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6689B1 - 역반사체판 및 이를 이용한 홀로그래픽 스크린 제작 방법 - Google Patents

역반사체판 및 이를 이용한 홀로그래픽 스크린 제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6689B1
KR100206689B1 KR1019960054201A KR19960054201A KR100206689B1 KR 100206689 B1 KR100206689 B1 KR 100206689B1 KR 1019960054201 A KR1019960054201 A KR 1019960054201A KR 19960054201 A KR19960054201 A KR 19960054201A KR 100206689 B1 KR100206689 B1 KR 100206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ographic
plate
screen
photosensitive
ar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4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5761A (ko
Inventor
손정영
브이. 지. 코마르
Original Assignee
박원훈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원훈,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박원훈
Priority to KR1019960054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6689B1/ko
Publication of KR19980035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5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6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66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6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produce multiple sub- holograms or to obtain images from them, e.g. multicolour techniqu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2Holograms used as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2Processes or apparatus for obtaining an optical image from holograms
    • G03H1/2202Reconstruction geometries or arrangements
    • G03H1/2205Reconstruction geometries or arrangements using downstream optical component
    • G03H2001/2213Diffusing screen revealing the real holobject, e.g. container filed with gel to reveal the 3D holobject
    • G03H2001/2221Screen having complex surface, e.g. a structured objec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Diffracting Gratings Or Hologram Optical Elements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Abstract

기존의 구형 반사경 대신 역반사체판을 사용하여 각종 용도에 맞는 홀로그래픽 스크린을 제작하는 방법과 역반사체판을 제작하는 방법을 개시하였다. 구형 반사경을 사용하여 홀로 그래픽 스크린을 제작하는 종래의 방법을 개시하였다. 구형반사경을사용하여 홀로그래픽 스크린을 제작하는 종래의 방법은 스크린의크기및 초점거리가제한되고 스크린 특성을 최적화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초서형 코너 큐브(corner cube) 가 면 배열된 평판으로 서각각의 코너 큐브에서 반사된 반사광이 입사광의 진행 방향을 역으로 되돌아 나가는 특성을 갖는 역반사체판을 사용하여 홀로그래픽 스크린 만들었다. 이에 따라 구형 반사경을 이용하여 스크린을 만들 때와 비교하여 가변 초점 거리를 가지며 회절 효율이 뛰어나고 또한 크기에 제한이 없는 홀로 그래픽 스크린을 만들 수 있었다. 대형 홀로그래픽 스크린은 역반사체판의 조합이나 필름형 홀로 그래픽 스크린을 사용하여 제작가능하다. 산광기와 창이 열린 마스크를 사용하면 주사레이저 빔에 의해서도 시역의 재생이 가능한 홀로그래픽 스크린을 만들 수 있다.

Description

역반사체판 및 이를 이용한 홀로그래픽 스크린 제작 방법
본 발명은 3차원 영사을 특정방향으로 선택적으로 투과 또는 반사시킬 수 있는 홀로그래픽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구형 반사경을 쓰지않고 초소형 코너 큐브로 구성된 역반사체판과 이를 이용하여 홀로그래픽스크린을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것이다.
종래에는 홀로그래픽 스크린을 제작하기 위해 대형 구형 반사경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 기존의 대형 구형 반사경을 사용하여 홀로그래픽 스크린을 제작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1.제작 가능한 홀로그래픽 스크린의 초점 거리와 크기는 구형 반사경의 초점거리와 직경에 따라 정해지므로 구형 반사경 특성에 따라 제한된 크기와 초점거리를 가진것만 만들수 있다.
2.제작할 때 홀로그래픽 스크린과 구형 반사경 사이의 거리가 어느정도 떨어져 있어야 하므로 최적의 특성을 가진 스크린을 만들기가 어렵다.
