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8052B1 - 분할 고형체 - Google Patents

분할 고형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8052B1
KR100208052B1 KR1019920016427A KR920016427A KR100208052B1 KR 100208052 B1 KR100208052 B1 KR 100208052B1 KR 1019920016427 A KR1019920016427 A KR 1019920016427A KR 920016427 A KR920016427 A KR 920016427A KR 100208052 B1 KR100208052 B1 KR 100208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t
groove
divided
grooves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6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5604A (ko
Inventor
다다시 마끼노
요시오 미즈가미
신이찌로 히라이
Original Assignee
모리따 가쓰라
다케다 야쿠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374475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20805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모리따 가쓰라, 다케다 야쿠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따 가쓰라
Publication of KR930005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8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80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6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pills, lozenges or drage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72Pills, tablets, discs, rod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size; Tablets with holes, special break lines or identification marks; Partially coated tablets; Disintegrating flat shaped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1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compressed tabl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Jellies, Jams, And Syrups (AREA)

Abstract

서로 마주보는 제1 표면과 제2 표면을 가지고 이들 표면과 직교하는 측면을 가진 고형체로서 제1 표면 내지 제2 표면과 측면으로 형성되는 주변 가장자리를 테이퍼링하여 정제의 전체 주변에 걸쳐 경사진 가장자리면을 가지도록 한 분할 고형체를 제공한다.
또한 이 고형체는 제1 표면에는 V자형 단면의 제1 분할홈 최소한 하나가 형성되어 있어, V자형 단면의 제1 분할홈의 양쪽으로 동일한 형상의 고형체 절편부가 형성된다. 고형체의 양쪽면에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V자형 단면의 분할홈 한쌍을 V자형 단면의 제1 분할홈의 양단쪽에 연속되게 형성한다.
손가락에 조금만 힘을 가하여도 제1 표면에 있는 V자형 단면의 분할홈을 따라 고형체가 분할된다.
본 발명의 분할 고형체는 특히 의약 정제에 적합하다.

Description

분할 고형체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정제의 상부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에 있는 정제의 측면도.
제3도는 제1도와 제2도에 있는 정제의 변형예를 나타낸 정제의 측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정제의 상부 평면도.
제5도는 제4도에 있는 정제의 측면도.
제6도는 제4도와 제5도에 있는 정제의 변형예를 나타낸 정제의 측면도.
제7도 및 제8도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정제의 상부 평면도 및 측면도.
제9도는 제7도와 제8도에 있는 정제의 변형예를 나타낸 정제의 측면도.
제10도 및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정제의 상부 평면도 및 측면도.
제12도는 제10도와 제11도에 있는 정제의 변형예를 나타낸 정제의 측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정제의 상부 평면도.
제14도는 제13도에 있는 정제의 변형예를 나타낸 정제의 측면도.
제15도는 실험에 사용된 각 정제의 CV값과 절편분할의 용이성을 나타낸 그래프.
제16(a)도와 제16(b)도는 각각 실험에 사용된 종래의 정제의 상부 평면도 및 측면도.
제17(a)도 및 제17(b) 내지 제20(a)도 및 제20(b)도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정제의 시험에 사용된 시료의 상부 평면도 및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정제 2 : 상면
3 : 바닥면 4 : 측면
5 : 상부 분할홈 6 : 바닥 분할홈
7 : 측면 분할홈 8,9 : 경사진 주변 가장자리면
본 발명은 약제나 과자등과 같이 분할할 수 있는 고형체 내지 정제, 더욱 구체적으로는 분할 정제에 관한 것이다.
분할 고형체는 신규한 최신의 개발품이 아니고 오랜전부터 잘 알려져 있는 것이다. 분할 정제는 손가락으로 압력을 가하여 하나의 분할홈을 따라 정제를 두 조각으로 나누게 되도록 한 것이다. 예를 들자면 일본국 특허 공개 공보 제61-289027 호(1986. 12. 19 공개 ; 이것은 1987 년 1 월 7 일 공고된 유럽 특허 공보 제A1-207,888 호와 대응되는 것임)에는 서로 마주보는 평면을 가지고 있고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일반적으로 V자형 단면을 한 최소한 하나의 분할홈이 이들 면중의 최소한 한쪽면에 형성되어 있는 원형의 정제가 개시(開示)되어 있다.
