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7070B1 - 공기조화기의 제상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제상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7070B1
KR100207070B1 KR1019950025710A KR19950025710A KR100207070B1 KR 100207070 B1 KR100207070 B1 KR 100207070B1 KR 1019950025710 A KR1019950025710 A KR 1019950025710A KR 19950025710 A KR19950025710 A KR 19950025710A KR 100207070 B1 KR100207070 B1 KR 100207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outdoor
heat exchanger
input voltage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5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1636A (ko
Inventor
홍영기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50025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7070B1/ko
Publication of KR970011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1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7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70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1Defrosting; Preventing freezing
    • F24F11/42Defrosting; Preventing freezing of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7/00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removing deposits or corrosion,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 F25B47/02Defrosting cy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제상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난방운전시, 실외열교환기의 핀에 성에가 착상됨에 따라 핀사이의 유로면적이 좁아져 유입되는 공기량이 줄어들므로써 송풍시 공기와의 마찰력이 감소하여 팬회전수가 빨라지는 실외송풍팬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팬회전수감지부(70)와, 팬회전수감지부(70)에 의해 팬회전수가 감지될 때의 상기 실외송풍팬에 인가되는 전압을 감지하는 입력전압감지부(30)와, 입력전압감지부(30)로부터 감지된 입력전압에 대한 성에가 착상되지 않은 정상운전시의 상기 실외송풍팬의 기준팬회전수를 설정하고 설정된 기준팬회전수와 상기 팬회전수감지부(70)로부터 감지된 팬회전수를 비교판단하여 감지된 팬회전수가 기준팬회전수 이상이면 냉동사이클에 의해 제상운전이 수행되도록 사방밸브를 절환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8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온도센서의 오검출로 인한 제상운전의 과다수행 또는 지연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성에 착상량을 비교적 정확하게 감지하여 최적의 시기에 제상운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공기조화기의 운전효율과 쾌적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제상제어장치 및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블럭도.
제2도는 입력전압에 대한 실외송풍팬의 회전수의 변화를 나타낸 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착상감지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입력 전압감지부 40 : 실외송풍팬구동부
60 : 팬회전수감지부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제상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기와 실외열교환기의 온도차에 의하여 제상운전의 수행여부를 판단하지 않고 실외열교환기의 핀에 성에가 착상됨에 따라 핀사이의 유로면적이 좁아져 유입되는 공기량이 줄어들므로써 송풍시 공기와의 마찰력이 감소하여 팬회전수가 빨라지는 실외송풍팬의 회전수 변화를 이용하여 실외열교환기의 성에 착상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제상운전을 제어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상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이하, 공기조화기라 함)는 냉동사이클을 사방밸브로 절환하여 냉동사이클 또는 난방사이클로 운전이 가능한 공기조화기를 말한다. 일례로 냉방운전인 경우, 압축기, 실외열교환기, 팽창밸브(또는 모세관) 및 실내열교환기가 냉매관에 통해 직렬연결된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냉매를 압축, 응축, 감압, 그리고 증발시키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실내열교환기로부터 실내열을 흡수, 냉방을 수행한다. 이때, 실외열교환기에서는 열을 방출한다.
반대로 난방운전인 경우, 즉 사방밸브의 절환으로 냉매의 흐름이 압축기에서 실내열교환기, 팽창밸브, 실외열교환기를 거쳐 다시 압축기로 유입되도록 난방사이클이 구성된 경우 실내열교환기에서 열을 방출, 실내를 난방한다. 이때, 실외열교환기에서는 열을 흡수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공기조화기의 난방운전에 있어서, 외기온도의 하강으로 실외열교환기에서 열교환율이 떨이지면 실외열교환기의 온도가 빙점온도에 도달하여 외기에 포함된 수분이 실외열교환기의 냉각핀에 결빙되어 성에가 착상된다 실외열교환기 냉각핀에 성에가 착상되면 착상된 만큼 외기와의 열교환면적이 줄어 열교환능력이 떨어지고, 성에가 착상된 만큼 냉각핀 사이의 유로면적이 좁아져 실외송풍팬의 송풍작용시 유입되는 공기량이 감소하여 열교환능력은 더욱 떨어진다. 그리고 이런 현상은 착상이 진행됨에 따라 심화된다.
