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6508B1 - 반도체 집적회로 구동용 전원회로 - Google Patents

반도체 집적회로 구동용 전원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6508B1
KR100206508B1 KR1019960035523A KR19960035523A KR100206508B1 KR 100206508 B1 KR100206508 B1 KR 100206508B1 KR 1019960035523 A KR1019960035523 A KR 1019960035523A KR 19960035523 A KR19960035523 A KR 19960035523A KR 100206508 B1 KR100206508 B1 KR 100206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power supply
semiconductor
voltage
supply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5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2758A (ko
Inventor
신이치 요코타
도시유키 오카야스
Original Assignee
오오우라 히로시
가부시키가이샤 아드반테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오우라 히로시, 가부시키가이샤 아드반테스트 filed Critical 오오우라 히로시
Publication of KR970012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2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6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65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5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 G05F1/565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sensing a condition of the system or its load in addition to means responsive to deviations in the output of the system, e.g. current, voltage, power factor
    • G05F1/567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sensing a condition of the system or its load in addition to means responsive to deviations in the output of the system, e.g. current, voltage, power factor for temperature compens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23/00Electricity: power supply or regulation systems
    • Y10S323/907Temperature compensation of semicondu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Continuous-Control Power Sources That Use Transistors (AREA)
  • Pulse Circuits (AREA)

Abstract

제1반도체 회로부와 제2반도체 회로부가 IC로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1개의 IC칩으로서, 또한 상기 제1반도체 회로부는, 전파하는 신호에 고정밀도의 지연시간을 부여하기 위한 IC로부터 구성된 지연회로를 가지고, 이 지연회로의 지연시간이, 상기 제2반도체 회로부의 소비전력의 변화에 의해 변화함과 동시에 상기 제1반도체 회로부에 공급되는 전원전압의 변동에 의해 변화한다. 1개의 IC칩을 구동하는 IC구동용 전원회로에서, 상기 제1반도체 회로부에 동작전압을 공급하는 제1전원회로와, 상기 제2반도체 회로부에 동작전압을 공급함과 함께, 상기 제1전원회로의 출력전압을 변화시키는 제2전원회로를 설치하여, 상기 제2전원회로에 의해서, 온도에 기인하는 상기 제1반도체 회로부의 지연회로의 지연시간의 변동을 취소하도록, 상기 제2반도체 회로부의 소비전력의 변화에 응해서, 상기 제1전원회로의 출력전압을 제어한다.

Description

반도체 직접회로 구동용 전원회로
제1도는 1개의 IC 칩상의 IC의 레이 아웃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평면도이다.
제2도는 제1도에 나타나는 IC의 제1반도체 회로부에 포함되는 지연회로의 지연시간 (t1)과 제2반도체 회로부의 소비전력(P2)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도이다.
제3도는 제1도에 나타내는 IC의 제1반도체 회로부에 포함되는 지연회로의 지여시간 (t1)과 전원전압(E1)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IC 구동용 전원회로의 제1의 실시예를 개시하는 블럭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IC 구동용 전원회로의 제2의 실시예를 개시하는 블럭도이다.
제6도는 제5도에 나타내는 제2의 실시예의 1구체예를 개시하는 회로접속도이다.
제7도는 제4도 및 제5도에 나타내는 실시예의 제1전원회로 5의 출력전압(E1)과 제2반도체 회로부(2)의 소비전력(P2)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도이다.
제8도는 본 발명에 의한 IC 구동용 전원회로의 제3의 실시예를 개시하는 블럭도이다.
제9도는 본 발명에 의한 IC 구동용 전원회로의 제4의 실시예를 개시하는 블럭도이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반도체 집적회로에 소정의 동작전압(전류)를 공급하여 이 반도체 집적회로를 동작상태에 구동하는 반도체 집적회로 구동용 전원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온도변화 든지 전원전압의 변동등에 의해 반도체 집적회로의 지연회로부에서의 지연시간이 변동하는 것을 극력 방지할 수가 있는 반도체 집적회로용 전원회로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예컨대 반도체 메모리같은 반도체 집적회로(이하,IC라고 한다)를 시험하기위한 IC시험 장치(일반적으로 IC테스터라고 불리는)에 있어서는, 시험을 받는 IC(피시험IC)에 부여하는 소정 패턴의 테스트 신호든지, 여러가지의 제어신호등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각종의 타이밍신호를 필요로 한다. 이것 때문에 IC 시험장치에는 각종의 타이밍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타이밍신호 발생회로가 사용되어 있고, 이 타이밍신호 발생회로는, 일반적으로, 논리케이트소자로 이루어지는 지연소자를 다수개 세로로 접속하여, 이 세로로 접속된 지연소자의 각 단사이 혹은 각 출력측에서 원하는 지연시간을 가지는 타이밍신호를 얻도록 구성한 지연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종래, 이러한 세로로 접속된 다수개의 논리게이트소자로부터 구성된 지연회로는 TTL(Transistor transistor Logic) 또는 ECL(Emitter-coupled Logic)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었다. TTL이든지 ECL을 사용한 지연회로는 온도변화든지 전압의 변동에 의해서 신호의 전파지연시간이 거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이 종류의 지연회로에서는 온도 변화든지 전압의 변동은 너무 문제삼아지지 않았다.
