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7222B1 - 오디오에 접속된 송,수신 분리겸용 카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오디오에 접속된 송,수신 분리겸용 카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7222B1
KR100207222B1 KR1019940020058A KR19940020058A KR100207222B1 KR 100207222 B1 KR100207222 B1 KR 100207222B1 KR 1019940020058 A KR1019940020058 A KR 1019940020058A KR 19940020058 A KR19940020058 A KR 19940020058A KR 100207222 B1 KR100207222 B1 KR 100207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state
turned
call
au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0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9511A (ko
Inventor
이종용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40020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7222B1/ko
Priority to US08/515,943 priority patent/US5724663A/en
Publication of KR960009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7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72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7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 H04M1/6083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by interfacing with the vehicle audio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카폰(carphone)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오디오(caraudio)내에 카폰기능을 첨가하여 카오디오와 카폰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카오디오에 장착된 카폰(carphone)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오디오(audio)에 접속된 송 수신 분리겸용 카폰(carphone)의 제어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회로도.
제2도 (a)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배치 사시도.
(b)는 (a)의 부분확대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흐름도.
제4도는 제3도의 수신단계 실시 흐름도.
제5도는 제3도의 송신단계 실시 흐름도.
제6도는 제3도의 멀티서비스단계 실시 흐름도.
제7도는 제4도 및 제5도의 통화단계 실시 흐름도.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완료단계 실시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카오디오단자 20 : 카폰단자
30 : 카폰콘트롤러 60 : 차내스피커
본 발명은 자동차의 카폰(carphone)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오디오(caraudio)내에 카폰기능을 첨가하여 카오디오와 카폰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오디오에 접속된 송수신 분리겸용 카폰(carphone)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카폰으로는 유선 또는 무선전화기를 이용하여 차량실내의 크래쉬 패드(crash pad)또는 콘솔박스(console box)등에 장착하여 사용하였는데, 운전자가 운전을 할 때에는 한손으로 핸들을 잡고 운전을 해야하므로 사고발생의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수신 및 송신기능이 약하여 통화가 매우 불편하고, 또한 별도로 성능이 좋은 수신 및 송신장치를 추가로 설치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들어 소비자에게 많은 부담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카오디오에 카폰기능을 첨가하여 오디오 기능과 카폰기능을 유기적으로 제어하여 송.