3.대형 스크린을 만들기 위해서는 대형 구형 반사경이 필요하기 때문에 설치와 보관이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대형 구형 반사경을 쓰지않고 초소형 코너 큐브(corner cube)로 구성된 역반사체판(retrorflectdr plate)을 이용하여 홀로그래픽 스크린을 만드는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홀로그래픽 스크린 제작 방법이 제공되는데 , 이방법은 각각이 세개의 반사면과 밑면을 구비한 코너큐브들로 구성되고, 상기 코너 큐브들의 장점이 동일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코너 큐브의 밑면이 그와 인접하는 또다른 코너 큐브의 밑면과 맞붙어 있는 형태로 어레이를 이룬 역반사체판을 제공하는 단계, 감광층을포함하며 상기 역반사체판의 코너큐브들의 상기 밑면과 밀착되어 있거나 인접 배치된 홀로그래픽 감광판을 제공하는 단계, 및상기 홀로그래픽 감광판의 전면에서 상기 홀로그래픽 감광판을 향해 코히런트 광을 조사하여 상기 홀로그래픽 감광판에 기준파를 입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조사된 광이 상기 홀로그래픽 감광판의 감광층을 투과하여 상기 역반사체판에서 반사된 후 입사 경로를 되돌아 나와 상기 홀로그래픽 감광판의 감광층에 물체파로 입사되어 홀로그래픽 스크린을 제작하게 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너 큐브는 세 개의 반사면 및 밑면을 구비하고 정점의 세개의 모서리 각도가 모두90° 가되는 등변 삼각추가 된다. 따라서, 이 방법에 따르면 상기 조사된 광이 상기 홀로그래픽 감강판의 감광층을 투과하여 상기 역반사체판에서 반사된 후 입사 경로를 되돌아 나와 상기 홀로그래픽 감광판의 감광층에 물체파로 입사되게 된다.
제1a도 및 제1b도는 역반사체판의 구조와 역반사체의 코너 큐브에서의 빛의 반사 원리를 각각 도시한 도면.
제2a도 는 역반사체판을 사용하여 홀로 그래픽 스크린을 제작하는 원리를 도시한도면.
제2b도는 제2a도의 홀로 그래픽 스크린에 의해 상이 재생되는 원리를 도시한 도면.
제3a도, 재3b도 및 제3c도는 직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소형 역반사체판을 여러장 붙여서 대형 홀로그래픽스크린을 제작하는 방법을 도시한도면.
제4도는 홀로 그래픽 스크린 마스터를 사용하여 홀로 그래픽 스크린을 제작하는 방법을 도시한도면.
제5도는 역반사체판 원판을 만들기 위해 금속판을 다이아몬드 절삭 공구로 가공하는 방법을 도시한도면.
제6도은 주사레이저 빔에의해 시역을 만들어 주는 홀로그래픽 스크린을 제작하기위한 광학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역반사체판 16 : 소형 판형또는 필름형 홀로 그래픽 스크린
22 : 코너큐브 23 : 코너큐브 어레이
31 : 입사광 32 : 반사광
41;감광층 51,52 : 기주파광원
53 : 공심 광원 54,55; 재생상
61 : 홀로그래픽 감광판 71 : 홀로그래픽 스크린
90 : 홀로그래픽 스크린 마스터 101 : 활성충
110 : 금속판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a도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역반사체판(11) 의 구조가 도시되었다. 역반사체판(11) 은 삼각 피라미드 형태의 코너 큐브(corner cube)(22) 들이 서로 밀접 배치되어 어레이를 이룬 판이다. 이 코너큐브(22)의 정점은 모두 한쪽 방향을 향하여 있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 코너 큐브(22) 는 등변 삼각추가 된다. 제1b도는 코너 큐브의 구조를 자세히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코너 큐브(22)의 정점에서의 각각의 모서리 사이의 각도는 90°이다. 코너 큐브(22) 는 자신의 한 삼각면에 입사되는 광을 이웃하는 세개의 삼각면들에서 반사시켜 입사광(31) 의 방향과 정반대 방향(32)으로 되돌아 나가도록 한다. 코너 큐브(22) 밑면의 한변 길이는 사람 눈의 해상도에 의해 정해지는 길이보다 짧다. 역반사체판(11) 은 코너 큐브(22) 의 특성에 따라 입사하는 광선을 반사시킨후 입사 방향과 정반대 방향으로 되돌아 나가도록 하는 특성을 가지게 된다. 이 작용은 구형 반사경 축에서 곡률 반경만큼 떨어진 위치에 놓인 점 광원(point light source)에서 발산된 광이 구형 반사경에서 반사되어 점 광원의 위치에 다시 모이는 것과 유사하다. 마찬가지로 , 점 광원이 역반사체판 전면의 어떤 위치에 있어도, 역반사체판(11) 에서 반사되어 되돌아 나가는 빛은 그 점 광원의 위치에 다시모이게 되므로, 역반사체판(11) 은 곡률 반경이 가변되는 구형 반사경 구실을 할 수 있다.