V자형 단면의 분할홈이 형성되어 있는 원형의 정제의 표면에는 상호간에 대하여 약 170 ∼ 150 도 정도되는 둔각(鈍角)으로 원주상 정제 가장자리로 부터 안쪽으로 경사진 한쌍의 표면 영역을 가지고 있다. 이 표면 영역 각각은 정제의 단면에 대하여 약 5 ∼ 15 도 정도의 각도로 경사져 있다.
또한 위에 나온 일본국 특허 공개 공보 제61-289027 호 또는 유럽 특히 공보 제A1-207,888 호에 개시되어 있는 원형의 정제의 특징은 서로 마주보는 원주상 정제가장자리가 횡단면에 대하여 약 20 ∼ 40 도 정도의 각도로 모깍기(chamfering)가 되어 있고, V자형 단면의 분할홈은 예각(銳角), 예컨대 90 도의 각도를 하고 있으며 모깍기된 원주상 가장자리의 깊이와 일반적으로 동일한 깊이를 가지는 한편, V자형 단면의 분할홈의 바닥은 정제의 중심에서의 전체 두께의 1/3 정도되는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는데 있다.
이러한 종래의 원형 정제는 테이블 또는 손바닥 같은 지지 표면위에 V자형 단면의 분할홈이 지지표면쪽을 향하도록 하여 얹어두고 정제의 중심부위에 외압을 지지표면쪽으로 인접한 방향으로 가할 경우 실제로 쉽사리 쪼개어진다. 그러나 예컨데 정제의 단면에 대하여 대각선 방향의 경우처럼 그릇된 방향으로 외압을 가할때는 문제가 있게 된다.
일단 외압이 그릇된 방향으로 가해지면 정제의 가장자리 부분이 바람직하지 못하게 파괴되거나 부스러져 정제는 각기 상이한 크기의 조각으로 되므로 정제를 등량으로 투여할 수 없다. 따라서 약제의 단일 투여량에 변동이 생기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 공보 제2-14333 호(1990. 1.29. 공개)에는 그 양표면의 가장자리는 직각으로 되어 있고 일반적으로 V자형 단면의 분할홈이 양 표면의 동일위치에 형성되어 있어서 V자형 단면의 분할홈의 각각의 측면에서 대칭으로 정제가 쪼개지도록 한 정제가 개시되어 있다.
여기에 나와 있는 정제는 두개의 타원형의 서로 접해 있는 형상의 것과 링(ring)형상의 것의 두가지이다.
두번째 나온 종래의 정제도 압압력(押壓力)을 대각선 방향으로 가하 더라도 정제 가장자리의 일부가 파괴되거나 부스러지는 일이 없이 쉽사리 분할할 수 있는 것이기는 하지만, 이 정제 뱃치(batch)를 운반하거나 저장하는 도중 발생하는 충격에 의하여 정제의 주변 가장자리 일부가 쉽사리 파괴될 수 있다. 이러한 일이 발생되면 분할한 후의 정제편(錠劑片)은 앞서나온 종래의 정제의 경우처럼 정제가 상이한 크기의 조각으로 되고 투여량도 달라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정제가 가지고 있는 위와 같은 여러가지 문제점을 해소하여 고형체의 주변 가장자리 일부가 파괴되는 일이 없이 쉽사리 고형체를 분할하여 균일한 투여량의 고형체편을 확실하게 얻을 수 있도록한 개량된 분할 고형체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한가지 특징에 따르면 서로 마주보는 제1 표면과 제2 표면을 가지고 이들 제1 표면과 제2 표면중 어느 한가지와 직교하는 측면하나를 가진 분할 고형체를 제공하고 있다. 제1 표면과 제2 표면중의 하나와 측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고형체의 주변 가장자리는 고형체의 전체 주변에 걸쳐 경사진 주변 가장자리면을 가지도록 모서리가 깍여져 있다. 또한 이러한 고형체는 제1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V자형 단면의 제1 분할홈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V자형 단면의 제1 분할홈을 경계로 하여 양쪽에 동일한 형상의 고형체 절편부가 생기게 된다.
