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5990B1 - 내연기관의 흡,배기가스 흐름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내연기관의 흡,배기가스 흐름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5990B1
KR100205990B1 KR1019940015552A KR19940015552A KR100205990B1 KR 100205990 B1 KR100205990 B1 KR 100205990B1 KR 1019940015552 A KR1019940015552 A KR 1019940015552A KR 19940015552 A KR19940015552 A KR 19940015552A KR 100205990 B1 KR100205990 B1 KR 100205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ake
exhaust
internal combustion
combustion engine
exhaust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5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1426A (ko
Inventor
김윤석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40015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5990B1/ko
Priority to US08/497,600 priority patent/US5546898A/en
Publication of KR960001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5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59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02Valve drive
    • F01L1/04Valve drive by means of cams, camshafts, cam discs, eccentrics or the like
    • F01L1/08Shape of ca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9/00Engin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for charging or scaveng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B25/00, F02B27/00 or F02B33/00 - F02B39/00;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02Valve drive
    • F01L1/04Valve drive by means of cams, camshafts, cam discs, eccentrics or the like
    • F01L1/047Camshafts
    • F01L1/053Camshafts overhead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36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peculiar to machines or engines of specific type other than four-stroke cycle
    • F01L1/4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peculiar to machines or engines of specific type other than four-stroke cycle for engines with scavenging charge near top dead centre position, e.g. by overlapping inlet and exhaust tim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3/00Lift-valve,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Parts or accessories thereof
    • F01L3/06Valve members or valve-seats with means for guiding or deflecting the medium controlled thereby, e.g. producing a rotary motion of the drawn-in cylinder char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5/00Other engines
    • F02B75/02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cycles, e.g. six-stro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12Transmitting gear between valve drive and valve
    • F01L1/18Rocking arms or levers
    • F01L1/181Centre pivot rocking 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20Adjusting or compensating clear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02Valve drive
    • F01L1/04Valve drive by means of cams, camshafts, cam discs, eccentrics or the like
    • F01L1/047Camshafts
    • F01L1/053Camshafts overhead type
    • F01L2001/0535Single overhead camshafts [SOH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275/00Other engines, components or detail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02B2275/20SOHC [Single overhead camshaf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REA)

Abstract

흡, 배기밸브의 오버랩시 흡, 배기가스의 흐름을 제어하여 역류를 방지하여 이에 따른 내연기관의 출력과 연비저하를 개선하고, 미연소 가스의 배출로 인한 유해가스의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내연기관의 흡, 배기가스 흐름제어장치를 제공할 목적으로; 실린더 헤드에 흡기밸브와 배기밸브를 보유하는 내연기관에 있어서, 상기 흡, 배기밸브를 구동하는 캠축에 의하여 동작되면서 흡, 배기밸브의 오버랩 영역에서 연소실의 흡기밸브측과 배기밸브측을 격리시키는 흡, 배기가스 흐름 제어수단을 보유하는 내연기관의 흡, 배기가스 흐름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내연기관의 흡, 배기가스 흐름 제어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적용된 상태의 연소실 저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캠 샤프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탄성부의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흡, 배기가스 흐름 제어수단의 장착상태 사시도.
제6도 및 제7도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제8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탄성부의 다른 실시예도.
제9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탄성부의 다른 실시예도.
제10도는 종래 기술의 설명을 위한 일반적인 내연기관의 실린더 헤드부 단면도.
