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7764B1 - 연료 증기 방출의 처리 - Google Patents

연료 증기 방출의 처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7764B1
KR100207764B1 KR1019920702040A KR920702040A KR100207764B1 KR 100207764 B1 KR100207764 B1 KR 100207764B1 KR 1019920702040 A KR1019920702040 A KR 1019920702040A KR 920702040 A KR920702040 A KR 920702040A KR 100207764 B1 KR100207764 B1 KR 100207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air
separator
compressor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702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703993A (ko
Inventor
제임스 왔슨 스테판
앤드류 스미쓰 다렌
앤드류 긴스 스튜어트
네빌르 프랜시스 세이어 크리스토퍼
Original Assignee
톰 바스코비치
오비탈 엔진 컴퍼니(오스트레일리아) 피티와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 바스코비치, 오비탈 엔진 컴퍼니(오스트레일리아) 피티와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톰 바스코비치
Publication of KR920703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703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7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77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M25/089Layout of the fuel vapour instal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7/00Apparatus in which fuel-injection is effected by means of high-pressure gas, the gas carrying the fuel into working cylinders of the engine, e.g. air-injection type
    • F02M67/02Apparatus in which fuel-injection is effected by means of high-pressure gas, the gas carrying the fuel into working cylinders of the engine, e.g. air-injection type the gas being compressed air, e.g. compressed in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9/00Low-pressure fuel-injection apparatus ; Apparatus with both continuous and intermittent injection; Apparatus injecting different types of fuel
    • F02M69/08Low-pressure fuel-injection apparatus ; Apparatus with both continuous and intermittent injection; Apparatus injecting different types of fuel characterised by the fuel being carried by compressed air into main stream of combustion-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5/00Other engines
    • F02B75/02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cycles, e.g. six-stroke
    • F02B2075/022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cycles, e.g. six-stroke having less than six strokes per cycle
    • F02B2075/025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cycles, e.g. six-stroke having less than six strokes per cycle tw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pplying Secondary Fuel Or The Like To Fuel, Air Or Fuel-Air Mixture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atalysts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의 복식 실린더 내연기관 장치는 엔진에 연소하기 위하여 연료의 분사를 수행하도록 공기를 분사기에 공급하는 콤프레서(20), 엔진에 의해 사용되도록 연료가 저장되는 연료 탱크(12), 그리고 상기 연료 탱크에서 발생된 증기를 수용하고 공기로부터 연료를 분리하는 공기/연료 분리기(10)를 포함하며, 상기 콤프레서(20)가 작동할 때, 콤프레서에 의하여 흡입된 공기가 연료를 보유하는 분리기(10)를 통하여 압축 공기와 함께 분사기로 전달되는 연료를 취출하도록, 분리기 통로(25)가 콤프레서의 흡입구에 의해 연료가 보유된 분리기(10)와 연통한다.

Description

연료 증기 방출의 처리
제1도는 증기 제어 및 압축 공기 시스템의 개략적인 배치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증기 제어 및 압축 공기 시스템의 개략적인 배치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기 제어 및 압축 공기 시스템의 개략적인 배치도이다.
제1도를 참조하면, 분리기(10)는 활성 탄소인 필터 매체를 갖는 종래의 구성이며 자동차 업계에서 일반적으로 탄소 캐니스터로 언급된다. 연료 탱크(12)내의 증기 공간(11)은 도관(13)을 통해 분리기(10)의 입력측과 연통한다. 도관(13)내에 위치하는 역지 밸브(14)는 개방되도록 설정되어 연료 탱크(12)내의 증기 압력이 분리기(10)내의 압력보다 큰 10kPa이상일 때 연료 탱크(12)로부터 분리기(10)로의 증기 유동을 허용한다. 역지 밸브(17)는 도관(13)을 통해 연료 탱크내의 증기 공간 (11)과 연통하며 연료 탱크(12)내의 압력이 대기압 이하로 떨어지면 개방하도록 설정된다.