그리고 고형체의 측면의 서로 마주보는 부위에는 V자형 단면의 측면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 측면홈은 한쪽끝에서 제1 분할홈의 대응되는 끝 부분에 연속해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형체의 제2 표면에도 V자형 단면의 제2 분할홈을 형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제2 분할홈의 양단부는 대응하는 측면홈의 다른쪽 끝에 연속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서로 마주보는 제1 표면과 제2 표면을 가지고 이들 제1 표면과 제2 표면중 어느 한가지와 직교하는 측면하나를 가짐과 동시에 제1 표면과 제2 표면중의 하나와 측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고형체의 주변 가장자리는 이 고형체의 전체 주변에 걸쳐 경사진 가장자리면을 가지도록 모서리가 깍여져 있는 분할 고형체이다. 또한 이러한 고형체는 제1 표면에 적어도 두개의 V자형 단면의 제1 및 제2 분할홈이 서로 직교하여 형성되어 있고 이들 제1 및 제2 분할홈이 형성하는 4 개의 4 분원에는 동일한 형상의 고형체 절편부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고형체의 측면의 서로 마주보는 부위에는 V자형 단면의 제1 측면 분할홈의 쌍과 제2 측면 분할홈의 쌍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 경우에 있어서 첫번째 쌍의 측면 분할홈은 한쪽끝에서 V자형 단면의 제1 분할홈의 서로 마주보는 양단에 연속되어 있고, 또한 두번째 쌍의 측면 분할홈도 한쪽끝에서 제2 분할홈의 서로 마주보는 양단에 연속되어 있다.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측면 분할홈 각각은 고형체의 제1 표면 및/또는 제2 표면에 있는 V자형 단면의 분할홈 각각의 길이의 7 ∼ 20% 의 범위내의 깊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한 고형체를 PTP로 포장할 경우,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한 고형체를 포장한 포장물을 수송할 경우 및/ 또는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한 고형체를 포장해제할 경우에 생기는 충격으로 인하여 정제 표면의 V자형 단면의 분할홈을 따라 고형체가 파단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한 고형체를 쉽고도 정확하게 동일한 투여량의 고형체편(piece)으로 분할할 수 있다.
고형체의 측면에 2 쌍의 측면 분할홈을 형성함으로써 발휘되는 장점으로서는 고형체를 두조각으로 쪼갤 필요가 있을 경우, 또한 이러한 목적으로 고형체의 제1 표면의 중심부에다 손가락으로 외압을 가할 경우에는 고형체의 제1 표면에 있는 V자형 단면의 분할홈의 바닥에서 부터 균열이 먼저 시작된 다음, 즉시 고형체의 내부로, 또한 제1 표면내지 제2 표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고형체 깊숙히까지 균열이 되므로 고형체를 동일한 크기의 조각들로 확실히 분할할 수 있고, 따라서 투여량도 동일하게 된다는데 있다. 다시 말하자면 고형체의 측면의 서로 마주보는 고형체의 부위에 형성된 측면 분할홈은 분할시에 있어서 균열이 고형체 표면중 어느 한 표면과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될 수 있는한 정확히 일어나도록 이 균열을 유도하는 작용을 한다.
[실시예]
본 발명의 여러가지 목적과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다음의 설명으로 부터 명백히 알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있다.
제1도와 제2도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균일한 두께를 가진 편평한 원형의 고형체, 즉 정제(1)가 나와 있는데, 이 정제(1)는 서로간에 마주보는 상면(2)과 바닥면(3)및 이들 상면(2)과 바닥면(3)에 대하여 직교하는 주변 측면(4)을 가지고 있다. 정제(1)에는 V자형 단면의 상부 분할홈(5)이 상면(2)에 형성되어 있어서 정제(1)에 공지의 방법으로 손가락 압력을 가함으로써 V자형단면의 상부 분할홈(5)을 따라 정제(1)를 분할하면, 실질적으로 대칭형의 정제편(1a)및(1b)으로 된다.
이러한 V자형 단면의 상부 분할홈(5)은 약 90 도 정도되는 홈의 각도(α)를 가진다.
또한 정제(1)는 주변 측면(4)에도 거의 V자형 단면의 측면 분할홈(7)한쌍이 정제(1)의 두께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아울러 상면(2)에 있는 V자형 단면의 상부 분할홈(5)의 양단에 연속되어 있는 반면, 한쪽끝에서 V자형 단면의 상부 분할홈(5)과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물론 한쌍의 측면 분할홈(7)은 정제(1)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180 도의 각도로 떨어져 있다.
측면 분할홈(7)각각은 상부 분할홈(5)의 깊이와 실질적으로 거의 동일한 깊이(H)를 가지며 약 70 도 정도되는 홈의 각도()를 가진다.
그러나 여기서 특기해야할 것은 제1도와 제2도에 나타낸 경우에서는 각 측면 분할홈(7)의 깊이(H)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제(1)의 최대 직경에서 하나의 측면 분할홈(7)의 깊이(H)의 2 배 값을 뺀 값으로써 나타낸 상부 분할홈(5)의 깊이(L)의 약 7% 를 차지한다는 점이다.