근년, 지연회로에서의 소비전력을 극력 적게 하고, 또한, 직접회로의 직접도를 한층더 높이기 위해서 MOS 구조의 IC(MOS.IC)에 의해 구성된 지연회로가 IC시험장치의 타이밍신호 발생회로에 사용하고 있다. 예컨대, 세로로 접속된 다수개의 논리게이트소자를 CMOS(상보형MOS)구조의 IC로서 형성하여, 세로로 접속된 다수개의 CMOS디바이스의 각 단사이 혹은 각 출력측에서 지연시간이 다른 신호를 꺼낼 수 있도록한 지연회로는 종래부터 알려지고 있다(예컨대, 본출원인의 특원평 6-143950호「타이밍신호발생회로」를 참조.).
그렇지만, MOS.IC에 의해서 성된 지연회로는 온도변화든지 전압의 변동에 의해서 전파하는 신호에 부여하는 지연시간이 비교적 크게 변동하는 난점이 있어, 이것 때문에 정밀도가 높은 타이밍신호를 발생할 수가 없더, 타이밍신호를 고정밀도로 발생할 수가 있지 않으면 피시험 IC를 고정밀도로 시험할 수가 없다. 따라서, MOS.IC에 의해서 구성된 지연회로의 지연시간이 온도변화든지 전압의 변동에 의해서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방법이든지 장치가 종래부터 수없이 많이 제안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상술한 MOS.IC에 의해서 구성된 지연회로를 가지는 타이밍신호 발생회로는 IC시험장치의 다른 회로와 함께 1개의 IC 칩으로서 형성되는 것이 종종 있다. 제1도는 이러한 IC 칩상의 IC의 레이 아우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 타이밍신호 발생회로를 포함하는 IC 시험장치의 제1반도체 회로부(1)와, 그 밖의 논리회로등을 포함하는 IC 시험장치의 제2반도체 회로부(2)가 1개의 IC 칩상에 분리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타이밍신호 발생회로는 전파하는 신호에 고정밀도의 지연시간을 부여하기 위한 CMOS.IC에 의해서 구성된 지연회로를 가진다. 이들 제1및 제2반도체 회로부(1) 및(2)에는 도시하지 않은 공통의 1개의 전원회로에서 소정의 동작전압이 각각 공급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IC 칩(3)에 있어서는, 제2반도체 회로부(2)의 동작율이 변화하여, 그 소비전력이 변화(증가 또는 감소)하여, 이 제2반도체 회로부(2)에 있어서의 발열량이 변화하여, 그 온도가 변화한다. 제2반도체 회로부(2)의 온도가 변화하면, 동일 칩상의 제1반도체 회로부(1)의 온도도 변화하고, 따라서 이 제1반도체 회로부(1)에 포함되는 지연회로의 CMOS.IC가 온도변화의 영향을 받아, 전파하는 신호에 부여하는 지연 시간이 비교적 크게 변동한다. 따라서, 고정밀도의 지연시간을 부여할 수 없게 된다. 제2도는 제2반도체 회로부(2)의 소비전력(P2)의 변화, 따라서 그 온도(T1)의 변화에 의해 제1반도체 회로부(1)의 지연회로의 지연시간(t1)이 변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 그래프로부터, 제2반도체 회로부(2)의 소비전력(P2)(따라서,온도(T1)가 증가함에 따라서 반도체 회로부(1)의 CMOS.IC에 의해서 구성된 지연회로의 지연시간(t1)이 증대하는 것을 안다.
그 위, 제1반도체 회로부(1)는 전원회로에서 공급되는 동작전압이 변동하더라도 그 지연회로의 지연시간(t1)이 변동한다. 제3도는 전원전압(E1)의 변동에 의해 제1반도체 회로부(1)의 지연회로의 지연시간(t1)이 변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 그래프로부터, 전원전압(E1)이 높게 됨에 따라서 CMOS.IC에 의해서 구성된 지연회로의 지연시간(t1)이 감소하는 것을 안다.