분리기(10)의 배출측은 도관(9)을 통해 종래의 에어박스(16)의 하류부에서 엔진의 공기 흡입 통로(15)와 연통하며 그리고 엔진이 작동할 때 엔진의 공기 흡입 시스템으로 공기가 들어오는 드로틀 밸브(8)와 연통한다. 그래서 엔진이 작동중에 있고 연료 탱크(12)내의 증기 공간(11)에서의 압력이 충분히 높으면, 증기는 연료 탱크로부터 분리기(10)를 지나서 통과할 수 있으며 상기 분리기에서 증기상태의 연료는 활성 탄소에 의하여 흡수되고 처리된 공기는 공기 흡입 통로(15)를 통과한다. 엔진이 작동하는 동안, 분리기(10)로부터 공기 흡입 통로(15)로 들어가는 공기는 공기 흡입 시스템을 지나서 엔진까지 이동된 공기를 형성하며, 엔진이 작동하지 않으면, 분리기(10)로부터 공기 통로(15)를 통과하는 공기는 대기중으로 방출될 수 있다.
콤프레서(20)는 에어박스(16)으로부터 도관(19)을 경유해 공기를 취출하여 압축 공기를 에어 레일(21)까지 전달하며, 상기에어 레일로부터 공기는 일련의 연료 분사기(22)에 공급되어 엔진 연소실까지 연료 공급을 수행한다. 조절기(23)는 에어 레일(21)내의 공기 압력을 조절하며 조절기(23)에 의하여 방출된 공기는 콤프레서(20)의 흡입 측상의 도관(19)으로 복귀하게 된다.
콤프레서가 분리기로부터 청정 공기가 전달되는 에어박스(16)로부터 공기 공급을 취출하지만, 에어 박스를 지나서 콤프레서(20)로 통과하는 공기의 비율은 에어 박스(16)와 통로(15)를 지나서 엔진의 공기 흡입 시스템으로 통과하는 공기의 양보다 적어 엔진의 정지에 따라 분리기(10)에서 연료의 축적이 이루어지는 곳에서, 엔진의 다음 시동시에 공기는 분리기를 지나서 공기 흡입 통로까지 유입될 수 있다. 분리기(10)로부터 공기와 함께 공기 흡입 통로(15)로 유입되는 모든 연료는 공기 흡입 시스템으로 즉시 들어가며 엔진의 연소실까지 전달되고 도관(19)을 지나서 콤프레서(20)까지 연료가 없이 통과한다. 공기 흡입 시스템으로 연료의 대다수가 분리기로부터 직접 전달되는 결과로, 과잉 연료/공기 혼합물이 엔진에 전달되어 이미 위에서도 언급된 바와 같이 엔진의 과회전이나 배기가스에서의 과다한 오염 물질의 발생을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도관(19)을 제2도에 도시된 역지 밸브(14)의 하류에 그리고 분리기(10)의 상류에 직접 연결된 도관(25)으로 대체하므로써 상술된 시스템을 변경하였다. 연료 탱크(12)로부터 방출된 연료 증기는 콤프레서(20)의 흡입구로 직접 취출된다. 따라서, 엔진이 작동하면, 콤프레서는 연료 탱크(12)로부터 연료 증기를 취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엔진 에어 박스(16)로부터 도관(28)과 분리기(10)를 통해서 공기를 부가적으로 취출하며, 이러한 공기는 분리기(10)를 통해서 역류 형태로 취출된다. 연료 탱크로부터의 증기 부하가 콤프레서(20)에 의해 취할 수 있는 것보다 큰 상황에서는, 과도한 증기가 종래 방식으로 분리기(10)를 통과할 수 있으며 도관(28)을 지나 엔진의 공기 흡입 시스템으로 전달된다.
제2도에 도시된 증기 처리 시스템의 한 장점은 엔진의 정지기 이후에 상술된 바와 같이 분리기(10)에서 활성탄소에 연료가 축적되어 있지만, 시동하자마자 공기 흡입 통로로부터 분리기(10)를 지나서 콤프레서(20)까지 공기의 역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역류는 분리기(10)에서 활성 탄소로부터 연료를 정화할 수 있으며 상기 연료는 콤프레서(20)에 의하여 에어 레일(21)과 분사기(22)를 경유하여 엔진에 전달될 수 있다. 분리기(10)를 통과하는 공기의 역류는 분리기 내부의 과잉 연료가 엔진의 공기 흡입 시스템까지 직접 취출되는 것을 방지하지만, 엔진의 성능이나 배기 가스에서의 배기 레벨에 중대한 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실질적으로 감소된 비율로 분사기(22)를 지나 엔진의 연소실까지 연료를 전달시킨다.
