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5550B1 - 성분별로 코드화된 칼라 텔레비젼 신호의 디지탈 전송 및/또는 레코딩용 방법 및 코더와 디코더 - Google Patents

성분별로 코드화된 칼라 텔레비젼 신호의 디지탈 전송 및/또는 레코딩용 방법 및 코더와 디코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5550B1
KR100205550B1 KR1019930700717A KR930700717A KR100205550B1 KR 100205550 B1 KR100205550 B1 KR 100205550B1 KR 1019930700717 A KR1019930700717 A KR 1019930700717A KR 930700717 A KR930700717 A KR 930700717A KR 100205550 B1 KR100205550 B1 KR 100205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component
coded
record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700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702862A (ko
Inventor
지크프리트 쉬바이들러
하인쯔-베르너 케젠
Original Assignee
루엘랑 브리지뜨
도이체 톰손-브란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엘랑 브리지뜨, 도이체 톰손-브란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루엘랑 브리지뜨
Publication of KR930702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7028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5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55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1/00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11/04Colour television systems using pulse code modulation
    • H04N11/042Codec means
    • H04N11/048Sub-Nyquist samp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9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coding techniqu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N19/10-H04N19/85, e.g. fractals
    • H04N19/98Adaptive-dynamic-range coding [ADR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797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for recording the signal in a plurality of channels, the bandwidth of each channel being less than the bandwidth of the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H04N7/0122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the input and the output signals having different aspect ratio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Color Television Systems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성분별로 코드화된 칼라 텔레비젼 신호의 디지탈 전송 및/또는 레코딩용 방법 및 코더와 디코더
본 발명은 성분별로 코드화된 칼라 텔레비젼 신호의 디지탈 전송 및/또는 레코딩용 방법 및 코더와 디코더에 관한 것이다.
Funkschau의 No. 19/1986인 "디지탈 비디오"란 논문에는 디지탈 "D1"비디오 레코더의 특성 및 그의 인터페이스가 기재되어 있다. D1비디오 레코더의 트랙 영상 및 인터페이스는 CCIR (유럽 텔레비젼) 표준 601 "디지탈 인터페이스용 표준"으로 표준화된다.
상기 D1비디오 레코더는 Y에 대해 13.5MHz와 U 및 V에 대해 6.75MHz의 주사 주파수를 가진 YUV 성분 신호를 레코드할 수 있다. 성분신호에 대한 화상요소(돗트)값의 진폭해상도는 8비트이고 625 주사선을 가지는 텔레비젼 신호, 필드(인터페이스) 및 4:3 종횡비(화상포맷)를 레코드할 수 있다.
홈비디오 레코더와 비교하여 상기 D1 비디오 레코더가 양호한 화질로 레코딩 및 재생을 하게 된다 할지라도 중간 주사선 플리커와 에지웜프(womp)와 같은 격행 방법은 아직 제거되지 않는다. 더우기 D1 비디오 레코더는 16:9 화상포맷으로 레코딩을 하기 위해 제공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16:9 화상포맷을 가지는 성분별로 코드화된 진보한 칼라 텔레비젼 화상의 디지탈 전송 및/또는 레코딩을 위한 방법을 제공하며 전송 및/또는 레코딩이 4:3 종횡비를 가지는 성분별로 코드화된 필드를 의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특징부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해결된다.
원칙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제1화상종횡비에서 제2화상종횡비로 전송할때 제2화상종횡비를 가진 추가로 형성된 화상영역의 코딩에 대하여 추가로 요구된 전송 및/또는 레코딩 영역의 적어도 한 부분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흑백 성분의 수직부주사를 경유해 얻어진다.
칼라 텔레비젼 신호가 주사선에서 전송 및/또는 레코드될 수 있어 흑백 데이타 대신에 휘도성분에서 얻어진 데이타가 전송 및/또는 저장위치의 공지된 배열에 따라 흑백성분을 포함하는 주사선들 또는 주사선 세그멘트에 할당된다.
이에 따라, 휘도데이타는 두개의 주사선중 제1세그멘트(Y)중 주사선쌍에 배열되고 제1흑백성분 데이타는 제1의 두개 주사선중 제2세그멘트(U)에 배열되고 그리고 제2흑백성분 데이타는 제2의 두개 주사선중 제2세그멘트(V)에 배열된다.
제2화상 종횡비에서 코드화된 칼라 텔레비젼 신호의 각각의 전송 또는 레코딩이 전송라인을 경유하여 또는 제1화상 종횡비를 제공하는 설비를 경유하여 각각 실행될 수 있다.
제2화상 종횡비에서 칼라 텔레비젼 신호를 코딩할때 블럭압선을 세개보다 더 작은 특히 두개의 요소에 의해 코딩을 위해 필요한 데이타율을 감소시켜 유리하게 이용된다.
이러한 블럭 압신은, 양자화된 활동도, 양자화된 최소치 및 양자화된 화상요소 차이값이 각 블럭에 대해 형성되고 코드화되어 서로에 대해 변화를 고려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추가 개발된 장점은 첨부된 종속항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한 코더를 의도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특허청구범위 제14항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장치에 의해 해결된다.
원칙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코더는 최대 빌더(최대치의 앞)와, 최소빌더를 제공하는 바, 제1감산기는 제1감산기의 출력신호에 대한 제1양자화기와 최소빌더의 출력신호에 대한 제2양자화기를 가지는 최소빌더의 출력신호에서 최소빌더의 출력 신호를 감산하고, 제2감산기는 제2감산기의 출력신호에 대한 제3양자화기를 가지는 화상요소값에서 제2양자화의 출력신호를 감산하고, 상기 코더는 제1, 제2 및 제3양자와기의 출력신호를 코팅포맷을 가진 블럭으로 변환하기 코딩회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한 디코더를 의도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특허청구범위 제15항에 기재된 발명에 따른 장치에 의해 해결된다.
원칙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디코더는 양자화된 화상요소 차이값의 최대 및 최소진폭단계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이러한 증폭단계 사이의 차이수를 평가하기 위한 수단, 최소증폭 단계를 평가하기 위한 수단, 양자화된 활동도, 양자회된 최소치 및 양자화된 화상요소 차이값의 재양자화를 위한 수단 그리고 최소치와 화상요소차이값을 합산하는 가산기를 제공한다.
흑백성분(U 및 V)은 수직으로 부주사된다. 빈 전송 및/또는 저장능력은 4:3 화상 포맷과 비교하여 16:9 화상포맷의 추가 화상영역을 나타내는데 이용된다.
