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0770B1 - 간접격구용 온구기 - Google Patents

간접격구용 온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0770B1
KR101450770B1 KR1020130120301A KR20130120301A KR101450770B1 KR 101450770 B1 KR101450770 B1 KR 101450770B1 KR 1020130120301 A KR1020130120301 A KR 1020130120301A KR 20130120301 A KR20130120301 A KR 20130120301A KR 101450770 B1 KR101450770 B1 KR 101450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ace
hole
moxibustion
circumferential surfac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0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화
권창준
권현정
권나연
Original Assignee
박경화
권창준
권현정
권나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화, 권창준, 권현정, 권나연 filed Critical 박경화
Priority to KR1020130120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07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0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0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21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 A61H2201/0278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by chemical rea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간접구용 온구기가 개시된다. 상기 간접구용 온구기는, 상측이 개방되고 하부에 제1 관통홀이 형성되며, 측면에 제1 환풍구가 형성된 실리콘 재질의 중공형 하부본체; 내부에 뜸기둥이 수용되며, 하부가 개방된 형상을 가지고, 상기 하부본체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면에 복수의 통기구가 형성된 아궁이; 상기 아궁이의 하부를 차단하는 방열판; 상기 아궁이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상기 아궁이의 상부와 결합되는 링 형상의 상부본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아궁이의 측면에는 제2 환풍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방열판의 중앙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는 간접구 시술을 위한 약재가 교체 가능하게 삽입된다. 한편, 상기 아궁이의 내측 상면에는 상기 뜸기둥이 상기 방열판으로부터 이격되어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고정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아궁이의 외주면에는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본체의 내주면에는 상기 돌기를 가이드 하도록 높이 방향으로 형성된 세로홈과, 상기 내주면의 하부에서 상기 세로홈과 연결되어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가로홈이 형성된다.

Description

간접격구용 온구기{moxibuster}
본 발명은 온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접구를 안전하고 편리하게 시술할 수 있는 간접격구용(間接隔灸用) 온구기에 관한 것이다.
뜸이란 쑥 등을 태울 때 발생하는 열과 연기로 인체의 표면에 일정한 경혈부위나 아픈 부위에 온열자극을 주고 훈증을 하여 기를 잘 통하게 하고 혈을 따뜻하게 함으로써 질병을 예방하거나 치료하고자 하는 전통적으로 이어 내려온 요법이다. 이러한 쑥뜸은 쑥의 열기에 의한 강한 통각자극으로 뇌의 신경세포들을 깨우고 재정비시켜 호르몬 분비에 변화를 주어 인체의 자연치유력을 발동시키게 되며, 쑥의 온열효과로 몸에 따뜻한 기운을 넣어 주고, 화상시 생기는 이종단백체에 의해 호르몬 분비가 조정되며 쑥 자체의 혈액정화기능이 있어 혈액을 맑게 하는 효과가 있다.
뜸을 뜨는 방법으로는 직접구와 간접구가 있다. 직접구는 뜸기둥을 직접 혈자리 위에 놓고 연소시키는 방법이며, 간접구는 뜸기둥과 혈자리 사이에 이격을 두고 시술하는 방법이다. 동의보감에서는 간접격구라고 하여 혈자리에 마늘, 생강, 소금 등의 약재를 올려놓아 뜸의 열기운을 감해주면서 아래에 조치(措置)한 약재의 기운이 혈자리에 침윤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말한다.
근래에는 간접구 방법으로 도구를 이용하여 혈자리와 뜸기둥 사이에 공기 이격을 두어 열 자극을 완화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어 본래의 동의보감을 위시한 한방문헌에서 말하는 간접격구의 취지를 반감시키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76948호 (2011.10.26. 공고)
본 발명은 간접구를 안전하고 편리하게 시술할 수 있는 온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간접구는 단순히 공기 이격에 따른 열 완화에 목적을 두고 있어 종래의 한방 문헌들에서 말하고 있는 간접격구법을 구현하지 못할 뿐 아니라 그 취지가 반감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간접구에 약재를 뜸기둥과 혈자리 사이에 두는 간접격구법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시술할 수 있는 온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종래의 간접구의 경우 뜸의 연소가 상부에서 하부로 연소됨으로 시술 초기에는 미열이고 시술 후반에는 고열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를 하부에서 상부로 연소하게 함으로써 처음부터 끝까지 적절한 열이 유지하게 하였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측이 개방되고 하부에 제1 관통홀이 형성되며, 측면에 제1 환풍구가 형성된 실리콘 재질의 중공형 하부본체; 내부에 뜸기둥이 수용되며, 하부가 개방된 형상을 가지고, 상기 하부본체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면에 복수의 통기구가 형성된 아궁이; 상기 아궁이의 하부를 차단하는 방열판; 상기 아궁이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상기 아궁이의 상부와 결합되는 링 형상의 상부본체를 포함하는 간접격구용 온구기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아궁이의 측면에는 제2 환풍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방열판의 중앙에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에는 간접격구 시술을 위한 약재가 교체 가능하게 삽입된다.