이러한 IC를 구동하는 종래의 전원회로는, 공통의 1개의 전원회로에서 제1및 제2반도체 회로부(1)및(2)에 각각 동작전압을 공급하거나, 또는 2개의 전원회로를 설치하여 이들 전원회로에서 제1및 제2반도체 회로부(1)및(2)에 따로따로 동작전압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어느쪽의 경우에도, 제1반도체 회로부(1)의 지연회로의 지연시간(t1)이 온도변화에 의해서 변동하는 것을 전원회로에 의해서 방지하려고 말하고 생각하지 않았다. 이것 때문에 제1반도체 회로부(1)의 지연회로의 지연시간이 온도 및 전원 전압의 변동에 의해서 비교적 크게 영향을 받아, 전파하는 신호에 고정밀도의 지연시간을 부여할 수 없었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목적은, IC에 의해서 구성된 지연회로의 지연시간이 온도변화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것을 극력 방지할 수가 있는 IC 구동용 전원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반도체 회로부와 제2반도체 회로부가 IC로서 일체적으로 형성된 1개의 IC 칩으로서, 또한 상기 제1반도체 회로부는, 전파하는 신호에 고정밀도의 지연시간을 부여하기 위한 IC로부터 구성된 지연회로를 가지고, 이 지연회로의 지연시간이, 상기 제2반도체 회로부의 소비전력의 변화에 의해 변화함과 동시에 상기 제1반도체 회로부에 공급되는 전원전압의 변동에 의해 변화한다. 1개의 IC 칩를 구동하는 IC 구동용 전원회로에서, 상기 제1반도체 회로부에 동작전압을 공급하는 제1전원회로와 상기 제2반도체 회로부에 동작전압을 공급함과 함께, 상기 제1전원회로의 출력전압을 변화시키는 제2전원회로를 구비하여, 상기 제2전원회로에 의해서, 온도에 기인하는 상기 제1반도체 회로부의 지연회로의 지연시간의 변동을 취소하도록, 상기 제2반도체 회로부의 소비전력의 변화에 응해서, 상기 제1전원회로의 출력전압을 제어하는 IC 구동용 전원회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1의 면에서는, 상기 제2전원회로는 시정수 회로를 가지어, 이 시정수회로에, 상기 제2반도체 회로부의 소비전력이 변화한 시점에서 상기 제1반도체 회로부의 온도가 변화할때 까지 시간지연에 대응하는 상기 제1반도체 회로부의 온도 시정수와 거의 같은 시정수를 갖게 하여, 이 시정수만 늦춰 상기 제2전원회로는 상기 제1전원 회로의 출력전압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제2의 면에서는, 상기 제1전원회로는 시정수회로를 가지어, 이 시정수회로에, 상기 제2반도체 회로부의 소비전력이 변화한 시점에서 상기 제1반도체 회로부의 온도가 변화할때까지 시간지연에 대응하는 상기 제1반도체 회로부의 온도 시정수에 거의 같은 시정수를 갖게 하여, 상기 제1전원회로는, 상기 제2전원회로에서 전원전압이 공급된 때에, 상기 시정수만 늦춰 그 출력전압을 변화시킨다.
본 발명의 제3의 면에서는, 상기 IC 칩의 온도를 검출하는 센서를 설치하여, 이 센서의 출력에 의해서 상기 제1전원회로의 출력전압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제4의 면에서는, 상기 제2전원회로는, 컬렉터가 직류전원에 접속되어, 이미터가 전류/전압변환기를 통해 상기 제2반도체 회로부에 전원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출력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트랜지스터회로와, 상기 제2전원회로의 출력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전압과 기준전압과의 차이 값을 증폭하여, 그 증폭한 출력 전압을 상기 트랜지스터의 기초로 부여하여, 상기 제2전원회로의 출력단자로부터의 전원전압이 상기 기준전압에 거의 같이 되도록 제어하는 차동증폭회로를 포함하고, 상기전류/전압변환기로 변환된 전압을 상기 제1전원회로에 공급하여 상기 제1전원회로의 출력전압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제5의 