도2a는 역반사체판(11) 을 홀로그래픽 스크린(61) 의 감광층(41) 에 거의 밀착시켜 기준파 및 물체파를 이용하여 홀로그래픽 스크린(61) 을 제작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홀로그래픽 스크린(61) 의 감광층(41) 은 역반사체판(11) 의 코너 튜브(22)가 각인되어 있어 반사면(23)과 밀착되어 있다. 역반사체판(11)의 전면에서 서로 다른 지점(51,52)에 있는 코히런트 점 광원에서 발산되어 홀로그래픽 감광판(61)의 스크린의 감광층(41)을 통과하여 진행하는 광선은 감광층(41)과 밀착되어 있는 역반사체판(11)의 반사면(23)에서 반사되어, 이후 다시 감광층(41)를 거쳐 입사경로를 역방향으로 따라나와 원위치에 되돌아온다. 이 역반사체판(11)에서 반사되어 나온 파가 감광층(41)에서 입사파와 간섭하여 감광층(41)내에 간섭 무늬를 형성시킨다. 점 광원에서 발산하는 광선을 구형파(spherical wave)이므로 그 위상 단면은 공심원(homocntric circle)을 이룬다. 따라서, 감광층(41)내에 형성된 간섭 무늬는 구형의 형태를 갖는다.전면에서 서로 다른 지점 는 구형의형태를 갖는다.
홀로그래픽 스크린을 제작하기 위해 사용하는 홀로그래픽 감광판 (photoplate) 또는 필름의 감광층 두께는 반사 또는 투과되는 빛의 방향 선택성을 높이기 위해 일반적으로 쓰이는 홀로 그래픽 감광판 노출 회수의 제곱근에 비례하여 증가시켜 야 한다. 일반적으로 방향 선택성의 증가는 빛이 반사 또는 투과되는 방향에서의 회전 효율 가이 증가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 이것은 또한 극히 제한된 지역으로만 빛이 분포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2a에 도시된 방법으로 홀로 그래픽 스크린을 제작하게 되면 역반사체판 이 감광판과 밀착되어 있으므로 설치가 쉬워지고 , 스크린에 완벽한 반사형 구형 격자 (reflection- type spherical grating)가 형성된다 . 또한 제작시 사용한 기준파 의 수에 따라 적색 , 청색 및 녹색에 감광하는 색상 중심 (color center) 이온이 첨가된 감광층이 적층되어 있는 홀로그래픽 감광판 또는 필름을 사용하여 이 색상 중심에 대응하는 레이저, 즉 적색, 청색 및 녹색 레이저를 사용하면 천연색 홀로그래픽 스크린을 만들 수 있다. 제2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성된 홀로그래픽 스크린 전방의 한 에놓인 공심 광원 (homocentric light source)(53)에서 스크린에 입사하는 광은 스크린의 활성층 (active layer)(101)(격자가 기록된 감광층이 현상된 것) 에서 반사되어 제작시의 기준파 위치에 대응하는 스크린 전면의 두 지점(54, 55) 에 모이게 된다 . 제2b도 의 종이면에서 빛이 모이는 두 지점(54,55) 은 , 제작할 때의 기준파의 위치에서 스크린의 중심을 향해 그은 선을 중심으로 하여 광원(53) 과 대칭을 이루는 선상에 있다.
