 위치 다항식의 계수와 에러 평가 다항식부(40)에서 출력되는 에러 평가 다항식의 계수를 이용하여 에러 값과 에러 위치를 계산하는 치엔 서치부(50), 및 상기 에러 위치 다항식부(30)의 출력과 치엔 서치부(50)의 출력을 이용하여 에러 갯수와 소거 플래그를 발생하는 소거 플래그 발생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소거 플래그 발생부(60)는 상기 치엔 서치부(50)에서 검출된 에러 위치로 부터 에러의 갯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61), 상기 카운터(61)에서 출력되는 에러 갯수와 상기 에러 위치 다항식부(30)에서 출력되는 실제 발생된 에러 갯수(L)을 비교하여 같지 않을 경우 소거 플래그를 발생시키는 비교부(62)로 구성된다.
제3도는 이러한 종래의 DVD 시스템에서 에러를 정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에러정정 기법은 디스크가 재생되면(단계 301), PI 에러정정인지 PO 에러정정인지를 판별한다(단계 302).
상기 단계 302에서 PI 에러정정으로 판별되면 신드롬 계산부(10)는 디스크로부터 독출된 데이타의 코드 워드를 이용하여 신드롬을 산출하여 에러 위치 다항식(20)로 출력한다(단계 303).
여기서, 신드롬은 에러 형태에 의존한다. 즉, 에러 유무가 검출된다.
상기 에러 위치 다항식(20)는 상기 신드롬 요소(s(x))로부터 에러 위치 다항식(σ(x))의 계수를 구한다(단계 304).
그리고, 각 에러 위치에 대한 에러 값을 구하기 위해 에러 평가 다항식부(40)는 상기 신드롬 다항식 S(x)과 에러 위치 다항식 σ(x)을 곱하여 에러 평가 다항식 Ω(x)의 계수를 구하고 치엔 서치부(50)로 출력한다(단계 305).
상기 치엔 서치부(50)에서는 에러 위치값을 구하기 위해 사용되는 알고리즘중 하나로 에러 위치 다항식 σ(x)의 근을 구하여 에러 위치를 찾아낸다.
즉, 갈로아 필드(GF)의 모든 원소 1, α, α2, …, α181를 에러 위치 다항식 σ(x)에 순차적으로 대입하여 그 값이 0이 되는 근을 찾는다.
만일, αD에서 에러 위치 다항식 σ(x)=0이 되면 p가 에러 위치값이 되고, 이때 로드 신호를 소거 플래그 발생부(60)의 카운터(61)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구해진 에러 위치값과 상기 에러 평가 다항식 Ω(x)의 계수를 이용하여 각 에러 위치에 대응되는 에러 값을 구한다(단계 306).
또한, 치엔서치를 수행하면서 소거 플래그를 발생시키기 위해 PI 에러정정인지 PO 에러정정인지를 판별한다(단계 307).
PI 에러정정이라고 판별되면 소거 플래그 발생부(60)의 카운터(61)는 상기 치엔 서치부(50)에서 로드 신호가 출력되면 즉, 에러 위치를 구할때마다 카운트 업하여 총 에러 갯수를 구한다.
치엔서치가 완료되어 상기 카운터(61)에서 총 에러 갯수가 구해지면 비교부(62)는 에러 갯수가 정정능력을 초과하는지를 비교한다(단계 308).
즉, 상기 비교부(62)는 상기 에러 위치 다항식부(30)의 최고차항의 차수 예컨대, 실제 발생된 에러 갯수(L)와 카운터(62)에서 출력되는 에러 갯수 예컨대, 에러정정될 에러 갯수를 비교하여 같지 않으면 정정 능력을 초과하였다고 판단하여 정정 불능이라는 소거 플래그를 발생시킨다(단계 309).
그리고, 상기 단계 308에서 에러 갯수가 정정 능력을 초과하지 않았다고 판별되면 에러 위치와 에러 값을 알고 있으므로 PI 에러를 정정한다(단계 310).
한편, 상기 단계 302에서 PO 에러정정이라고 판별되면 신드롬 계산부(10)는 수신되는 데이타의 코드 워드를 이용하여 신드롬을 산출하고, 소거 다항식부(20)는 소거 플래그를 입력받아 소거수를 계산하여(단계 311), 에러 위치 다항식부(20)를 출력한다.