제11도는 오버랩 구간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밸브개폐기구 4 : 흡기밸브
6 : 배기밸브 8 : 흡기포트
10 : 배기포트 12 : 캠 샤프트
14 : 작동 캠 16 : 반원 플레이트
18 : 브라켓 20 : 구동핀
22 : 스프링 24 : 케이스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내연기관에 있어서, 흡, 배기밸브의 오버랩시 흡, 배기가스의 흐름을 제어하여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내연기관의 흡, 배기가스 흐름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일반적으로 내연기관은 연소실로 공급되는 혼합기제를 연소시켜 이의 팽창력으로 피스톤을 승강 직선운동시키고, 이의 직선운동을 크랭크 기구에 의하여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킴으로써, 회전운동을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내연기관의 대표적인 예로서는 자동차 엔진을 들 수 있는데, 이의 자동차 엔진, 즉, 내연기관의 흡, 배기밸브 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제10도에서와 같이, 실린더 헤드(100)의 중앙부 저면에 각 실린더당 1개씩 연소실(10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소실(102)의 좌, 우측에는 새로운 공기가 유입되는 흡기포트(104)와, 연소된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포트(106)가 형성되며, 이들 포트(104)(106)에는 이들을 개폐할 수 있는 흡, 배기밸브(108)(110)가 각각 배치된다.
상기에서 흡, 배기밸브(108)(11)는 각각의 밸브스프링(112)(114)에 의해 항시 흡, 배기포트(104)(106)를 폐쇄하는 상태를 유지하며, 록커아암 축(116)(118)을 힌지로 캠축(120)에 캠(122)(124)의 회전구동에 의하여 시이소 작동을 하는 록커아암(126)(128)에 의하여 승강하면서 흡, 배기포트(104)(106)를 개폐하게 된다.
이러한 내연기관의 흡, 배기밸브 장치에 있어서의 흡, 배기밸브의 개폐작동을 살펴보면, 먼저 흡기밸브가 열리면서 흡기행정이 이루어지고, 흡, 배기밸브가 모두 닫힌 상태에서 압축 및 폭발행정이 이루어지며, 폭발 행정 후에는 배기밸브가 열리면서 배기 행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흡, 배기밸브의 작동과정에서, 배기 효율을 높이고, 흡기요율을 높히기 위하여 배기 행정의 말기와 흡기행정의 초기에는 제11도에 도시한바와 같이, 흡기밸브(도면에서 1점쇄선) 및 배기밸브(도면에서 2점쇄선)를 동시에 개방하는 오버랩 영역(O)을 두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같이 오버랩 영역을 두는 경우에는 연소실내에 새로이 흡입되는 흡입공기와 연소후 배기되는 배기가스가 혼재하는 결과가 되어 흡입공기가 배기 관성에 의하여 제10도의 실선과 같이 배기포트를 통해 배출되거나, 배기되어야 할 가스가 점선과 같이 흡입포트로 역류하는 현상이 발생되어 출력과 연비를 저하시키고, 미연소가스가 배출되어 환경을 오염시키게 된다는 폐단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일본국 실용신안 출원공고 평성 제5-9456호의 2싸이클 내연기관의 급기 제어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고안은 2싸이클 내연기관에 있어서, 흡기포트 내에 흡기밸브와 이 밸브 사이트 사이에 형성되는 배기밸브측의 개구를 폐쇄 가능할 수 있는 가동 마스크 판을 형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흡기밸브의 열림 영역 전반에는 가동마스크 판에 의하여 흡기밸브와 그 시이트 사이로 형성되는 배기밸브 측의 개구를 폐쇄하고, 흡기밸브의 닫힘 영역의 후반에는 가동 마스크판을 후퇴시켜 흡기밸브와 그 밸브 시이트 사이로 형성된 개구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고안은 배기가스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으나, 오버랩 영역에서 흡입공기가 배기포트를 통해 배출되는 것은 방지할 수 없다는 폐단이 있다.
그리고 이의 고안은 2싸이클 엔진 이외에는 사용이 불가능하며, 또한, 가동 마스크판을 록커아암에 의하여 구동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배기밸브 작동을 위한 별도의 캠축을 설치하여야만 한다는 폐단이 있다.
[발명의 요약]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흡, 배기밸브의 오버랩시 흡, 배기가스의 흐름을 제어하여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내연기관의 흡, 배기가스 흐름 제어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목적의 달성에 의하여 내연기관의 출력과 연비저하를 개선하고, 미연소 가스의 배출로 인한 유해가스의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내연기관의 흡,배기가스 흐름제어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린더 헤드에 흡기밸브와 배기밸브를 보유하는 내연기관에 있어서, 상기 흡, 배기밸브를 구동하는 캠축에 의하여 동작되면서 흡, 배기밸브의 오버랩 영역에서 연소실의 흡기밸브측과 배기밸브측을 격리시키는 흡, 배기가스 흐름 제어수단을 보유하는 내연기관의 흡, 배기가스 흐름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특징이 있다.