제2도에 나와 있는 바와 같이 상면(2)과 바닥면(3)에 있어서 정제(1)의 서로 마주보는 원주상 부분에는 모서리가 깍여 있어서 정제(1)의 반경 방향의 외측에서 서로 수렴하도록 경사진 경사 가장자리면(8,9)을 각각 형성하고 있다. 도면에 나와 있는 실시예에서는 각 경사 가장자리면(8,9)의 상면(2)과 바닥면(3)에 대한 경사각(γ)은 약 30 도가 되도록 선택되어 있다.
제1도와 제2도에 따라 설명한 구성의 정제(1)를 두 조각으로 나눌 경우 V자형 단면의 상부 분할홈(5)이 형성되어 있는 상면(2)과는 반대쪽에 있는 바닥면(3)의 중심부에 손가락힘을 가하여 V자형의 단면의 상부 분할홈(5)을 따라 정제(1)가 나누어 지도록 한다.
이때, V자형 단면의 측면 분할홈(5)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앞서 나온 바와 같이 손가락 힘을 가함으로써 V자형 단면의 상부 분할홈(5)의 바닥에서 부터 생긴 균열이 상면(2) 내지 바닥면(3)과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진행되면서 정제(1)의 내부 깊숙히 전개하므로 서로 동일한 크기 즉 단위 투여량이 같은 분할된 정제편(1a, 1b)을 얻을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정제(1)의 원주상 측면(4)의 서로 마주보는 부위에 형성된 V자형 단면의 측면 분할홈(7)은 분할시에는 균열이 정제(1)의 표면에 대하여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될 수 있는 한 정확하게 발생하도록 이 균열을 안내하는 작용을 하며, 분할후에는 단위 투여량이 동일한 정제편(1a,1b)을 얻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제3도에 있는 바와 같이 위에 나온 정제(1)의 바닥면(3)에도 V자형 단면의 바닥 분할홈(6)을 상면(2)의 상부 분할홈(5)의 바로 아래에 이것과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추가로 형성하여도 좋다. 요컨대 정제(1)의 상면(2)과 바닥면(3)에 V자형 단면의 상부 분할홈(5)과 바닥 분할홈(6)을 제3도에 있는 바와 같이 각각 형성하면 정제의 한쪽 표면에만 V자형 단면의 분할홈을 형성한 정제에 비하여 한층 용이하게 분할 할 수 있으므로 분할에 필요로 하는 손가락 힘 내지 압압력(押壓力)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정제(1)의 상부 평면도와 측면도는 제4도와 제5도에 있는데 이것은 제1도와 제2도에 나온 제1 실시예와는 상이하다. 이 제2 실시예에서는 각 측면 분할홈(7)의 각도()를 90 도로 하고, 또한 각 V자형 단면의 측면 분할홈(7)의 깊이(H)를 상부 분할홈(5)의 길이(L)의 약 20% 되게 선택하고 있다. 이 제2 실시예에서의 정제(1)의 각 측면 분할홈(7)의 각도()와 홈의 깊이(H)가 제1도와 제2도에 있는 제1 실시예의 정제의 경우보다도 크게 선택되어 있기 때문에 제4도에 명확히 나와 있는 바와 같이 분할후의 정제편(1a, 1b)은 제1 실시예에 의한 정제의 분할후에 얻어지는 정제편의 형상보다도 타원형에 가까운 형상을 나타낸다.
제4도와 제5도에 있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하면 V자형 단면의 상부 분할홈(5)의 길이(L), 즉 정제편(1a, 1b)의 결합부의 길이를 최적화 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실시예에 의한 정제(1)에서는 분할에 필요한 손가락힘 내지 압압력을 최소화 할 수 있음과 아울려 제조된 정제를 포장한다거나 용기에 충전할때의 충격에 의하여 정제가 V자형 단면의 상부 분할홈(5)을 따라 파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제6도는 제4도와 제5도에 나온 제2 실시예의 정제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즉 제4도와 제5도에 실시된 정제(1)를 V자형 단면의 상부 분할홈(5)의 구성과 같은 V자형 단면의 바닥 분할홈(6)을 V자형 단면의 상부 분할홈(5)의 바로 아래에 이 상부 분할홈(5)과 평행하게 바닥면(3)에 직경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함으로써 변형시킨 것이다.
