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5771B1 - 인공수정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인공수정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5771B1
KR100205771B1 KR1019960049414A KR19960049414A KR100205771B1 KR 100205771 B1 KR100205771 B1 KR 100205771B1 KR 1019960049414 A KR1019960049414 A KR 1019960049414A KR 19960049414 A KR19960049414 A KR 19960049414A KR 100205771 B1 KR100205771 B1 KR 100205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raocular lens
lens
pmma
present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9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수원
주천기
Original Assignee
주천기
서수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천기, 서수원 filed Critical 주천기
Priority to KR1019960049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57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5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5771B1/ko

Links

Landscapes

  • Prostheses (AREA)

Abstract

PMMA를 성형하여 제조한 인공수정체에 있어서, 상기한 PMMA 표면에 친수성기를 갖는 인공수정체은 UV투과를 억제하여 망막의 손실을 방지하며, 표면 백화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상피 세포의 부착츌이 낮아 후발성 백내장을 일으키지 않으며, 천연 수정체와 동일한 광투과량을 갖음으로써 시야가 푸르게 보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우수한 인공수정체이다.

Description

인공수정체 및 그 제조 방법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인공수정체(Intraocular Lens : IOL)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천연 수정체와 같은 광투과량을 갖으며, UV투과량이 적고, 후발성 백내장을 억제할 수 있는 인공수정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수정체는 후안방과 초자체 사이에 있는 투명한 양철제로 망막위에서 광선의 초점을 형성하는 역할을 하는 장기이다. 이와 같은 수정체가 다양한 병인 또는 노화등에 의하여 혼탁해져 수정체로서의 기능을 발하하지 못할 경우 백내장이라하며, 이와 같이 백내장이 발생할 경우 초기에는 벤달린(bendaline), 카탈린(catalin)등의 약물을 이용한 약물치료법을 사용하며, 그 효과가 미미하여 충분한 시력의 회복이 불가능할 경우 백내장 상태의 수정체를 제거하고 인공수정체를 삽입하는 시술이 행해지고 있다.
이때 시술되는 인공수정체는 PMMA(polymethylmethcrylate)를 사용하여 제조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PMMA의 인공수정체를 사용할 경우 사물이 푸르게 보인다. 그 이유는 일반적으로 천연 수정체는 완전히 투명하지 않은 불투명성을 갖고 있는 반면, 인공수정체는 완전히 투명하여 이와 같은 인공 수정체를 통하여 사물을 볼 경우 천연 수정체에 비하여 광투과량이 증가하여 모든 사물이 푸르게 보인다. 이와 같이 사물이 푸르게 보이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일본의 HYOA사에서는 담황색을 갖는 황색 수정체(Yellow ILO)를 생산하고 있다.
한편 천연 수정체는 인체에 유해한 자외선을 여과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나 종래의 인공수정체는 자외선을 여과하지 않고 모두 통과시킴으로써 망막이 자외선에 많이 노출되어 망막을 손상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다.
또 종래의 인공수정체를 백내장 치료를 위하여 안구에 삽입한 후 4∼5년이 경과하면 인공수정체 표면에 섬유아세포(fibroblast)가 부착되어 인공수정체가 혼탁해지며 그 결과 수술후 5년이 지나면 약 40%의 인공수정체 삽입 환자가 후발성 백내장으로 시력을 상실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병의 목적은 PMMA로 제조된 인공수정체 표면에 섬유아세포의 부착을 방지하고, 천연 인공수정체와 유사한 광투과량을 갖으며,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는 인공수정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 및 사람의 수정체의 UV흡수율을 나타내는 그래프.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의 PMMA의 표면 백화 현상을 나타내는 사진.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의 인공수정체의 상피세포 부착량을 나타내는 사진.
제4a도는 비교예의 인공수정체의 시간 경과에 따른 상피세포량을 측정한 현미경 사진.
제4b도는 실시예 1의 인공수정체의 시간경과에 따른 상피세포량을 측정한 현미경 사진.
제4c도는 실시예 2의 인공수정체의 시간경과에 따른 상피세포량을 측정한 현미경 사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PMMA를 성형하여 제조한 인공수정체에 있어서, 상기한 PMMA 표면에 친수성 기를 갖는 인공수정체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PMMA를 성형하여 인공수정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한 PMMA 표면을 친수성 처리하는 공정을 더욱 포함하는 인공수정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인공수정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한 친수성처리는 이소프로필알콜과 물의 혼합액에 NaOH를 녹인 반응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이소프로필알콜과 물을 동량으로 혼합하여 혼합액을 제조하고, 이 혼합액에 NaOH를 1mole/1로 녹여서 반응액을 제조한 후, 이 반응액에 PMMA로 제조한 인공수정체를 넣고 40℃에서 약 2시간 동안 흔들면서 반응시켜, 친수성 처리를 실시하였다.
[실시예 2]
상기한 실시예 1에서 친수성 반응 시간을 4시간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한 실시예 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실시하여 인공수정체에 친수성 처리를 하였다.
[비교예]
대조구도로서 PMMA를 친수성 처리하지 않은 것을 사용하여 인공수정체를 제조하였다.
상기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제조된 PMMA의 친수성 정도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상기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PMMA와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인공수정체를 대상으로 UV투과량, 표면 백화량, 수정체 상피 세포 부착량을 하기와 같이 측정하여 그 결과를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하였다.
[UV투과량 측정방법]
인공수정체를 UV-가시광성 스펙트로포토미터에 설치한 후 자외선에서부터 가시광선까지 파장을 변화시키면서 빛의 흡수 스팩트럼을 측정한다.
[표면 백화량 측정방법]
육안으로 표면의 백화도를 확인한 후 UV 투과량 측정시 투과도의 차이로 표면백화의 정도를 비교한다.
[수정체상피세포 부착량 측정방법]
수정체의 표면에 상피세포가 들어있는 배양액을 올려 놓고 일정시간 배양한 후 수정체를 가볍게 증류수로 씻어 내고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세포의 수를 현미경으로 조사한다.
제1도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의 인공수정체는 종래의 인공수정체인 비교예의 인공수정체에 비하여 UV를 흡수하는 성질이 우수하였다. 제1도에서의 세포축은 빛의 흡수량(absorbance)으로서 빛이 얼마나 많이 흡수되었는가를 의미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인공수정체는 빛의 투과특성이 사람의 수정체와 유사하였다. 즉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 및 2의 친수성 표면처리 인공수정체의 흡수스팩트럼은 가시광선에서는 흡수를 많이 하지 않고 투과시키며, 자외선에서는 흡수량이 커져 천연수정체와 동일한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유아나 성인의 가시광선 흡수도가 모두 실시예 1과 실시예2 사이에 있어 친수성 반응을 조절할 경우 원하는 흡수도를 갖는 인공수정체를 조절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따라 친수성 처리된 PMMA는 표면 백화 현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또 도 3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친수성 처리된 실시예의 인공수정체는 상피세포의 부착이 거의 없으나, 비교예의 인공수정체는 표면에 상피세포가 많이 부착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사실은 도4a, 도4b, 도4c에서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도4b 및 도4c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공수정체 표면에서는 부착된 상피세포의 양이 시간경과에도 불구하고 거의 차이가 없으나, 비교예의 인공수정체 표면에는 상피세포의 부착량이 시간에 따라 크게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라 친수성 처리된 PMMA를 사용하여 제조된 인공수정체는 UV투과를 억제하여 망막의 손실을 방지하며, 표면 백화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상피세포의 부착율이 낮아 후발성 백내장을 일으키지 않으며, 천연수정체와 동일한 광투과량을 갖음으로써 시야가 푸르게 보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우수한 인공수정체이다.