수신을 겸용할 수 있는 카폰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카오디오(도시안됨)와 카폰(도시완됨)을 상호 접속시켜 상호 유기적으로 동작하도록 하기 위하여 카오디오와 카폰을 일체로 형성시키고, 카폰콘트롤러(carphone controller)(30)를 카폰단자(20)와 오디오단자(10)에 상호 접속시켜 제어하도록 하며, 상기 카폰콘트롤러(30)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를 주파수변조기(40)를 통해 변조시킨 후 증폭기(50)를 통해 증폭시켜 헤드폰 또는 스피커(60)를 통해 출력시키고, 또한 마이클로폰(microphone)(65)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는 증폭기(50) 및 주파수변조기(40)를 거쳐 카폰콘트롤러(30)로 입력된 후 카폰단자(20)에 인가되어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제2도에서, 카오디오 및 카폰의 일체형박스(이하 카폰박스라함)(2)는 크래쉬패드(3) 중심전면부에 장착하였으며, 프런트(front) 스피커(4) 및 리어(rear) 스피커(5)를 상기 카폰박스(2)에 접속시키고, 또한 마이크로폰(이하 마이크라함)(6)을 선바이져(sun visor) 및 리어 필러(pollar) 상단에 각각 설치하여 차량 실내 어디에서나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제3도에서, 오디오와 카폰을 상호 유기적인 결합 관계가 되도록 형성시키는 단계(80)와 현 상태를 오프(off)시키며, 송신반복 횟수를 N 회 및 수신대기 시간을 30초 간격으로 메모리시키는 모드선택단계(90)와, 오디오가 온(ON) 상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100)와, 오디오가 온(ON) 상태이면 현 상태를 온(ON)상태로 유지시키는 단계(200)와, 오디오가 오프(off) 상태이면 현 상태를 오프(off)상태로 유지시키는 단계(300)와, 상기 단계(200)(300) 이후 전화가 왔는가를 판단하는 단계(400)와, 상기 단계(400)애서 전화가 왔으면 수신하는 수신단계(500)와, 전화가 오지 않았으면 송신스위치가 온(ON) 상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600)와, 상기 단계(600)에서 송신스위치가 온(ON) 절환되어 있으면 송신을 하는 송신단계(700)와, 상기 단계(600)에서 송신스위치가 오프(off) 상태이면 멀티서비스(multi service) 스위치가 온(ON)상태인가을 판단하는 단계(800)와, 상기 단계(800)에서 멀티서비스 스위치가 온(ON) 상태이면 즉, 설정된 송신반복 횟수 이상 송신음이 울리게 되거나 설정된 수신대기 시간 이상 수신음이 울리게 되면 자동으로 카폰이 오프되고 오디오가 카폰 사용전의 상태(온 또는 오프)로 절환되도록 멀티서비스를 이행하는 멀티서비스(900)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계(800)에서 멀티서비스 스위치가 오프(off)상태이면 단계(100)를 반복 수행하게 된다.
제4도는 제3도의 수신단계(500)를 수행하는 실시 흐름도로서, 상기 단계(400)에서 전화가 수신되면, 오디오가 자동으로 오프(off)되고, 동시에 수신표시등이 온(ON) 절환되면서 수신대기시간을 카운트(count)하는 수신모드변환단계(510)와, 상기단계(510) 이후 전화를 받는가를 판단하는 단계(520)와, 전화를 받으면 수신표시등을 오프(off)시키는 모드변환단계(530)와, 상기 단계(530)이후 통화를 하는 통화단계(540)와, 상기 단계(520)에서 전화를 받지 않으면 수신대기 카운트(count)가 진행되고 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550)와, 상기 단계(550)에서 수신카운트가 진행되면 1씩증가키시는 단계(560)와, 상기 단계(560)에서 카운트된 값이 설정된 수신대기 카운트 값보다 초과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570)와, 상기 단계(570)에서 카운트값이 설정된 값을 초과하였으면 수신표시등을 오프(off)시키는 단계(580)와, 상기 단계(580)이후 동작을 마무리시키는 완료단계(585)를 수행 한다.
제5도는 제3도의 송신단계(700)를 수행하는 실시 흐름도로서, 상기 단계(600)에서 송신스위치가 온(ON) 절환되면, 오디오가 자동으로 오프(off)되고 송신반복카운트가 제로(0)로 세팅되면서 동시에 송신표시등을 온(ON) 절환시키는 송신모드변환단계(710)와, 상기 단계(710) 이후 전화번호를 입력시키는 단계(720)와, 상기 단계(720) 다음에 송신신호가 전송되면서 상대방이 전화를 받는가를 판단하는 단계(730)와, 상기 단계(730)에서 상대방이 전화를 받으면 송신표시등을 오프(off) 시키는 단계(740)와, 상기 단계(740)이후 통화를 하는 통화단계(750)와, 상기 단계에서(730)에서 상대방이 전화를 받지 않으면 송신카운트가 진행되고 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760)와, 상기 단계(760)에서 송신카운트가 진행되면 1씩 카운트하는 단계(770)와, 상기 단계(770)이후 송신카운트값과 설정된 송신반복 횟수값을 상호비교하는 단계(780)와, 상기 단계(780)이후 송신카운트값이 설정된 송신반복 횟수값 보다 크게 되면 송신완료하는 완료단계(790)와, 상기 단계(760)에서 송신 카운트가 진행되지 않거나 또는 단계(780)에서 송신카운트값이 설정된 송신반복 횟수값 보다 작게되면 단계(730)를 반복 수행하게 된다.