제6도에 있는 변형예에 의하면 정제(1)의 상면(2) 뿐만 아니라 바닥면(3)에도 V자형 단면의 분할홈(5,6)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정제(1)를 분할한 후에 얻어지는 정제편(1a, 1b)의 거의 직사각형인 파단면(10)에 있어서의 긴쪽의 측면부가 경사진 각도를 가지므로 상면(2)과 바닥면(3)의 인접부분은 둔각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6도의 변형예에서도 정제(1)의 상면(2)및 바닥면(3)에 인접한 주변부의 모서리가 깍여져 경사진 주변 가장자리면(8,9)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상면(2)과 바닥면(3)에 상부 분할홈(5)과 바닥 분할홈(6)을 각각 형성하여 두면 분할되어 얻어지는 정제편(1a, 1b)은 각각 집어들어 보아도 주변부 모서리가 모두 깍여져 경사진 주변면을 가지게 된다는 것은 명확하다.
따라서 예각부가 거의 없으므로 환자나 기타 복용자는 정제편(1a, 1b)을 기분좋게 삼킬 수 있다.
변형예도 아울러 포함하는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의한 정제(1)는 모두 원형의 것이었으나, 제7도와 제8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정제(1)는 당업계에서는 오우벌 정(oval tablet)으로 알려져 있는 거의 타원형의 정제이다. 물론 기하학상 타원형에는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장축과 단축이 있다. 제7도와 제8도에 나와 있는 예에서는 V자형 단면의 상부 분할홈(5)을 정제(1)의 상면(2)에 있어서 정제(1)가 나타내는 타원형의 단축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제7도와 제8도에 나와 있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정제(1)에 있어서의 V자형 단면의 측면 분할홈(7)의 각도()와 그 깊이(H)는 90 ∼ 100 도의 범위내 및 V자형 단면의 상부 분할홈(5)의 길이(L)의 약 15% 로 각각 선정되어 있다.
정제가 타원형이면 상부 분할홈(5)을 타원형의 단축 방향으로 형성할 경우 그 길이(L)를 보다 짧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상부 분할홈(5)을 따라 정제(1)를 분할하는데 필요로 하는 손가락 힘 내지 압압력은 더욱 최소화 하게 된다.
제7도와 제8도에 나와 있는 제3 실시예의 변형예를 제9도에 나타내었다. 제9도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정제(1)는 제7도와 제8도에 있는 정제(1)와 구성은 유사하지만 정제(1)의 바닥면(3)에도 V자형 단면의 바닥 분할홈(6)을 상면(2)에 있는 상부 분할홈(5)의 바로 아래에 상부 분할홈(5)과 평행하게 연장시켜 형성하고 있다는 점에서 상이하다.
거의 직사각형인 정제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를 제10도 내지 제12도에 나타내었다. 제10도와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서 V자형 단면의 상부 분할홈(5)은 정제(1)의 상면(2)에서 직사각형 정제(1)의 길이를 등분하는 위치를 폭방향으로 연장시켜 형성되어 있다. 제10도와 제11도에 나와 있는 실시예에서의 V자형 단면의 측면 분할홈(7)의 각도()는 약 90 도이고 그 깊이(H)는 상부 분할홈(5)의 길이(L)의 약 15% 가 되도록 각각 선정되어 있다. 그런데 이 실시예에서의 상부 분할홈(5)의 길이(L)라 함은 직사각형 정제(1)의 폭방향을 따라 측정한 것이다.
제12도는 제10도와 제11도에 나와 있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12도에 있는 정제(1)도 제10도 및 제11도에 나와 있는 정제와 구성은 유사하지만 정제(1)의 바닥면(3)에도 V자형 단면의 바닥 분할홈(6)을 상면(2)에 있는 상부 분할홈(5)의 바로 아래에 이 상부 분할홈(5)과 평행하게 형성하고 있다는 점에서 상이하다.
앞서 나온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는 정제의 한쪽 표면 또는 양쪽 표면에 형성한 V자형 단면의 분할 홈은 하나뿐이지만, 정제의 한쪽 표면 또는 양쪽 표면에 두개의 V자형 단면의 분할홈을 서로 직교하도록 형성하여도 좋은데, 그 한가지 예를 제13도에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로 하여 나타내었다.