상기에서 흡, 배기가스 흐름제어수단은 캠축에 형성되는 작동캠과; 상기 작동 캠에 접촉부재가 탄성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부와; 실린더 헤드 상으로 돌출되는 힌지돌기에 중간부가 지지되어 시이소 작동을 하는 시이소부재와; 상기 시이소 부재의 일측단에 연결되어 이의 시이소 작동에 의하여 승강 작동되면서 흡, 배기밸브의 오버랩 영역에서 배기밸브의 흡기밸브측을 가리는 마스크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의 탄성부는 중앙부 하측으로 연결봉이 일체로 형성되어 작동캠과 접촉되면서 작동캠면의 형상에 따라 승강하는 접촉부재와; 상기 접촉부재의 하측부분을 수용하면서 이를 실린더 헤드에 고정시켜 주는 케이스와; 상기 접촉부재의 하측에 배치되는 시이소 부재와 케이스 사이로 배치되는 제1탄성부재와; 상기 접촉부재의 연결봉 하측과 케이스 사이로 배치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접촉부재의 상면을 작동캠의 캠면과 전체적으로 면접촉이 이루어지도록 구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마스크 플레이트 호형으로 이루어지며, 이의 마스크 플레이트는 배기밸브의 헤드부가 위차하는 배기포트의 입구부와 흡기밸브의 헤드부가 위치하는 흡기포트를 충분히 가릴 수 있는 위치의 배기포트측에 이웃하여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시이소 부재와 마스크 플레이트는 시이소 부재의 선단 중앙부로 형성되는 요입홈에 마스크 플레이트의 상측단 소폭부가 삽입되어 상호 결합함에 특징이 있다.
[실시예]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적용상태를 보인 실린더 헤드의 단면도로서, 실린더 헤드(2)의 중앙부 저면에는 미도시한 실린더의 상측에 소정의 부피를 갖고 형성되는 연소실(4)이 소정의 형상으로 요입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소실(4)의 좌, 우측에는 새로운 공기가 유입되는 흡기포트(6)와, 연소된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포트(8)가 형성되며, 이들 포트(6)(8)에는 이들을 개폐할 수 있는 흡, 배기밸브(10)(12)가 각각 배치되는데, 제2도에서는 2개의 흡기포트(6)와 1개의 배기포트(8)를 갖는 실린더 헤드(2)를 일예로 도시하였다.
상기에서 흡, 배기밸브(10)(12)는 각각 밸브스프링(14)(16)의 탄발력에 의하여 항시 흡, 배기포트(6)(8)를 폐쇄하는 상태로 배치되며, 록커아암 축(18)(20)을 힌지로 캠축(22)에 캠(24)(26)의 회전구동에 의하여 시이소 작동하는 록커아암(28)(30)에 의하여 승강하면서 흡, 배기포트(6)(8)를 개폐하게 된다.
이와 같은 흡, 배기밸브 장치를 보유하는 내연기관에 있어서, 본 발명은 캠축(22)의 배기캠(32)의 일측으로 제3도에서와 같이 별도의 작동캠(34)을 형성하고, 이의 작동캠(34)의 하측에는 캠면의 형상에 따라 승강 작동되는 탄성부(36)를 배치하였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36)의 일측 즉, 배기밸브(12)측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시이소 부재(38)와 연결하였으며, 이의 시이소 부재(38) 자유단에는 이의 작동에 의하여 승강하면서 연소실(4)로 출몰하는 마스크 플레이트(40)를 배치하였다.