또한, 실외열교환기에서의 열교환능력이 떨어질수록 실내열교환기에서의 열교환능력이 계속 낮아져 난방능력이 저하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실외열교환기의 냉각핀에 어느 정도 성에의 착상이 진행되면 제상운전을 실시하여 실외열교환기의 냉각핀에 착상된 성에를 제거시킬 필요가 있다. 이때, 제상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최적의 착상량을 판단하여 적절한 시기에 제상운전을 수행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 제상운전은 외기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와 실외열교환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실외열교환기의 온도감지부를 구비하여 외기온도와 실외열교환기의 온도차가 일정온도이상이면 제상운전을 수행해야 할 만큼의 성에가 실외열교환기에 착상된 것으로 판단하여 제상운전을 수행하는 방법이 있었다.
이때, 제상운전을 수행하기 위해 설정되는 외기온도와 실외열교환기간의 기준온도차는 외기온도에 따라 가변가능하다. 예를 들면 외기온도가 -10∼-5인 경우는 제상운전을 위한 기준온도차를 10, 외기온도가 -5∼0인 경우는 기준온도차를 7, 외기온도가 0∼5인 경우는 기준온도차를 6로 설정하여 제상운전 수행조건을 판단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상조건의 판단방법에 있어서, 외기온도를 감지하는 외기온도감지부는 실외열교환기와 소정간격 두고 설치되나 실외열교환기에 많은 성에가 착상된 경우 외기온도감지부에까지 착상되어 외기온도감지부에서 감지한 온도와 실제 외기온도간의 오차가 커지게 되므로 착상량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제상운전을 지연시킨다거나 너무 빈번히 제상운전을 수행한다거나하여 난방효율을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외기와 실외열교환기의 온도차에 의하여 제상운전의 수행여부를 판단하지 않고, 실외열교환기의 핀에 성에가 착상됨에 따라 핀사이의 유로면적이 좁아져 유입되는 공기량이 줄어들므로써 송풍시 공기와의 마찰력이 감소하여 팬회전수가 빨라지는 실외송풍팬의 회전수 변화를 이용하여 실외열교환기의 성에 착상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제상운전을 제어하도록 한 공기조화기의 제상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상제어장치는, 압축기와 실외열교환기와 팽창밸브와 실내열교환기 및 사방밸브를 구비하여 상기 사방밸브의 절환에 따라 냉방 또는 난방을 수행하도록 된 냉동사이클과, 상기 냉동사이클의 실외열교환기가 흡입되는 외기에 의해 열교환되도록 송풍하는 실외송풍팬을 구비하여, 난방운전시 상기 실외열교환기에 성에가 착상되면 냉동사이클에 의해 제상운전이 수행되도록 상기 사방밸브를 절환제어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상장치에 있어서, 난방운전시, 상기 실외열교환기의 핀에 성에가 착상됨에 따라 핀사이의 유로면적이 좁아져 유입되는 공기량이 줄어들므로써 송풍시 공기와의 마찰력이 감소하여 팬회전수가 빨라지는 상기 실외송풍팬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팬회전수감지부(70)와, 상기 팬회전수감지부(70)에 의해 팬회전수가 감지될 때의 상기 실외송풍팬에 인가되는 전압을 감지하는 입력전압감지부(30)와, 상기 입력전압감지부(30)로부터 감지된 입력전압에 대하여 성에가 착상되지 않은 정상운전시의 상기 실외송풍팬의 기준팬회전수를 설정하고 설정된 기준팬회전수와 상기 팬회전수감지부(70)로부터 감지된 팬회전수를 비교판단하여 감지된 팬회전수가 기준팬회전수 이상이면 냉동사이클에 의해 제상운전이 수행되도록 상기 사방밸브를 절환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상제어방법은, 압축기와 실외열교환기와 팽창밸브와 실내열교환기 및 사방밸브를 구비하여 상기 사방밸브의 절환에 따라 냉방 또는 난방을 수행하도록 된 냉동사이클과, 상기 냉동사이클의 실외열교환기가 흡입되는 외기에 의해 열교환되도록 송풍하는 실외송풍팬을 구비하여, 난방운전시 상기 실외열교환기에 성에가 착상되면 상기 사방밸브를 절환하여 냉동사이클로 제상운전을 수행하는 제상운전단계와, 상기 제상운전단계중 제상완료조건이 판단되면 상기 사방밸브를 역절환하여 난방사이클로 난방운전을 수행하는 난방운전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상제어방법에 있어서, 난방운전시, 상기 실외열교환기의 핀에 성에가 착상됨에 따라 핀사이의 유로면적이 좁아져 유입되는 공기량이 줄어들므로써 송풍시 공기와의 마찰력이 감소하여 팬회전수가 빨라지는 상기 실외송풍팬의 