한편, 상기 아궁이의 내측 상면에는 상기 뜸기둥이 상기 방열판으로부터 이격되어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고정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아궁이의 외주면에는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본체의 내주면에는 상기 돌기를 가이드 하도록 높이 방향으로 형성된 세로홈과, 상기 내주면의 하부에서 상기 세로홈과 연결되어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가로홈이 형성된다.
다른 한편, 상기 하부본체의 하부를 관통하는 벨크로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벨크로테이프에는 상기 제1 관통홀에 상응하는 제2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본체의 표면에는 복수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판의 삽입홀 하부에는 상기 약재를 지지하기 위한 망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본체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아궁이의 상부에는 돌출된 형상의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본체의 내주면에는 상기 단턱이 삽입되도록 홈이 형성되며, 상기 단턱은 상기 홈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간접격구용 온구기를 이용하여 한방문헌에서 말하는 간접격구법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구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새로운 방법이나 물질로 그 시술을 다양화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격구용 온구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격구용 온구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격구용 온구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격구용 온구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격구용 온구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격구용 온구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하부본체(10), 세로홈(12), 가로홈(14), 제1 환풍구(16), 제1 관통홀(18), 아궁이(20), 돌기(22), 통기구(24), 제2 환풍구(26), 고정부재(27), 단턱(28), 방열판(30), 약재(32), 삽입홀(34), 망(36), 상부본체(40), 홈(42), 결합홈(44), 벨크로테이프(50), 제2 관통홀(52), 뜸기둥(60) 등이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 뜸기둥(60)으로는 뜸쑥 또는 쑥탄이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뜸기둥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접구 온구기는, 상측이 개방되고 하부에 제1 관통홀(18)이 형성되며, 측면에 제1 환풍구(16)가 형성된 실리콘 재질의 중공형 하부본체(10); 내부에 뜸기둥(60)이 수용되며, 하부가 개방된 형상을 가지고, 상기 하부본체(10)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면에 복수의 통기구(24)가 형성된 아궁이(20); 상기 아궁이(20)의 하부를 차단하는 방열판(30); 상기 아궁이(20)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상기 아궁이(20)의 상부와 결합되는 링 형상의 상부본체(40)를 주된 구성요소로 갖는다.
하부본체(10)는 온구기의 주된 외형을 이루는 것으로서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중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측이 개방된 형상을 갖는다. 이렇게 개방된 상측을 통해 하부본체(10)의 내부공간에 아궁이(20)가 삽입될 수 있게 된다.
하부본체(10)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렇게 하면 뜸 시술시 피시술자의 피부에 전해지는 감촉이 인체친화적이어서 피시술자의 피부에 가해지는 열감 및 감촉을 최대한 기분 좋게 할 수 있다.
한편, 하부본체(10)의 하부 중앙에는 제1 관통홀(18)이 형성되는데, 이는 뜸 시술시 발생하는 열이 피시술자의 피부에 전달되도록 하는 통로 역할을 하게 된다.