상기에서 탄성부(36)는 제4도에서와 같이 접촉부재(42)의 하측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하단부로 대경부(44)를 갖는 연결봉(46)이 형성되며, 이의 연결봉(46) 하측단은 실린더 헤드(2)에 절반부 이상이 매몰되는 케이스(48)에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접촉부재(42)와 케이스(48)의 상면 사이에는 제1탄성부재(50)가 탄지되어 그의 상단으로 삽입고정되는 시이소 부재(38)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게 되며, 상기 연결봉(46)의 하단 대경부(44)와 케이스(48) 사이에는 제2탄성부재(52)가 탄지되어 접촉부재(42)를 포함하는 연결봉(46)를 상측으로 밀어줌으로써, 접촉부재(42)의 상면이 항시 작동캠(34)과 탄성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접촉부재(42)의 상면은 전체적으로 작동캠(34)의 캠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구면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작동캠(34)의 회전되면 이의 캠면 형상에 따라 접촉부재(42)가 승강하게 되는데, 이때 제1탄성부재(50)는 시이소 부재(38)를 포함하는 접촉부재(42)의 상승 복귀를 도와주게 되며, 제2탄성부재(52)는 접촉부재(42)의 승강시 충격을 완화하게 된다.
상기 시이소 부재(38)는 띠상의 부재로서 소정의 길이를 갖고 형성되는데, 그의 중간부를 절곡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시이소 부재(38)의 자유단으로 연결되는 마스크 플레이트(40)가 소정의 경사상태에서 승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의 시이소 부재(38)는 그의 중간부가 실린더 헤드(2)로부터 돌출되는 힌지돌기(54)의 상단에 지지된다.
상기에서 시이소 부재(38)와 힌지돌기(54)는 구속되는 형태로 연결되는 것은 아니며, 시이소 부재(38)가 힌지돌기(54)의 상단에 자연스럽게 올려지는 형태이다.
이는 마스크 플레이트(40)가 경사진 상태로 승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시이소 부재(38)의 일측단으로 연결되는 마스크 플레이트(40)는 호형으로 이루어지며, 실린더 헤드(2)를 관통하여 그의 하단부가 연소실(3)내로 출몰되도록 형성된다.
상기에서 마스크 플레이트(40)를 호형으로 형성한 것은 흡기포트(6)로 유입되는 흡입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배기포트(8)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일부가 흡기포트(6)측으로 흐르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마스크 플레이트(40)의 연소실(2)측 위치는 제2도에서와 같이, 배기포트(8)측에 근접된 위치이며, 흡기포트(6)를 충분히 가릴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시이소 부재(38)와 마스크 플레이트(40)는 연결은 제5도에서와 같이 시이소 부재(38)의 선단 중앙으로 형성되는 요입홈(56)에 마스크 플레이트(40)의 상측 소폭부(58)가 삽입되면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제6도 및 제7도와 같은 상태로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제6도는 마스크 플레이트(40)가 하강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이의 상태에서는 흡, 배기밸브(10)(12)가 동시에 열리는 오버랩 영역이며, 이때에는 작동캠(34)의 단경부(60)와 접촉부재(42)가 접촉된 상태이므로 접촉부재(42)가 상승함으로써, 시이소 부재(38)의 타측단이 하강하면서 마스크 플레이트(40)를 하강시키게 된다.
그러면 이의 마스크 플레이트(40)가 하강하면서 그의 말단부가 제1도에서와 같이 연소실(2)의 흡기밸브(12)에 근접하여 돌출됨으로써, 흡입포트(6)로부터 유입되는 흡입공기가 배기포트(8)측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여 흡입공기의 배출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배기가스가 연소실의 상면을 타고 흡입포트(6)측으로 흘러도 마스크 플레이트(40)에 의해 차단됨으로써, 흡입포트(6)를 통한 역류를 방지하게 된다.
제7도는 오버랩 영역이 아닌 영역에서의 작동상태로서, 이때에는 작동캠(34)의 장경부(62)와 접촉부재(42)가 접촉된 상태이므로 접촉부재(42)가 하강함으로써, 시이소 부재(38)의 타측단이 상승하면서 마스크 플레이트(40)를 상승시키게 된다.
