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4505B1 - 쑥뜸장치 - Google Patents

쑥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4505B1
KR100204505B1 KR1019960049362A KR19960049362A KR100204505B1 KR 100204505 B1 KR100204505 B1 KR 100204505B1 KR 1019960049362 A KR1019960049362 A KR 1019960049362A KR 19960049362 A KR19960049362 A KR 19960049362A KR 100204505 B1 KR100204505 B1 KR 100204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hole
moxa
li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9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0025A (ko
Inventor
박기진
Original Assignee
박기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진 filed Critical 박기진
Priority to KR1019960049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4505B1/ko
Publication of KR19980030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0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4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4505B1/ko

Links

Landscapes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쑥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는 상향확개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밑면에서 상기 구멍의 외곽으로 약재 안착용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본 체와; 윗면 중앙에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상측으로 결합되는 뚜껑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본체의 구멍에 약쑥을 넣고 상기 안착홈에 약재편을 안착시켜서 연소시키도록 함으로써 쑥과 한방약재의 열기 및 훈증을 동시에 공급하여 치료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으면서 보다 넓은 부위를 장시간 치료할 수 있으면서 열기가 직접 피부에 접촉되지 않아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쑥뜸장치
본 발명은 쑥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약쑥의 훈증효과와 더불어 여러 가지의 필요한 약제의 훈증효과를 얻을 수 있으면서 보다 넓은 부위를 쑥뜸할 수 있는 쑥뜸장치에 관한 것이다.
뜸은 병을 치료하기 위하여, 약쑥으로 살 위의 어떠한 혈(穴)에 놓고 불을 붙여서 살을 뜨는 일을 일컫는 것인데, 일반적으로 약쑥을 분말화하여 이를 뭉쳐서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약쑥에 불을 붙여서 연소케 하면 연소열이 체내의 혈(穴)로 침투되어 약기운을 불어넣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제 이는 한방치료요법으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고, 그에 따른 치료효과도 상당한 것으로 주지되어 있으나, 실제 전문 한의원이 아니면 정확한 위치를 정하기가 어려웠고, 약쑥의 연소시 연기가 많이 발생하여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약쑥의 연소로부터 발생하는 훈증과 열이 사실상 미흡하여 치료효과가 기대에 못미칠 수 있었고, 훈증과 열을 보다 많이 발생시키기 위해서 약쑥의 연소량을 늘리면 뜸부위에 자칫 화상을 입을 수 있는 우려가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치료부위를 폭넓게 쑥뜸할 수 있으며, 많은 양의 쑥을 연소시키면서도 열로 인한 화상의 우려가 없도록 된 쑥뜸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약쑥의 훈증 및 열기 제공 이외에도 치료 대상에 따른 한약재의 훈증 및 열기를 동시에 가함으로써 한약재의 약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도록 된 쑥뜸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쑥뜸기에 산소를 공급하여 줌으로써 쑥의 원활한 연소를 유도하고, 동시에 훈증과 열기의 하향이동을 돕도록 된 쑥뜸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의 목적들을 달성하면서 기공학에 근거한 기의 주입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쑥뜸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부에는 상향확개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밑면에서 상기 구멍의 외곽으로 약재 안착용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윗면 중앙에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상측으로 결합되는 뚜껑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본체의 구멍에 약쑥을 넣고 상기 안착홈에 약재편을 안착시켜서 연소시키도록 되어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중앙에 공기안내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뚜껑의 공기 유입구와 연결되도록 된 홀더가 더 구비되고, 상기 홀더의 공기안내구멍의 상측으로는 연결호스가 접속되어 산소공급기와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본체와 그 내부구멍 및 뚜껑이 육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본체와 뚜껑의 주성분이 게르마늄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라, 훈증과 열기의 공급량을 늘릴 수 있고, 산소공급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병이나 치료부위에는 약재를 적절히 사용하여 한약재의 기운을 동시에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조립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홀더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조립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약재편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뚜껑
3 : 산소공급기 4 : 호스
5 : 구멍 7 : 안착홈
8 : 공기유입구 9 : 홀더