또 다른 장점은 분리기로 부터 연료기 배기구가 폐쇄될 때의 엔진 사이클에서 연료 분사기(22)에 의하여 항상 연소실에서 직접 공급되는 것이다. 따라서, 불소성 상태에서 연료가 배기구에서 나오는 연료의 단락이 방지되는 반면, 분리기로부터 연료가 흡입 공기와 공급되면 약간의 연료가 개방 배출구를 지나 탈출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2행정 엔진에서 발생한다.
제3도에서 도관(30)이 콤프레서(20)를 갖는 엔진 에어 박스(16)와 직접 연통하는 도관(28)을 갖는 분리기(10)와 연통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어 오리피스 또는 벤츄리(31)가 도관(30)과의 연결부에서 도관(28)에 제공되어, 공기가 에어 박스(16)로부터 콤프레서(20)까지 통과할 때 벤츄리(31)의 중심에 발생된 부대기압 영향하에 있게 된다. 이러한 배치는 엔진 속도에 비례하는 도관(28)을 따라 흐르는 공기의 유량에 실질적으로 비례하는 도관(30)내부에 압력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콤프레서가 작동하면, 분리기(10)로부터 도관(28)까지 연료 증기가 있거나 없는 공기의 유량은 엔진속도와 실질적으로 비례한다. 그래서 벤츄리(31)의 적절한 검정에 의하여 분리기로부터 콤프레서까지의 공기 유량과 엔진 속도간의 관계가 결정될 수 있다.
공기가 분리기(10)로부터 콤프레서(20)까지 유입되는 도관(30)에 대한 에어 박스(16)로 부터의 공기가 없는 연료와, 연료 탱크(11)로 부터의 증기의 분리기(10)로의 주입 위치는 에어 박스와 연료 탱크로부터의 공기가 분리기(10)내의 필터 매체(32)를 통과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는 콤프레서로 통과하는 공기의 연료량을 균일하게 한다. 필터 매체는 방출되는 연료를 콤프레서를 통과하는 공기에 혼합시키기 위하여 축적기와 유사한 기능을 한다.
엔진의 연료 요구량의 결정 기능을 포함하는 엔진 제어 ECU(34)가 프로그램될 수 있으므로, 엔진의 연료 요구량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ECU는 엔진 속도에 비례하여 분사기로 전달되는 측정된 연료량을 조절하여, 측정된 양의 연료를 분사시키는 압축 공기와 공급되는 증기 형태로 연료량을 보상할 수 있다.
예를들면, 높은 부하와 속도와 같은 높은 연료 급유비에서, 분리기로부터 콤프레서에 공급되는 연료량은 엔진연료 요구량에 비하여 작다. 따라서 이러한 엔진 작동 조건하에서 압축 공기로 이송되는 연료를 위한 연료 급유비 보정은 무시할 수 있다. 그러나, 공전, 또는 다른 저속, 저부하 상태에서 이러한 보정은 적절한 방출 레벨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ECU는 실제 보정의 편차처럼 엔진 속도의 범위를 위한 연료 급유비에 대한 단독 보정을 제공하기 위하여 프로그램될 수 있으며, 그 범위는 작고 엔진 성능이나 방출레벨에 관해 중요하지 않는 영향을 갖는다.
엔진 제어 시스템의 일부로써 분리기 도관(30)내에 솔레노이드 작동식 밸브 형태의 분리 장치(29)가 제공된다. 솔레노이드 밸브는 분리기 도관(30)을 개폐하도록 작동된다. 솔레노이드 밸브의 기능은 엔진의 정상 작동 상태하에서 분리기(10)로부터 콤프레서(20)로 이어지는 도관(28)까지 취출되는 공기에서 일정한 증기 함량을 얻도록 작용하는 것이다. 분리기(10)로부터 콤프레서 까지의 공기 유동은 솔레노이드가 개방될 정화될 수 있는 분리기내의 공기 축적을 허용하도록 주기적으로 정지된다.