다른 한편, 하부본체(10)의 측면에 제1 환풍구(16)가 형성되는데, 이는 추후 설명할 아궁이(20)의 제2 환풍구(26)와 더불어 아궁이(20) 내부로의 공기 공급을 조절하여 아궁이(20)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추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지만, 아궁이(20)는 하부본체(10)의 내부에서 회전운동을 할 수 있게 되는데, 이러한 회전운동을 통해 제1 환풍구(16)와 제2 환풍구(26)는 서로 동일선상에 위치할 수도 있고, 완전히 어긋나도록 위치할 수도 있게 된다. 만일, 제1 환풍구(16)와 제2 환풍구(26)가 서로 동일선상에 위치하면, 아궁이(20) 내부로 공기가 많이 공급되어 뜸기둥(60)의 연소가 활발히 이루어져 아궁이(20) 내부 온도가 상승하게 될 것이고, 제1 환풍구(16)가 제2 환풍구(26)가 서로 완전히 어긋나게 위치하면 아궁이(20) 내부로의 공기 공급이 제한되어 아궁이(20) 내부 온도가 하강하게 될 것이므로, 이를 통해 피시술자의 화상 방지와 개별적 열 감수성의 차이에 부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밖에, 하부본체(10)의 내주면에는 높이 방향으로 형성된 세로홈(12)과, 내주면의 하부에서 세로홈(12)과 연결되어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가로홈(14)이 형성되는데, 이들은 전술한 제1 환풍구(16)와 제2 환풍구(26)의 상대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들로서, 추후에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아궁이(20)는 세라믹 재질 등으로 이루어지는데, 그 내부에서 무연쑥탄과 같은 뜸기둥(60)이 연소되어 뜸 시술을 위한 열이 발생된다. 이러한 아궁이(20)는 하부본체(10)의 내부에 삽입되며, 하부가 개방된 형상을 갖는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온구기의 아궁이(20)는 대략적으로 뒤집힌 원통 형상을 가지게 되는데, 이러한 구조에 의해 뜸기둥(60)이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연소되는 것이 아니라 아래에서 위 방향으로 연소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뜸 시술의 초기부터 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아궁이(20)의 상면에는 복수의 통기구(24)가 형성되는데, 이는 아궁이(20) 내부에 뜸기둥(60)의 연소에 필요한 공기의 순환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통기구(24)의 개수, 위치, 크기, 형상 등은 설계 상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아궁이(20)의 측면에는 제2 환풍구(26)가 형성된다. 제2 환풍구(26)가 제1 환풍구(16)와의 조합을 통해 아궁이(20) 내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한편, 상기 아궁이(20)의 내측 상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27)가 마련될 수 있다. 고정부재(27)는 뜸기둥(60)이 방열판(30)으로부터 이격되어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뜸기둥(60)이 원통형상인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27)가 뜸기둥(60)의 중앙에 끼워지는 구조를 통하여 뜸기둥(60)이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반드시 이러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한, 뜸기둥(60)의 형상에 따라 고정부재(27)의 구조 및 형상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한편, 아궁이(20)의 외주면에는 돌기(22)가 형성되는데, 돌기(22)는 아궁이(20)와 하부본체(10) 사이의 결합을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아궁이(20)가 하부본체(10)에 삽입될 때 돌기(22)는 하부본체(10)의 내주면에 형성된 세로홈(12)을 따라 가이드 되며, 아궁이(20)가 하부본체(10)에 완전히 삽입된 경우, 돌기(22)는 세로홈(12)과 연결된 가로홈(14)을 따라 좌우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아궁이(20)가 하부본체(10) 내부에서 회전운동을 할 수 있게 되며, 그 결과 전술한 제1 환풍구(16)와 제2 환풍구(26)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경될 수 있게 된다. 이 때, 가로홈(14)에 의해 돌기(22)의 상하운동은 제한되므로, 아궁이(20)의 회전운동시 아궁이(20)가 하부본체(10)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은 방지될 수 있다.
뒤집힌 원통 형상의 아궁이(20)의 개방된 하부는 방열판(30)에 의해 차단된다. 방열판(30)은 아궁이(20) 내부에서 무연쑥탄과 같은 재료로 이루어지는 뜸기둥(60)의 연소에 의해 발생된 열을 피시술자의 피부에 간접적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방열판(30)은 열전도도가 우수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피시술자에게 간접구를 시술하기에 적당한 정도의 열을 전달할 수 있는 한, 그 재질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이 때, 방열판(30)의 중앙에는 삽입홀(34)이 형성되고, 삽입홀(34)에는 간접구 시술을 위한 약재(32)가 교체 가능하게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홀(34)의 하부에 망(36)을 마련하고, 망(36)에 의해 약재(32)가 지지되도록 하는 구조를 제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약재(32)가 삽입홀에 끼움결합되는 구조를 상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이용하게 되면, 단순 열자극을 주목적으로 하는 종래의 뜸시술의 범주 외에 다양한 목적으로 뜸의 활용을 확장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간접구의 시술시, 사용되는 약재(32)에 따라 그 효능은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약재(32)로서 합성전자기파를 환부 깊숙이 침투시키는 TDP 발열체,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출 바이오세라믹 약재, 동의보감 양생문 배꼽문 등에 기재된 복부의 냉증을 다스리기 위한 분말한약 약재, 소염진통작용을 하는 켑사이신 성분을 활용한 고추분말 약재 등을 다양하면서도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되어, 단순 열자극이 목적인 뜸 치료의 효과를 확장할 수 있게 된다.