추가로, 성분신호는 블럭압신된다. 블럭압신의 원리는 아헨에 소재하는 Rhine-Westphalia Technical University의 H.W. Keesen가 1984년 발표한 "디지탈 텔레비젼 신호의 블럭압신"에서 설명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화상요소(Xi, i=1. . .N)의 2차원 블럭을 형성한다. 블럭내에서 최소 증폭치는 최소치(M)를 결정하며 나타난다. 부가하여 블럭내의 최소 및 최대 증폭값간의 차이와 활동도(A)가 형성된다. 그후 최소치(M) 및 활동도(A)는 양자화(Mq, Aq)되고, 양자화된 최소치는 화상요소(Xi-Mq=Di)값에서 감산되고 이러한 화상요소 차이값(Di)은 실제로 양자화(Dqi)된다.
Mq, Aq 및 Dqi는 코드화되며 각기 전송되거나 레코드된다.
유리하게, 최대 양자화에러는 이러한 방법에 의해 제한되며 더 큰 양자화 에러는 관찰자가 관찰할 수 있게 잘 마스크되는 곳에서 더 큰 활동도를 가진 블럭으로 나타난다.
코딩의 특별한 형태를 이용하며 회로에서 비교적 낮아진 경비에 의하여 이러한 신호(Mq, Aq 및 Dqi)는 D1 비디오 레코더에 형성되며 각기 레코드되거나 전송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코드화된 블럭의 데이타 포맷은 4:3 화상포맷에서 필드에 대해 공지된 것과 같은 데이타 포맷과 유리하게 일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된다.
제1도는 블럭압신의 원리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코더의 블럭회로 다이어그램.
제3도는 주사선에서 성분신호 화상요소값의 배열도.
제4도는 코드화된 블럭의 데이타 포맷내에서 데이타의 배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코더의 블럭회로 다이어그램.
제1도는 블럭압신의 공지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원리도이다. 제1a도에서 2×2 화상요소의 4화상요소(x1,x2,x3,x4)의 값을 나타낸다. 여기서 x1은 상기 블럭의 최소치(m)를 형성한다.
제1b도에서, m은 4화상요소 값으로부터 감산되는 바 여기서, 4화상요소 차이값(x1-m, x2-m, x3-m 및 x4-m)이 된다. 여기서 x1-m=0인데 이는 양자화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에 최대화상 요소값 및 최소치(m)간의 차이가 x2-m이다. 이러한 차이는 블럭의 활동도 'a'를 나타낸다.
제1c도에서 차이값(x1-m, x2-m, x3-m 및 x4-m)은 활동도 'a'에 의해 분할되어 값(x1', x2', x3' 및 x4' )이 된다.
블럭 압신을 하는 코더에 대한 블럭회로 다이어그램이 제2도에 설명되고 있다. Y성분은 입력(20)으로 공급되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21)에서 직렬 디지탈 신호로 변환된다. 4x4 화상 요소값으로 이루어진 각 블럭은 주사선 블럭 변환기(22)에서 이와같이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에 주사선/블럭 변환기(22)는 세개 또는 네개이 주사선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주사선/블럭 변환기(22)의 출력신호는 최소빌더(232), 최대빌더(231)로 공급되며 변환시간 보상에 대한 지연회로(233)로 공급된다. 최소빌더(232)에서 결정된 각 블럭의 최소 화상요소값은 제1감산기(251)에서 각 블럭 최대화상 요소값을 감산하며 상기 블럭의 Y성분에 대한 활동도를 나타낸다. 활동도의 값은 제1양자화기(241)에서 양자화되고, 최소치는 제2양자화기(242)에서 양자화되어 제2양자화기(242)는 제1양자화기(241)에서의 출력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블럭의 양자화된 최소치는 제2감산기에서 블럭의 각 화상요소값에서 감산된다. 이에의한 화상요소 차이값은 제1양자화기(241)에서의 출력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제3양자화기(243)를 경유한다. 제3양자화기(243)은 11개의 단계를 가진다.
그 후에 양자화된 화상요소 차이값, 양자화된 최소치 및 양자화된 활동도는 코딩회로(28)에서 제4도에 대응하는 데이타 포맷으로 변환된다.
이와같은 것은 입력(26 또는 27)을 경유해 코딩회로(28)에 각각 공급되는 블럭 압신된 U 및 V 성분 (활동도, 최소치, 화상요소 차이값)에 대해 이용된다.
블럭이 압신되고 변환된 YUV 성분을 코딩회로의 출력으로 부터 직렬과 같이 출력한다. 차동(에러)보호신호는 전송 또는 레코딩에 앞서 이러한 신호를 가산할 수 있다.
제3도는 D1 비디오 레코더에서 레코드된 성분 신호의 연속을 도시하고 있다.
제3a도에는 레코드된 칼라 텔레비젼 신호중 주사선의 활동부분에 대한 공지된 배열이 도시되어 있다. YUV 성분신호는 U12, Y2, V12, Y2, U34, Y3, V34, Y4 . . . 의 순서로 직렬로 배열되어 그에 의해 Y1, Y2, Y3은 주사선의 화상요소에 대한 Y 화상요소 값이고 U12, V12, U34 . . . 는 결합된 U 및 V 화상요소 값이다. Y1 및 Y2 각각은 공통 U 및 V 화상요소값(U12, V12)을 갖는다.
이에 의해 모든 주사선은 720Y, 360U 및 360V 화상요소값을 포함하며 각각 8비트를 가진다. 따라서, 한 주사선은 각각이 8비이트인 180블럭으로 분할된 1440 바이트로 이루어진다. 이에 의해, 8비트로 나타날 수 있는 0 내지 255 범위에서의 0 및 255값은 YUV 성분의 화상요소값에 이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288 활성주사선을 가지는 한 필드는 720×288=207360 Y 화상요소값 및 360×288=103680 U 또는 V 화상요소값 즉 전체가 414720 YUV 화상요소 값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것은 4:3 화상 종횡비에 이용된다.
같은 공간 Y 수평해상도를 가지는 16:9 종횡비에서 전체 플레임은 2×207360×(16/9)/(4/3)=552960 Y 화상요소값을 필요로 한다. D1비디오 레코더에서 수평방향의 U 및 V 성분은 Y성분의 해상도의 ½이며 수직방향에서는 Y 성분의 전체 해상도이다.
CCIR의 장점에 따라, 수직 및 수평방향의 해상도는 거의 같다.
지금, 양방향으로 UV성분에 대한 해상도를 만들기를 원한다면, 두개의 요소를 이용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러한 성분을 부주사할 수 있다. 16:9 화상포맷에서 플레임당 U 및 V 성분은 288×360×(16/9)/(4/3)=138240 화상요소값, 전체로는 2×138240=276480의 화상요소값을 각각 필요로 한다.
결국, 진보한 16:9 종횡비 및 수직으로 부주사된 칼라성분을 가지는 전체 플레임에 대하여 이러한 것은 8비트의 552960+276480=829440 화상요소값의 전체수의 결과를 야기한다. D1비디오 레코더에서 상기 플레임을 레코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829440/414720=2의 요소에 의한 데이타 압신은 실행할 수 있어야만 한다. 이러한 것은 제2도에서 상술된 블럭압신에 의해 이루어진다. 고화질이 비교적 낮은 압신요소에 의해 그리고 데이타 감축의 이러한 특정한 형태에 의해 유리하게 유지된다.