도3에는 소형 홀로그래픽 스크린(16) 및 소형 역반사체판(11) 을 이용하여 대형 홀로 그래픽 스크린을 제작하는 방법이 도시되었다. 대형 홀로그래픽 스크린을 만드는 방법에는 두가지가 있다 . 첫째는, 도3a 및 도3b에 도시된 대로 표면의 평탄 균일도가 2분 이하가 되는 대형의 견고한 판(19) 위에서 이미 만들어진 소형 스크린(71) 의 활성층 (101)쪽을 안쪽으로 하면서 소형 홀로 그래픽 스크린(71) 을 조합하여 여러장을 접촉 부위의 간격이 최소가 되도록 교차시키면 된다. 소형의 홀로그래픽 스크린을 여러개 접합시켜 만든 대형 홀로그래픽 스크린은 소형TV 를 조합하여 만든 대형 TV 스크린을 통해 영상을 보는 것과는 달리 홀로그래픽 스크린의 활성층(active layer ) 이 아주 얇다. 따라서, 스크린의 이음새(27)를 거의 인지할 수 없게 되어 대형 3차원 스크린으로서의 기능성이 뛰어나다. 둘째는, 동일 형태를 가진 여러장의 역반사체판(11)을 이용하여 대형 홀로그래픽 스크린을 제작하는 방법이다. 이경우에는 제3c도에 도시된 대로 역반사체판(11) 의 반사면(23) 을 대형 홀로그래픽 감광판(41) 또는 필름의 감광층에 흡입 장치를 이용하여 밀착시킨다. 이후, 레이저 점 광원을 감광판(41) 의 전면에 있는 여러 위치(51,52)로 이동시키며 감광판(41)을 노광시켜 대형 홀로그래픽 스크린을 제작한다. 소형 역반사체판이 여러장 배열된것 외에는 제2도의 제작 원리와 차이가 없다. 소형 역사반사체판의 접합부는 사람 눈에 의해 인지되지 않는다.
도4는 홀로그래픽 스크린 마스터(90)(master)를 사용하여 홀로 그래픽 스크린 을 제작하는 개략도이다. 홀로 그래픽 스크린 마스터(90)는, 감광층의 두께가 8μm 이하인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홀로 그래픽 감광판 또는 필름을 이용하여 제1도에 도시된 방법으로 기준파의 위치를 변화시켜 가면서 감광판을 필요한 수만큼 노광시켜 제작한다, 이 스크린 마스터(90)는 반사형 홀로그램의 일종이 되는데, 감광층 내에 형성된 굴절율 변화층들이 감광층과 거의 평행하게 형성되므로 반사경과 같은 특성을 갖는다. 입사광이 마스터(90)에 조사되면 홀로 그램이 재생뙤어 반사되어 나오며, 이때 빛이 반사되는 방향은 굴절율 변화층의 간격과 입사빔의 입사각에 따라 달라진다. 마스터로서 두께가 얇은 감광판을 사용하면 회절 효율은 떨어지나 기록된 모든 방향에서의 빔을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스크린 마스터(90)를 이용하여 홀로그래픽 스크린을 제작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스크린 마스터(90)의 활성층(102)과 반대되는 면에 홀로그래픽 스크린을 만들기 위해 감광층의 두께가 15μm 이상이 되는 감광판(61)의 감광층(41)을 맞대어 놓는다. 이후, 감광판(61) 전면의 한 점에서 코히런트 점 광원(51)을 기준파로 사용하여 감광판(61)을 한번만 노광시키면 된다. 광원(51)에서의 빛이 스크린 마스터(90) 에 입사하면 스크린 마스터(90)를 제작할 때에 사용한 물체파들이 재생되어 새감광층(41)에 물체파로서의 구실을 하게 되므로 한번의 노광만으로 홀로 그래픽 스크린이 만들어진다.
도5에는 금속판을 이용하여 역반사체판을 제작하는 방법을 도시하였다 . 정점의 각도가 70° 30' 이 되며 폭이 절삭 피치의 2/3 가 되는 다이아몬드 절삭 공구를 사용하여 서로 60° 의 각도를 이루는 세 방향에서 직선으로 금속판(110)을 절삭해 나간다. 절삭에 의해 만들어 지는 금속판은 정점이 돌출되어 있으며 정점의 모서리가 이루는 각도는 90°가 되는 삼각 피라미드의 배열로 되어 있다. 역반사체판(11)은 상기 금속판을 역복제하여 만들수 있다.
