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9329B1 - 오일연소기의 점화시간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오일연소기의 점화시간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9329B1
KR100209329B1 KR1019960060658A KR19960060658A KR100209329B1 KR 100209329 B1 KR100209329 B1 KR 100209329B1 KR 1019960060658 A KR1019960060658 A KR 1019960060658A KR 19960060658 A KR19960060658 A KR 19960060658A KR 100209329 B1 KR100209329 B1 KR 100209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m temperature
temperature
vaporizer
ignition
detec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0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1357A (ko
Inventor
김태경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60060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9329B1/ko
Publication of KR19980041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1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9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93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5/00Stoves or ranges for liquid fuels
    • F24C5/1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2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vices responsive to thermal changes or to thermal expansion of a medium
    • F23N5/1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vices responsive to thermal changes or to thermal expansion of a medium using thermocoup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일연소기의 점화시간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팬히터를 사용하고자 점화스위치(20)를 온시키게 되면 실내온도를 검지하는 실내온도감지센서(30)가 실내온도를 검지하여 이 검지신호를 제어부(50)로 인가하게 되고, 따라서 제어부(50)는 검지신호에 의해 현재 실내온도가 5℃이상 인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101 내지 103), 상기 제 1 단계에서 현재의 실내온도가 5℃이상이면 제어부(50)는 기화기 예열히터(14)로 정상전압을 인가하는 제 2 단계(104), 상기 제 1 단계에서 제어부(50)는 실내온도감지센서(30)에 의해 검지된 실내온도가 5℃이하인가를 판단하여 검지신호에 따른 실내온도가 5℃이하이면, 제어부(50)는 기화기 예열히터(14)로 인가되는 전압을 5% 상승하여 인가하는 제 3 단계(105)(106), 상기 제 1 단계에서 제어부(50)는 실내온도감지센서(30)에 의해 검지된 실내온도가 0℃이하인가를 판단하여 검지신호에 따른 실내온도가 0℃이하이면 제어부(50)는 기화기 예열히터(14)로 인가되는 전압을 10% 상승하여 인가하는 제 4 단계(107)(108), 상기 단계에서 기화기 예열히터(14)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기화기 예열히터(14)는 기화기(10)를 예열하게 되고, 제어부(50)는 기화기 써머커플(40)에 의해 인가되는 검지신호를 인가받아 기화기(10) 온도가 기설정된 적정온도인가를 판단하는 제 5 단계(109)(110), 상기 제 5 단계에서 기화기(10)의 온도가 기설정된 적정온도이면 제어부(50)는 전자펌프(12)를 구동하여 연료를 공급하고, 이어 점화장치(60)를 구동하여 공급된 연료를 점화시켜 연소모드를 수행하는 제 6 단계(111)(112)를 구비하여 초기점화시 실내의 온도에 따라 기화기 예열히터에 인가하는 전압을 제어하여 겨울철 점화시 낮은 실내온도에 의해 오일연소기가 냉각되면 기화기 예열히터에 인가되는 인가전압을 상승시켜 점화시 까지만 인가전압을 제어하여줌으로서 정상의 온도에서 보다 점화시간이 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일연소기의 점화시간 제어방법(A Method for Controlling Igniting Time of a Oil Burner)
본 발명은 오일연소기의 점화시간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팬히터의 초기점화시 실내의 온도에 따라 기화기 예열히터에 인가하는 전압을 제어하여 겨울철 점화시 낮은실내온도에 의해 오일연소기가 냉각되어 정상의 온도에서 보다 점화시간이 길어지는 것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 오일연소기의 점화시간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팬히터에 사용되는 오일연소기는 연료탱크에서 전자펌프의 펌핑에 의해 공급되는 액체의 연료를 충분히 예열된 기화기에서 기화시켜 가스로서 분출하여 버너에서 점화되어 연소를 수행하게 된다.
도3은 상기와 같은 작용을 하는 팬히터의 기화기로서, 연료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를 기화기(10)로 공급하는 전자펌프(12)와, 상기 전자펌프(12)에 의해 기화기(10)로 공급된 연료의 기화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기화기(10)를 예열하는 기화기 예열히터(14)와, 상기 기화기(10)에서 기화된 연료를 버너부(16)에서 점화시키는 점화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팬히터는 사용자가 팬히터를 온시키면 기화기 예열히터(14)로 전원이 인가되어 기화기(10)를 예열시키게 된다.