12 : 약쑥 13 : 약재편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일실시예로서의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쑥뜸장치의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본 쑥뜸장치는 본체(1)와 뚜껑(2)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뚜껑(2)으로 산소공급기(3)가 호스(4)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본체(1)는 상·하 관통된 구멍(5)이 내부 중앙에 형성되어 있고, 이 구멍(5)의 하단은 본체(1)의 하단과 같거나 더 내측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향확개되도록 상측으로 경사되어 있다. 상기 본체(1)의 상단 외주연에는 상기 뚜껑(2)이 조립될 수 있도록 홈(6)이 형성되어 있고, 본체(1)의 밑면에는 상기 구멍(5)의 외곽으로 안착홈(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뚜껑(2)은 상기 본체(1)의 상단에서 상기 홈(6)에 조립되도록 되어 있고, 윗면 중앙에는 공기유입구(8)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공기유입구(8)에는 산소공급기(3)로부터 연결되는 호스(4)가 연결 조립되어 산소공급기(3)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본체(1)의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1)와 뚜껑(2)은 주성분이 게르마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뚜껑(2)의 상측으로는 제2도와 같이 상기 호스(4)가 연결 설치될 수 있는 홀더(9)가 더 구비될 수 있는 데, 이 홀더(9)는 다각형의 뿔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앙에 수직으로 공기안내구멍(10)이 형성되어서 이 공기안내구멍(10)의 상측은 상기 호스(4)의 체결구(11)가 접속되도록 되어 있고, 공기안내구멍(10)의 하단은 상기 뚜껑(2)의 공기유입구(8)에 일치되도록 된다.
제3도는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1)의 구멍(5)상측으로 약쑥(12)을 위치시키고, 상기 안착홈(7)에는 처방에 맞는 혼합약재로 이루어진 약재편(13)을 안착시킨다. 이어서 상기약쑥(12)에 착화한 다음 뚜껑(2)을 덮고 산소공급기(3)에 의해 산소를 공급하여 주는 상태로 하여 인체(14)의 치료부위에 올려놓게 된다. 이때 약쑥(12) 및 약재편(13)의 가루가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1)의 하단을 보호망(15)으로써 감싸도록 할 수 있다.
연소되는 약쑥(12)은 열기와 훈증이 아래로 내려가면서 인체(14)의 치료부위에 약효를 가하게 되는데, 이때 약재편(13) 또한 가열되어 역시 약효가 가미된 열기와 훈증을 발산하게 되어 함께 치료부위로 가해지게 된다. 특히 상기 본체(1)와 뚜껑(2)이 게르마늄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이 게르마늄의 교류를 정류라는 성질상 유해파를 걸러주는 효과를 겸할 수 있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로서, 각 부분의 내부 구성은 상기 제1도와 제2도의 구성과 같은 구성으로 된 것이며, 본체(21)와 뚜껑(22)은 육각형의 형상을 이루고 있고, 홀더(29)는 사각뿔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육각구조 및 사각뿔의 구조는 기공학에 근거한 것으로서 기공학이 아니더라도 보관 및 사용이 편리한 구조이며, 특히 상기 홀더(29)는 석재(石材)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21)의 안착홈(27)에 안착시키는 약재편(23)은 처방에 맞도록 적절히 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21)의 형상에 맞추어 육각의 판형으로 압축되어 있고, 중앙에는 상기 안착홈(27)의 내벽에 맞추어 육각구멍(24)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약재편(23)은 사용하기 쉽도록 단위편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적절하게 혼합된 상태에서 바로 사용될 수도 있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약재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약재편(33)의 적정 위치에 다수의 자석(34)이 매입되어 있다. 따라서 쑥뜸시 자기에 의한 자력선 공급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으며 이러한 자력선 효과는 약효의 원활한 유입을 돕게 되는 것이다.
제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체(41)와 뚜껑(42)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뚜껑(42)으로 산소공급기(43)가 호스(44)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본체(41)는 상·하 관통된 구멍(45)이 내부 중앙에 형성되어 있고, 이 구멍(45)의 하단은 본체(41)의 하단보다 내측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향확개 되도록 상측으로 경사되어 있다. 상기 본체(41)의 밑면에는 상기 구멍(45)의 외곽으로 안착홈(4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멍(45)의 내주연 하단에는 걸림턱(48)이 형성되어 있고 이 걸림턱(48)에는 옥으로 이루어진 옥환(玉環;49)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약쑥의 가열에 따라 열기와 훈증이 하방공급되면서 상기 옥환(49)이 가열되어 본체내의 온도를 오래도록 유지시킴과 동시에 인체에 유효한 기운을 제공한다는 옥의 기운을 함께 제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의 구성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며, 이 외에는 본 발명의 취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상향확개된 구멍에 약쑥을 배치하고, 본체의 밑면에서 상기 구멍의 외곽으로 형성된 안착홈에 약재편을 안착시켜서 상기 약쑥에 착화하고 뚜껑을 덮은 후 산소공급기에 의해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약쑥의 원활한 연소가 이루어지면서 연기의 발생을 줄일 수 있고, 약쑥의 열기와 더불어 한약재의 열기가 함께 공급됨으로써 한방치료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또한 자석에 의한 자력선효과를 겸할 수 있으며, 치료부위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않아도 넓은 부위를 치료할 수 있고, 다량의 약쑥을 장시간 가열하면서도 직접 피부에 닿지 않으므로 화상을 입을 우려가 없는 등의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9)