제6도는 제3도의 단계(900)를 수행하는 실시흐름도로서, 상기 단계(800)에서 멀티서비스 스위치를 온(ON) 절환하면 멀티서비스 표시등이 자동으로 온(ON) 절환되는 단계(910)와, 상기 단계(910)이후 송신반복 횟수를 세팅(setting)시킬 것인가를 판단하는 단계(920)와, 상기 단계(920)에서 송신반복 횟수를 세팅시키게 되면 멀티서비스 표시등이 오프(off)되고 동시에 송신반복횟수 표시등이 온(ON)절환되는 멀티서비스 모드변환단계(930)와, 상기 단계(930) 이후 송신반복 횟수가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가를 판단하는단계(945)와, 상기 단계(940)에서 송신반복횟수가 설정된 값을 초과하게 되면 송신반복 횟수표시등을 오프시키는 단계(940)와, 상기 단계(920)에서 송신반복횟수를 세팅시키지 않았을 경우 수신대기 시간을 세팅(setting)시킬 것인가를 판단하는 단계(950)와, 상기 단계(950)에서 수신대기 시간을 세팅하게 되면 멀티서비스 표시등이 오프되고 수신대기시간 표시등을 온(ON) 절환시키는 단계(960)와, 상기 단계(970)에서 수신대기시간이 설정된 값을 초과하면 수신대기시간 표시등이 자동으로 오프(off) 되는 단계(975)와, 상기 단계(950)에서 수신대기시간을 세팅시키지 않을 경우 멀티서비스표시등을 오프시키는 단계(980)를 수행한다.
제7도는 제4도 및 제5도의 통화단계(540)(750)를 나타내는 실시 흐름도로서, 상기 단계(540)(750)에서 통화를 하게되면 통화중 표시등이 온(ON) 상태로 절환되는 단계(752)와, 상기 단계(752) 이후 상대방 전화가 오프상태로 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754)와, 상기 단계(754)에서 상대방 전화가 오프상태로 되면 통화중표시등이 오프되는 단계(756)와, 상기 단계(754)에서 상대방 전화가 오프상태가 아니면 내전화가 오프상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758)와, 상기 단계(758)에서 내전화가 오프상태이면 단계(756)를 수행하고 내전화가 오프상태가 아니면 단계(754)를 수행한다.
제8도는 제4도내지 제7도에서의 수행 완료단계(70)를 나타내는 흐름도로서,완료단계(70)에서는 오디오가 온 상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72)와, 상기 단계(72)에서 오디오가 온 상태이면 오디오를 온상태로 하는 단계(74)와, 상기 단계(74)에서 오디오가 온 상태가 아니면 오디오를 오프상태로 하는 단계(76)를 수행하게 된다.
이상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오디오에 카폰기능을 장착시켜 수신 및 송신능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비용도 저렴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오디오와 카폰을 상호 유기적인 결합 관계과 되도록 형성시키는 단계(80)와, 현상태를 오프(off)시키며 송신반복 횟수를 N 회 및 수신대기 시간을 30초 간격으로 메모리시키는 모드선택단계(90)와, 오디오가 온(ON) 상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100)와, 오디오가 온(ON)상태이면 현 상태를 온(ON) 상태이면 현 상태를 온(ON)상태로 유지시키는 단계(200)와, 오디오가 오프(off) 상태이면 현 상태를 오프(off)상태로 유지시키는 단계(300)와, 상기 단계(200)(300) 이후 전화가 왔는가를 판단하는 단계(400)와, 상기 단계(400)에서 전화가 왔으면 수신하는 수신단계(500)와 전화가 오지 않았으면 송신스위치가 온(ON) 상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600)와, 상기 단계(600)에서 송신스위치가 온(ON) 절환되어 있으면 송신을 하는 송신단계(700)와, 상기 단계(600)에서 송신스위치가 오프(off) 상태이면 멀티서비스(multi service)스위치가 온(ON) 상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800)와, 상기 단계(800)에서 멀티서비스 스위치가 온(ON) 상태이면 설정된 송신반복 횟수 이상 송신음이 울리게 되거나 설정된 수신대기 시간 이상 수신음이 울리게 되면 자동으로 카폰이 오프되고 오디오가 카폰 사용전의 상태(온 또는 오프)로 절환되도록 멀티서비스를 이행하는 멀티서비스단계(900)로 이루어 지며, 상기 단계(800)에서 멀티서비스 스위치가 오프(off)상태이면 단계(100)를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audio)에 접속된 송.수신 분리겸용 카폰(carphone)의 제어방법.