입력전압을 입력전압감지부(30)를 통하여 감지하는 입력전압감지단계(91)와, 상기 입력전압감지단계(91)에 이어서 팬회전수감지부(70)를 통하여 상기 실외송풍팬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팬회전수감지단계(92)와, 상기 팬회전수감지단계(92)에서 팬회전수가 감지되면, 상기 입력전압감지단계(91)에서 감지된 입력전압에 대해 제어부(80)에 미리 설정된 기준팬회전수와 상기 팬회전수감지단계(92)에서 감지된 팬회전수를 비교판단하여 감지된 팬회전수가 기준팬회전수 이상이면 냉동사이클에 의해 제상운전이 수행되도록 상기 사방밸브를 절환시켜 제상운전을 수행하는 제상조건판단단계(93,9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블럭도, 제2도는 입력전압에 대한 실외송풍팬의 회전수의 변화를 나타낸 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착상감지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제1도 및 제2도에 있어서, 공기조화기의 전체적인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80)에 실내온도설정부(10), 실내온도감지부(20), 입력전압감지부(30), 기능선택부(40), 실외송풍팬구동부(50), 압축기 구동부(60), 팬회전수감지부(70)가 상호 전기적 신호를 입력 또는 출력받을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져 있다.
전술한 구성요소중 실내온도설정부(10)는 냉방(또는 난방)하고자 하는 실내온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용자에 의해 설정된 실내설정온도에 상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80)에 인가한다.
또, 실내온도감지부(20)는 실내온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감지된 실내온도에 상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80)에 인가한다.
또한, 기능선택부(40)는 제품에 설정된 운전기능, 일례로 난방운전, 냉방운전 및 제습운전을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용자에 의해 설정된 운전기능에 상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80)에 인가한다.
또, 입력전압감지부(30)는 실외송풍팬구동부(50)에 공급되는 입력전압을 감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입력전압에 상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80)에 인가한다.
또한, 실외송풍팬구동부(50)는 외기를 흡입하여 실외열교환기와 열교환시킨 뒤 송풍하는 실외송풍팬을 구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실외송풍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신호를 제어부(80)로부터 인가받는다.
또, 압축기구동부(60)는 냉방(또는 난방)운전중 냉매를 압축하여 냉동사이클 상으로 송출하는 압축기를 구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실내온도감지부(20)와 상기 실내온도설정부(10)간의 온도차에 의해 설정된 운전주파수로 압축기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하는 신호를 제어부(80)로부터 인가받는다.
또한, 팬회전수감지부(70)는 실외송풍팬의 회전수를 펄스신호로 변환시키고 처리하여 회전수를 계측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위하여 실외송풍팬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슬릿원판과, 슬릿에 의한 빛의 단속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광전변환기 및 전기적 신호를 디지탈신호인 펄스정보로 재차 변환하는 펄스변환기가 양호하게 사용된다. 따라서, 팬회전수감지부(70)는 실외송풍팬의 회전수에 상응하는 펄스신호를 제어부(80)에 인가한다.
또, 제어부(80)는 난방운전중 입력전압감지부(30)로부터 입력전압에 상응하는 전기적신호를 인가받아 입력전압에 따라 미리 설정되어진 기준팬회전수중 검출된 입력전압에 해당하는 기준팬회전수를 설정하고, 상기 팬회전수감지부(70)로부터 실외송풍팬의 회전수에 상응하는 펄스신호를 인가받아 실외송풍팬의 회전수를 연산하며, 설정된 기준팬회전수와 감지된 팬회전수를 비교판단하여 제상조건을 결정한다.
그리고 제상조건이라고 판단되면 사방밸브를 절환하여 냉동사이클을 통한 제상운전을 수행한다.