솔레노이드 밸브를 5초 개방, 10초 폐쇄를 기본으로 반복시키는 것이 편리하다는 것을 알았다.
엔진 제어 ECU(34)는, 솔레노이드가 개방하고 공기 이동 연료 증기가 캐니스터로부터 콤프레서까지 통과할 때, 상기 ECU가 상술된 바와 같이 분사기에 의해 엔진에 전달되는 측정된 연료의 양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이 된다.
그러나, 솔레노이드 밸브가 폐쇄되면, 엔진 제어 ECU는 측정된 연료의 양에 어떠한 보정을 실시하지 않아 콤프레서로 부터의 공기에 연료가 제공되지 않는다. 솔레노이드 밸브가 고정된 개폐 주기가 없는 형태로 작동될 수 있지만, 그 주기는 엔진 작동 상태에 따라 엔진 제어 ECU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내연기관용 연료를 제공하는 연료 탱크에 발생된 연료 증기의 처리에 관한 것이다.
다수국의 차량의 배기에 관한 규정에 따르면,연료 탱크에 발생된 증기를 처리하여 이러한 증기에 의해 대기로 방출되는 연료가 없도록 하거나 그 양을 실질적으로 감소시켜야 한다. 차량의 운전시, 연료 탱크는 30。C내지 55。C정도의 온도로 다다를 수 있으며, 따라서 연료 탱크내에 상당량의 연료 증기가 발생될 수 있으며, 그러한 증기는 미처리 상태로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경우 유해하다.
따라서, 차량 배기를 규제하는 대다수의 법적 규정에 따르면, 적절한 형태의 분리기를 설치하여 연료 탱크로부터 나오는 증기들이 분리기를 통과함으로써 그 기체가 대기로 방출되기전에 그 기체중의 연료를 제거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분리기는 이른바 탄소 캐니스터(carbon canister)라고 하는 활성 탄소 형태이다. 이러한 분리기는 활성 탄소상에서 연료 증기를 물리적으로 흡착하는 원리로 작동한다.
엔진이 작동하는 동안, 분리기로부터 방출된 공기는 엔진 공기 흡입 시스템으로 보내지므로, 분리기에서 제거될 수 없었던 어떠한 연료도 엔진으로 보내지므로 대기중으로 방출되지 못하다. 그러나, 엔진이 비작동 상태에 있을 때, 특히 엔진이 정지한 직후 연료 탱크 온도가 매우 높을 때, 계속해서 연료증기가 발생하며, 압력은 증기를 분리기로 방출하기에 충분하다. 그래서 엔진이 정지된 충분한 주기의 시간에 걸쳐서 연료가 분리기에 축적된다.
일반적으로, 분리기는 엔진이 정지한 후 연료탱크로부터 분리기로 통과하는 모든 연료를 저장하기에 충분한 용량을 갖도록 설계되지만, 이는 엔진의 다음 시동시 필터 매체가 연료 부하를 받을 수 있다. 필터 매체 내부의 연료는 엔진 공기 흡입 시스템내로 흡입되어 시동 상태에 있는 엔진에 연료의 과잉 공급을 유발하므로 배기 가스중에 높은 레벨의 탄화수소 방출을 발생시킨다. 또한, 이렇게 과도한 연료를 공급하면, 엔진이 드로틀 위치와 연료 미터링 시스템에 의해 결정된 것보다 훨씬 더 빨리 가동하게 된다. 시동후 엔진이 이러한 형태로 작동하는 것은 상업적으로나 환경적으로나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러한 문제를 처리하기 위한 제안된 한가지는 시동중에 작동되는 솔레노이드식 작동 밸브를 증기 제어 시스템에 설치하여 그 분리기를 공기 유입 시스템과 격리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연 기관과 함께, 엔진이 정지하는 동안 분리기에 축적된 연료를 엔진의 작동에 역효과를 끼치지 않고 처리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의 관점에서, 본 발명에 따른 내연 기관장치에, 공기를 공급해서 엔진중에 연소용 연료를 분사시키는 에어 콤프레서, 엔지용 연료 저장 탱크, 상기 연료 저장 탱크에서 발생된 증기를 수용하고 공기로부터 증기 상태의 연료를 분리하는 공기/연료 분리기 및, 연료를 보유하는 분리기의 부분을 콤프레서의 흡입구와 연통시켜, 콤프레서가 작동중인 경우, 콤프레서가 수용한 공기의 최소한 일부라도 연료를 보유한 분리기 부분을 통해서 흡출하여 그로부터 연료가 흡출되게 하는 연통 통로를 설치한다.