두개의 연속한 주사선에서 진보한 16:9 종횡비에 대한 화상요소값의 한 가능한 분할을 제3b도 및 제3c도에서 설명하고 있다. 각 주사선은 960Y 화상요소값 및 480흑백 화상요소값을 포함할 수 있다. 제3b도에서 주사선은 V성분을 포함할 수 있고 제3c도에서 주사선은 U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주사선내에서 분할은 공지되어 있거나 간단한 원리에 의한 에러 보정기술(인터리빔, 서플링, 컨씰멘트)로 유리하게 조절될 수 있다.
제4도는 8바이트(=8×8비트)를 가지는 D1비디오 레코더의 8개의 YUV 화상요소 값의 블럭이 16블럭압신을 각각 레코드 또는 전송하기 위해 어떻게 이용될 수 있으며 결합된 양자화 최소치(Mq) 및 결합된 양자화 활동도(Aq)를 가지는 4×4 화상요소블럭의 Y성분의 화상요소 차이값(Dqi)를 어떻게 양자화하는 지를 도시하고 있다. 7비트를 각각 가지는 8개의 구획(41~48)에서, 두개의 양자화된 화상요소 차이값(Dqi, Dqi+1)을 배열한다. 양자화된 활동도(Aq)는 두개의 구획(491,492)에 의해 코드화되며 양자화된 최소치는 6비트를 가지는 구획(493)에 의해 코드화 된다. 이렇게 할때 서로에 대해 변화할 수 있는 의존도는 유리하게 이용된다. 무시할 수 있는 디코딩에러가 낮은 활동도를 발생하도록 얻기 위해 코딩의 특별한 유형이 이용된다. 관측자에 의해 Thy 신호가 마스크되는 곳에서 높은 활동도(즉, 상세하게 풍부한 화상의 부분)를 가지고 어느정도의 큰 디코딩 에러를 나타낸다.
화상요소차이값(Di)는 활동도에 따라 11개의 단계(S0 내지 S10)를 이용하여 제2도에서 제3양자화기(243)에서 양자화된다. 두개의 화상요소차이값이 결합될때 11×11=121 데이타 값이 나타난다. 이러한 것은 7비트를 가지며 구획(41 내지 48)에서 배열된다.
활동도(A) 및 최소치(M)의 합산이 0 내지 255의 범위(8비트 해상도)에 놓여야 하기 때문에 최소치(M)의 단지 낮은 값이 활동도(A)의 높은 값을 가지고 발생한다. 특별한 코딩을 이용함에 의해 양자화된 활동도(Aq)는 그 비트를 이용하여 명확하게 나타날 수 있다.
11개의 단계 S0 내지 S10과 양자화된 할동도(Aq)에 대한 그럴듯하게 나타나는 값(Ari)은 활동도(A)에 대한 다음 영역에 의해 야기된다.
활동도(A)가 범위(180 내지 255)내에 있다면 그후 단계(S10)는 나타나고, 활동도(A)가 양자화된다 할지라도 표시되는 값(Ari)이 189,204,225 또는 247로 나타난다. 활동도(A)가 180보다 작을때 결국 단계(S9)는 최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단계(S10) 및 다음단계(S9,S8,S7, . . .)에 대한 활동범위는 대응하는 표시값을 가지는 네개의 활동분류로 분류된다. 코딩회로(28)에서 한 단계내에서 네개의 활동도 분류는 구획(491 및 492)의 2비트로 코드화된다. 그후 189+63=252의 최대화상요소값은 단계(S10)에서 가장 낮게 표시된 값 189과 구획(493)에서 최소치에 대한 6비트를 합산하여 나타날 수 있다.
가장크게 발생하는 단계번호와 가장작게 발생하는 단계 번호간의 차이는 제4도에 따른 모든 단일 블럭내에서 결정될 수 있다. 디코더에서 인터프리트된 구획(491 및 492)에서 양자화된 활동도에 대한 두개의 비트가 이러한 차이에 따라 설정된다. 이러한 단계의 차이가 10의 값을 갖는다면(즉, 양자화된 화상요소차이값(Dqi)이 제2도에서 제3양자화기(243)의 가능한한 출력의 적어도 가장 작고 가장 큰값을 사용한다). 그후 단계(S10)에 대응하는 활동도 범위를 나타낼 수 있다. 구획(491 및 492)에서 두개의 비트에 대하여 그후 네개의 표시값(247,225,204 또는 189)은 분명하게 코드화될 수 있다.
단계의 차이값이 7이라면 그후에 양자화된 활동도에 대한 표시값(75,67,60 또는 52)을 가지는 단계(57)에 대응하는 활동도 범위를 나타낼 수 있다. 다시, 구획(491 및 492)에서 두개의 비트에 대하여 이러한 네개의 표시값(Ari)은 분명하게 코드화될 수 있다.
작은 활동도에 대하여, 양자화된 최소치(Mq)를 나타내는 구획(493)에서 6비트(0 내지 63이 이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는 63보다 큰 양자화된 최소치(Mq)를 코딩하기 위해서 더 이상 필요치 않는다. 양자화된 최소치(Mq)를 코딩하기 위한 추가정보는 구획(41 내지 48)내에서 발생된 단계수에 의해 각기 전송 또는 레코드될 수 있는데 이는 과정의 문제로서 단계(S0)가 화상요소값으로 부터 양자화된 최소치(Mq)의 감산에 이용되기 때문이다.
이용된 단계번호가 0,3,4,9,1,5 이며 단계(S9)가 이러한 블럭에서 더 크다면, 그후 127의 최소표시값을 나타낼 수 있으며 1 및 254-127=127 간의 값이 최소치를 위해 필요할 수 있다. 지금, 코딩회로(28)에서 최소치가 새로운 수치값 1,4,5,10,2,5. . .)에 의해 야기된 범위(64 내지 127)에 놓여있다면 하나의 값은 단계번호에서 가산된다.
디코더는 단계(S0)를 사용하지 않는것을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 값(64)는 6비트를 가지고 코드화 되어지는 양자화된 최소치(Mq)와 한번 가산된다. 코딩에 앞서, 양자화된 최소치(Mq)가 범위(0 내지 63)에 있다면 그후 단계 번호는 코딩회로(28)에서 변경되지 않고 유지된다.
활동도 범위가 단계(S8)에 의한 것이라면 그후에 0,1 또는 2는 단계번호에 가산될 수 있고, 단계(S7) 또는 더 낮은 단계에 대하여 0,1,2 또는 3이 코딩회로(28)에서 가산될 수 있다. 이에의해, 두개의 값은 2×64의 가산에 대응하고 세개의 값은 양자화된 최소치에 대한 3×64의 가산에 대응한다. 이에따라, 양자화된 최소치(Mq)는 전체범위(0 내지 255)내에서 각 활동도를 고려하여 코드화될 수 있다.