그러면 말단부가 연소실(2)로 돌출되었던 마스크 플레이트(40)가 실린더 헤드(2) 내측으로 후퇴함으로써, 연소실 내부의 공기흐름을 제한하지 않게 되어 정상적인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작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 장치에 있어서, 작동캠(34)의 단경부(60)캠면에 의하여 마스크 플레이트(40)가 하강하게 되므로 이의 캠면은 흡, 배기밸브(10)(12)가 동시에 열리는 오버랩 영역에 알맞게 설정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작동캠(34)의 단경부(60)와 장경부(62)의 경계부는 마스크 플레이트(40)의 승하강 시점에서 서어징 현상이 이루어지지 않는 형상으로 가공되어야만 한다.
제8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탄성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케이스 제2탄성부재(52)를 적용하였으나, 여기서는 제2탄성부재를 생략한 것으로서, 그의 작용효과는 동일하다.
제9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힌지돌기(54)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시이소 부재(38)가 힌지돌기(54)의 상단에 자연스럽게 올려배치하지 않고, 힌지돌기(54)의 상단 양측에 상호 대향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고리부(70)에 의하여 시이소 부재(38)의 상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시이소 부재(38)는 그의 힌지부가 상하로 지지되는 것이며, 이때 시이소 부재(38)가 고정 힌지식으로 고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이소 부재(38)의 약간의 축방향 유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마스크 플래이트(40)의 승가에 지장이 없도록 하였다.
[발명의 효과]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흡, 배기밸브의 오버랩 영역에서 흡입공기의 배출과 배기가스의 역류를 방지하게 됨으로써, 내연기관의 출력과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미연소 가스의 배출로 인한 유해가스의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0)

  1. 실린더 헤드에 흡기밸브와 배기밸브를 보유하는 내연기관에 있어서, 상기 흡, 배기밸브를 구동하는 캠축에 의하여 동작되면서 흡, 배기밸브의 오버랩 영역에서 연소실의 흡기밸브측과 배기밸브측을 격리시키는 흡, 배기가스 흐름 제어수단을 보유하는 내연기관의 흡, 배기가스 흐름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흡, 배기가스 흐름제어수단은 캠축에 형성되는 작동캠과; 상기 작동캠에 접촉부재가 탄성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부와; 실린더 헤드상으로 돌출되는 힌지돌기에 중간부가 지지되어 시이소 작동을 하는 시이소부재와; 상기 시이소 부재의 일측단에 연결되어 이의 시이소 작동에 의하여 승강 작동되면서 흡, 배기밸브의 오버랩 영역에서 배기밸의 흡기밸브측을 가리는 마스크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내연기관 흡, 배기가스 흐름 제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탄성부는 중앙부 하측으로 연결봉이 일체로 형성되어 작동캠과 접촉되면서 작동캠면의 형상에 따라 승강하는 접촉부재와; 상기 접촉부재의 하측부분을 수용하면서 이를 실린더 헤드에 고정시켜 주는 케이스와; 상기 접촉부재의 하측에 배치되는 시이소 부재와 케이스 사이로 배치되는 제1탄성부재와; 상기 접촉부재의 연결봉 하측과 케이스 사이로 배치되는 제2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내연기관의 흡, 배기가스 흐름 제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접촉부재는 그 상면을 작동캠의 캠면과 전체적으로 면접촉이 이루어지도록 구면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흡, 배기가스 흐름 제어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탄성부는 중앙부 하측으로 연결봉이 일체로 형성되어 작동캠과 접촉되면서 작동캠면의 형상에 따라 승강하는 접촉부재와; 상기 접촉부재의 하측부분을 수용하면서 이를 실린더 헤드에 고정시켜 주는 케이스와; 상기 접촉부재의 하측에 배치되는 시이소 부재와 케이스 사이로 배치되는 제1탄성부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흡, 배기가스 흐름 제어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시이소 부재는 힌지돌기의 상단에 구속없이 자연스럽게 올려진 상태로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흡, 배기가스 흐름 제어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시이소 부재는 힌지돌기의 상단과, 이의 양측에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는 고리부 사이를 관통하여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흡, 배기가스 흐름 제어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마스크 플레이트는 호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흡, 배기가스 흐름 제어장치.