상기 에러 위치 다항식(20)는 상기 신드롬 요소 s(x)와 소거수로부터 소거 위치 다항식 Φ(x)의 계수를 구한다(단계 312).
그리고, 상기 소거 위치 다항식부(312)의 출력은 PI 에러정정일 경우와 마찬가지로 에러 평가 다항식부(40)와 치엔 서치부(50)로 입력되어 에러 위치값과 에러 값이 구해진다(단계 305,306).
상기 에러 위치 값과 에러 값이 구해지고 단계 307에서 PO 에러정정으로 판별되면 PO 에러정정을 수행한다(단계 310).
즉, PO 에러정정은 소거 플래그가 발생한 경우에만 에러정정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PO 에러정정은 PI 에러정정의 결과에 의해 수행되므로 PI 에러정정에서 오정정이 발생하여 소거 플래그가 생기지 않은 경우 PO 에러정정에서는 해당 에러 위치에 대한 에러정정을 수행하지 않게 되므로 오정정이 되고 만다.
이러한 오정정은 시스템이 불안정하거나 디스크의 스크래치(Scratch)등으로 인해 데이타 에러가 많아지기 때문에 발생한다.
또한, 섹터 동기가 흔들리면 그 프레임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지게 되므로 오정정이 일어날 확률이 높아진다.
즉, PI 에러정정을 보완하기 위해 PO 에러정정을 수행하지만 PI 에러정정에서 문제가 생겨 부적절한 소거 플래그 정보를 보내면 PO 에러정정에서는 이를 사용하여 에러정정을 하므로 실제로 에러가 발생하는 정보라도 PI 에러정정시 소거 플래그가 발생하지 않으면 정정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PI 에러정정에서 소거 플래그가 발생하지 않았더라도 에러가 있을 확률이 높은 경우에는 강제적으로 소거 플래그를 발생시켜 에러정정 능력을 높이는 에러정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PI 에러정정시 동기가 제대로 맞지않고 틀어졌을때 발생하는 GFS(Good Frame Sync) 신호가 발생되면 강제적으로 소거 플래그를 발생시켜 에러정정 능력을 높이는 에러정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에러정정 장치의 특징은, 입력데이타 워드로부터 신드롬을 산출하고, 상기 신드롬을 사용하여 에러 위치 다항식의 계수와 에러 평가 다항식의 계수를 산출하는 에러 다항식부와, 상기 에러 위치 다항식의 계수를 이용하여 에러 위치를 구하고, 상기 에러 위치 다항식의 계수와 에러 평가 다항식의 계수를 이용하여 에러 값을 구하기 위해 치엔서치를 수행하는 에러 위치 및 에러 값 계산부와, 상기 검출된 에러 위치로부터 에러 갯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와, 상기 카운트된 에러 갯수가 내부 코드의 정정능력을 초과하는지를 비교하는 비교부와, 섹터 동기가 검출되지 않거나 그 위치가 틀리면 GFS 신호를 발생하는 GFS 신호 발생부와, 상기 비교부에서 에러 갯수가 내부 코드의 에러정정 능력을 초과한다고 판별되거나, 상기 GFS 신호 발생부에서 GFS 신호가 발생되면 그 프레임에 소거 플래그를 발생시키는 오아 게이트를 포함하여 구성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러정정 방법의 특징은, 입력데이타 워드로부터 신드롬을 산출하고, 상기 신드롬을 사용하여 에러 위치 다항식의 계수와 에러 평가 다항식의 계수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에러 위치 다항식의 계수를 이용하여 에러 위치를 구하고, 상기 에러 위치 다항식의 계수와 에러 평가 다항식의 계수를 이용하여 에러 값을 구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에러 위치로부터 에러 갯수를 카운트하는 단계와, 상기 카운트된 에러 갯수가 내부 코드의 정정능력을 초과하는지를 비교하는 단계와, 섹터 동기가 검출되지 않거나 그 위치가 틀리면 GFS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와, 에러 갯수가 정정능력을 초과한다고 판별되거나 또는 GFS 신호가 발생되면 그 프레임에 소거 플래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있다.