연료 저장 탱크와 분리기 사이에 역지 밸브가 제공되어, 연료 저장 탱크 내부의 압력이 매우 낮은 경우 과도한 연료 기화가 발생하여 시스템상에 연료 증기 부하가 증가하기 때문에 연료 저장 탱크 내부의 압력이 설정치, 예를들면 7kPa이하일 경우 밸브가 폐쇄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편리하다. 또한 역지 밸브와 연료 저장 탱크 사이에, 또는 연료 저장 탱크 자체 내부에 연료 저장 탱크 내부 압력이 대기압 이하일 경우 개방될 수 있는 또다른 밸브를 설치하여, 연료 저장 탱크 내부의 부대기압으로 인한 연료 저장 탱크의 손상 위험과 파손 가능성을 방지한다.
공기를 이용하여 연료를 엔진에 전달하는 연료 분사 시스템에 있어서, 압력 조절기를 콤프레서의 상류부분에 제공하여 연료 급송을 수행하는 공기의 압력이 예정된 값 즉, 콤프레서의 정상 급송압 이하의 값으로 유지될 수 있다.
조절기에 의하여 방출된 공기는 콤프레서의 흡입구로 다시 보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리기를 지나서 콤프레서로 흐르는 역류에서 공기를 취출하므로써, 엔진의 정지동안 분리기에 축적된 연료는 콤프레서로 전달되며 연료 분사기를 지나 연소실로 전달된다. 분리기는 연소실내부의 실제 연료/공기 혼합비를 변화시키지 않고 축적된 연료를 정화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여 제안된 바와 같이 연료가 엔진 사이클 마다 콤프레서에 의해 분리기로부터 정화되어 엔진에 전달되지만, 정화된 연료량은 기본 엔진 사이클당 연료량에 관해 계산하면 일반적인 방식으로 분리기로부터 정화될 수 있는 연료량보다 상당히 적다. 따라서 본 발명에 다른 분리기로부터 연료 정화는 종래에 사용된 시스템과 비교할 때 배기 가스에서의 방출 레벨에 대해 실질적으로 감소된 영향을 가지며, 종래의 시스템과 비교할 때 엔진 작동 속도에 대해 상당한 영향을 기치지 않는다. 이러한 장점은 분리기로부터 콤프레서로 지나는 연료의 비율을 조절하므로서 향상될 수 있다. 이것은 분리기를 통과하여 콤프레서로 흐르는 공기의 유량을 제어하므로써, 콤프레서로 흐르는 연료의 비율을 직접 제어하여 수행된다. 제어 수단은 콤프레서로의 공기 유량이 특정 속도에서 어떤 특정 또는 협소한 범위의 엔진 부하에 대해 일정하도록 설치된다.
최근의 엔진 장소는 엔진 작동 상태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엔진 연료 요구량을 결정하도로 설치된 프로그램식 연료 미터링 수단을 구비한다. 이러한 입력 신호는 엔진 속도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수단은 분리기로부터 압축기로 흐르는 연료 유량의 보상으로 엔진 속도에 대한 엔진 연료 요구량에 대하여 예정된 수정을 행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합중국 특허 제 4,934,329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연료 및 압축 공기가 다수의 연료 분사기 유닛에 개별적으로 분배되는 연료 레일이 제공된 엔진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에 있어서, 연료는 상기 레일을 통해 순환되며 레일 내부에서 연료 증기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료 탱크로 역순환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레일에 공급된 압축 공기로부터 연료에 열이 전달되어 종래의 엔진 장치에 관한 연료 탱크상에 상승될 열 인풋이 부과된다. 이러한 장치에서 취급되는 증기 부하가 높으면 분리기는 엔진 작동중에 규칙적인 정화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구체화 하는 내연 기관에 대한 연료 증기 처리의 실제적인 장치의 후술로부터 더욱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다.