제4도에 따른 완전한 블럭내에서 D1 비디오 레코더에 의해 레코드될 수 없는 값(0 및 255)을 억제하기 위하여 ; 코더에서의 한 값은 구획(491, 492 또는 493)에서 부터 그위에 놓인 비트를 가진 이중시스템으로 부터 수로서 인터룹트될 수 있는 필드(41 내지 48)과 코딩회로(28)의 출력에서 가산되며 디코더의 입력에서 동일하게 감산된다. 이러한 것은 구획(41 내지 48)으로 부터 7개의 비트가 11×11=121(128값의 번호범위 대신)의 범호범위를 각기 사용하기 때문에 가능하다.
최소의 활동도 분류는 네개의 표시값(Ari)을 더 이상 요구하지 않는다. 이러한 사실은 추가데이타로 개략적인 측정에 의한 블럭내에서 각기 전송 또는 레코드되도록 한다. 단계번호가 9보다 더 낮다면 그후에 활동도 및 최소값은 결합된 형태에서 부가하여 코드화될 수 있다. 예컨대, 양자화된 최소치는 단계(S7)에서 8비트를 이용하여 코드화될 수 있는데 이는 7단계를 가진 5차이 활동도 범위를 그후에 가능하게 한다.
마찬가지로 완전한 활동도 또는 최소치 범위에서 구획(491,492)을 가지는 활동도 코딩에 대한 그리고 구획(493)을 가지는 최소치에 대한 분할은 확정될 필요가 없다. 최소치 및 활동도가 255보다 작거나 같을때 다음 코딩이 선택될 수 있는데 그후에 Aq=250, Mq 6이고 Aq=230 Mq 26이다.
각 코드워드 2진수 형태로 위와같이 연속하여 계수된다. 이에의해 모든 변화 가능한 코드워드를 변환한다.
제5도는 블럭회로 다이어그램의 형태의 디코더를 도시한다. 입력(40)은 감소된 형태의 데이타를 전송 또는 레코드하는 칼라 텔레비젼 신호의 Y성분을 수신한다. 디코더는 8개의 룩-업 회로를 포함한다. 이러한 것은 프로그램 가능 판독전용 메모리로 구성한다. 입력데이타는 주소에 공급되고 출력데이타는 이러한 주소들에서 저장된 수치값으로서 판독된다.
제1룩-업 회로(401)에서, 코딩회로(28)의 출력에서 가산되는 하나의 값은 다시 감산된다. 0 및 255를 포함하지 않는 값의 범위 대신에 이에 의해 0 내지 253의 값의 범위가 다시 만들어진다. 구획(41 내지 48)에서 부터 모든 7비트는 제2룩-업 회로(462)로 공급되며 대략 10싸이클의 지연을 야기하는 제2지연회로(422)로 공급된다. 구획(491,492 및 493)으로 부터 직렬형태로 있는 8비트는 직병렬 변환기(41)에서 각기 8비트의 병렬 데이타 워드로 변환되고 지연회로(421)에서 대략 3싸이클에 의해 지연된다.
제2룩-업 회로(462)에서 두개의 양자화된 화상요소 차이값(Dqi, Dqi+1)은 각각 4비트 워드라인 및 7개의 가능한 단계(S0 내지 S10)를 가지고 7비트로 부터 얻어지는데 더 큰 두개의 양자화된 화상요소 차이값은 제1출력에서 이용될 수 있으며 각각 더 작은 두개의 화상요소 차이값은 제2출력에서 이용될 수 있다. 연속한 검출기 회로(44)에서 각 블럭의 가장 크며 가장 작은 양자화된 화상요소 차이값은 각기 결정되고, 최고치로 양자화된 화상요소 차이값은 제1출력을 경유해 제1중간 메모리(451)로 공급되며 가장 작게 양자화된 화상온도 차이값은 제2출력을 경유해 제2중간 메모리(452)로 공급된다. 중간저장은 한 블럭의 처리를 위해 각기 실행된다.
가장작게 양자화된 화상요소 차이값 즉 최고 낮은 단계는 감산기(47)에서 가장 크게 양자화된 화상요소 차이값에서 감산된다. 이러한 것은 블럭에서 이용된 단계의 번호를 나타내며 블럭에서 활동도 범위에 대한 측정치인 차이값을 야기한다.
이러한 차이값 및 구획(491,492 및 493)에서의 비트는 제3룩-업 회로(463)로 공급된다. 이로부터 상기 룩-업 회로는 각 4×4 블럭의 재양자화 활동도를 결정한다.
이용된 단계의 번호를 나타내 차이값과 양자화된 최소화상 요소차이값은 제4룩-업 회로(464)로 공급된다. 원시최소값(M)을 산술하기 위한 변화는 상기 룩-업 회로에서 결정된다.
제5룩-업 회로(465)에서, 가장 낮게 이용된 단계인 양자화된 최소 화상요소 차이값은 각기 전송되거나 레코드되는 단계에서 부터 제2지연회로(422)의 출력신호를 감산하며며 그에 의해 원시단계 번호는 모든 블럭에서 가장 낮은 단계(S0)로 재생된다. 출력신호는 양자화된 화상요소 차이값(Dqi, Dqi+1)의 쌍에 대한 두개의 원시단계 번호를 각기 4비트 워드라인을 가지고 표시한다.
화상요소 차이값의 상기 쌍은 제3 룩-업 회로(463)로 부터의 출력신호와 함께 제7 룩-업 회로(467) 및 제6 룩-업 회로(466)으로 공급된다. 이러한 두개의 룩-업회로에서, 코더에서 실행되는 화상요소 차이값의 양자화는 역으로 된다.
구획(491,492 및 493)으로 부터 8비트와 제4룩-업 회로(464)로 부터 출력신호는 제8룩-업 회로(468)로 공급된다. 원시최소치(M)는 이렇게 두개의 신호로 부터 재결정되며 제1가산기(471) 및 제2가산기(472)에서 재양자화된 화상요소 차이값과 가산된다. 블럭의 전체 16화상온도값 중 두개는 그후 각기 출력(481 및 482)에서 이용될 수 있다.
U 및 V성분에 대한 4×4 블럭의 화상요소값을 동일한 방법으로 디코드된다.
주사선(525주사선)의 다른 번호, 플레임의 다른 반복율(59,94 또는 60Hz)또는 다른 화상종횡비의 경우에 적절한 수치 및 배열은 본 발명에 의해 지적된 연구법과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제2도에서 코딩회로(28)의 기능은 VAx 8550의 컴퓨터에 대한 다음 포트란 프로그램에 의해 기술된다 :
이에 의해, ICOD(1) . . . ICOD(8)은 각기 구획(491,492 및 493)의 결합된 비트를 가지고 구획(41 내지 48)에서 바이트가 된다. 제4가산기에서 한값은 0 및 255의 값을 억제하는데 이용한다.