제1도는 일반적인 DVD 시스템에서 채용하는 에러정정 방법을 나타낸 도면.
제2도는 종래의 에러정정 장치의 구성블럭도.
제3도는 종래의 에러정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에러정정 장치의 구성 블럭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에러정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신드롬 계산부 20 : 에러 위치 다항식부
30 : 소거 다항식부 40 : 에러 평가 다항식부
50 : 치엔서치부 70 : 소거 플래그 발생부
71 : 카운터 72 : 비교부
73 : 선속도부 74 : 오아 게이트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에러정정 장치의 구성블럭도로서, 소거 플래그 발생부(70)를 제외한 신드롬 계산부(10), 소거 다항식부(20), 에러 위치 다항식부(30), 에러 평가 다항식부(40), 및 치엔 서치부(50)는 상기된 제2도와 구성 및 동작이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구성 설명을 생략한다.
제4도에서 소거 플래그 발생부(70)만을 설명한다.
즉, 소거 플래그 발생부(70)는 상기 치엔 서치부(50)에서 검출된 에러 위치를 카운트하여 총 에러 갯수를 구하는 카운터(71), 상기 카운터(71)에서 출력되는 에러 갯수와 상기 에러 위치 다항식부(30)에서 출력되는 실제 발생된 에러 갯수(L)을 비교하는 비교부(72), 시스템이 불안정하거나 디스크에 스크래치가 있어 섹터의 위치가 맞지 않을때 GFS 신호를 발생하는 정선속도(Constant Linear Velocity; CLV)부 (73), 상기 비교부(72)의 출력과 CLV(73)을 논리조합하여 소거 플래그를 발생하는 오아 게이트(74)로 구성된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에러정정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시스템이 불안정하거나 디스크에 스크래치가 있어 섹터의 위치가 맞지않을 경우 GFS 신호가 주로 발생하게 되므로, 이 신호가 발생한 데이타의 경우는 에러가 존재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GFS 신호가 발생한 프레임의 데이타에 대해서는 비록 PI 에러정정시 소거 플래그가 발생하지 않더라도 소거 플래그를 강제로 부가하여 출력한다.
즉, 디스크가 재생되어 데이타가 수신되면(단계 501), 먼저 PI 인지 PO 에러정정인지를 판별한다(단계 502).
상기 단계 502에서 PI 에러정정으로 판별되면 신드롬 계산부(10)는 디스크로부터 독출된 데이타의 코드 워드를 이용하여 신드롬을 산출하여 에러유무를 검출하고 에러 위치 다항식(20)으로 출력한다(단계 503).
상기 에러 위치 다항식(20)은 상기 신드롬 계수 s(x)로부터 에러 위치 다항식(σ(x))의 계수를 구한다(단계 504).
그리고, 각 에러 위치에 대한 에러 값을 구하기 위해 에러 평가 다항식부(40)는 상기 신드롬 다항식 S(x)과 에러 위치 다항식 σ(x)의 계수들을 곱하여 에러 평가 다항식 Ω(x)의 계수를 구하고 치엔 서치부(50)로 출력한다(단계 505).
상기 치엔 서치부(50)에서는 에러 위치값을 구하기 위해 사용되는 알고리즘중 하나로 에러 위치 다항식 σ(x)의 근을 구하여 에러 위치를 찾아낸다.
즉, 갈로아 필드(GF)의 모든 원소 1, α, α2, …, α181를 에러 위치 다항식 σ(x)에 순차적으로 대입하여 그 값이 0이 되는 근을 찾는다.
만일, αP에서 에러 위치 다항식 σ(x)=0이 되면 p가 에러 위치값이 되고, 이때 로드 신호를 소거 플래그 발생부(70)의 카운터(71)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치엔 서치부(50)는 상기 구해진 에러 위치값과 상기 에러 평가 다항식 Ω(x)의 계수를 이용하여 각 에러 위치에 대응되는 에러 값을 구한다(단계 506).
그리고, 상기 치엔서치를 수행하면서 소거 플래그를 발생시키기 위해 PI 에러정정인지 PO 에러정정인지를 판별한다(단계 507).
PI 에러정정이라고 판별되면 소거 플래그 발생부(70)의 카운터(71)는 상기 치엔 서치부(50)에서 로드 신호가 출력되면 즉, 에러 위치를 구할때마다 카운트 업하여 총 에러 갯수를 구한다.