면에서는, 상기 제2전원회로는, 상기 전류/전압변환기의 상기 제1전원회로에 대하는 출력측에, 상기 제1반도체 회로부의 온도 시정수와 거의 같은 시정수를 가지는 저역 필터를 그 위에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6의 면에서는, 상기 제1전원회로는, 상기 제1반도체 회로부의 온도시 정수와 거의 같은 시정수를 가지는 저역 필터를 그 위에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이하, 본 발명에 의한 IC 구동용 전원회로의 실시예에 관해서 제4도 - 제9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 이하에 있어서는,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서, 본 발명을 IC 시험장치에 적용한 경우에 관해서 설명한다. 또한, 타이밍신호 발생회로의 지연회로가 MOS.IC, 특히 CMOS.IC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는 경우를 예를 들어서 설명 하지만, 본 발명이 그것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IC 구동용 전원회로의 제1의 실시예를 개시하는 블럭도이다. 전원회로에 의해서 구동되는 IC 칩에는, 제1도에 나타낸 것같이, 전파하는 신호에 고정밀도의 지연시간을 부여하기 위한 CMOS.IC에 의해서 구성된 지연회로를 가지는 타이밍신호 발생회로를 포함하는 제1반도체 회로부(1)와, 그 밖의 논리회로등을 포함하는 제2반도체 회로부(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IC 칩(3)을 구동하는 전원회로를, 상기 지연회로를 포함하는 제1반도체 회로부(1)를 구동하는 제1전원회로(5)와, 상기 그 밖의 논리회로등을 포함하는 제2반도체 회로부(2)를 구동하는 제2전원회로(6)와 분리함과 동시에, 이 제2전원회로(6)에 의해서 제어신호선(7)을 통하여 제1전원회로(5)를 제어하여 그 전원전압(E1)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 제2전원회로(6)의 제어는, 제2반도체 회로부(2)의 소비전력(P2)이 변화하여, 그것에 의하여 제2반도체 회로부(2)의 온도가 변화하여 제1반도체 회로부(1)의 지연회로의 지연시간이 변화한 때에, 제1반도체 회로부(1)에 공급되는 제1전원회로(5)의 전원전압(E1)을, 이 지연회로의 지연시간의 변화를 취소하는 방향에 변화시키는 것이다. 요컨대, 제2반도체 회로부(2)의 소비전력(P2)의 변화에 응해서, 제1반도체 회로부(1)의 지연회로의 지연시간의 변화를 취소한 제1전원회로(5)의 전원전압(E1)을 제어하는 것이다.
종래 기술의 IC 구동용 전원회로에 관련하여 상기한 바와같이, 제1반도체 회로부(1)의 CMOS.IC에 의해서 구성된 지연회로의 지연시간(t1)은, 제2반도체 회로부(2)의 소비전력(P2)이 변화하고, 그 온도(T1)가 변화하면, 제2도에 도시한 것처럼 변화하고, 또한, 제1반도체 회로부(1)에 제1전원회로(5)로부터 공급되는 동작전압(E1)이 변동하면, 그 지연회로의 지연시간(t1)이 제3도에 도시한 것처럼 변화한다.
따라서, 상기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2반도체 회로부(2)의 소비전력(P2)이 예컨대 증대하여, 그것에 의하여 제2반도체 회로부(2)의 온도가 높게 되어 제1반도체 회로부(1)의 지연회로의 지연시간(t1)이 증대한 때에, 제1반도체 회로부(1)에 공급되는 제1전원회로(5)의 전원전압(E1)을 높게 하게되기 때문이고, 제3도에 도시한 것처럼 지연회로의 지연시간(t1)은 감소한다. 따라서 제2반도체 회로부(2)의 온도상승에 의한 지연회로의 지연시간(t1)의 증대를, 제1반도체 회로부(1)에 공급되는 제1전원회로(5)의 전원전압(E1)을 높게 함으로써 취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리하여, 지연회로를 전파하는 신호에 고정밀도의 지연시간을 부여할 수 있어, 소망하는 타이밍신호를 고정밀도로 얻을 수 있다.