  1. 내부에는 상향확개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밑면에서 상기 구멍의 외곽으로 약재 안착용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윗면 중앙에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상측으로 결합되는 뚜껑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본체의 구멍에 약쑥을 넣고 상기 안착홈에 약재편을 안착시켜서 연소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공기 유입구에는 연결호스에 의해 산소공급기가 연결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중앙에 공기안내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뚜껑의 공기 유입구와 연결되도록 된 홀더가 더 구비되고, 상기 홀더의 공기안내구멍의 상측으로는 연결호스가 접속되어 산소공급기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그 내부의 구멍 및 상기 뚜껑은 각각 육각형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재편은 육각의 얇은 판형으로 되어 있고, 중앙에는 육각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단에는 본체의 밑면을 감싸는 보호망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및 뚜껑은 주성분이 게르마늄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구멍의 하단 내주연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이 걸림턱에 옥환이 설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재편에는 다수의 자석이 매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뜸장치.
KR1019960049362A 1996-10-29 1996-10-29 쑥뜸장치 KR100204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9362A KR100204505B1 (ko) 1996-10-29 1996-10-29 쑥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9362A KR100204505B1 (ko) 1996-10-29 1996-10-29 쑥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0025A KR19980030025A (ko) 1998-07-25
KR100204505B1 true KR100204505B1 (ko) 1999-06-15

Family

ID=19479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9362A KR100204505B1 (ko) 1996-10-29 1996-10-29 쑥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45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3461B1 (ko) 2010-04-16 2012-09-17 김종빈 쑥봉의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쑥봉 및 쑥뜸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770B1 (ko) * 2013-10-10 2014-10-16 박경화 간접격구용 온구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3461B1 (ko) 2010-04-16 2012-09-17 김종빈 쑥봉의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쑥봉 및 쑥뜸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0025A (ko) 199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57531A (en) Therapeutic heating apparatus
EP0674895B1 (en) Pain treatment device
KR100204505B1 (ko) 쑥뜸장치
US6783508B1 (en) Moxa and other medicament application devices for delivery of heated moxa or other medicaments and for use to deliver pressure at acupuncture points
KR100266907B1 (ko) 훈증 좌욕기
JPH01262859A (ja) カイロ
US8161581B2 (en) Therapeutic device operatively connected to a protective suit and supplying herb essence evaporated from heated herb to the protective suit
KR100946191B1 (ko) 뜸질기
KR20080001273U (ko) 뜸 치료기
KR200244813Y1 (ko) 뜸 치료기
KR200275614Y1 (ko) 다목적 한방 치료를 위한 이중구조 부항컵과 보조기구
KR200168299Y1 (ko) 캡슐형 원적외선 찜질기
KR20120096840A (ko) 대나무 소금 쑥뜸기
RU2040232C1 (ru) Лечебное нагрев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0300770B1 (ko) 뜸치료기
KR200268156Y1 (ko) 손 뜸치료기
KR101054846B1 (ko) 쑥 찜질 좌욕기
KR100494716B1 (ko) 쑥찜기
CN214232055U (zh) 一种艾灸用药柱子
CN209137331U (zh) 一种经络艾灸盒
CN209967035U (zh) 一种可随意调温的温灸罐装置
KR200301292Y1 (ko) 쑥뜸용 온구기
KR200396432Y1 (ko) 뜸 치료기
JPH0753623Y2 (ja) 鍼及び温灸治療器
JP2000254205A (ja) 温熱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