제13도에 있어서 정제(1)는 원형의 정제로서 그 상면(2)에는 V자형 단면의 제1 상부 분할홈(5a)및 제2 상부 분할홈(5b)이 직경 방향으로 직교하면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두개의 V자형 단면의 상부 분할홈(5a, 5b)이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측면(4)에는 두쌍의 V자형 단면의 측면 분할홈(7a, 7b)이 형성되어 있고, 그중의 한쪽의 측면 분할홈(7a)한쌍은 양단이 제1 상부 분할홈(5a)의 대응단(對應端)에 이어져 있고, 또한 다른쪽의 측면 분할홈(7b)한쌍은 제2 상부 분할홈(5b)의 대응단에 이어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낸 제13도의 정제(1)를 4 개의 거의 균등한 양의 정제편(1c, 1d, 1e, 1f)으로 분할할 수 있다는 것을 쉽사리 알 수 있다.
물론 한쪽 표면에 2 개의 분할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은 정제를 복용함에 있어서 반드시 정제를 4 조각으로 나누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필요에 따라서는 V자형 단면의 상부 분할홈(5a, 5b)중 하나를 따라 정제(1)를 거의 균등한 투여량의 두 조각으로 나누어도 좋다.
제14도에서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앞서 나온 4 분할형 정제의 변형예에서 정제(1)의 바닥면(3)에도 V자형 단면의 바닥 분할홈(단, 제14도에서는 한쪽의 바닥 분할홈(6)만이 나타나 있음)을 상면(2)의 상부 분할홈(5a, 5b)의 바로 아래에 이들과 평행하게 형성하고, 또한 서로 직교하는 상태로 형성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13도에 있는 정제와는 다르다.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본 발명에서는 정제의 측면에 형성한 각 측면 분할홈의 깊이(H)는 표면에 형성한 상부 분할홈의 길이의 7 ∼ 20% 를 차지하도록 선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선정함으로써 정제 분할후에 얻어지는 정제편의 결합부의 길이를 정제 두께 방향을 따라 측정한 각 측면 분할홈의 길이의 2 배 값보다 크게 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정제와 본 발명에 의한 고형체, 즉 정제의 분할 용이성에 대해 실험을 하였다. 이 실험에서 얻은 각각의 정제의 CV값(정제의 분할 중량 변동값)을 제15도에 나타내었다. 이 CV값은 분할후의 정제편 사이에서의 중량차를 정제 중량의 절반으로 나눈 값을 % 로 나타낸 것인데, 정제가 어느 정도 정확히 등량으로 분할되었는가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CV값이 작으면 작을 수록 등량의 정제편으로 분할되는 정확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제16도 내지 제20도는 실험에 사용한 정제시료 I 내지 V를 나타낸 것이다. 제16도에 나와 있는 정제 시료 I 은 측면 분할홈이 없는 종래의 정제이고, 제17도에서 부터 제20도에 나와 있는 각각의 정제 시료 I 에서부터 V까지는 본 발명에 의한 원형 정제이다. 실험에 사용한 모든 정제 시료는 경도가 6 kg 의 것으로서 각 정제 시료 10 개에 대하여 다섯명의 패널리스트(panelist)가 분할 용이성을 검사하였다. 그 결과는 제15도에 나와 있다.
앞서 나온 표 1 과 제15도에 나타난 관능 시험 결과로 부터 본 발명의 정제는 종래의 정제에 비하여 분할하기 쉬울뿐만 아니라 CV값(정제의 분할 중량 변동값)이 극히 작음을 분명히 알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을 정제에 적용한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정제뿐만 아니라 제약분야 이외의 기타 산업분야에서의 분할 정제 일반에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4)

  1. (가) 서로 마주보는 제1 표면 및 제2 표면과, 이들 제1 표면 내지 제2 표면과 직교하는 측면을 가지고, (나) 제1 표면 내지 제2 표면과 측면으로 형성되는 주변 모서리가 깍여져 전체 둘레에 걸쳐 경사진 가장자리면을 형성하며, (다) 제1 표면에는 하나의 V자형 단면의 제1 분할홈이 형성되어 있어 제1 분할홈을 경계로 하여 양쪽에 동일한 형상의 고형체 절편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라) 고형체의 제2 표면에도 V자형 단면의 제2 분할홈이 상기 제1 분할홈과는 반대쪽에서 제1 분할홈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고 이 제2 분할홈의 양단부는 대응하는 측면 분할홈의 다른 쪽 끝에 연속되어 있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고형체에 있어서, 고형체의 측면의 서로 마주보는 부위에는 V자형 단면의 측면 분할홈을 각각 형성하여 각 측면 분할홈은 한쪽 끝에서 제1 분할홈의 대응단부에 연속되어 있고, 상기 각 측면 분할홈의 깊이가 상기 제1 분할홈의 길이의 7∼20%의 범위내의 값으로 설정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고형체.
