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6125B1 - 음성지원기능을 갖는 가요반주기 및 그 구현방법 - Google Patents

음성지원기능을 갖는 가요반주기 및 그 구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6125B1
KR100206125B1 KR1019960020917A KR19960020917A KR100206125B1 KR 100206125 B1 KR100206125 B1 KR 100206125B1 KR 1019960020917 A KR1019960020917 A KR 1019960020917A KR 19960020917 A KR19960020917 A KR 19960020917A KR 100206125 B1 KR100206125 B1 KR 100206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ain control
control means
voic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0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4912A (ko
Inventor
최해민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20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6125B1/ko
Publication of KR980004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4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6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61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2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10H1/363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using optical disks, e.g. CD, CD-ROM, to store accompaniment information in digital form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 지원 기능을 갖는 가요반주기 및 그 구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가요반주기의 동작을 설정하기 위한 키입력수단; 상기 키입력수단에서 설정된 키신호를 입력받고, 그 키신호에 응답하여 영상신호와 소리 신호의 처리동작에 대한 가요반주기 모듈을 제어하는 주제어수단; 데이터 독출수단; 상기 주제어수단을 통해 데이터 독출수단의 구동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필드메모리; 상기 주제어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키신호에 응답하여 운용프로그램 메모리로부터 어드세르를 로드하여 주제어수단으로 피드백하는 중앙처리장치; 음성신호 디코더수단; 상기 주제어수단의 출력신호 중 배경음악 및 효과음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미디모듈수단; 혼합수단; 및 영상 처리 수단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요반주기에 음성 지원기능을 구비하여 음성이 필수적으로 필요한 교육용 소프트웨어 재생시 음성신호가 출력되도록 지원하므로서 보다 다양한 기능 및 소프트웨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음성 지원 기능을 갖는 가요반주기 및 그 구현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음성 지원 기능을 갖는 가요반주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음성 지원 기능을 갖는 가요반주기의 구현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운용프로그램 저장용 메모리 20 : 중앙처리장치
30 : 콤팩트디스크 40 : 키입력부
50 : 주제어부 60 : 데이터 독출부
70 : 시디롬 디코더 80 : 필드메모리
90 : 음성신호 디코더 100 : 미디 모듈부
110 : 제1D/A 변환부 120 : 혼합부
130 : 제2D/A 변환부 140 : 영상처리부
150 : 디스플레이부
본 발명은 음성 지원 기능을 갖는 가요반주기 및 그 구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용반주기에 음성 지원 기능을 구비하여 음성이 필수적으로 필요한 교육용 소프트웨어 재생시 음성신호가 출력되도록 지원하므로서 보다 다양한 기능 및 소프트 웨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음성 지원 기능을 갖는 가요반주기 및 그 구현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가요반주기의 교육보충재료 또는 만화 디스크의 경우 미디 트랙(MIDI track)에 여상(Image)과 쳅터(chapter)등의 정보를 담아 가요반주기가 가요 디스크를 재생하는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그림 및 자막을 표현한다. 여기서 음악은 미디 방식을 이용한 것으로서 배경음악으로 사용하나 랜덤하게 나타낼 필요가 있는 오디오 신호에 대해서는 계속 디스크로부터 액세스(access)해야 하므로 그 속도와 효율면에서 비능률적이다. 