제4도에 나타내는 제1의 실시예로서는, 제1및 제2전원회로(5)및 (6)의 입력단자(IN1및 IN2)에 직류전원(4)으로부터 전압(E)를 각각 공급하여, 이들 전원회로(5)및 (6)의 출력단자(OUT1 및 OUT2)으로부터 전원전압(동작전압)(E1및 E2)을 대응하는 제1및 제2반도체 회로부(1)및 (2)에 각각 공급하도록 구성하였지만, 제5도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와 같게, 제2전원회로(6)에만 직류전원(4)으로부터 전압(E)를 공급하고, 이 제2전원회로(6)로부터, 전원선을 겸용한 제어신호선(7a)를 통해, 소정의 직류전압을 제1전원회로(5)의 입력단자(IN1)에 공급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제6도는 이 제2의 실시예의 제1및 제2전원회로(5)및 (6)의 1구체예를 각각 나타낸다. 제2전원회로(6)는, npn트랜지스터(Q)를 포함하는 트랜지스터회로(11)와, 차동증폭기(12)와, 전류/전압변환기(8)와, 저항기(R)와 콘덴서(C)로 이루어지는 저역 필터(LPF)(9)를 포함하고, 트랜지스터(Q)의 컬렉터는 제2전원회로(6)의 입력단자(IN2)에 접속되어, 이미터는 전류/전압변환기(8)의 입력포트에 접속됨과 동시에 저역필터(9)의 입력포트에 접속되고, 베이스는 차동증폭기(12)의 출력포트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전류/전압변환기(8)의 출력포트는 제2전원회로(6)의 출력단자(OUT2)에 접속됨과 동시에 차동증폭기(12)의 -(마이너스)입력포트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트랜지스터(Q)의 컬렉터에 전원(4)으로부터 직류전압(E)가 공급되면, 트랜지스터(Q)는 베이스 바이어스전압(Vo)에 의해서 도통상태에 있기 때문에, 이미터 전류가 흐른다. 이 이미터전류는 전류/전압변환기(8)(이 예로서는 저항기(R))를 통해서 제2전원회로(6)의 출력단자(OUT2)에 공급되어, 이 때 이미터 전류는 전류/전압 변환기(8)로 전압으로 변환된다. 이 변환된 전압은 저역 필터(8)를 통해 제1전원회로(5)의 입력단자(IN1)에 전원전압(E3)으로서 공급된다. 여기서, 저역 필터(9)를 통해 제1전원회로(5)에 흐르는 전류는, 제1전원회로(5)의 버퍼회로(10)의 입력임피던스가 대단히 높기 때문에, 무시할 수 있는 정도이고, 따라서 이미터전류는 실질적으로 거의가 전류/전압변환기(8)를 통하여 출력단자(OUT2)에 흐른다. 여기서는 이 전류를 이미터전류(I2)로 칭한다.
차동증폭기(12)의 +(플러스)입력포트에는 기준전압(Vr)가 공급되어 있기 때문에, 그 입력포트에 공급되는 전압, 요컨대, 제2전원회로(6)의 전원전압(E2)과의 차(Vr-E2)를 증폭하여 그 출력포트로부터 바이어스전압(Vo)으로서 트랜지스터(Q)의 베이스로 공급한다. 차동증폭기(12)의 이득은 대단히 크기 때문이고, 트랜지스터(Q), 전류/전압변환기(8), 및 차동증폭기(12)로 이루어지는 피드백회로에 의해서 제2전원회로(6)의 전원전압(E2)을 거의 기준전압(Vr)와 같은 일정치로 제어할 수가 있다.
다음에 상술한 제2전원회로(6)의 제어동작에 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지금, 차동증폭기(12)의 이득을 A라고 하면, 다음식이 성립한다.
(Vr-E2)A=Vo ...(1)
이미터전압Ve는, 베이스.이미터전압을 Vbe라고 하면,
Ve=VO-Vbe
=(Vr-E2)A-Vbe ...(2)
전류/전압변환기(8)의 입력임피던스를 Z (이 예에서는 Z=R)라고 하면, 그 입력포트의 전압(I2Z)는
I2Z=Ve-E2
=(Vr-E2)A-Vbe-E2
=VrA-E2(A+1)-Vbe ...(3)
제2반도체 회로부(2)의 전부하임피던스를 Z2이라고 하면,
E2-Z2I2...(4)
(4)식을(3)식에 대입하면
I2Z=VrA-Z2I2(A+1)-Vbe
∴I2=(VrA-Vbe)/{Z+Z2(A+1)}
=(Vr-Vbe/A)/{Z/A+Z2(1+1)/A)} ...(5)
상술한 바와같이 차동증폭기(12)의 이득 A는 지극히 크기 때문에, Vbe/A≒0, Z/A≒0, 1/A≒0이라고 간주할 수 있다.
∴I2≒Vr/Z2
∴Vr≒I2Z2=E2...(6)
위 식(6)으로부터, 제2전원회로(6)의 전원전압(출력전압)(E2)은 기준전압(Vr)에 거의 같은 전압이 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안다.
제2반도체 회로부(2)의 소비전력(P2)은
P2=E2I2≒VrI2...(7)
따라서, 소비전력(P2)은 이미터전류(I2)에 거의 비례한다. 한편, 이미터전류는 전류/전압변환기(8)로 전압으로 변환되고, 이 전압이 저역 필터(9)로 필터되어 전압(E3)으로서 제2전원회로(6)로부터 출력되지만, 이 전압(E3)은 이 예로서는 DC적으로는 이미터전압(Ve)와 같다. 따라서, 다음식이 성립한다.
E3= Ve = ZI2+E2≒ ZI2+Vr ≒ ZP2/Vr + Vr ...(8)
이 식(8)으로부터 제2반도체 회로부(2)의 소비전력(P2)에 응해서 변화하는 전원전압(E3)이 버퍼회로(10)와 제너 다이오드(Dz)에 의해 구성된 제1전원회로(5)에 공급되는 것을 안다. 그 결과, 제1전원회로(5)의 전원전압(E1)은, 제너 다이오드(Dz)에서의 전압 강하분을 (Vz)로 하면,
E1= E3-Vz = ZP2/Vr+Vr-Vz ...(9)
로 된다.