  2. 제1항에 있어서, 고형체가 정제임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고형체.
  3. (가) 서로 마주보는 제1 표면 및 제2 표면과, 이들 제1 표면 내지 제2 표면과 직교하는 측면을 가지고, (나) 제1 표면 내지 제2 표면과 측면으로 형성되는 주변 모서리가 깍여져 전체 둘레에 걸쳐 경사진 가장자리면을 형성하며, (다) 상기 제1 표면에는 V자형 단면의 제1 분할홈가 제2 분할홈이 서로 직교하여 형성되어 있어 이 제1 분할홈가 제2 분할홈이 형성하는 4개의 4분원에 동일한 형상의 고형체 절편부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고, (라) 정제의 제2 표면에도 V자형 단면의 제3분할홈과 제4분할홈이 상기 제1 분할홈 및 제2 분할홈과는 반대쪽에서 서로 직교하여 제1 분할홈 및 제2 분할홈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고, 이 제3 분할홈과 제4 분할홈의 양단부는 대응하는 쌍의 측면 분할홈의 다른 쪽 끝에 연속되어 있는 타원형의 고형체에 있어서, 고형체의 측면의 서로 마주보는 부위에는 V자형 단면의 첫번째 쌍의 측면 분할홈과 두번째 쌍의 측면 분할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 첫번째 쌍의 측면 분할홈은 한쪽끝에서 제1 분할홈의 양단부에 연속되어 있고, 또한 두번째 쌍의 측면 분할홈도 한쪽끝에서 제2 분할홈의 양단부에 연속되어 있으며, 상기 각 측면 분할홈의 깊이가 상기 제1 분할홈 길이의 7∼20%의 범위내의 값으로 설정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고형체.
  4. 제3항에 있어서, 고형체가 정제임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 고형체.
KR1019920016427A 1991-09-10 1992-09-09 분할 고형체 KR1002080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138291 1991-09-10
JP91-81382 1991-09-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5604A KR930005604A (ko) 1993-04-20
KR100208052B1 true KR100208052B1 (ko) 1999-07-15

Family

ID=13744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6427A KR100208052B1 (ko) 1991-09-10 1992-09-09 분할 고형체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520929A (ko)
EP (1) EP0531964B1 (ko)
JP (2) JP2577080Y2 (ko)
KR (1) KR100208052B1 (ko)
AT (1) ATE176867T1 (ko)
DE (1) DE69228457T2 (ko)
DK (1) DK0531964T3 (ko)
ES (1) ES2127737T3 (ko)
GR (1) GR3030147T3 (ko)
TW (1) TW407502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32270B1 (en) * 1989-04-28 1994-09-07 Kabushiki Kaisha Komatsu Seisakusho Pilot valve
FR2709420B1 (fr) * 1993-09-01 1995-11-17 Sogeval Comprimé vétérinaire plus spécialement destiné aux chats.
DE4446470A1 (de) * 1994-12-23 1996-06-27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teilbaren Tabletten
US5756124A (en) * 1995-08-07 1998-05-26 Invamed, Inc. Multi-scored pharmaceutical tablets
GB9624563D0 (en) * 1996-11-27 1997-01-15 Smithkline Beecham Plc Product
US6634051B1 (en) * 1997-09-22 2003-10-21 Centrix, Inc. Disposable dental applicator
US6365183B1 (en) * 1998-05-07 2002-04-02 Alza Corporation Method of fabricating a banded prolonged release active agent dosage form
FR2859632B1 (fr) * 2003-09-15 2005-11-18 Arrow Generiques Comprime multisecable a observance amelioree.