ICOD(1) 및 ICOD(2)의 제3가산기는 각기 구획(491 또는 492)에서의 비트이다.
IAKT 및 DIVI는 구획(491 및 492)에 대한 양자화요소와 두개의 비트가 활동도에 따라 얻어지는 0 내지 255범위 값에 대해 컴퓨터에서 구획된다. 이러한 구획의 내용은 다음 법칙에 따라 얻어진다.

Claims (42)

  1. 제1화상 종횡비에서 제2화상 종횡비로의 전이에 대하여 제2화상 종횡비를 가지는 화상의 추가 발생 영역의 코딩을 위해 추가로 필요로한 전송 및/또는 레코딩 용량의 적어도 일부가 성분의 부샘플링에 의해 얻어지는 주사선에 있는 성분별로 코드화된 칼라 텔레비젼 신호의 디지탈 전송 및/또는 레코딩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제2화상 종횡비에서 코드화된 칼라 텔레비젼 신호의 전송 및/또는 레코딩은 전송 링크를 통해 또는 제1화상 종횡비를 위해 제공되는 장치에 의해 이루어지고, 이러한 경우 하나 이상의 색성분의 수직 부샘플링만이 실행되며, 휘도 및/또는 색성분으로부터 얻어진 데이타는 원시 색 데이타 대신 보통 색성분을 포함하는 주사선 또는 주사선 부분(제3a도)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별로 코드화된 칼라 텔레비젼 신호의 디지탈 전송 및/또는 레코딩을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각 경우에 휘도 데이타는 주사선 쌍(제3a도 및 제3b도)내의 두 주사선 중 제1부분(Y)에 배열되고, 제1색성분의 데이타는 두개의 주사선 중 첫번째의 제2부분(U)에 배열되고, 제2색성분의 데이타는 두개의 주사선 중 두번째 제2부분(V)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별로 코드화된 칼라 텔레비젼 신호의 디지탈 전송 및/또는 레코딩을 위한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 텔레비젼 신호는 각 블럭에 대하여 하나의 최대 및 하나의 최소치(M) 화소값이 초기에 결정되고, 활동도(A)가 상기 두 값 사이의 차이(251)로부터 결정되고, 최소 화소값(M)으로부터 유도된 값은 블럭의 각 화소값(Xi)으로부터 감산되며(252), 활동도에 관한 정보 아이템 및 최소 화소값(M)으로부터 유도된 값과 함께 감소된 워드 길이로 전송 및/또는 레코드되는 블록 압신에 의해 코드화되며, 상기 활동도(A)는 비균일 특성 및 고정된 단계번호(S0-S10)로 양자화되며(241;Aq), 하나 또는 다수의 표시값(Ari)은 각 단계동안 형성되고, 상기 최소 화소값(M)은 단계번호에 의해 제어되도록 양자화되고(242;Mq), 상기 양자화된 최소치(Mq)는 각 화소값(Xi)으로부터 감산되고(252;Di), 상기 화소 차이값(Di)은 단계번호에 의해 제어되도록 양자화되고(243;양자화된 화소 차이값(Dqi), 상기 양자화된 활동도(Aq)는 가장 크고 가장 작은 단계번호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코드화(28)되며, 대응하는 역과정은 디코딩을 위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 별로 코드화된 칼라 텔레비젼 신호의 디지탈 전송 및/또는 레코딩을 위한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2화상 종횡비에서 전송 및/또는 레코드된 칼라 텔레비젼 신호는 두배의 주사선 수를 가지는 플레임신호 또는 필드신호이고, 세개보다 작은, 특히 두개의 인자만큼 입력 데이타율을 감소한 블럭압신은 상기 칼라 텔레비젼 신호를 코딩 및 디코딩하기 위해 추가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별로 코드화된 칼라 텔레비젼 신호의 디지탈 전송 및/또는 레코딩을 위한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제2화상 종횡비에서 전송 및/또는 레코드된 칼라 텔레비젼 신호는 두배의 주사선 수를 가지는 플레임신호 또는 필드신호이고, 세개보다 작은, 특히 두개의 인자만큼 입력 데이타율을 감소한 블럭압신은 상기 칼라 텔레비젼 신호를 코딩 및 디코딩하기 위해 추가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별로 코드화된 칼라 텔레비젼 신호의 디지탈 전송 및/또는 레코딩을 위한 방법.
  6. 제1항, 제2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제1화상 종횡비에 대한 상기 전송링크 또는 장치는 625 주사선, 50Hz 화상변화 주파수, 필드, 4:3 화상포맷을 가지며, 제2화상 종횡비에서의 칼라 텔레비젼 신호는 625 주사선, 50Hz 화상변화 주파수, 플레임, 16:9 화상포맷 또는 1250과, 1249 주사선, 50Hz 화상변화 주파수, 필드, 16:9 화상 포맷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별로 코드화된 칼라 텔레비젼 신호의 디지탈 전송 및/또는 레코딩을 위한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제1화상 종횡비에 대한 상기 전송링크 또는 장치는 625 주사선, 50Hz 화상변화 주파수, 필드, 4:3 화상포맷을 가지며, 제2화상 종횡비에서의 칼라 텔레비젼 신호는 625 주사선, 50Hz 화상변화 주파수, 플레임, 16:9 화상포맷 또는 1250과, 1249 주사선, 50Hz 화상변화 주파수, 필드, 16:9 화상포맷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별로 코드화된 칼라 텔레비젼 신호의 디지탈 전송 및/또는 레코딩을 위한 방법.
  8. 제1항, 제2항, 제5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제2화상 종횡비에서 칼라 텔레비젼 신호를 레코딩하기 위한 장치는 D1 방법에 따라 동작하며, 특히 상기 장치는 디지탈 스튜디오 비디오 레코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별로 코드화된 칼라 텔레비젼 신호의 디지탈 전송 및/또는 레코딩을 위한 방법.
  9. 제4항에 있어서, 제2화상 종횡비에서 칼라 텔레비젼 신호를 레코딩하기 위한 장치는 D1 방법에 따라 동작하며, 특히 상기 장치는 디지탈 스튜디오 비디오 레코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별로 코드화된 칼라 텔레비젼 신호의 디지탈 전송 및/또는 레코딩을 위한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제2화상 종횡비에서 칼라 텔레비젼 신호를 레코딩하기 위한 장치는 D1 방법에 따라 동작하며, 특히 상기 장치는 디지탈 스튜디오 비디오 레코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별로 코드화된 칼라 텔레비젼 신호의 디지탈 전송 및/또는 레코딩을 위한 방법.