방열판(30)에 삽입되는 약재들은 자연 그대로 마늘이나 생강 등을 그 크기에 맞춰 절편하여 활용할 수도 있으나, 사용할 때 마다 매 번 그러한 것들을 따로 준비해야 하는 불편함을 없애기 위해, 이들을 분말로 만든 뒤 인체에 해롭지 않는 적절한 접착물질과 혼합시켜 적당한 크기의 성형체를 만들어 활용할 수도 있다.
TDP 플레이트, 음이온 방출 바이오세라믹 약재, 켑사이신 성분의 고춧가루 약재 등 상술한 것들 외에도, 약재의 종류는 다양하게 확장할 수 있으며, 새롭게 개발된 여러 가지 물질들도 이에 활용가능 하므로 그 재료의 개발은 무한히 확장 가능하다.
하부본체(10)의 상측 및 아궁이(20)의 상측에는 상부본체(40)가 위치한다. 상부본체(40)는 아궁이(20)의 상측 둘레를 따라 아궁이(20)와 결합되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상부본체(40)가 아궁이(20)와 결합됨에 따라 상부본체(40)와 아궁이(20)는 일체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가 상부본체(40)를 회전시킴으로써 아궁이(20)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아궁이(20)의 회전에 의해 하부본체(10)에 형성된 제1 환풍구(16)와 아궁이(20)에 형성된 제2 환풍구(26)의 상대운동이 가능해짐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 때, 상부본체(40)의 표면에는 복수의 홈(42)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홈(42)에 의해 사용자가 상부본체(40)를 회전시킬 시에 마찰력이 증대될 수 있어, 보다 용이하게 상부본체(40) 및 아궁이(20)의 회전이 가능해질 수 있게 된다.
다른 한편, 상부본체(40)는 하부본체(10)와 마찬가지로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아궁이(20)의 상부는 상부본체(40)의 탄성에 의해 상부본체(40)의 내주면에 끼움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이러한 구조를 보다 견고히 구현하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궁이(20)의 상부에 돌출된 형상의 단턱(28)이 형성되고, 상부본체(40)의 내주면에는 상기 단턱(28)이 삽입되도록 결합홈(44)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아궁이(20)에 형성된 단턱(28)이 상부본체(40)에 오목하게 결합홈(44)에 끼움결합되는 것이다.
하부본체(10)의 하부에는 하부본체(10)를 좌우로 관통하는 벨크로테이프(50)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벨크로테이프(50)에는 하부본체(10)에 형성된 제1 관통홀(18)에 상응하는 제2 관통홀(52)이 형성되는데, 제2 관통홀(52)은 제1 관통홀(18)과 같이 뜸 시술시 발생하는 열이 피시술자의 피부에 전달되도록 하는 통로 역할을 하게 된다.
벨크로테이프(50)는 뜸 시술이 필요한 부위에 온구기가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피시술자가 불안감 없이 뜸시술을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손목에 뜸 시술을 시행하는 경우 벨크로테이프(50)를 손목에 감아 양단이 서로 체결되도록 할 수도 있고, 벨크로테이프(50)의 길이가 충분치 않은 경우에는 별도의 연장 테이프를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여러 개의 온구기를 함께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벨크로테이프(50)를 통해 여러 개의 온구기를 하나의 모듈처럼 연결할 수 있게 되어, 온구기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하부본체 12: 세로홈
14: 가로홈 16: 제1 환풍구
18: 제1 관통홀 20: 아궁이
22: 돌기 24: 통기구
26: 제2 환풍구 27: 고정부재
28: 단턱 30: 방열판
32: 약재 34: 삽입홀
36: 망 40: 상부본체
42: 홈 44: 결합홈
50: 벨크로테이프 52: 제2 관통홀
60: 뜸기둥

Claims (3)

  1. 삭제
  2. 상측이 개방되고 하부에 제1 관통홀(18)이 형성되며, 측면에 제1 환풍구(16)가 형성된 실리콘 재질의 중공형 하부본체(10);
    내부에 뜸기둥(60)이 수용되며, 하부가 개방된 형상을 가지고, 상기 하부본체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면에 복수의 통기구(24) 및 측면에 제2 환풍구(26)가 형성된 아궁이(20);
    상기 아궁이(20)의 하부를 차단하며 중앙에는 삽입홀(34)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34)에는 간접구 시술을 위한 약재(32)가 교체 가능하게 삽입된 방열판(30); 및
    상기 아궁이(20)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상기 아궁이(20)의 상부와 결합되는 링 형상의 실리콘 재질의 상부본체(40)를 포함하며,
    상기 아궁이(20)의 내측 상면에는 상기 뜸기둥(60)이 상기 방열판(30)으로부터 이격되어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고정부재(27)가 마련되고,
    상기 아궁이(20)의 외주면에는 돌기(22)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본체(10)의 내주면에는 상기 돌기(22)를 가이드 하도록 높이 방향으로 형성된 세로홈(12)과, 상기 내주면의 하부에서 상기 세로홈과 연결되어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가로홈(1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격구용 온구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본체(10)의 하부를 관통하는 벨크로테이프(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벨크로테이프(50)에는 상기 제1 관통홀(18)에 상응하는 제2 관통홀(52)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본체(40)의 표면에는 복수의 홈(42)이 형성되고,
    상기 방열판(30)의 삽입홀(34) 하부에는 상기 약재(32)를 지지하기 위한 망(36)이 마련되며,
    상기 상부본체(40)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아궁이(20)의 상부에는 돌출된 형상의 단턱(28)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본체(40)의 내주면에는 상기 단턱(28)이 삽입되도록 결합홈(44)이 형성되며,
    상기 단턱(28)은 상기 결합홈(44)에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격구용 온구기.