따라서, 제1전원회로(5)의 전원전압(E1)은, 제7도에 도시한 것처럼 제2반도체 회로(6)의 소비전력(P2)의 변화에 응해서 변화한다. 제7도로부터, 예컨대 제2반도체 회로(6)의 소비전력(P2)이 증대하면 비례적으로 제1전원회로(5)의 전원전압(E1)이 높게 되어, 제2반도체 회로(6)의 소비전력(P2)이 감소하면 비례적으로 제1전원회로(5)의 전원전압(E1)이 낮게 되는 것을 안다.
이리하여, 제2반도체 회로(6)의 소비전력(P2)의 증대(감소)에 응해서 제1전원회로(5)의 전원(출력)전압(E1)이 높게 (낮게)되면, 제1반도체 회로부(1)의 지연회로의 지연시간(t1)은 제3도에 도시한 것처럼 감소(증가)하여, 소비전력(P2)의 증대(감소)에 기인하는 지연시간(t1)의 증가분을 취소할 수가 있다.
그런데, 제2반도체 회로부(2)의 소비전력(P2)이 △P2증가(감소)한 시점에서, 제1반도체 회로부(1)의 온도(T1)가 △T1상승(강하)하고 동시에 지연회로의 지연시간(t1)이 △t1증가(감소)하는 시점까지는 다소의 시간 지연(td)가 존재한다. 그 때문에 제2전원회로(6)는, 제1반도체 회로부(1)의 시간 지연(td)에 대응하는 온도 시정수와 거의 같은 시정수를 갖고, 제1전원회로(5)의 전원전압(E1)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 때문에 이 실시예로서는 제2전원회로(6)에 저역 필터(9)를 삽입하여, 이 저역 필터(9)에 의해서 제1전원회로(5)에 공급하는 전원전압(E3)에, 제1반도체 회로부(1)의 시간 지연(td)에 대응하는 온도 시정수와 거의 같은 시정수를 갖게 하여, 실질적으로 td만큼 지연시켜 전원전압(E3)을 제1전원회로(5)에 공급하도록하고 있다. 또, 제1전원회로(5)의 버퍼회로(10)는 전압이득이(1)의 버퍼(전압플로어회로)이고, 전압원으로서 전류공급능력을 갖기 하기 위해서 설치하고 있다.
또한, 제2전원회로(6)에 삽입한 저역 필터(9)를 제1전원회로(5)의 입력측(예컨대 버퍼회로(10)의 전단 또는 후단)에 삽입하여, 제2전원회로(6)로 부터는 전류/전압변환기(8)의 전압을 그대로 전원전압(E3)으로서 제1전원회로(5)에 공급하여, 제1전원회로(5)에 있어서 공급된 전원전압(E3)에 저역 필터에 의해 제1반도체 회로부(1)의 온도시정수와 거의 같은 시정수를 갖게 하여, 출력전압(E1)을 실질적으로 td만큼 지연시켜 변화시켜도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더욱, IC 칩(3)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14)를 설치하여, 이 센서(14)의 출력을 제4도 또는 제5도의 제1전원회로(5)에 공급하여, 제1전원회로(5)의 출력전압(E1)을 온도센서(14)의 출력에 의해서 더욱 제어한다. 요컨대, 미조정 하도록 구성하면, 제1반도체 회로부(1)의 지연시간의 시간 지연(td)를 고정밀도로 보상할 수가 있다. 제8도는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를 개시하는 블럭도이고, 제4도의 제1의 실시예에 온도센서(14)를 부가한 경우를 나타낸다. 또한, 제9도는 제5도의 제2의 실시예에 온도센서(14)를 부가한 경우를 나타낸다. 양 실시예에서도 제1전원회로(5)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전압을 온도센서(14)의 출력신호에 의해서 보정하도록 하고 있지만, 제1전원회로(5)에 입력되는 전압을 온도센서(14)의 출력신호에 의해서 보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상기 각 실시예는 제1반도체 회로부(1)의 지연회로가 CMOS.IC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는 경우를 예를 취해서 설명하였지만, 지연회로가 MOS.IC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혹은 MOS.IC 이외의 IC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고, 같은 작용효과가 얻어지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지연회로를 구성하는 IC가 제2도의 소비전력(P2) 대 지연시간(t1) 특성 및 제3도의 전원전압(E1) 대 지연시간 특성(t1)과는 각각 반대의 특성을 나타내는(소비전력(P2)이 증대하면 지연시간(t1) 특성이 감소하고, 전원전압(E1)이 높게 되면 지연시간(t1) 특성이 증대하는)경우에는, 제7도의 소비전력(P2)대 전원전압(E1)특성과는 반대의 특성이 되는 제1전원회로(5)의 전원전합(E1)을 제어하기 좋다. 예컨대, 제6도에 있어서 트랜지스터회로(11)의 트랜지스터(Q)를 pnp형의 트랜지스터로 하면 이러한 제어가 가능해진다. 더욱, 이 명세서로 기재한「지연회로」는, 가령 지연회로라고 말하는 명칭이 붙고 있지 않은 회로에서도, 입력신호가 소정의 시간 지연되어 출력되는 회로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발명의 효과]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밀도의 지연시간을 부여하기 위한 IC에 의해서 구성된 지연회로를 포함하는 제1반도체 회로부(1)와, 그 밖의 논리회로등을 포함하는 제2반도체 회로부(2)과 각각 따로따로 동작전압을 공급하는 제1및 제2전원회로(5)및 (6)을 설치하여, 제2전원회로(6)에 의해서, 제2반도체 회로부(2)의 소비전력 P2의 변화에 응해서, 제1전원회로(5)의 동작전압을 변화시키어 제1반도체 회로부(1)의 온도에 기인하는 지연시간의 변동을 취소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제1반도체 회로부(1)의 지연시간의 온도변동을 종래보다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고 하는 현저한 이점이 있다.