Claims (15)

  1. 공기를 분사기에 공급하여 연소용 연료를 엔진에 분사시키는 콤프레서(20), 엔진용 연료 저장용 연료 저장 탱크(12), 그리고 상기 연료 탱크에서 발생된 증기를 수용하여 공기로부터 연료를 분리하는 공기/연료 분리기(10)를 구비하는 다기통 내연기관 장치에 있어서, 연료를 보유하는 분리기(10) 분리기 통로(25)를 통해 콤프레서의 흡입구와 연통시켜, 콤프레서(20)가 작동중에 있는 경우, 콤프레서에 의하여 취출된 공기의 최소한 일부를 연료를 보유한 분리기(10)부분을 통해서 흡출하여 그로부터 연료를 취출해서 압축 공기와 함께 분사기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통 내연기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연료가 연료 도관으로부터 각각의 연료 분사기에 공급되도록 연료 탱크로부터 연료를 연속적으로 순환시키는 연료 도관을 가진 연료 레일을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통 내연기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레일은 각각의 연료 분사기에 공급하기 위하여 콤프레서로부터 공기를 수용하는 공기 도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통 내연기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연료 분리기로부터 분리기 통로를 지나서 콤프레서까지 유동하는 공기 유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통 내연기관 장치.
  5.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콤프레서로 유동하는 전체 공기 유량과 상기 공기/연료 분리기로부터 콤프레서로 유동하는 공기 유량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고정된 비율로 유지하도록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통 내연기관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공기/연료 분리기로부터 압축기까지 공기 유량을 선정된 엔지 속도에서 미리 선정된 엔진 부하의 범위를 초과한 안정값으로 제공하도록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통 내연기관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분리기 통로를 지나서 콤프레서의 흡입구로의 유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통 내연기관 장치.
  8.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콤프레서가 흡입 시스템과 분리기로부터 공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공기가 엔진 연소실에 공급되는 엔진 공기 흡입 시스템에 콤프레서의 흡입구를 연결시키는 연결 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통 내연기관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공기 흡입 시스템으로부터 콤프레서 흡입구까지 공기를 전달하는 추가의 통로를 구비하며, 상기 분리기 통로는 그 길이의 중간에서 상기 추가의 통로에 연결되며, 벤츄리가 또다른 라인에서 분리기로부터 상기 추가의 통로까지 유동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벤츄리의 목부의 연결된 분리기 통로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기로부터 콤프레서 흡입구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량이 선정된 엔진 속도에서 미리 선정된 엔진 부하의 범위를 초과한 안정값이 되도록 오리피스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통 내연기관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상기 분리기로부터 분리기 통로를 지나서 콤프레서의 흡입구까지 유동하는 공기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통 내연기관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분리 수단은 상기 추가의 통로에 분리기 통로의 연결을 온-오프시키는 사이클을 제공하도록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통 내연기관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수단은 선정된 엔진 작동 상태에 응답하여 온 사이클 주기를 변화시키도록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통 내연기관 장치.
  14. 제7항에 있어서, 프로그램식의 연료 미터링 수단이 엔진 작동 조건 입력 신호에 응답하여 엔진 연료 요구량을 결정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입력 신호는 엔진 속도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식 연료 미터링 수단은 콤프레서 흡입구로 유동하는 연료의 유량을 보상하여 엔진 속도에 비례한 엔진 연료 요구량에 대해 미리 결정된 보정을 수행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통 내연기관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는 분리 수단의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식 연료 미터링 수단은 분리 수단의 온 사이클 동안 엔진 요구량에 대한 예정된 보정만을 수행하도록 설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통 내연기관 장치.