  2. 상기 수신단계는 상기 단계(400)에서 전화가 수신되면 오디오가 자동으로 오프(off)되고, 동시에 수신표시등이 온(ON) 절환되면서 수신대기시간을 카운트(count)하는 수신모드변환단계(510)와, 상기 단계(510)이후 전화를 받는가를 판단하는 단계(520)와 전화를 받으면 수신표시등을 오프(off)시키는 모드변환단계(530)와, 상기 단계(530)이후 통화를 하는 단계(540)와, 상기 단계(520)에서 전화를 받지 않으면 수신대기카운트(count)가 진행되고 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550)와, 상기 단계(550)에서 수신카운트가 진행되면 1씩증가시키는 단계(560)와, 상기 단계(560)에서 카운트된 값이 설정된 수신대기 카운트 값보다 초과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570)와,상기 단계(570)에서 카운트값이 설정된 값을 초과하였으면 수신표시등을 오프(off) 시키는 단계(580)와, 상기 단계(580)이후 동작을 완료시키는 단계(590)와, 상기 단계(550)에서 카운트가 진행되지 않거나 단계(570)에서 카운트값이 설정된 값을 초과하지 않았을 경우 단계(520)를 반복수행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audio)에 접속된 송.수신 분리겸용 카폰(carphone)의 제어방법.
  3. 상기 송신단계는 상기 단계(600)에서 송신스위치가 온(ON) 절환되면 오디오가 자동으로 오프(off)되고 송신반복카운트가 N회로 세팅되면서 동시에 송신표시등을 온(ON) 절환시키는 송신모드변환단계(710)와, 상기 단계(710) 이후 전화번호를 입력시키는 단계(720)와, 상기 단계(720) 다음에 송신신호가 전송되면서 상대방이 전화를 받는가를 판단하는 단계(730)와, 상기 단계(730)에서 상대방이 전화를 받으면 송신표시등을 오프(off)시키는 단계(740)와, 상기 단계(740)이후 통화를 하는 단계(750)와, 상기 단계(730)에서 상대방이 전화를 받지 않으면 송시카운트가 진행되고 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760)와, 상기 단계(760)에서 송신카운트가 진행되면 1씩 카운트하는 단계(770)와, 상기 단계(770)이후 송신카운트값과 설정된 송신반복 횟수값을 상호비교하는 단계(780)와, 상기 단계(780)이후 송신 카운트 값이 설정된 송신반복 횟수값 보다 크게되면 송신완료하는 단계(790)와, 상기 단계(760)에서 송신카운트가 진행되지 않거나 또는 단계(780)에서 송신카운트값이 설정된 송신반복 횟수값 보다 작게되면 단계(730)를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audio)에 접속된 송.수신 분리겸용 카폰(carphone)의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서비스단계는 상기 단계(800)에서 멀티서비스 스위치를 온(ON) 절환하면 멀티서비스 표시등이 자동으로 온(ON)와, 절환되는 단계(910) 상기 단계(910) 이후 송신반복 횟수를 세팅(setting)시킬 것인가를 판단하는 단계(920)와, 상기 단계(920)에서 송신반복 횟수를 세팅시키게 되면 멀티서비스 표시등이 오프(off) 되고 동시에 송신반복횟수 표시등이 온(ON)절환되는 멀티서비스 모드변환단계(940)와, 상기 단계(930) 이후 송신반복 횟수가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940)와, 상기단계(940)에서 송신반복횟수가 설정된 값을 초과하게 되면 송신반복 횟수표시등을 오프시키는 단계(945)와, 상기 단계(920)에서 송신 반복횟수를 세팅시키지 않았을 경우 수신대기 시간을 세팅(setting)시킬 것인가를 판단하는 단계(950)와, 상기 단계(950)에서 수신대기 시간을 세팅하게 되면 멀티서비스 표시등이 오프되고 수신대기시간 표시등을 온(ON) 절환시키는 단계(960)와, 상기 단계(960) 이후 수신대기 시간이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970)와, 상기 단계(970)에서 수신대기시간이 설정된 값을 초과하면 수신대기시간 표시등이 자동으로 오프(off)되는 단계(975)와, 상기 단계(950)에서 수신대기시간을 세팅시키지 않을 경우 멀티서비스표시등을 오프시키는 단계(980)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audio)에 접속된 송.수신 분리겸용 카폰(carphone)의 제어방법.