Claims (7)

  1. 제1반도체 회로부와 제2반도체 회로부가 반도체 집적회로로서 일체적으로 형성된 1개의 반도체 집적회로 칩으로서, 또한 상기 제1반도체 회로부는, 전파하는 신호에 고정밀도의 지연시간을 지연시간이, 상기 제2반도체 집적회로로부터 구성된 지연회로를 가지어, 이 지연회로의 부여하기 위한 반도체 회로부의 소비전력의 변화에 의해 변화함과 동시에 상기 제1반도체 회로부에 공급되는 전원전압의 변동에 의해 변화하는, 1개의 반도체 직접회로 칩을 구동하는 반도체 집적회로 구동용 전원회로에서, 상기 제1반도체 회로부에 동작전압을 공급하는 제1전원회로와, 상기 제2반도체 회로부에 동작전압을 공급함과 함께, 상기 제1전원회로의 출력전압을 변화시키는 제2전원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2전원회로는, 온도에 기인하는 상기 제1반도체 회로부의 지연회로의 지연시간의 변동을 취소하도록, 상기 제2반도체 회로부의 소비전력의 변화에 응해서, 상기 제1전원회로의 출력전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 구동용 전원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원회로는 시정수회로를 가지어, 이 시정수회로에, 상기 제2반도체 회로부의 소비전력이 변화한 시점에서 상기 제1반도체 회로부의 온도가 변화할때까지 시간 지연에 대응하는 상기 제1반도체 회로부의 온도시정수와 거의 같은 시정수를 갖게하여, 이 시정수만 지연시켜 상기 제1전원회로의 출력전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 구동용 전원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원회로는 시정수회로를 가지어, 이 시정수회로에,상기 제2반도체 회로부의 소비전력이 변화한 시접에서 상기 제1반도체 회로부의 온도가 변화할까지 시간 지연에 대응하는 상기 제1반도체 회로부의 온도시정수와 거의 같은 시정수를 갖게하여, 상기 제1전원회로는, 상기 제2전원회로에서 전원전압이 공급된 때에, 상기 시정수만 지연시켜 그 출력전압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 구동용 전원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집적회로 칩의 온도를 검출하는 센서를 설치하여, 이 센서의 출력에 의해서 상기 제1전원회로의 출력전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 구동용 전원회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원회로는, 컬렉터가 직류전원에 접속되어, 이미터가 전류/전압변환기를 통해 상기 제2반도체 회로부에 전원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출력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트랜지스터회로와, 상기 제2전원회로의 출력 단자로 부터 출력되는 전원전압과 기준전압과의 차이 값을 증폭하여, 그 증폭한 출력전압을 상기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부여하여, 상기 제2전원회로의 출력단자로 부터의 전원전압이 상기 기준전압과 거의 같게 되도록 제어하는 차동증폭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전류/전압변환기로 변환되는 전압을 상기 제1전원회로에 공급하여 상기 제1전원회로의 출력전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 구동용 전원회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원회로는, 상기 전류/전압변환기의 상기 제1전원회로에 대하는 출력측에, 상기 제1반도체 회로부의 온도시정수와 거의 같은 시정수를 가지는 저역 필터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 구동용 전원회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원회로는, 상기 제1반도체 회로부의 온도시정수와 거의 같은 시정수를 가지는 저역 필터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 구동용 전원회로.