Claims (1)

  1. 이소프로필알콜과 물의 혼합액에 NaOH를 녹인 반응액을 사용하여 PMMA 표면을 친수성 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인공수정체의 제조방법.
KR1019960049414A 1996-10-29 1996-10-29 인공수정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205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9414A KR100205771B1 (ko) 1996-10-29 1996-10-29 인공수정체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9414A KR100205771B1 (ko) 1996-10-29 1996-10-29 인공수정체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05771B1 true KR100205771B1 (ko) 1999-07-01

Family

ID=19479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9414A KR100205771B1 (ko) 1996-10-29 1996-10-29 인공수정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57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6881A (ko) * 2000-11-11 2002-05-17 문경진 연성인공수정체 및 제조방법
KR20230014960A (ko) 2021-07-22 2023-01-31 정찬희 자석이 구비된 도어 잠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6881A (ko) * 2000-11-11 2002-05-17 문경진 연성인공수정체 및 제조방법
KR20230014960A (ko) 2021-07-22 2023-01-31 정찬희 자석이 구비된 도어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10177B2 (ja) 改良型コントラスト感度を提供する高性能選択型光波長フィルタリング
US5374663A (en) Process for producing cyanopsia-correctable intraocular lens
EP1758521B1 (en) Photochromic intraocular lens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AU2007227389B2 (en) Ophthalmic system combining ophthalmic components with blue light wavelength blocking and color-balancing functionalities
CN111292615B (zh) 提供改进的对比灵敏度的高性能选择性光波长过滤
CA1318755C (en) Process for producing cyanopsia-correctable lens
EP0359829B1 (en) Process for producing intraocular lens for correcting cyanopia
KR100205771B1 (ko) 인공수정체 및 그 제조방법
CN112213868B (zh) 功能性隐形眼镜及功能性隐形眼镜的染色方法
Lyons et al. Development of the gas‐permeable impression‐moulded scleral contact lens: a preliminary report
JP2794308B2 (ja) 無水晶体眼用レンズ材料
JPH03144416A (ja) 水晶体摘出者用眼鏡レンズ
KR20020062357A (ko) 에지 현휘를 감소시키기 위한 삽입형 안 렌즈 코팅
JP2718802B2 (ja) 眼内レンズ
US20130178935A1 (en) Polarized component ocular devices
JP2724012B2 (ja) 青視症補正用眼内レンズの製造方法
CN2179122Y (zh) 光谱颉颃色盲矫正接触镜
JP3953536B2 (ja) 眼内レンズ
EP1783518A1 (en) Functionalized dyes and use thereof in ophthalmic lens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3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