  11. 제5항, 제7항,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가장 크게 이용되지 않는 단계 번호는 각 블록에 대한 코더 단부에서 결정되고, 양자화된 최소치(Mq)는 포함되지 않은 단계번호의 수에 해당하는 수를 상기 단계번호에 가산함에 의해 코드화(28)되고, 양자화된 최소치(Mq)는 최소로 이용된 단계번호를 기초로하여 디코더 단부에서 대응하는 형태로 디코딩되는(465)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별로 코드화된 칼라 텔레비젼 신호의 디지탈 전송 및/또는 레코딩을 위한 방법.
  12. 제3항에 있어서, 가장 크게 이용되지 않는 단계 번호는 각 블록에 대한 코더 단부에서 결정되고, 양자화된 최소치(Mq)는 포함되지 않은 단계번호의 수에 해당하는 수를 상기 단계번호에 가산함에 의해 코드화(28)되고, 양자화된 최소치(Mq)는 최소로 이용된 단계번호를 기초로하여 디코더 단부에서 대응하는 형태로 디코딩되는(465)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별로 코드화된 칼라 텔레비젼 신호의 디지탈 전송 및/또는 레코딩을 위한 방법.
  13. 제4항에 있어서, 가장 크게 이용되지 않는 단계번호는 각 블록에 대한 코더 단부에서 결정되고, 양자화된 최소치(Mq)는 포함되지 않은 단계번호의 수에 해당하는 수를 상기 단계번호에 가산함에 의해 코드화(28)되고, 양자화된 최소치(Mq)는 최소로 이용된 단계번호를 기초로하여 디코더 단부에서 대응하는 형태로 디코딩되는(465)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별로 코드화된 칼라 텔레비젼 신호의 디지탈 전송 및/또는 레코딩을 위한 방법.
  14. 제6항에 있어서, 가장 크게 이용되지 않는 단계번호는 각 블록에 대한 코더 단부에서 결정되고, 양자화된 최소치(Mq)는 포함되지 않은 단계번호의 수에 해당하는 수를 상기 단계번호에 가산함에 의해 코드화(28)되고, 양자화된 최소치(Mq)는 최소로 이용된 단계번호를 기초로하여 디코더 단부에서 대응하는 형태로 디코딩되는(465)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별로 코드화된 칼라 텔레비젼 신호의 디지탈 전송 및/또는 레코딩을 위한 방법.
  15. 제8항에 있어서, 가장 크게 이용되지 않는 단계번호는 각 블록에 대한 코더 단부에서 결정되고, 양자화된 최소치(Mq)는 포함되지 않은 단계번호의 수에 해당하는 수를 상기 단계번호에 가산함에 의해 코드화(28)되고, 양자화된 최소치(Mq)는 최소로 이용된 단계번호를 기초로하여 디코더 단부에서 대응하는 형태로 디코딩되는(465)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별로 코드화된 칼라 텔레비젼 신호의 디지탈 전송 및/또는 레코딩을 위한 방법.
  16. 제5항, 제7항, 제9항, 제10항, 제12항, 제13항,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휘도성분, 제1 또는 제2색성분의 2*N 1바이트 화소값을 가지는 각 블럭에 대하여, 양자화된 활동도(Aq), 양자화된 최소치(Mq) 및 양자화된 화소 차이값(Dqi)은 N바이트를 가지는 블럭에서 코드화되는데, N은 8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별로 코드화된 칼라 텔레비젼 신호의 디지탈 전송 및/또는 레코딩을 위한 방법.
  17. 제3항에 있어서, 휘도성분, 제1 또는 제2색성분의 2*N 1바이트 화소값을 가지는 각 블럭에 대하여, 양자화된 활동도(Aq), 양자화된 최소치(Mq) 및 양자화된 화소 차이값(Dqi)은 N바이트를 가지는 블럭에서 코드화되는데, N은 8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별로 코드화된 칼라 텔레비젼 신호의 디지탈 전송 및/또는 레코딩을 위한 방법.
  18. 제4항에 있어서, 휘도성분, 제1 또는 제2색성분의 2*N 1바이트 화소값을 가지는 각 블럭에 대하여, 양자화된 활동도(Aq), 양자화된 최소치(Mq) 및 양자화된 화소 차이값(Dqi)은 N바이트를 가지는 블럭에서 코드화되는데, N은 8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별로 코드화된 칼라 텔레비젼 신호의 디지탈 전송 및/또는 레코딩을 위한 방법.
  19. 제6항에 있어서, 휘도성분, 제1 또는 제2색성분의 2*N 1바이트 화소값을 가지는 각 블럭에 대하여, 양자화딘 활동도(Aq), 양자화된 최소치(Mq) 및 양자화된 화소 차이값(Dqi)은 N바이트를 가지는 블럭에서 코드화되는데, N은 8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별로 코드화된 칼라 텔레비젼 신호의 디지탈 전송 및/또는 레코딩을 위한 방법.
  20. 제8항에 있어서, 휘도성분, 제1 또는 제2색성분의 2*N 1바이트 화소값을 가지는 각 블럭에 대하여, 양자화된 활동도(Aq), 양자화된 최소치(Mq) 및 양자화된 화소 차이값(Dqi)은 N바이트를 가지는 블럭에서 코드화되는데, N은 8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별로 코드화된 칼라 텔레비젼 신호의 디지탈 전송 및/또는 레코딩을 위한 방법.
  21. 제11항에 있어서, 휘도성분, 제1 또는 제2색성분의 2*N 1바이트 화소값을 가지는 각 블럭에 대하여, 양자화된 활동도(Aq), 양자화된 최소치(Mq) 및 양자화된 화소 차이값(Dqi)은 N바이트를 가지는 블럭에서 코드화되는데, N은 8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별로 코드화된 칼라 텔레비젼 신호의 디지탈 전송 및/또는 레코딩을 위한 방법.
  22. 제16항에 있어서, 각 블럭내에서 2비트는 양자화된 활동도(Aq)를 코딩하기 위해 이용되고, 6비트는 양자화된 최소치(Mq)를 코딩하기 위해 이용되고, 7비트는 각 경우에 한쌍의 화소 차이값(Dqi,Dqi+1)을 코딩하기 위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별로 코드화된 칼라 텔레비젼 신호의 디지탈 전송 및/또는 레코딩을 위한 방법.
  23. 제17항, 제18항, 제19항,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각 블럭내에서 2비트는 양자화된 활동도(Aq)를 코딩하기 위해 이용되고, 6비트는 양자화된 최소치(Mq)를 코딩하기 위해 이용되고, 7비트는 각 경우에 한쌍의 화소 차이값(Dqi,Dqi+1)을 코딩하기 위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별로 코드화된 칼라 텔레비젼 신호의 디지탈 전송 및/또는 레코딩을 위한 방법.