도6은 주사 레이저 빔(scanning laser beam)을 사용하여 다수의 시역을 재생할수 있는 홀로그래픽 스크린을 제작하는 노광 장치를 도시하였다 . 레이저로부터 의 빔을 렌즈(120)로 확대하여 이 레이저 빔을 아래 위로 또는 좌우로 산광시키는 산광기 (diffuser)(130)으로 산광시켜 노광될 감광판(61)전체를 레이저 빔이 덮을수있도록 한다. 산광기 뒤에는 사각형 모양의 창이 열린 마스크(140)를 배치시켜 이창을 통해 산광된 빛이 감광판(61) 이 도달하도록 한다. 감광판(61) 뒤에는 역반사체 판(11) 이 배치되어 빛을 감광판(61)으로 되돌려 보낸다. 감광판(61) 의 감광층(41)은 역반사체판(11) 과 마주보고 있다. 감광판(61)과 역반사체판(11)을 동시에 필요한 각도만큼 회전시켜 가면서 필요한 수만큼 노광시킨다 . 이렇게 제작된 스크린을 주사 레이저 빔으로 주사하게 되면 노광된 회수만큼의 시역이 스크린 전면에 재생된다. 산광기 (130) 는 렌티큘라 판 (llenticular plate) 과 같은 원통형 렌즈 어레이판을 서로 교차시켜 배치시킨 것을 사용하였다.
역반사체판을 사용하여 홀로그래픽 스크린을 만들게 되면 구형 반사경을 이용해 제작하는 때에 비해 다음과 같은 여러가지의 장점을 갖는다.
1. 초점 거리에 제한 없는 홀로그래픽 스크린을 만들수 있다.
2.역반사체판을 감광판에 밀착시키거나 필요한 거리만큼 띄어서도 홀로그래픽 스크린 제작이 가능하므로 홀로그래픽 스크린 제작을 위한 설비의 설치가 간편해지고, 역반사체판과 감광판을 밀착시키는 경우에는 물체파와 기준파 사이의 경로 차가 많이 나지 않으므로 레이저의 공간 코히런스(spatial coherence) 특성이 짧은 거리에서만 성립한다 하더라도 특성 좋은 홀로그래픽 스크린 제작이 가능하다.
3. 홀로그래픽 스크린 또는 역반사체판을 서로 연이어 접합시켜 크게 만들수 있으므로 이론적으로는 크기에 제한 없는 홀로그래픽 스크린 제작이 가능하다.

Claims (15)

  1. 홀로그래픽 스크린 제작 방법으로서, 각각이 세개의 반사면과 밑면을 구비한 코너큐브들로 구성되고, 상기 코너 큐브들의 정점이 동일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코너큐브의 밑면이 그와 인접하는 또다른 코너 큐브의 밑면과 맞붙어 있는 형태로 어레이를 이룬 역반사체판을 제공하는 단계, 감광층을 포함하여 상기 역반사체판의 코너 큐브들의 상기 밑면과 밀착되어 있거나 인접 배치된 홀로그래픽 감광판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홀로 그래픽 감광판의 전면에서 상기 홀로그래픽 감광판을 향해 코히런트 광을 조사하여 상기 홀로그래픽 감광판에 기준파를 입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 상기 조사된 광이 상기 홀로그래픽 감광판의 감광층을 투과하여 상기 역반사체판에서 반사된 후 입사 경로를 되돌아 나와 상기 홀로 그래픽 감광판의 감광층에 물체파로 입사되도록 하는 홀로그래픽 스크린 제작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 큐브는 세개의 반사면 및 밑면을 구비한 등변 삼각추를 포함하고, 상기 등변 삼각추의 정점의 세개의 모서리 각도가 모두 90。가 되는 홀로그래픽 스크린 제작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등변 삼각추의 밑면의 한변의 길이는 사람 눈의 해상도보다 짧게 되는 홀로그래픽 스크린 제작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층에 형성된 회절 무늬는 구형 반사경의 구실을 하는 격자인 홀로그래픽 스크린 제작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시키는 단계는 상기 홀로그래픽 감광판의 전면에 코히런트 공심 점 광원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공심 점 광원을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홀로 그래픽 스크린이 다시역을 갖도록 하기 위해 상기 코히런트공심점 광원의 위치를 바꾸어 가면서 상기 홀로그래픽 감광판의 감광층을 다중 노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홀로그래픽 스크린 제작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로그래픽 스크린의 감광층 두께는 15um 이상인 홀로그래픽 스크린 제작 방법.
  7. 제1항에 의해 만들어진 각각의 단위 홀로그래픽 스크린들을 그 간격이 최소가 되도록 상기 단위 홀로그래픽 스크린의 활성층을 대형 투명 평판 위에 접착시켜 대형 홀로 그래픽 스크린 어레이를 제작하는 방법.