치엔서치가 완료되어 상기 카운터(71)에서 총 에러 갯수가 구해지면 비교부(72)는 에러 갯수가 정정능력을 초과하는지를 비교한다(단계 508).
즉, 상기 비교부(72)는 상기 에러 위치 다항식부(30)의 최고차항의 차수 예컨대, 실제 발생된 에러 갯수와 카운터(72)에서 출력되는 에러 갯수 예컨대, 에러정정될 에러 갯수를 비교하여 같지 않으면 정정 능력을 초과하였다고 판단하여 오아 게이트(74)를 통해 정정 불능이라는 소거 플래그를 발생시킨다(단계 511).
이때, CLV부(73)에서는 동기 검출부분에서 동기가 제대로 맞지않고 틀어졌을 때 GFS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오아 게이트(74)로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오아 게이트(74)는 에러 갯수가 정정 능력을 초과하거나 또는 에러 갯수가 정정 능력을 초과하지 않았어도 CLV부(73)에서 GFS 신호가 발생되면 소거 플래그를 발생시킨다(단계 511).
즉, GFS 신호가 발생하면 PI 에러정정에서 에러가 발생하지 않아도 무조건 소거 플래그를 발생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단계 508에서 에러 갯수가 정정능력을 초과하지 않았다고 판별되어도 단계 509에서 GFS 신호가 발생되었다고 판별되면 소거 플래그가 발생된다.
그러므로, 에러 갯수가 정정능력을 초과하지 않고 GFS 신호가 발생되지 않았을 경우에만 PI 에러정정이 이루어진다(단계 510).
이때, 치엔 서치부(50)에 의해 에러 위치와 에러 값을 알고 있으므로 PI 에러정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계 502에서 PO 에러정정이라고 판별되면 신드롬 계산부(10)는 수신되는 데이타의 코드 워드를 이용하여 신드롬을 산출하고, 소거 다항식부(20)는 소거 플래그를 입력받아 소거수를 계산하여(단계 512), 에러 위치 다항식(20)으로 출력한다.
상기 에러 위치 다항식(20)는 상기 신드롬 요소 s(x)와 소거수로부터 소거 위치 다항식 Φ(x)의 계수를 구한다(단계 513).
그리고, 상기 소거 위치 다항식부(30)의 출력은 PI 에러정정일 경우와 마찬가지로 에러 평가 다항식부(40)와 치엔 서치부(50)로 입력되어 에러 위치값과 에러 값이 구해진다(단계 505,506).
상기 에러 위치값과 에러 값이 구해지고 단계 507에서 PO 에러정정으로 판별되면 PO 에러정정을 수행한다(단계 510).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러정정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PI 에러정정에서 에러 갯수가 정정능력을 초과하지 않아 소거 플래그가 발생하지 않았더라도 에러가 있을 확률이 높은 경우 예컨대, 섹터 동기가 맞지 않아 GFS 신호가 발생될 때에는 그 프레임에 대해 강제적으로 소거 플래그를 발생시킴으로써, PO 에러정정시 오정정을 방지하여 PO 에러정정 능력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입력데이타 워드로부터 신드롬을 산출하고, 상기 신드롬을 사용하여 에러 위치 다항식의 계수와 에러 평가 다항식의 계수를 산출하는 에러 다항식 수단과, 상기 에러 위치 다항식의 계수를 이용하여 에러 위치를 구하고, 상기 에러 위치 다항식의 계수와 에러 평가 다항식의 계수를 이용하여 에러 값을 구하는 에러 위치 및 에러 값 계산수단과, 상기 검출된 에러 위치로부터 에러 갯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와, 상기 카운트된 에러 갯수가 내부 코드의 정정능력을 초과하는지를 비교하는 비교부와, 섹터 동기가 검출되지 않거나 그 위치가 틀리면 GFS(Good Frame Sync) 신호를 발생하는 GFS 신호 발생부와, 상기 비교부의 결과와 GFS 신호 발생부의 출력을 논리 조합하여 소거 플래그를 발생하는 로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러정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 위치 및 에러 값 계산수단은 치엔서치 알고리즘을 이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에러정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부는 상기 카운트된 에러 갯수와 에러 위치 다항식의 최고차항의 갯수를 비교하여 같지 않으면 에러 갯수가 정정능력을 초과한다고 판별함을 특징으로 하는 에러정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직부는 상기 비교부에서 에러 갯수가 내부 코드의 에러정정 능력을 초과한다고 판별되면 그 프레임에 소거 플래그를 발생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에러정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직부는 상기 GFS 신호 발생부에서 GFS 신호가 발생되면 그 프레임에 소거 플래그를 발생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에러정정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직부는 상기 비교부의 출력과 GFS 신호 발생부의 출력을 논리합하는 오아 게이트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에러정정 장치.