예열된 기화기(10)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면 전자펌프(12)와 점화장치가 구동되어 연료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를 기화기(10)로 공급하여 기화시킴과 동시에 상기 기화기(10)에서 기화되어 버너부(16)로 공급된 연료를 점화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팬히터에 적용되는 오일연소기는 정상적인 온도내에서는 초기점화시 연료를 기화시키는 기화기(10)가 기화기 예열히터(14)에 의해 충분히 예열되지만 추운 겨울철에는 오일연소기가 냉각되어 기화기 예열히터(14)에 의한 예열시 정상적인 온도에서 보다 기화시간이 길어지게 되어 그만큼 오일연소기에서의 점화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팬히터의 초기점화시 실내의 온도에 따라 기화기 예열히터에 인가하는 전압을 제어하여 겨울철 점화시 낮은 실내온도에 의해 오일연소기가 냉각되면 기화기 예열히터에 인가되는 인가전압을 상승시켜 점화시 까지 인가전압을 제어하여줌으로서 정상의 온도에서 보다 점화시간이 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오일연소기의 점화시간 제어방법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오일연소기의 점화시간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팬히터를 사용하고자 점화스위치를 온시키게 되면 실내온도를 검지하는 실내온도감지센서가 실내온도를 검지하여 이 검지신호를 제어부로 인가하게 되고, 따라서 제어부는 검지신호에 의해 현재 실내온도가 5℃이상 인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현재의 실내온도가 5℃이상이면 제어부는 기화기 예열히터로 정상전압을 인가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제어부는 실내온도감지센서에 의해 검지된 실내온도가 5℃이하인가를 판단하여 검지신호에 따른 실내온도가 5℃이하이면, 제어부는 기화기 예열히터로 인가되는 전압을 5% 상승하여 인가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제어부는 실내온도감지센서에 의해 검지된 실내온도가 0℃이하인가를 판단하여 검지신호에 따른 실내온도가 0℃이하이면 제어부는 기화기 예열히터로 인가되는 전압을 10% 상승하여 인가하는 제 4 단계, 상기 단계에서 기화기 예열히터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기화기 예열히터는 기화기를 예열하게 되고, 제어부는 기화기 써머커플에 의해 인가되는 검지신호를 인가받아 기화기 온도가 기설정된 적정온도인가를 판단하는 제 5 단계, 상기 제 5 단계에서 기화기의 온도가 기설정된 적정온도이면 제어부는 전자펌프를 구동하여 연료를 공급하고, 이어 점화장치를 구동하여 공급된 연료를 점화시켜 연소모드를 수행하는 제 6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연소기의 점화시간 제어방법.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팬히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연소기의 점화시간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3은 종래의 팬히터에 적용되는 기화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화기 12 : 전자펌프
14 : 기화기 예열히터 16 : 버너부
20 : 점화스위치 30 : 실내온도감지센서
40 : 기화기 써머커플 50 : 제어부
60 : 점화장치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팬히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로, 팬히터를 온 또는 오프시키는 점화스위치(20)와, 실내의 온도를 검지하는 실내온도감지센서(30)와, 기화기(10)의 온도를 검지하는 기화기 써머커플(40)이 각각 제어부(50)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기화기(10)를 예열하는 기화기 예열히터(14)와, 연료탱크내의 연료를 펌핑하여 기화기(10)로 연료를 공급하는 전자펌프(12)와 버너부(16)로 공급되는 연료를 착화시키는 점화장치(60)가 제어부(50)의 제어를 받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도2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사용자가 팬히터를 사용하여 실내온도를 높이고자 점화스위치(20)를 온시키게 되면(101), 실내온도를 검지하는 실내온도감지센서(30)가 실내온도를 검지하여 이 검지신호를 제어부(50)로 인가하게 되고(102), 따라서 제어부(50)는 실내온도감지센서(30)에서 인가되는 검지신호에 의해 현재의 실내온도가 5℃이상 인가를 판단하게 되고(103), 현재의 실내온도가 5℃이상이면 제어부(50)는 오일연소기가 냉각상태가 아니라고 판단하여 기화기 예열히터(14)로 인가되는 전압을 정상전압으로 인가하게 된다(104).
한편, 제어부(50)는 실내온도감지센서(30)에 의해 검지된 실내온도가 5℃이상이 아니면 다시 5℃이하인가를 판단하여 검지신호에 따른 실내온도가 5℃이하이면(105), 제어부(50)는 실내온도가 낮다고 판단하여 기화기 예열히터(14)로 인가되는 전압을 5% 상승하여 인가하게 된다(106).
또한, 제어부(50)는 실내온도감지센서(30)에 의해 검지된 실내온도가 0℃이하인가를 판단하여 검지신호에 따른 실내온도가 0℃이하로 낮은 상태면(107), 제어부(50)는 실내의 온도저하에 따라 오일연소기가 냉각되어 있는 상태로 판단하여 기화기 예열히터(14)로 인가되는 전압을 10% 상승시켜 인가하게 된다(108).