또한, 음성 지원이 되지 않으므로 단조로운 교육보충재료로서 디스크의 재생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통상적인 가요반주기는 음성 지원이 안되며, 랜덤한 효과음을 사용하기 어렵고, 교육용이나 홍보용등에서 다양한 기능의 시스템 구현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가요반주기에 음성 지원 기능을 부가하여 재생시 음성이 필수적인 소프트웨어에 대해서 음성지원을 해주므로서 홍보용 또는 교육용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음성 지원 기능을 갖는 가요반주기 및 그 구현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장치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가요반주기의 동작을 설정하기 위한 키입력수단; 상기 키입력수단에서 설정된 키신호를 입력받고, 그 키신호에 응답하여 영상신호와 소리신호의 처리동작에 대한 가요반주기 모듈을 제어하는 주제어수단; 상기 주제어수단의 제어신호에 의해 콤팩트디스크상에 기록된 구동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리드하는 데이터 독출수단; 상기 주제어수단을 통해 데이터 독출수단의 구동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필드메모리; 상기 주제어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키신호에 응답하여 운용프로그램 메모리로부터 어드레스를 로드하여 주제어수단으로 피드백하는 중앙처리장치; 상기 주제어수단을 통해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압축되기 이전의 포맷으로 신장시키는 음성신호 디코더수단; 상기 주제어수단의 출력신호 중 배경음악 및 효과음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미디모듈수단; 상기 음성신호 디코더수단의 출력신호와 디미모듈수단의 출력신호를 혼합하여 출력가능한 오디오 신호를 발생하는 혼합수단; 및 상기 주제어수단의 출력신호 중 영상신호를 출력가능한 신호로 변환하는 영상처리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음성 지원 기능을 갖는 가요반주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가요반주기의 동작을 설정하기 위한 키입력부(40)와, 상기 키입력부(40)에서 설정된 키신호를 입력받고, 그 키신호에 응답하여 영상신호와 소리신호의 처리동작에 대한 가요반주기 모듈을 제어하는 주제어부(50)와, 상기 주제어부(50)의 제어신호에 의해 콤팩트디스크(30)상에 기록된 구동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리드하는 데이터 독출부(60)와, 시디롬 디코더(70) 및 주제어부(50)를 통해 데이터 독출부(60)의 구동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필드메모리(80)와, 상기 주제어부(50)를 통해 입력되는 키신호에 응답하여 운용프로그램 메모리(10)로부터 어드레스를 로드하여 주제어부(50)로 피드백하는 중앙처리장치(20)와, 상기 주제어부(50)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복호화하는 음성신호 디코더(90)와, 상기 주제어부(50)의 출력신호 중 배경음악 및 효과음 신호를 출력하는 미디모듈부(100)와, 상기 미디모듈부(100)에서 출력된 배경음악 및 효과음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제1 D/A 변환부(110)와, 상기 음성신호 디코더(90)의 출력신호와 미디모듈부(100)의 출력신호를 혼합하여 출력가능한 오디오 신호를 발생하는 혼합부(120)와, 상기 주제어부(50)의 출력신호 중 영상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제2 D/A 변환부(130)와, 상기 3색신호를 출력가능한 컬러신호로 변환하는 영상처리부(140)로 구성된다.
미설명 도면 부호 160은 제3 D/A 변환부로서 통상적인 디스크의 기록된 정보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미설명 도면부호 150은 액정소자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부로서 가요반주기의 현재 동작상태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음성 지원 기능을 갖는 가요반주기의 구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먼저 콤팩트디스크를 이용한 교육용 소프트웨어의 재생에 있어서 그 내용을 챕터(chapter) 와 섹션(section) 등으로 구분하고, 각 챕터 및 섹션을 재생할 때 사용되는 배경 반주용 미디 파일의 한 트랙(track)에 그 챕터 또는 섹션등의 재생시에 필요한 음성 및 효과음의 위치정보를 기록한다.
상기 콤팩트디스크상에 기록되는 정보의 형식은 다음 표 1과 같다.
상기 리드인 영역은 콤팩트디스크상에 복수개의 소프트웨어가 집적되므로 각 소프트웨어의 데이타가 기록되어 있는 첫부분임을 알려주는 부분이며, 영상정보 인덱스 테이블은 상기 소프트웨어에 적용되어 모니터상으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의 종류를 알기 쉽게 표시하여 원하는 영상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미디인덱스 테이블은 상기 소프트웨어에 적용되는 효과음 및 배경음악의 종류를 알기 쉽게 표시하여 원하는 효과음 및 배경음악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음성 인덱스 테이블은 상기 소프트웨어에 적용되는 음성 데이터의 종류를 알기 쉽게 표시하여 원하는 음성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영상 데이터, 미디 데이터, 음성 데이터는 상기 인덱스 테이블에서 표시한 것의 구체적인 데이터를 의미하며, 리드 아웃 영역은 한 소프트웨어의 마지막 부분까지의 기록이 끝났음을 의미한다.