다음은, 제어부(80)에서 수행되는 제상조건의 결정과정을 상세설명한다.
제2도에 도시된 그래프를 간략히 설명하면, 가로축은 실외송풍팬 입력전압, 세로축은 실외송풍팬 회전수, 그리고 A곡선은 정상적인 난방운전시 입력전압의 변화에 따른 실외송풍팬 회전수 변화를 보인 것이며, B곡선은 실외열교환기의 냉각핀에 성에 착상시 입력전압의 변화에 따른 실외송풍팬 회전수 변화를 보인 것이다.
여기서, 성에의 착상에 따른 실외송풍팬의 회전수 변화요인을 먼저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난방운전중 외기온도가 하강하면 실외열교환기의 열교환능력이 떨어진다. 이는 난방운전시 실외열교환기에 흡열작용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외기온도의 하강으로 실외열교환기의 열교환능력이 떨어지면 실외열교환기온도가 빙점온도에 도달하여 외기에 포함된 수분이 실외열교환기의 냉각핀에 성에로 착상된다. 그리고 성에가 착상된 만큼 냉각핀 사이의 유로면적이 좁아져 실외송풍팬의 송풍작용시 유입되는 공기량이 줄게된다. 따라서, 송풍시 공기와의 마찰력이 감소되어 실외송풍팬의 회전수는 그 만큼 빨라진다.
즉, 난방능력에 따라 입력전압을 3단(나, 가, 다)로 변환할 때, 실외열교환기의 냉각핀에 성에가 착상되지 않은 정상운전(이하, '정상운전' 이라함)의 경우에는 입력전압에 따라 그 회전수가 나', 가', 다'로 변화한다.
그러나 실외열교환기의 냉각핀에 성에의 착상이 진행되면 전술한 이유로 인하여 실외송풍팬의 회전수가 A곡선으로부터 점점 B곡선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정상운전시 실외송풍팬에 입력되는 동일전압에 대하여 성에 착상시 실외송풍팬 회전수는 각각 나, 가, 다로 변화한다.
따라서, 실외열교환기에 성에가 착상된 경우 정상운전의 경우와 비교하면 각 입력전압에 대하여 |나-나'|,|가-가'|, |다-다'|에 따르는 회전수 차를 갖는다.
이에 따라, 정상운전시 입력전압에 따른 실외송풍팬의 회전수를 기준회전수로 설정하고, 난방운전중에 실외송풍팬에 인가되는 입력전압에 대한 실제 실외송풍팬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동일 입력전압에서의 기준회전수와 감지회전수를 비교판단함으로써 제상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다음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예를 제3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이용자가 기능선택부(40)의 난방운전키를 조작하여 공기조화기를 온시키고, 실내온도설정부(10)의 키를 조작하여 난방하고자 하는 온도를 설정하면, 실내온도설정부(10)는 설정된 온도에 상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80)에 인가한다. 이때, 실내온도감지부(20)가 실내온도를 감지하여 감지된 실내온도에 상응하는 전기적신호를 제어부(80)에 인가한다. 제어부(80)는 실내온도설정부(10)로부터 설정된 온도와 실내온도감지부(20)로부터 감지된 실내온도를 비교판단하고 설정온도가 감지된 실내온도보다 낮으면 압축기구동부(60) 및 실외송풍팬구동부(50)에 각각 구동신호를 인가한다.
이로서, 압축기 구동부가 제어부(80)로부터 인가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압축기를 구동시켜 냉매를 압축, 난방사이클상으로 송출하고, 실외송풍팬구동부(50)가 제어부(80)로부터 인가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실외송풍팬을 구동시켜 실외열교환기를 통과하는 냉매를 외기와 열교환시키는 난방운전을 수행한다(90).
단계90에서 난방운전이 수행되면, 제어부(80)는 입력전압감지부(30)를 통하여 실외송풍팬의 구동에 따른 입력전압을 감지한다(91).
또, 제어부(80)는 팬회전수감지부(70)를 통하여 실외송풍팬의 회전에 따른 회전수를 감지한다(92).