따라서, 제어부(50)는 실내온도에 따라 기화기 예열히터(14)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여 기화기(10)를 예열시키며, 제어부(50)는 기화기 써머커플(40)에 의해 인가되는 검지신호를 인가받아(109) 기화기(10)의 온도가 연료를 기화시킬 수 있는 적정온도인가를 판단하여(110), 기화기(10)의 온도가 기설정된 적정온도이면 제어부(50)는 전자펌프(12)를 제어하여 연소에 필요한 연료를 공급하여 기화기(10)를 통해 기화시키고, 기화된 연료는 버너부(16)로 공급되며, 연료가 버너부(16)로 공급되면 제어부(50)는 점화장치(60)를 구동하여 공급된 연료를 점화시켜주어(111) 팬히터의 연소모드를 수행하게 된다(112).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팬히터의 초기점화시 실내의 온도에 따라 기화기 예열히터에 인가하는 전압을 제어하여 겨울철 점화시 낮은 실내온도에 의해 오일연소기가 냉각되면 기화기 예열히터에 인가되는 인가전압을 상승시켜 점화시 까지만 인가전압을 제어하여줌으로서 정상의 온도에서 보다 점화시간이 길어지는 것을 단축할 수 있다.

Claims (1)

  1. 오일연소기의 점화시간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팬히터를 사용하고자 점화스위치(20)를 온시키게 되면 실내온도를 검지하는 실내온도감지센서(30)가 실내온도를 검지하여 이 검지신호를 제어부(50)로 인가하게 되고, 따라서 제어부(50)는 검지신호에 의해 현재 실내온도가 5℃이상 인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101 내지 103), 상기 제 1 단계에서 현재의 실내온도가 5℃이상이면 제어부(50)는 기화기 예열히터(14)로 정상전압을 인가하는 제 2 단계(104), 상기 제 1 단계에서 제어부(50)는 실내온도감지센서(30)에 의해 검지된 실내온도가 5℃이하인가를 판단하여 검지신호에 따른 실내온도가 5℃이하이면, 제어부(50)는 기화기 예열히터(14)로 인가되는 전압을 5% 상승하여 인가하는 제 3 단계(105)(106), 상기 제 1 단계에서 제어부(50)는 실내온도감지센서(30)에 의해 검지된 실내온도가 0℃이하인가를 판단하여 검지신호에 따른 실내온도가 0℃이하이면 제어부(50)는 기화기 예열히터(14)로 인가되는 전압을 10% 상승하여 인가하는 제 4 단계(107)(108), 상기 단계에서 기화기 예열히터(14)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기화기 예열히터(14)는 기화기(10)를 예열하게 되고, 제어부(50)는 기화기 써머커플(40)에 의해 인가되는 검지신호를 인가받아 기화기(10) 온도가 기설정된 적정온도인가를 판단하는 제 5 단계(109)(110), 상기 제 5 단계에서 기화기(10)의 온도가 기설정된 적정온도이면 제어부(50)는 전자펌프(12)를 구동하여 연료를 공급하고, 이어 점화장치(60)를 구동하여 공급된 연료를 점화시켜 연소모드를 수행하는 제 6 단계(111)(11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연소기의 점화시간 제어방법.
KR1019960060658A 1996-11-30 1996-11-30 오일연소기의 점화시간 제어방법 KR100209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0658A KR100209329B1 (ko) 1996-11-30 1996-11-30 오일연소기의 점화시간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0658A KR100209329B1 (ko) 1996-11-30 1996-11-30 오일연소기의 점화시간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1357A KR19980041357A (ko) 1998-08-17
KR100209329B1 true KR100209329B1 (ko) 1999-07-15

Family

ID=19485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0658A KR100209329B1 (ko) 1996-11-30 1996-11-30 오일연소기의 점화시간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932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1357A (ko) 199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9329B1 (ko) 오일연소기의 점화시간 제어방법
JPS6196325A (ja) 気化式燃焼装置
KR19980046959A (ko) 팬히터의 취침난방 제어방법
KR100224003B1 (ko) 팬히터 기화기 예열장치 및 방법
JP2773452B2 (ja) 燃焼装置
JP2976627B2 (ja) 燃焼装置
JP2586245B2 (ja) 気化式燃焼機の制御装置
JPH0842845A (ja) 燃焼機
KR100213538B1 (ko) 팬히터 제어방법
KR100187062B1 (ko) 송풍팬 이상시 온도상승 제어방법
JP3033282B2 (ja) 燃焼装置
KR100187059B1 (ko) 팬히터 취침난방시 공기청정기 제어방법
JP3872623B2 (ja) 気化式石油燃焼装置
KR100187058B1 (ko) 팬히터의 기화기내 타르발생 제어방법
JP2807264B2 (ja) 給湯装置
KR0157491B1 (ko) 분젠식 팬히터의 불꽃조절 제어방법
KR100187045B1 (ko) 오일연소기의 점화검지방법
KR19980014768A (ko) 팬히터 온도상승 제어방법
JPH0783429A (ja) 液体燃料燃焼装置
KR19980022963A (ko) 팬히터의 취침난방 제어방법
JPS62196525A (ja) 液体燃料燃焼装置
JPH05340535A (ja) 液体燃料燃焼装置
KR19980052920A (ko) 강제대류형 오일연소기의 초기착화 제어방법
JPH09178171A (ja) 気化式石油給湯機のバ−ナ制御装置
JPH0252172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