가요반주기의 파워를 온 시킨후 가요 반주기의 디스크드라이브에 상기와 같은 정보가 기록된 콤팩트디스크(30)를 삽입하면 콤팩트디스크(30)상에 기록된 구동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데이터 독출부(60)에서 리드하고, 그 리드한 소프트웨어의 구동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주제어부(50)를 통해 제2 메모리(80)에 로드(S2)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가요반주기의 저면 패널에 부착된 키입력부(40)를 통해 임의의 챕터나 섹선을 선택하여 재생하면 운용프로그램 메모리(10)로부터 어드레스를 로드하여 메모리(10)에 저장된 운용프로그램 및 중앙처리장치(20)에 의해 선택된 챕터나 섹션에 해당하는 데이터의 어드레스 및 구동 프로그램의 구동 신호를 주제어부(50)로 출력하고, 주제어부(50)에서는 데이터 독출부(60)로 키입력부(40)에 의해 선택된 챕터나 섹션에 해당되는 어드레스를 출력한다.
그러면 데이터 독출부(60)에서는 그 어드레스에 해당하는 구동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독출하여 주제어부(50)로 출력하고, 구동프로그램 및 데이터는 주제어부(50)에 의해 필드메모리(80)에 임시로 저장된다. 그리고나서 키입력부(40)에 의해 임의의 챕터나 섹션을 선택한 키신호가 입력(S6)되면 주제어부(50)는 그 신호에 응답하여 필드메모리(80)로부터 저장된 구동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로드(S8)하고, 그 데이터중 음성신호는 음성디코더(90)로 출력하고, 효과음 및 배경음악은 미디모듈부(100)로 출력하고, 영상신호는 제2 D/A 변환부(130)로 입력되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고, 상기 아날로그 신호는 영상처리부(140)에서 TV에 출력가능한 컬러신호로 변환된다.
상기 효과음 및 배경음악은 제1 D/A 변환부(110)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고, 상기 아날로그신호는 음성신호와 혼합부(120)에 의해 혼합되어 최종적인 오디오신호로 변환된다.
상기 최종 출력인 영상신호는 모니터(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상에 디스플레이하고, 오디오 신호는 스피커(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통해 출력(S10)한다.
키입력부(40)에 의해 챕터 및 섹션이 바뀌면(S12), 상기 과정(S8)(S10)을 반복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키입력부(40)에 의해 종료를 알리는 키신호가 입력되면(S14), 새로운 데이터들을 더 이상 출력하지 않고(S16), 종료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새로운 데이터들을 각각의 수단을 통해 계속 출력 및 재생(S18)되고, 키입력부(40)에 의해 임의의 챕터나 섹션을 선택되어 그에 해당하는 키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대기상태로 전환된다.
상기 키입력부(40)에 대한 가요반주기의 동작상태는 디스플레이부(150)에 의해 사용자가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가요반주기의 패널 전면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음성 및 효과음은 ADPCM(Adaptive 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 적응 차분 펄스 부호 변조) 방식으로 만들어 콤팩트디스크의 영상정보 또는 송(song) 트랙과 같이 음성 트랙을 만든후 여기에 기록한다.
상기와 같은 음성 지원 아이시를 이용한 가요반주기는 상기 음성 지원 아이시 대신에 엠팩 오디오를 사용하거나 기타 음성 압축용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서는 가요반주기에 음성 지원 기능을 부가하여 재생시 음성이 필수적인 소프트웨어에 대해서 음성 지원을 해주므로서 홍보용 또는 교육용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가요반주기의 동작을 설정하기 위한 키입력수단; 상기 키입력수단에서 설정된 키신호를 입력받고, 그 키신호에 응답하여 영상신호와 소리 신호의 처리동작에 대한 가요반주기 모듈을 제어하는 주제어수단;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신호에 의해 콤팩트디스크상에 기록된 구동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리드하는 데이터 독출수단; 상기 제어수단을 통해 데이터 독출수단의 구동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필드메모리; 상기 주제어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키신호에 응답하여 운용프로그램 메모리로부터 어드레스를 로드하여 주제어수단으로 피드백하는 중앙처리장치; 상기 주제어수단을 통해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압축되기 이전의 포맷으로 신장시키는 음성신호 디코더수단; 상기 주제어수단의 출력신호 중 배경음악 및 효과음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미디모듈수단; 상기 음성신호 디코더 수단의 출력신호와 미디모듈수단의 출력신호를혼합하여 출력가능한 오디오 신호를 발생하는 혼합수단; 및 상기 주제어수단의 출력신호 중 영상신호를 출력가능한 신호로 변환하는 영상 처리 수단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음성 지원 기능을 갖는 가요반주기.