KR1019920702040A 1990-02-27 1991-02-27 연료 증기 방출의 처리 KR1002077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PJ882990 1990-02-27
AUPJ8829 1990-02-27
ATPJ8829 1990-02-27
PCT/AU1991/000065 WO1991013251A1 (en) 1990-02-27 1991-02-27 Treatment of fuel vapour emiss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703993A KR920703993A (ko) 1992-12-18
KR100207764B1 true KR100207764B1 (ko) 1999-07-15

Family

ID=3774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702040A KR100207764B1 (ko) 1990-02-27 1991-02-27 연료 증기 방출의 처리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5245974A (ko)
EP (1) EP0516684B1 (ko)
KR (1) KR100207764B1 (ko)
AT (1) ATE147835T1 (ko)
AU (1) AU641223B2 (ko)
BR (1) BR9106097A (ko)
CA (1) CA2076015C (ko)
DE (1) DE69124226T2 (ko)
HU (1) HU217041B (ko)
PL (1) PL167652B1 (ko)
RU (1) RU2065528C1 (ko)
WO (1) WO19910132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5578A (en) * 1992-03-05 1994-12-27 Sanshin Kogyo Kabushiki Kaisha High pressure fuel feeding device for fuel injection engine
FR2704601B1 (fr) * 1993-04-26 1995-07-13 Renault Système d'alimentation d'air pour injecteurs de carburant du type à manteau d'air équipant un moteur à combustion interne.
DE4497012T1 (de) * 1993-09-21 1996-10-31 Orbital Eng Australia Verbesserungen bezüglich der katalytischen Behandlung von Maschinenabgas
US5666927A (en) * 1996-07-26 1997-09-16 Siemens Automotive Corporation Fuel/air supply system for a fuel injector and methods of operation
FR2759420A1 (fr) * 1997-02-07 1998-08-14 Siemens Automotive Sa Procede et dispositif de regeneration d'un filtre a vapeurs de carburant pour un moteur a injection directe
US5970957A (en) * 1998-03-05 1999-10-26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Vapor recovery system
AUPP627098A0 (en) 1998-09-30 1998-10-22 Orbital Engine Company (Australia) Proprietary Limited Purge fuel flow rate determination method
AUPQ275299A0 (en) * 1999-09-10 1999-10-07 Orbital Engine Company (Australia) Proprietary Limited Compressor inlet system
US6273072B1 (en) 2000-02-09 2001-08-14 Paul E. Knapstein Fuel system apparatus and method
DE10007522B4 (de) * 2000-02-18 2006-10-26 Siemens Ag Verfahren zur Trennung von Kraftstoffdampf-Luft-Gemischen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ieses Verfahrens
US6402057B1 (en) 2000-08-24 2002-06-11 Synerject, Llc Air assist fuel injectors and method of assembling air assist fuel injectors
US6484700B1 (en) 2000-08-24 2002-11-26 Synerject, Llc Air assist fuel injectors
US6302337B1 (en) 2000-08-24 2001-10-16 Synerject, Llc Sealing arrangement for air assist fuel injectors
CA2324533A1 (en) 2000-10-27 2002-04-27 Carl Hunter Oxygen enrichment in diesel engines
US6776144B1 (en) * 2003-05-28 2004-08-17 Lennox G. Newman Five stroke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880534B2 (en) * 2003-07-08 2005-04-19 Honda Motor Co., Ltd. Evaporative fuel processing system
KR100579235B1 (ko) * 2003-10-01 2006-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솔린 직접 분사 엔진 시스템
EP1653077B1 (en) * 2004-10-26 2007-07-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jector leakage limitation
JP2007056840A (ja) * 2005-08-26 2007-03-08 Yamaha Motor Co Ltd エンジン装置における燃料タンクの燃料蒸気排出構造
US7373930B1 (en) * 2007-08-23 2008-05-20 Chrysler Llc Multi-port check-valve for an evaporative fuel emissions system in a turbocharged vehicle
US20100024781A1 (en) * 2008-07-30 2010-02-04 Jerry Wegendt Compressed Fuel Supply System
US8483934B2 (en) * 2010-07-19 2013-07-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for purging fuel vapors
DE102011054851A1 (de) 2011-10-27 2013-05-02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Tankentlüftung mit Venturi-Düse
US9243580B2 (en) * 2011-12-07 2016-01-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soot formed by an engine
US9222443B2 (en) * 2012-04-11 2015-12-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for purging fuel vapors to an engine