KR1019960035523A 1995-08-25 1996-08-26 반도체 집적회로 구동용 전원회로 KR1002065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714595 1995-08-25
JP95-217145 1995-08-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2758A KR970012758A (ko) 1997-03-29
KR100206508B1 true KR100206508B1 (ko) 1999-07-01

Family

ID=16699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5523A KR100206508B1 (ko) 1995-08-25 1996-08-26 반도체 집적회로 구동용 전원회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731735A (ko)
KR (1) KR100206508B1 (ko)
DE (1) DE19633971C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3802B1 (ko) * 2007-12-26 2009-12-2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소자와 그의 구동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3754A (ja) * 1996-10-28 1998-05-22 Fujitsu Ltd レギュレータ回路及び半導体集積回路装置
JPH10171774A (ja) * 1996-12-13 1998-06-26 Fujitsu Ltd 半導体集積回路
US6005408A (en) * 1997-07-31 1999-12-21 Credence Systems Corporation System for compensating for temperature induced delay variation in an integrated circuit
JP3324646B2 (ja) * 1999-07-01 2002-09-17 日本電気株式会社 回路装置、その動作方法
KR100402653B1 (ko) * 1999-08-16 2003-10-22 가부시키가이샤 아드반테스트 Ic 시험장치의 타이밍 교정방법 및 그 교정방법을이용한 교정기능을 갖는 ic 시험장치
DE19963813A1 (de) * 1999-12-30 2001-07-19 Infineon Technologies Ag Schaltungsanordnung zur Regelung des Leistungsverbrauchs eines integrierten Schaltkreises
US6974252B2 (en) * 2003-03-11 2005-12-13 Intel Corporation Failsafe mechanism for preventing an integrated circuit from overheating
US6806695B1 (en) * 2003-03-31 2004-10-19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efficiency optimization of integrated circuits by temperature sensor and servo loop
EP1544990A3 (fr) * 2003-12-16 2009-11-04 St Microelectronics S.A. Limitation de courant dans une inductance avec adaptation de courant limite
JP4324202B2 (ja) * 2007-01-25 2009-09-02 シャープ株式会社 A/d変換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46428A (en) * 1970-11-27 1972-02-29 Bell Telephone Labor Inc Symmetrical voltage regulator
US5197033A (en) * 1986-07-18 1993-03-23 Hitachi, Ltd. Semiconductor device incorporating internal power supply for compensating for deviation in operating condition and fabrication process conditions
US5130582A (en) * 1989-09-19 1992-07-14 Tdk Corporation Delay circuit which is free from temperature variation, power supply voltage variation and process variation
US5081380A (en) * 1989-10-16 1992-01-14 Advanced Micro Devices, Inc. Temperature self-compensated time delay circuits
US5491673A (en) * 1994-06-02 1996-02-13 Advantest Corporation Timing signal generation circui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3802B1 (ko) * 2007-12-26 2009-12-2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소자와 그의 구동 방법
US7995416B2 (en) 2007-12-26 2011-08-09 Hynix Semiconductor Inc.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731735A (en) 1998-03-24
DE19633971A1 (de) 1997-02-27
KR970012758A (ko) 1997-03-29
DE19633971C2 (de) 1998-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96262B1 (en) Current detector
KR100206508B1 (ko) 반도체 집적회로 구동용 전원회로
US4030023A (en) Temperature compensated constant voltage apparatus
US6664856B2 (en) Circuit configuration for setting the operating point of a radiofrequency transistor and amplifier circuit
US20070030013A1 (en) Noise measurement semiconductor apparatus
US6300804B1 (en) Differential comparator with dispersion reduction circuitry
JP2868115B2 (ja) 半導体集積回路駆動用電源回路
EP0611105B1 (en) Current source
US20040027759A1 (en) Overcurrent detecting circuit
US5430388A (en) Output noise reduction circuit
US6396319B2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with quick charging/discharging circuit
US5063310A (en) Transistor write current switching circuit for magnetic recording
JPH0669140B2 (ja) レベルシフト回路
KR0180462B1 (ko) 히스테리시스형 비교기
US6400193B1 (en) High speed, high current and low power consumption output circuit
JPH11259152A (ja) シリーズレギュレータ
JP2000056841A (ja) 電圧リミッタ回路
JP3058998B2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
JP2001244758A (ja) バッファ回路およびホールド回路
JP3063345B2 (ja) 飽和防止回路
JP3186001B2 (ja) Ic試験装置
SU1084961A1 (ru) Усилитель тока
JPS6281119A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
JPH1051248A (ja) 差動増幅回路
KR900005303B1 (ko) 전원전압 추종형 바이아스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2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