그리고 단계91, 92가 완료되면, 제어부(80)는 단계91에서 산출된 입력전압에 근거하여 메모리에 미리 설정되어진 기준팬회전수중 감지된 입력전압에 대한 기준 팬회전수를 결정한다(93).
단계93에서 감지된 입력전압에 대한 기준회전수가 결정되면, 제어부(80)는 단계92에서 감지된 송풍팬회전수가 단계93에서 결정된 기준팬회전수 이상인가를 판단하는 제상조건판단단계를 수행한다(94). 즉, 실외송풍팬의 실제 팬회전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팬회전수 이상이면 실외열교환기의 냉각핀에 성에의 과다착상으로 인해 실외열교환기의 냉각핀 사이의 유로면적이 좁아져 송풍부하량이 줄어듦으로써 송풍팬의 회전수가 증가한 것으로 판단한다.
단계94에서 송풍팬회전수가 기준팬회전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80)는 사방밸브를 절환하여 냉동사이클을 통하여 제상운전을 수행한다(95).
만약, 단계94에서 송풍팬회전수가 기준팬회전수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상을 수행하기 위한 조건이 아니므로 단계91로 진행하여 그 이후의 단계를 재수행한다. 이때, 공기조화기는 난방운전중이다.
이후, 제상운전중 제어부(80)는 미리 설정된 제상완료 판단조건에 의거하여 제상이 제상운전완료 판단단계를 수행한다(96). 즉, 제상완료판단을 위한 방법은 예를들면, 실외송풍팬의 실제회전수가 기준팬회전수이하로 감소하게 되는 시점을 감지하여 제상을 완료하거나 또는 일정시간동안만 제상운전을 수행하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제상운전을 완료하는 방법등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단계96에서 제상운전완료로 판단되면 제어부(80)는 사방밸브를 절환하여 난방사이클을 통하여 난방운전을 재수행하고 상기한 과정을 반복수행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상제어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외기와 실외열교환기의 온도차에 의하여 제상운전의 수행여부를 판단하지 않고, 난방운전시, 실외열교환기의 핀에 성에가 착상됨에 따라 핀사이의 유로면적이 좁아져 유입되는 공기량이 줄어들므로써 송풍시 공기와의 마찰력이 감소하여 팬회전수가 빨라지는 실외송풍팬의 회전수 변화를 이용하여 실외열교환기의 성에 착상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제상운전을 제어함으로써, 온도센서의 오검출로 인한 제상운전의 과다수행 또는 지연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성에 착상량을 비교적 정확하게 감지하여 최적의 시기에 제상운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공기조화기의 운전효율과 쾌적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압축기와 실외열교환기와 팽창밸브와 실내열교환기 및 사방밸브를 구비하여 상기 사방밸브의 절환에 따라 냉방 또는 난방을 수행하도록 된 냉동사이클과, 상기 냉동사이클의 실외열교환기가 흡입되는 외기에 의해 열교환되도록 송풍하는 실외송풍팬을 구비하여, 난방운전시 상기 실외열교환기에 성에가 착상되면 냉동사이클에 의해 제상운전이 수행되도록 상기 사방밸브를 절환제어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상장치에 있어서, 난방운전시, 상기 실외열교환기의 핀에 성에가 착상됨에 따라 핀사이의 유로면적이 좁아져 유입되는 공기량이 줄어들므로써 송풍시 공기와의 마찰력이 감소하여 팬회전수가 빨라지는 상기 실외송풍팬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팬회전수감지부(70)와, 상기 팬회전수감지부(70)에 의해 팬회전수가 감지될 때의 상기 실외송풍팬에 인가되는 전압을 감지하는 입력전압감지부(30)와, 상기 입력전압감지부(30)로부터 감지된 입력전압에 대하여 성에가 착상되지 않은 정상운전시의 상기 실외송풍팬의 기준팬회전수를 설정하고 설정된 기준팬회전수와 상기 팬회전수감지부(70)로부터 감지된 팬회전수를 비교판단하여 감지된 팬회전수가 기준팬회전수 이상이면 냉동사이클에 의해 제상운전이 수행되도록 상기 사방밸브를 절환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8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상제어장치.