  24. 제5항, 제7항, 제9항, 제10항, 제12항, 제13항, 제14항, 제15항, 제17항, 제18항, 제19항, 제20항,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값 1은 각 경우에 전송 및/또는 레코딩하기 전에 코더 단부에서 블럭의 워드에 가산되고, 워드의 양은 제2의 가장 큰 값으로 제한되며, 값 1은 디코더 단부에서 대응하는 형태로 감산(401)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별로 코드화된 칼라 텔레비젼 신호의 디지탈 전송 및/또는 레코딩을 위한 방법.
  2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값 1은 각 경우에 전송 및/또는 레코딩하기 전에 코더 단부에서 블럭의 워드에 가산되고, 워드의 양은 제2의 가장 큰 값으로 제한되며, 값 1은 디코더 단부에서 대응하는 형태로 감산(401)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별로 코드화된 칼라 텔레비젼 신호의 디지탈 전송 및/또는 레코딩을 위한 방법.
  2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값 1은 각 경우에 전송 및/또는 레코딩하기 전에 코더 단부에서 블럭의 워드에 가산되고, 워드의 양은 제2의 가장 큰 값으로 제한되며, 값 1은 디코더 단부에서 대응하는 형태로 감산(401)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별로 코드화된 칼라 텔레비젼 신호의 디지탈 전송 및/또는 레코딩을 위한 방법.
  2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값 1은 각 경우에 전송 및/또는 레코딩하기 전에 코더 단부에서 블럭의 워드에 가산되고, 워드의 양은 제2의 가장 큰 값으로 제한되며, 값 1은 디코더 단부에서 대응하는 형태로 감산(401)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별로 코드화된 칼라 텔레비젼 신호의 디지탈 전송 및/또는 레코딩을 위한 방법.
  28.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값 1은 각 경우에 전송 및/또는 레코딩하기 전에 코더 단부에서 블럭의 워드에 가산되고, 워드의 양은 제2의 가장 큰 값으로 제한되며, 값 1은 디코더 단부에서 대응하는 형태로 감산(401)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별로 코드화된 칼라 텔레비젼 신호의 디지탈 전송 및/또는 레코딩을 위한 방법.
  2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값 1은 각 경우에 전송 및/또는 레코딩하기 전에 코더 단부에서 블럭의 워드에 가산되고, 워드의 양은 제2의 가장 큰 값으로 제한되며, 값 1은 디코더 단부에서 대응하는 형태로 감산(401)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별로 코드화된 칼라 텔레비젼 신호의 디지탈 전송 및/또는 레코딩을 위한 방법.
  3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값 1은 각 경우에 전송 및/또는 레코딩하기 전에 코더 단부에서 블럭의 워드에 가산되고, 워드의 양은 제2의 가장 큰 값으로 제한되며, 값 1은 디코더 단부에서 대응하는 형태로 감산(401)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별로 코드화된 칼라 텔레비젼 신호의 디지탈 전송 및/또는 레코딩을 위한 방법.
  31.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값 1은 각 경우에 전송 및/또는 레코딩하기 전에 코더 단부에서 블럭의 워드에 가산되고, 워드의 양은 제2의 가장 큰 값으로 제한되며, 값 1은 디코더 단부에서 대응하는 형태로 감산(401)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별로 코드화된 칼라 텔레비젼 신호의 디지탈 전송 및/또는 레코딩을 위한 방법.
  32. 제5항, 제7항, 제9항, 제10항, 제12항, 제13항, 제14항, 제15항, 제17항, 제18항, 제19항, 제20항, 제21항, 제22항, 제25항, 제26항, 제27항, 제28항, 제29항, 제30항 또는 제31항에 있어서, 추가 데이터 항목은 코더에서 가장 작은 양자화 활동도(Aq)를 가지는 블럭에 삽입되며, 디코더 단부에서 대응하는 형태로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별로 코드화된 칼라 텔레비젼 신호의 디자탈 전송 및/또는 레코딩을 위한 방법.
  33. 제3항에 있어서, 추가 데이터 항목은 코더에서 가장 작은 양자화 활동도(Aq)를 가지는 블럭에 삽입되며, 디코더 단부에서 대응하는 형태로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별로 코드화된 칼라 텔레비젼 신호의 디지탈 전송 및/또는 레코딩을 위한 방법.
  34. 제4항에 있어서, 추가 데이터 항목은 코더에서 가장 작은 양자화 활동도(Aq)를 가지는 블럭에 삽입되며, 디코더 단부에서 대응하는 형태로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별로 코드화된 칼라 텔레비젼 신호의 디지탈 전송 및/또는 레코딩을 위한 방법.
  35. 제6항에 있어서, 추가 데이터 항목은 코더에서 가장 작은 양자화 활동도(Aq)를 가지는 블럭에 삽입되며, 디코더 단부에서 대응하는 형태로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별로 코드화된 칼라 텔레비젼 신호의 디지탈 전송 및/또는 레코딩을 위한 방법.
  36. 제8항에 있어서, 추가 데이터 항목은 코더에서 가장 작은 양자화 활동도(Aq)를 가지는 블럭에 삽입되며, 디코더 단부에서 대응하는 형태로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별로 코드화된 칼라 텔레비젼 신호의 디지탈 전송 및/또는 레코딩을 위한 방법.
  37. 제11항에 있어서, 추가 데이터 항목은 코더에서 가장 작은 양자화 활동도(Aq)를 가지는 블럭에 삽입되며, 디코더 단부에서 대응하는 형태로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별로 코드화된 칼라 텔레비젼 신호의 디지탈 전송 및/또는 레코딩을 위한 방법.
  38. 제16항에 있어서, 추가 데이터 항목은 코더에서 가장 작은 양자화 활동도(Aq)를 가지는 블럭에 삽입되며, 디코더 단부에서 대응하는 형태로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별로 코드화된 칼라 텔레비젼 신호의 디지탈 전송 및/또는 레코딩을 위한 방법.
  39. 제23항에 있어서, 추가 데이타 항목은 코더에서 가장 작은 양자화 활동도(Aq)를 가지는 블럭에 삽입되며, 디코더 단부에서 대응하는 형태로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별로 코드화된 칼라 텔레비젼 신호의 디지탈 전송 및/또는 레코딩을 위한 방법.
  40. 제24항에 있어서, 추가 데이터 항목은 코더에서 가장 작은 양자화 활동도(Aq)를 가지는 블럭에 삽입되며, 디코더 단부에서 대응하는 형태로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분별로 코드화된 칼라 텔레비젼 신호의 디지탈 전송 및/또는 레코딩을 위한 방법.