  8. 대형 홀로 그래픽 스크린 어레이 제작 방법으로서, 각각의 단위 홀로그래픽 감광판들을 그 간격이 최소가 되도록 상기 단위 홀로그래픽 감광판의 감광층을 대형 투명 평판 위에 접착시켜 홀로그래픽 감광판 어레이를 제공하는 단계, 각각이 세개의 반사면을 가진 등변 삼각추를 이루며 등변 삼각추의 정점의 세개의 모서리 각도가 모두90。 가 되는 코너 큐브들로 구성되고, 상기 코너큐브들 의 장점이 동일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코너 큐브의 밑면의 각 변들이 그와 인접하는 또다른 코너 큐브의 밑면의 변과 평행을 이루며 맞붙어 있는 형태로 된 단위 역반사체판들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단위 역반사체판들을 서로 밀착시켜 매트릭스 배열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홀로그래픽 감광판 어레이의 대응하는 감광층과 상기 단위 역반사체판의 밑면과 대응 되도록 상기 홀로그래픽 스크린 어레이와 상기 매트릭스 배열을 접착시켜 역반사체판 어레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홀로그래픽 스크린 어레이의 전면에서 코히런트 광을 조사하여 상기 홀로그래픽 감광판 어레이의 감광판에 기준파로 입사키는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조사된 광이 상기 홀로 그래픽 감광판 어레이의 감광층을 투과하여 상기 역반사체판의 어레이에서 반사된후 입사 경로를 되돌아 나와 상기 홀로그래픽 감광판 어레이의 감광층에 물체파로 입사되도록 하는 대형 홀로 그래픽 감광판 어레이 제작 방법.
  9. 홀로 그래픽 스크린 어레이 제작 방법으로서, 제7항의 방법에 의해 만들어진 홀로그래픽 스크린 마스터를 제공하는 단계, 각각의 단위 홀로그래픽 감광판들을 그 간격이 최소가 되도록 밀착시켜 어레이를 형성하고 상기 어레이의 감광층이 상기 홀로 그래픽 스크린 마스터와 맞붙어 있는 홀로그래픽 스크린 마스터와 맞물어 있는 홀로그래픽 감광판 어레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홀로그래픽 스크린 어레이의 전면에서 상기 홀로그래픽 감광판 어레이를 향해 코히런트 광을 조사하여 상기 홀로 그래픽 감광판 어레이의 감광층에 기준파로 입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조사된 광이 홀로 그래픽 스크린 어레이의 감광층을 투과하여 상기 홀로 그래픽 스크린 마스터의 활성층에서 반사된 후 입사 경로를 되돌아 나와 상기 홀로그래픽 감광판 어레이의 감광층에 물체파로 입사되도록 하는 홀로그래픽 스크린 어레이 제작방법 .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홀로그래픽 감광판 스크린 마스터의 활성층 두께는 8μm 이하인 홀로그래픽 스크린 어레이 제작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홀로그래픽 감광판 어레이의 감광층두께는 15μm 이상인 홀로그래픽 스크린 어레이 제작 방법.
  12. 홀로그래픽 스크린 제작 장치로서, 주사 레이저 광원, 상기 레이저 광원으로 부터 방사된 레이저 빔의 광 경로상에 배치되어 상기레이저 빔을 확대하기위한 렌즈, 상기 렌즈로부터 광경로상에 배치되어 상기 확대된 빔을 산광시키기 위한 산광기, 상기 산광된 레이저 빔을 제한시키기 위한 창, 상기 창을 통과한 레이저 빔이 기준파로 입사되는 홀로그래픽 감광판, 및 각각이 등변 삼각추를 이루며 등변 삼각추의 정점의 세개의 모서리 각도가 모두 90°가 되는 코너 큐브들로 구성되고 , 상기 코너 큐브들의 정점이 동일 방향으로 배치되며 , 상기 코너 큐브의 밑면의 각 변들이 또다른 코너 큐브의 밑면의 변과 평행을 이루며 맞붙어 있는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홀로그래픽 감광판을 마주 보도록 배치된 역반사체판을 포함하며, 상기 홀로그래픽 감광판을 투과한 광이 상기 역반사체판에서 반사된 후 입사경로를 되돌아 나와 상기 홀로그래픽 감광판에 물체파로 입사되는 홀로그래픽 스크린 제작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주사형 다시역 홀로그래픽 스크린을 만들기 위해 상기 홀로 그래픽 감광판과 상기 역반사체판을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키면서 상기 홀로그래픽 감광판을 상기 레이저 빔에 노광시키는 홀로그래픽 스크린 제작 장치.