  2. 압축기와 실외열교환기와 팽창밸브와 실내열교환기 및 사방밸브를 구비하여 상기 사방밸브의 절환에 따라 냉방 또는 난방을 수행하도록 된 냉동사이클과, 상기 냉동사이클의 실외열교환기가 흡입되는 외기에 의해 열교환되도록 송풍하는 실외송풍팬을 구비하여, 난방운전시 상기 실외열교환기에 성에가 착상되면 상기 사방밸브를 절환하여 냉동사이클로 제상운전을 수행하는 제상운전단계와, 상기 제상운전단계 중 제상완료조건이 판단되면 상기 사방밸브를 역절환하여 난방사이클로 난방운전을 수행하는 난방운전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상제어방법에 있어서, 난방운전시, 상기 실외열교환기의 핀에 성에가 착상됨에 따라 핀사이의 유로면적이 좁아져 유입되는 공기량이 줄어들므로써 송풍시 공기와의 마찰력이 감소하여 팬회전수가 빨라지는 상기 실외송풍팬의 입력전압을 입력전압감지부(30)를 통하여 감지하는 입력전압감지단계(91)와, 상기 입력전압감지단계(91)에 이어서 팬회전수감지부(70)를 통하여 상기 실외송풍팬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팬회전수감지단계(92)와, 상기 팬회전수감지단계(92)에서 팬회전수가 감지되면, 상기 입력전압감지단계(91)에서 감지된 입력전압에 대해 제어부(80)에 미리 설정된 기준팬회전수와 상기 팬회전수감지단계(92)에서 감지된 팬회전수를 비교판단하여 감지된 팬회전수가 기준팬회전수 이상이면 냉동사이클에 의해 제상운전이 수행되도록 상기 사방밸브를 절환시켜 제상운전을 수행하는 제상조건 판단단계(93,9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상제어방법.
KR1019950025710A 1995-08-21 1995-08-21 공기조화기의 제상제어장치 및 방법 KR100207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5710A KR100207070B1 (ko) 1995-08-21 1995-08-21 공기조화기의 제상제어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5710A KR100207070B1 (ko) 1995-08-21 1995-08-21 공기조화기의 제상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1636A KR970011636A (ko) 1997-03-27
KR100207070B1 true KR100207070B1 (ko) 1999-07-15

Family

ID=19423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5710A KR100207070B1 (ko) 1995-08-21 1995-08-21 공기조화기의 제상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70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88267A (zh) * 2015-05-29 2016-05-18 青岛海信日立空调系统有限公司 一种热泵系统结霜量自动检测的除霜控制方法及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88267A (zh) * 2015-05-29 2016-05-18 青岛海信日立空调系统有限公司 一种热泵系统结霜量自动检测的除霜控制方法及装置
CN105588267B (zh) * 2015-05-29 2018-07-24 青岛海信日立空调系统有限公司 一种热泵系统结霜量自动检测的除霜控制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1636A (ko) 199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62184A (en) Single-sensor head pump defrost control system
JPH1151500A (ja) ヒートポンプ式空気調和機
JPH10325621A (ja) 空気調和装置
KR100207070B1 (ko) 공기조화기의 제상제어장치 및 방법
JPH0278844A (ja) 空気調和機
JP3185791B2 (ja)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KR100210086B1 (ko)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 가변장치 및 방법
JP4151221B2 (ja) 空気調和機の除霜制御装置
JP2815403B2 (ja) 多室型空気調和機
JPH10267359A (ja) 空気調和機
KR100231056B1 (ko)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 제어방법
JPH0718583B2 (ja) ヒートポンプ式空調機
JP3443442B2 (ja) 空気調和機
KR100432722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팬제어방법
JP3241189B2 (ja) ヒートポンプ式空気調和機
KR0146310B1 (ko) 공기조화기의 제상제어장치 및 방법
JPH09159249A (ja) 空気調和機の除湿運転制御方法及び空気調和機
JPH09222271A (ja) 冷凍装置
KR100231055B1 (ko)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 제어방법
JPH02136637A (ja) ヒートポンプ式空気調和機
KR0113407Y1 (ko) 냉,난방겸용 공기조화기의 제상운전 제어장치
JP2006078080A (ja) 空気調和装置
KR100304553B1 (ko) 히트펌프공기조화기와그난방운전을위한제어방법
JPH07248141A (ja)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JPH02306042A (ja) 冷凍装置の除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