DE202004002700U1 (de) * 2004-02-20 2004-04-29 Desitin Arzneimittel Gmbh Viertelbare Tablette
EP1712224A1 (en) * 2005-04-12 2006-10-18 Alexander von Mérey Divisible rectangular flat tablet
FR2885051B1 (fr) * 2005-04-28 2008-07-25 So Ge Val Sa Comprime notamment comprime veterinaire secable en particulier pour chiens ou chats
EP1915988A4 (en) 2005-08-18 2012-07-25 Teijin Pharma Ltd COMPRESSOR COMPRISING MULTIPLE SEGMENTS CONTAINING MEDICAMENTS
JP5059611B2 (ja) 2005-08-18 2012-10-24 帝人ファーマ株式会社 正確な用量分割機能を有する製剤
ES2630399T3 (es) * 2006-10-18 2017-08-21 Meiji Co., Ltd. Alimento con depresiones
US7985419B1 (en) 2006-12-22 2011-07-26 Watson Laboratories, Inc. Divisible tablet and associated methods
WO2010032717A1 (ja) * 2008-09-16 2010-03-25 武田薬品工業株式会社 フィルムコーティング割線錠剤
US20110192863A1 (en) * 2009-12-31 2011-08-11 Paul Leslie Barrass Ingestible Tablet Dispensers And Methods Of Dispensing Tablets
US20210059948A1 (en) * 2017-12-26 2021-03-04 Towa Pharmaceutical Co., Ltd. Cyclic orally disintegrating tablet
USD941457S1 (en) * 2020-04-07 2022-01-18 Nutramax Laboratories, Inc. Dietary supplement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502891A (de) * 1967-11-21 1971-02-15 Ciba Geigy Ag Technische, gekerbte Tablette
US3883647A (en) * 1972-12-06 1975-05-13 Ives Lab Tablet formulation
US4258027A (en) * 1979-03-26 1981-03-24 Mead Johnson & Company Multi-fractionable tablet structure
CH648754A5 (en) * 1979-08-16 1985-04-15 Ciba Geigy Ag Pharmaceutical slow release tablet
GB8514089D0 (en) * 1985-06-04 1985-07-10 Sandoz Ltd Pharmaceutical tablet
DE3610878A1 (de) * 1986-04-01 1987-10-08 Boehringer Ingelheim Kg Formlinge aus pellets
US4824677A (en) 1986-12-18 1989-04-25 The Unjohn Company Grooved tablet for fractional dosing of sustained release medication
US5009896A (en) * 1989-10-04 1991-04-23 Akzo N.V. Multi-fractionable tablet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0531964T3 (da) 1999-09-27
EP0531964B1 (en) 1999-02-24
KR930005604A (ko) 1993-04-20
US5520929A (en) 1996-05-28
ATE176867T1 (de) 1999-03-15
ES2127737T3 (es) 1999-05-01
DE69228457D1 (de) 1999-04-01
JPH0537924U (ja) 1993-05-21
EP0531964A1 (en) 1993-03-17
GR3030147T3 (en) 1999-08-31
JP2598156Y2 (ja) 1999-08-03
DE69228457T2 (de) 1999-06-17
TW407502U (en) 2000-10-01
JPH10137U (ja) 1998-06-26
JP2577080Y2 (ja) 1998-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8052B1 (ko) 분할 고형체
EP0391959B1 (en) Tri-scored drug tablet
US4258027A (en) Multi-fractionable tablet structure
US7802944B2 (en) Tool for chip removing machining as well as a basic body and an indexable cutting insert therefor
BR9809328A (pt) Processo para preparação de formas sólidas de medicamentos empregáveis peroralmente com desprendimento controlado de substância ativa
KR20050008779A (ko) 커팅 인서트 및 밀링 커터
KR100519580B1 (ko) 분할정제
US5061494A (en) Tri-scored drug tablet
CZ20031550A3 (cs) Otáčivý řezný nástroj
US3723614A (en) Maltese-cross scored tablet
MX173567B (es) Procedimiento para preparar una composicion farmaceutica y composicion farmaceutica para mejorar los sintomas de enfermedad inducida por vih o reducir la transcripcion y proliferacion del vih
ES2034035T3 (es) Procedimiento de preparacion de una forma farmaceutica para la administracion y/o dosificacion de medicamentos.
KR890000084A (ko) 엡셀렌 미세결정을 함유하는 고상 약제
KR860000717B1 (ko) 절삭 인써어트(insert)
EP0207888A1 (en) Pharmaceutical tablet
US5756124A (en) Multi-scored pharmaceutical tablets
US6692765B1 (en) Exactly divisible tablet
JP3880093B2 (ja) 錠剤
US20200206140A1 (en) Scored tablet
JPH08277217A (ja) 分割性錠剤
WO2001000176A1 (en) Divisible tablets
EP2747683B1 (en) Rod coupler with variable ankle position
JPH07179333A (ja) 錠 剤
RU2139815C1 (ru) Керамический сосуд
GB2351234A (en) Tablets divisable into multiple sub units of different siz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