  9. 제2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마스크 플레이트는 배기밸브의 헤드부가 위치하는 배기포트의 입구부와 흡기밸브의 헤드부가 위치하는 흡기포트를 충분히 가릴 수 있는 위치의 배기포트측에 이웃하여 배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흡, 배기가스 흐름 제어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시이소 부재와 마스크 플레이트는 시이소 부재의 선단 중앙부로 형성되는 요입홈에 마스트 플레이트의 상측단 소폭부가 삽입되어 상호 결합되는 내연기관의 흡, 배기가스 흐름 제어장치.
KR1019940015552A 1994-06-30 1994-06-30 내연기관의 흡,배기가스 흐름 제어장치 KR100205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5552A KR100205990B1 (ko) 1994-06-30 1994-06-30 내연기관의 흡,배기가스 흐름 제어장치
US08/497,600 US5546898A (en) 1994-06-30 1995-06-30 Device for controlling the flow of intake and exhaust gases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5552A KR100205990B1 (ko) 1994-06-30 1994-06-30 내연기관의 흡,배기가스 흐름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1426A KR960001426A (ko) 1996-01-25
KR100205990B1 true KR100205990B1 (ko) 1999-07-01

Family

ID=19386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5552A KR100205990B1 (ko) 1994-06-30 1994-06-30 내연기관의 흡,배기가스 흐름 제어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546898A (ko)
KR (1) KR1002059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1423B1 (ko) * 2001-07-21 2004-07-23 연규석 자외선 분해 억제용 폴리머 모르타르 조성물
US20070283908A1 (en) * 2006-06-07 2007-12-13 Kwong Wang Tse Tse's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1536656B1 (ko) * 2013-12-05 2015-07-14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공동배기 연도용 역류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연소장치
JP2017110604A (ja) * 2015-12-17 2017-06-22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内燃機関、それを備えた車両、および内燃機関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6518A (ja) * 1983-01-24 1984-08-06 Kawasaki Heavy Ind Ltd 2サイクルエンジンの吸気吹返し防止装置
JPH059456A (ja) * 1991-02-16 1993-01-19 Nippon Oil & Fats Co Ltd 表面処理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546898A (en) 1996-08-20
KR960001426A (ko) 1996-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65813A (ja) 内燃機関の動弁装置
KR100205990B1 (ko) 내연기관의 흡,배기가스 흐름 제어장치
KR100443153B1 (ko) 내연기관및그의흡배기제어기구
KR100331087B1 (ko) 차량 밸브 장치의 캠 구조
JP2844889B2 (ja) 可変気筒装置
KR200156345Y1 (ko) 4밸브 밸브기구
KR100245735B1 (ko) 내연기관 밸브 지지구조
KR100250828B1 (ko) 엔진의 밸브 개폐구조
KR0128312Y1 (ko) 내연기관의 흡배기밸브용 스프링 구조
KR200184896Y1 (ko) 내연기관의 밸브 회전장치
KR200174845Y1 (ko) 내연 기관의 밸브 기구
KR100203875B1 (ko) 내연기관의 신기 추가공급장치
KR19980052099A (ko) 엔진의 로커 암
KR0122753Y1 (ko) 내연기관의 피스톤
KR19980045826A (ko) 오버헤드 캠 샤프트식 로커아암
KR100254630B1 (ko) 흡배기 밸브의 로커 아암
KR100250535B1 (ko) 내연기관 흡기계
KR930006960B1 (ko) 엔진 배기장치
EP1674696B1 (en) Rotary valve
KR19980056692A (ko) 자동차의 밸브 개폐장치
KR20000003052U (ko) 엔진의 밸브 개폐장치
KR19980062927A (ko) 회전식 밸브
KR20000003356U (ko) 엔진의 밸브 개폐장치
KR19980048527A (ko) 직접구동식 밸브와 캠의 접촉구조
JPS58211516A (ja) 内燃機関の可変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