  7. 입력데이타 워드로부터 신드롬을 산출하고, 상기 신드롬을 사용하여 에러 위치 다항식의 계수와 에러 평가 다항식의 계수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에러 위치 다항식의 계수를 이용하여 에러 위치를 구하고, 상기 에러 위치 다항식의 계수와 에러 평가 다항식의 계수를 이용하여 에러 값을 구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에러 위치로부터 에러 갯수를 카운트하는 단계와, 상기 카운트된 에러 갯수가 내부 코드의 정정능력을 초과하는지를 비교하는 단계와, 섹터 동기가 검출되지 않거나 그 위치가 틀리면 GFS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와, 에러 갯수가 정정능력을 초과한다고 판별되거나 또는 GFS 신호가 발생되면 그 프레임에 소거 플래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에러정정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는 카운트된 에러 갯수와 에러 위치 다항식의 최고차항의 개숫를 비교하여 같지 않으면 에러 갯수가 정정능력을 초과한다고 판별함을 특징으로 하는 에러정정 방법.
KR1019960079292A 1996-12-31 1996-12-31 에러정정 장치 및 방법 KR100209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9292A KR100209676B1 (ko) 1996-12-31 1996-12-31 에러정정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9292A KR100209676B1 (ko) 1996-12-31 1996-12-31 에러정정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9945A KR19980059945A (ko) 1998-10-07
KR100209676B1 true KR100209676B1 (ko) 1999-07-15

Family

ID=19493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9292A KR100209676B1 (ko) 1996-12-31 1996-12-31 에러정정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96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4299A (ko) * 1997-08-09 1999-04-06 윤종용 Dvd-ram의 pid검출방법 및 그 장치
KR100499878B1 (ko) * 2001-09-29 2005-07-07 주식회사 씨엔에스 디브이디 램에서의 피아이디에 대한 에러 정정 회로
KR100505210B1 (ko) * 2002-03-12 2005-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러 정정장치 및 방법
KR100469572B1 (ko) * 2002-03-20 2005-02-02 주식회사 레인콤 광디스크 장치에서의 충격 감지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9945A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02546B2 (ja) 積符号のための同時行/列シンドロームジェネレータ
US7653862B2 (en)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for encoded data
US637810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rror correction in optical disk system
JPH084233B2 (ja) 誤り訂正符号の復号装置
TW200302454A (en)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JP2000165259A (ja) データ復号処理装置および方法
US6895173B2 (en) Combined DVD/CD data processor
KR100209676B1 (ko) 에러정정 장치 및 방법
JP2999881B2 (ja) リードソロモン符号の復号装置
KR100207492B1 (ko) 에러 정정 검사 방법 및 장치
JPH05218883A (ja) 復号回路
KR100223821B1 (ko) 디지탈 비데오 디스크 시스템의 에러정정 회로 및 방법
US7213190B2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JP3271208B2 (ja) エラー訂正復号装置
JPH1117557A (ja) 誤り訂正方法及び誤り訂正装置
KR100425083B1 (ko) 이종 광 디스크 에러정정 회로
JP3342422B2 (ja) 誤り訂正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S63298777A (ja) エラ−検出訂正方式
JP2001189059A (ja) 記録再生装置
JPH04177673A (ja) 情報記録再生装置
JP3551879B2 (ja) 誤り訂正装置及び方法
KR100253171B1 (ko) 데이타 오류정정 방법 및 회로
JP2547005B2 (ja) 誤り訂正方法
JP2561236B2 (ja) 誤り訂正装置
JPH1141113A (ja) 誤り訂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