CA2868338C (en) * 2014-10-23 2016-01-12 Westport Power Inc. Gaseous fuel vent handling apparatus and method
US9964080B2 (en) * 2016-08-25 2018-05-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system for vacuum generation using a throttl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76423A (en) * 1981-06-08 1983-03-15 William C. Knapstein Method and apparatus for saturating a liquid fuel with a gas and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S58110852A (ja) * 1981-12-25 1983-07-01 Honda Motor Co Ltd 過給機付内燃機関における蒸発燃料制御装置
JPS58110853A (ja) * 1981-12-25 1983-07-01 Honda Motor Co Ltd 過給機付内燃機関における蒸発燃料制御装置
JPS58155269A (ja) * 1981-12-31 1983-09-14 オ−ビタル・エンジン・カンパニイ・プロプライエタリ・リミテイツド エンジンにガス圧により液体燃料を供給する方法及びその装置
CA1279797C (en) * 1984-08-01 1991-02-05 Michael Leonard Mckay Metering of fuel
US4794902A (en) * 1985-10-11 1989-01-03 Orbital Engine Company Proprietary Limited Metering of fuel
US4962745A (en) * 1988-10-04 1990-10-1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Fuel supply device of an engine
US5054454A (en) * 1989-11-09 1991-10-08 Ford Motor Company Fuel vapor recovery control system
US5005550A (en) * 1989-12-19 1991-04-09 Chrysler Corporation Canister purge for turbo engine
US5190015A (en) * 1991-02-05 1993-03-02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Evaporated fuel discharge suppressing apparatus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5138023A (en) * 1991-10-11 1992-08-11 Exxon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Unsaturated polyesters and crosslinked membranes therefrom for aromatics/saturates sepa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167652B1 (pl) 1995-10-31
US5245974A (en) 1993-09-21
HU9202759D0 (en) 1992-12-28
KR920703993A (ko) 1992-12-18
AU641223B2 (en) 1993-09-16
HU217041B (hu) 1999-11-29
RU2065528C1 (ru) 1996-08-20
CA2076015C (en) 2000-10-24
ATE147835T1 (de) 1997-02-15
CA2076015A1 (en) 1991-08-28
EP0516684B1 (en) 1997-01-15
AU7304991A (en) 1991-09-18
EP0516684A1 (en) 1992-12-09
EP0516684A4 (en) 1994-10-19
DE69124226T2 (de) 1997-06-05
WO1991013251A1 (en) 1991-09-05
BR9106097A (pt) 1993-02-24
DE69124226D1 (de) 1997-02-27
HUT66810A (en) 1995-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7764B1 (ko) 연료 증기 방출의 처리
US7784449B2 (en) Vehicle, in particular a motor vehicle with a tank ventilation system
CN101389835B (zh) 具有用于将燃料定量供给至内燃机的排气系统的装置的喷射系统及用于此目的的方法
US3575152A (en) Vapor recovery using a plurality of progressively absorbent beds connected in series
JP3657265B2 (ja) エンジンの排気ガスの触媒処理に関する改善
US4955351A (en) Vapor-accelerated combustion fuel system
US5544483A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a secondary air-fuel supply
US7543573B2 (en) Fuel recovery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SE522391C2 (sv) Vevhus- och emissionsventilation i en överladdad förbränningsmotor
US5592922A (en) Venting apparatus for a fuel system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3610221A (en) Fuel tank purge system and method
CN1320191A (zh) 清洗燃料的流速确定方法
CN108397299B (zh) 运行内燃机的方法和内燃机
KR970001930A (ko) 연료와 공기 혼합물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 및 내연 기관에 이용되는 연료 공급 장치
US6155239A (en) Fuel vapor system
RU2002113762A (ru) Способ и электронный блок управления для диагностики смесеобразования
US5019120A (en) Vapor-accelerated combustion fuel system
CN1489670A (zh) 内燃机的气体燃料供给装置
JPH05180095A (ja) 車両の蒸発燃料制御装置
JP3014447B2 (ja) 燃料蒸気エミッションの処理
US10012119B1 (en) Positive crankcase ventilation gas diversion and reclamation system
KR0113601Y1 (ko) 자동차의 증발가스 제어 장치
US20200173398A1 (en) Method and device for tank ventilation of a fuel tank of a vehicle
KR20230151213A (ko) 탄화수소 배출물의 저감 또는 방지 방법 및 장치
EP0420647A1 (en) Improvements in combustion eng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1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