  14. 각각이 세개의 반사면 및 밑면을 구비한 등변 삼각추를 이루어 등변 삼각추의 정점의 세개의 모서리 각도가 모두 90°가 되는 코너 큐브들로 구성되고, 상기 코너 큐브들의 정점이 동일 방향으로 배치되고 , 상기 코너 큐브의 밑면의 각 변들이 그와 인접하는 또다른 코너 큐브의 밑면의 변과 평행을 이루며 맞붙어 있는 형태로 어레이를 이룬 역반사체판.
  15. 역반사체판 제작 방법으로서, 금속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금속판을 서로 60°가 되는 세방향에서 직선으로 절삭하는 단계, 및 상기 절산된 금속판을 역복제하여 정점의 모서리 각도가 90° 가 되는 등변 삼각추 형의 역반사체판을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역반사체판 제작 방법.
KR1019960054201A 1996-11-15 1996-11-15 역반사체판 및 이를 이용한 홀로그래픽 스크린 제작 방법 KR100206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4201A KR100206689B1 (ko) 1996-11-15 1996-11-15 역반사체판 및 이를 이용한 홀로그래픽 스크린 제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4201A KR100206689B1 (ko) 1996-11-15 1996-11-15 역반사체판 및 이를 이용한 홀로그래픽 스크린 제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5761A KR19980035761A (ko) 1998-08-05
KR100206689B1 true KR100206689B1 (ko) 1999-07-01

Family

ID=19481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4201A KR100206689B1 (ko) 1996-11-15 1996-11-15 역반사체판 및 이를 이용한 홀로그래픽 스크린 제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66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1123B1 (ko) 2017-10-17 2019-02-2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포물면이 적용된 마이크로 미러 어레이
KR102211618B1 (ko) 2019-07-26 2021-02-02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플로팅 이미지 구현 장치용 역반사 마이크로 미러 어레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24189B1 (en) * 2007-02-02 2012-07-17 Sunlight Photonics Inc. Retro-directive target for free-space optical communication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CN106662802B (zh) 2014-05-27 2020-08-07 米拉维兹公司 用于优化逆反射显示系统的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1123B1 (ko) 2017-10-17 2019-02-2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포물면이 적용된 마이크로 미러 어레이
KR102211618B1 (ko) 2019-07-26 2021-02-02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플로팅 이미지 구현 장치용 역반사 마이크로 미러 어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5761A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95875A (en) Method of forming a retroreflective material via light interference fringe patterns
US4500163A (en) Holographic projection screen
US3993401A (en) Retroreflective material including geometric fresnel zone plates
EP0724740B1 (en) Retroreflective sheeting material, a method of its production and its use
JPH09503078A (ja) ホログラフィー投影スクリーン及びその製造法
JP2863533B2 (ja) ホログラフィ・ミラーの製造方法
WO1997001116A1 (fr) Appareil de formation d'images optiques
CN103221738B (zh) 面照明装置及背光装置
KR100206689B1 (ko) 역반사체판 및 이를 이용한 홀로그래픽 스크린 제작 방법
US3536371A (en) Method and means for producing and utilizing arrays of diffraction type lenses for micro-electronics mask making
JP2000039516A (ja) ホログラム位置合わせマーク及びその作製方法
US3479111A (en) Three-dimensional picture projection
KR19980064433A (ko) 홀로그램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4039245A (en) Method for preparing a hologram
JP2002023271A (ja) プロジェクタ用スクリーン、ホログラムの作製方法
JP3169985B2 (ja) プロジェクションスクリーン
JPH08313712A (ja) 回折格子パターンおよびその作製方法
JP3448964B2 (ja) ホログラフィック・ステレオグラムの作成方法
CA1137797A (en) System for sensing electromagnetic energy distribution
JPH10206606A (ja) レンティキュラー板及びその製造方法
CN117742118A (zh) 体全息光学元件的制备方法、体全息光学元件及显示模组
JPH0535172A (ja) ホログラム作成方法
JP3287472B2 (ja) ホログラフィック光学素子の作製方法
JPH11190968A (ja) ホログラム立体表示装置
JP3007360B2 (ja) 多重ホログラム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