  2. 콤팩트디스크상에 있는 인덱스 테이블을 필드메모리로 로드하는 인덱스 테이블 출력단계; 상기 모니터상에 인덱스 테이블을 디스플레이한 후 키입력수단을 이용하여 임의의 챕터나 섹션이 입력되었는지 체크하는 입력 체크단계; 상기 체크단계에서 쳅터나 섹션이 입력되면, 그 키입력신호에 응답하여 선택된 챕터나 섹션의 구동 프로그램 및 그 데이터를 제2메모리로 로드하고, 화상데이터를 모니터상으로 디스플레이하고, 미디 데이터는 미디모듈에 의해 전송하여 반주음을 출력하고, 음성 데이터는 음성디코더에 전송하여 출력하는 프로그램 출력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한 후 또 다른 챕터나 섹션이 입력되었는지 체크하는 단계; 상기 체크단계에서 또다른 챕터나 섹션이 입력되면 프로그램 로드단계 및 프로그램 디스플레이단계를 반복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지원 기능을 갖는 가요반주기를 구현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또다른 쳅터나 섹션 체크단계에서 또다른 챕터나 섹션이 입력되지 않으면 키입력수단에 의해 종료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체크하는 종료신호 체크단계; 상기 종료신호 체크단계에서 종료신호가 입력되면 새로운 데이터들을 더 이상 출력하지 않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지원 기능을 갖는 가요반주기를 구현하는 방법.
KR1019960020917A 1996-06-12 1996-06-12 음성지원기능을 갖는 가요반주기 및 그 구현방법 KR100206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0917A KR100206125B1 (ko) 1996-06-12 1996-06-12 음성지원기능을 갖는 가요반주기 및 그 구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0917A KR100206125B1 (ko) 1996-06-12 1996-06-12 음성지원기능을 갖는 가요반주기 및 그 구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4912A KR980004912A (ko) 1998-03-30
KR100206125B1 true KR100206125B1 (ko) 1999-07-01

Family

ID=19461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0917A KR100206125B1 (ko) 1996-06-12 1996-06-12 음성지원기능을 갖는 가요반주기 및 그 구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61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29601A (en) 1999-12-17 2001-06-25 Si Han Kim Information coding and retrieval system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4912A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38668Y2 (ja) メッセージ機能付き音楽再生装置
US5712949A (en) Disc reproduction system with sequential reproduction of audio and image data
EP1096468A3 (en) Music playing game apparatus
JPH06124094A (ja) カラオケ装置
JP2655806B2 (ja) オーディオ信号を記録するオーディオ信号記録方法及びオーディオ信号の再生方法及び装置
JPH06124093A (ja) カラオケ装置
KR100206125B1 (ko) 음성지원기능을 갖는 가요반주기 및 그 구현방법
KR0184392B1 (ko) 씨디지 플레이어의 전체곡명 표시방법
KR0175553B1 (ko) 콤팩트디스크를 이용한 통합 교육용 장치 및 그 구현방법
KR100206127B1 (ko) 교육용 가요반주기 및 그 구현 방법
JP2536857Y2 (ja) 歌支援表示機能付き音楽再生装置
KR0146596B1 (ko) 가요반주기기의 음정레벨 비교표시방법
KR0136051B1 (ko) 영상가요 반주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0138461B1 (ko) 가정자동화제어기능을 갖춘 대화형 컴팩트디스크장치
JP2511576Y2 (ja) デイスクプレ−ヤ装置
JP2548723Y2 (ja) 楽音再生装置
JPS59160188A (ja) 任意選択曲合成装置
JP2002041070A (ja) イントロ当てゲーム機能付きカラオケ装置
KR960008732A (ko) 영상노래반주용 디스크 기록매체와 그 재생방법 및 장치
KR100282270B1 (ko) 가요 반주용 비디오 컴팩트 디스크 시스템의 가창 점수 표시방법
JP2572491Y2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H06308984A (ja) カラオケ装置
JPH07168589A (ja) カラオケ装置
JPH0554601A (ja) 静止画と音声の再生装置
KR19980072969A (ko) 영상 노래 반주용 광 디스크 기록 매체와 그의 재생 방법 및 재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30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