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단계는, 통화중 표시등이 온(ON) 상태로 절환되는 단계(752)와, 상기 단계(752)이후 상대방 전화가 오프상태로 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754)와, 상기 단계(754)에서 상대방 전화가 오프상태로 되면 통화중표시등이 오프되는 단계(756)와, 상기 단계(754)에서 상대방 전화가 오프상태가 아니면 내전화가 오프상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758)와, 상기 단계(758)에서 내전화가 오프상태이면 단계(756)를 수행하고 내전화가 오프상태가 아니면 단계(754)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audio)에 접속된 송.수신 분리겸용 카폰(carphone)의 제어방법.
KR1019940020058A 1994-08-16 1994-08-16 오디오에 접속된 송,수신 분리겸용 카폰의 제어방법 KR100207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0058A KR100207222B1 (ko) 1994-08-16 1994-08-16 오디오에 접속된 송,수신 분리겸용 카폰의 제어방법
US08/515,943 US5724663A (en) 1994-08-16 1995-08-16 Car phone connected to a vehicle audio unit having visual ind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0058A KR100207222B1 (ko) 1994-08-16 1994-08-16 오디오에 접속된 송,수신 분리겸용 카폰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9511A KR960009511A (ko) 1996-03-22
KR100207222B1 true KR100207222B1 (ko) 1999-07-15

Family

ID=19390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0058A KR100207222B1 (ko) 1994-08-16 1994-08-16 오디오에 접속된 송,수신 분리겸용 카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722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9511A (ko) 199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34946B2 (ja) ハンズフリー補助回路
JPH0773387B2 (ja) 携帯電話装置
KR100207222B1 (ko) 오디오에 접속된 송,수신 분리겸용 카폰의 제어방법
US5724663A (en) Car phone connected to a vehicle audio unit having visual indication
EP1150437B1 (en) Communication system, selection means for a communication system and use thereof
KR19990058037A (ko) 핸즈프리 키트의 카오디오 연동 장치 및 그 방법
JPH11146043A (ja) 携帯電話使用中カーオーディオ自動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100197215B1 (ko) 오디오에 접속된 송수신 분리겸용 카폰의 제어방법
JP3081296B2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H05136865A (ja) ハンズフリー電話装置
JP2622867B2 (ja) 自動車電話装置
JPS6226938A (ja) 自動車電話装置
JP2615104B2 (ja) データ伝送装置のインタフェース装置
JP2568030Y2 (ja) 電話システム
JPH04157853A (ja) 自動車用電話装置
JPH03117257A (ja) ハンズフリー回路
JPH0311983Y2 (ko)
KR920007543Y1 (ko) 카스테레오 출력 자동 감소회로
JPH01179527A (ja) 無線式電話装置
JP2845837B2 (ja) 通信端末の回線開放システム
JPH073741Y2 (ja) 自動車電話用電話機
KR100581287B1 (ko) 핸즈프리 자동 모드전환 장치
KR20000043005A (ko) 차량용 단말기의 스위치를 이용한 통화/종료 키 온오프제어 방법
JPH0865195A (ja) 送受信機
KR860001649A (ko) 차량용 확성전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