  41. 제3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위한 코더에 있어서, 최대치 형성회로(231)와, 최소치 형성회로(232)와, 상기 최소치 형성회로의 출력신호를 상기 최대치 형성회로의 출력신호에서 감산하는 제1감산기(251)와, 상기 제1감산기 다음에 접속되고 대응하는 단계번호(S0-S10)를 추가로 출력하는 비균일 특징으로 가진 제1양자화기(241)와, 상기 최소치 형성회로의 출력신호를 위해 상기 제1양자화기에 의해 제어되는 제2양자화기(242)와, 상기 제2양자화기의 출력신호를 화소값에서 감산하는 제2감산기(252)와, 상기 제2감산기의 출력신호를 위해 상기 제1양자화기에 의해 제어되는 제3양자화기(243)와, 상기 제1, 제2 및 제3양자화기의 출력 신호를 제11항 내지 제21항 및/또는 제22항 내지 24항에 따른 블럭으로 형성하는 코딩회로(2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더.
  42. 제3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위한 디코더에 있어서, 양자화된 화소 차이값(462,44,451,452)의 최대 및 최소 단계번호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와, 상기 단계번호(463,464)간의 차이번호를 평가하기 위한 수단과, 최소 단계번호(465)를 평가하기 위한 수단과, 양자화된 활동도(Aq), 양자화된 최소치(Mq) 및 양자화된 화소 차이값(Dq,Dq+1)의 역 양자화(468,466,467)를 위한 수단과, 최소치 및 화소 차이값을 가산하는 가산기(471,47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코더.
KR1019930700717A 1990-09-10 1991-09-06 성분별로 코드화된 칼라 텔레비젼 신호의 디지탈 전송 및/또는 레코딩용 방법 및 코더와 디코더 KR1002055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4028731A DE4028731A1 (de) 1990-09-10 1990-09-10 Digitales uebertragungs- und/oder aufzeichnungssystem fuer komponentencodierte farbfernsehsignale
DEP4028731.9 1990-09-10
PCT/EP1991/001701 WO1992004804A1 (de) 1990-09-10 1991-09-06 Verfahren, coder und decoder zur digitalen übertragung und/oder aufzeichnung von komponentencodierten farbfernsehsignal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702862A KR930702862A (ko) 1993-09-09
KR100205550B1 true KR100205550B1 (ko) 1999-07-01

Family

ID=6413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700717A KR100205550B1 (ko) 1990-09-10 1991-09-06 성분별로 코드화된 칼라 텔레비젼 신호의 디지탈 전송 및/또는 레코딩용 방법 및 코더와 디코더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058244A (ko)
EP (1) EP0548131B1 (ko)
JP (1) JP3251286B2 (ko)
KR (1) KR100205550B1 (ko)
CN (1) CN1033682C (ko)
CA (1) CA2090226C (ko)
DE (2) DE4028731A1 (ko)
TR (1) TR26588A (ko)
WO (1) WO1992004804A1 (ko)
ZA (1) ZA91714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522504T2 (de) * 1994-06-14 2002-05-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Videosignalaufnahmegerät und Videosignalaufnahme- und wiergabegerät
US6392699B1 (en) * 1998-03-04 2002-05-21 Intel Corporation Integrated color interpolation and color space conversion algorithm from 8-bit bayer pattern RGB color space to 12-bit YCrCb color space
US6356276B1 (en) 1998-03-18 2002-03-12 Intel Corporation Median computation-based integrated color interpolation and color space conversion methodology from 8-bit bayer pattern RGB color space to 12-bit YCrCb color spac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2577A (en) * 1984-02-03 1986-11-11 Rca Corporation Decoder for extracting a 4:3 aspect ratio signal from a high definition television signal
EP0185533B1 (en) * 1984-12-19 1991-03-27 Sony Corporation High efficiency technique for coding a digital video signal
NL8403929A (nl) * 1984-12-24 1986-07-16 Philips Nv Kleurentelevisietransmissie- respektievelijk informatieopslagsysteem met tijdmultiplexkodering en daartoe geschikte informatiegever en -ontvanger.
FR2625638B1 (fr) * 1987-12-30 1994-06-17 Thomson Grand Public Procede de synchronisation pour la transmission, sur un canal asynchrone, d'une suite d'images codees au moyen d'un code a longueur variable, et dispositif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JP2667900B2 (ja) * 1989-03-01 1997-10-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記録再生装置
US5070395A (en) * 1989-03-31 1991-12-03 Victor Company Of Japan, Ltd. Television signal system conversion apparatus
EP0414993A3 (en) * 1989-08-30 1992-07-29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Video signal recording method
US5159438A (en) * 1989-12-26 1992-10-27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Aspect ratio conversion of television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9108386D1 (de) 1997-01-09
CA2090226C (en) 2001-07-31
DE4028731A1 (de) 1992-03-19
CA2090226A1 (en) 1992-03-11
WO1992004804A1 (de) 1992-03-19
US6058244A (en) 2000-05-02
KR930702862A (ko) 1993-09-09
EP0548131B1 (de) 1996-11-27
CN1033682C (zh) 1996-12-25
JPH06500439A (ja) 1994-01-13
EP0548131A1 (de) 1993-06-30
JP3251286B2 (ja) 2002-01-28
CN1060003A (zh) 1992-04-01
ZA917145B (en) 1992-05-27
TR26588A (tr) 1995-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63660A (en) Compressed quantized image-data transmission technique suitable for use in teleconferencing
US5859667A (en) Hierarchical encoding and decoding apparatus for a digital image signal
KR100360206B1 (ko) 화상신호변환장치
US6151075A (en) Device and method for converting frame rate
AU627421B2 (en) Adaptive motion compensation for digital television
EP059556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quantization and inverse-quantization of picture data
US532512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al time compression and decompression of a digital motion video signal
US5475501A (en) Picture encoding and/or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CA1216058A (en) Predictive coding/decoding apparatus for video signal
EP064353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ding video signal,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video signal
KR100325492B1 (ko) 디지탈화상신호의계층적엔코딩/디코딩장치및방법
JPS61147689A (ja) テレビジョン信号の高能率符号化装置及び符号化方法
US5367334A (en) Video signal encoding and decoding apparatus
JPS63502074A (ja) ビデオ信号デコーディング方法及び装置
US548553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video signals in 3-D blocks without detecting image motion
US5191414A (en) Interfield predictive encoder and decoder for reproducing a signal subjected to predictive encoding by encoder into an image signal
US5101273A (en) Device for the conversion of motion information into a motion information signal at the field rate and with the number of lines desired for high-definition television
KR19990067491A (ko) 모션 벡터 양자화 선택 시스템
EP0923052B1 (en) Image encoding/decoding technique
CA213345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ressing and decompressing a sequence of digital video images using sync frames
KR100205550B1 (ko) 성분별로 코드화된 칼라 텔레비젼 신호의 디지탈 전송 및/또는 레코딩용 방법 및 코더와 디코더
US5652624A (en) Systems for dither-quantizing and reconstruction of digital television signals
US4875090A (en) Information data transmission system
EP0541313A2 (en) Video signal encoding apparatus
EP0390471B1 (en) Predictive cod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