KR1020130120301A 2013-10-10 2013-10-10 간접격구용 온구기 KR101450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0301A KR101450770B1 (ko) 2013-10-10 2013-10-10 간접격구용 온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0301A KR101450770B1 (ko) 2013-10-10 2013-10-10 간접격구용 온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0770B1 true KR101450770B1 (ko) 2014-10-16

Family

ID=51997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0301A KR101450770B1 (ko) 2013-10-10 2013-10-10 간접격구용 온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07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1519A (ko) * 2020-01-14 2021-07-22 윤정민 스마트 뜸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0025A (ko) * 1996-10-29 1998-07-25 박기진 쑥뜸장치
KR19990000789U (ko) * 1997-06-10 1999-01-15 김원수 쑥뜸기
KR20030077246A (ko) * 2002-03-25 2003-10-01 배삼훈 삼발이 온구기
KR200440662Y1 (ko) * 2007-03-07 2008-06-24 박오홍 뜸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0025A (ko) * 1996-10-29 1998-07-25 박기진 쑥뜸장치
KR19990000789U (ko) * 1997-06-10 1999-01-15 김원수 쑥뜸기
KR20030077246A (ko) * 2002-03-25 2003-10-01 배삼훈 삼발이 온구기
KR200440662Y1 (ko) * 2007-03-07 2008-06-24 박오홍 뜸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1519A (ko) * 2020-01-14 2021-07-22 윤정민 스마트 뜸기
KR102303240B1 (ko) * 2020-01-14 2021-09-15 윤정민 스마트 뜸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01068B2 (ja) 多機能もぐさ灸箱セット
KR102647217B1 (ko) 통합 의료 및 홀리스틱 힐링을 위한 휴대용 비침습형 장치의 테라헤르츠(10의 12제곱) 및 원적외선(8-10μ)의 진동 힐링 에너지 및 열의 조합
KR101740544B1 (ko) 단열 쑥뜸기
JP3214577U (ja) 高温熱輻射で低電圧の温灸型電子灸装置
KR101123517B1 (ko) 쑥뜸기
KR101450770B1 (ko) 간접격구용 온구기
CN204521560U (zh) 一种无烟温针灸器
CN207477689U (zh) 一种艾灸盒
KR20110008282U (ko) 황토 용기 온구기
CN215022225U (zh) 一种艾灸装置
CN206007586U (zh) 高温热辐射低压电子艾灸器
CN205286920U (zh) 一种无烟式艾灸仪
CN210673773U (zh) 一种温针灸具
CN209405255U (zh) 一种单式雷火灸装置
CN207693911U (zh) 一种腰椎康复艾灸装置
CN206715040U (zh) 理疗帽
KR101727629B1 (ko) 뜸 기구
KR200407506Y1 (ko) 쑥뜸기
KR20120096840A (ko) 대나무 소금 쑥뜸기
CN211068022U (zh) 一种新型温控艾灸盒
CN213219115U (zh) 一种艾灸仪
CN213099343U (zh) 一种艾灸器具
CN207693910U (zh) 一种颈椎康复艾灸装置
KR100876545B1 (ko) 이중구조의 소금 쑥뜸기
CN211096020U (zh) 一种人体工程刮痧艾灸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