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4846B1 - 쑥 찜질 좌욕기 - Google Patents

쑥 찜질 좌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4846B1
KR101054846B1 KR1020090126072A KR20090126072A KR101054846B1 KR 101054846 B1 KR101054846 B1 KR 101054846B1 KR 1020090126072 A KR1020090126072 A KR 1020090126072A KR 20090126072 A KR20090126072 A KR 20090126072A KR 101054846 B1 KR101054846 B1 KR 101054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gwort
smoke
wormwood
salt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6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9363A (ko
Inventor
박연균
Original Assignee
박연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연균 filed Critical 박연균
Priority to KR1020090126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4846B1/ko
Publication of KR20110069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9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4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4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33/10Devices on tubs for steam b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21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 A61H2201/025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by direct air flow on the patient's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25Sitting on the buttocks
    • A61H2203/0431Sitting on the buttocks in 90°/90°-position, like on a c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쑥찜질시 발생하는 쑥연기를 이용한 쑥찜질 좌욕기에 관한 것으로, 해독작용 및 살균효과가 우수한 소금을 뜸쑥과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노폐물이 땀과 함께 체외로 배출되어질 때 세균이 감염되지 않도록 하고, 인체의 독소가 잘 흡수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찜질기의 본체를 황토로 구성함으로써 뜸질 도중에 몸에 유익한 원적외선을 방사할 수 있도록 하고, 쑥 연기가 중공(中空) 원뿔형태의 연기 유도관(3)과 원통형의 연결부재(4)를 거쳐 외부에 배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쑥 연기가 환부에 집중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치료효과가 종래방법에 의해 크게 향상되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통형 연결부재(4)를 본체(1) 상부 또는 하부에 연결함으로써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체형 또는 설치환경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쑥, 소금, 찜질, 연기, 좌욕, 의자, 찜질기, 황토, 살균

Description

쑥 찜질 좌욕기{A sitz bath for applying a poultice with mugwort}
본 발명은 쑥찜질시 발생하는 쑥연기를 이용한 쑥찜질 좌욕기에 관한 것으로, 쑥찜질시에 살균효과가 우수한 소금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체내독소 및 노폐물 제거효과가 우수하도록 하면서, 본체를 황토로 구성하여 원적외선 방사효과도 우수하도록 하는 쑥 찜질 좌욕기에 관한 것이다.
뜸질이란 약쑥으로 살을 떠서 병을 다스리는 한방 치료방법의 하나로서, 약쑥의 재료로는 주로 쑥의 일종인 사재발 쑥을 사용하고 있다.
오래전부터 사용된 재래식 뜸질 치료방법에서는, 약쑥을 비벼서 일정한 형태의 뜸질용 쑥이 되도록 한 다음 이를 환부에 놓고 불을 붙여서 살이 타도록 하는데, 이와 같이 할 때 체내의 노폐물이 땀과 함께 체외로 배출되고 환부에 뭉쳐있던 혈이 풀리게 되면서 혈액 순환이 순조롭게 되고, 몸에 좋은 쑥 성분이 체내에 흡수되어 건강을 증진케 하는 것이다.
한편, 소금은 해독작용 및 살균효과가 뛰어나므로, 한증막에서 땀을 흘릴 시 이를 피부에 대고 문지를 경우 체내의 독소가 제거되고 세균의 번식이 억제되는 등 치료효과가 있다.
좌욕이란 항문 통증의 주원인이 되는 항문괄약근의 경련을 이완시켜서 통증을 가라 앉히기 위한 치료방법으로서, 항문 부위를 청결히 세척하고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상처의 치유를 돕고, 혈전이 녹는 것을 도와주는 방법이다.
좌욕은 치질, 변비, 요통, 생식기 질환에 효과가 있는데 특히 하반신이 냉하여 자궁 질환 등에 시달리는 여성들은 꼭 알아두어야 할 요법으로서, 종래에는 주로 뜨거운 물에 엉덩이를 담가주는 방법에 의해 좌욕을 했었는데, 너무 뜨거운 물에 좌욕을 하면 화상을 입게되어 오히려 안하는 것보다 못하게되고, 물에 의해서만 좌욕하게되므로 치료효과가 충분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
또한, 종래에도 쑥을 태울 때 발생하는 쑥 연기를 이용한 좌욕방법에 대해서도 제안된 바 있으나, 쑥 연기는 기체인지라 치료효과가 물에 의한 좌욕방법보다 못하고 쑥연기가 분산되어 치료부위에 집중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것은 쑥만을 사용하는 좌욕방법으로서 발한을 통한 체내 노폐물 제거효과는 기대할 수 있지만, 독소가 땀과 함께 체내로부터 배출되어질 때 충분히 살균되지 않으므로 해독작용이 불충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해독작용 및 살균효과가 우수한 소금을 뜸쑥과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노폐물이 땀과 함께 체외로 배출되어질 때 세균이 감염되지 않도록 하고, 인체의 독소가 잘 흡수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내부에 소금이 채워져 있으며 외벽에는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통공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내벽면에서 일정 폭만큼 돌출되어진 걸림턱이 전 주에 걸쳐 형성되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채워진 소금의 상부에 위치하며 쑥이 내부에 수용되고 외벽은 그물망 구조로 이루어진 쑥 수용부와,
하단부가 상기 걸림턱 위에 놓여지고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중공(中空) 원뿔형상으로 이루어진 연기 유도관과,
하단부가 상기 연기 유도관과 함께 걸림턱 위에 놓여지되 내경이 상기 연기 유도관의 외경보다 커서 상기 연기 유도관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위치하며, 그 외벽에는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통공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내벽면에서 일정 폭만큼 돌출되어진 돌출턱이 전 주에 걸쳐 형성되며 전체적으로는 중공(中空)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 연결부재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찜질 좌욕기를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해독작용 및 살균효과가 우수한 소금을 뜸쑥과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노폐물이 땀과 함께 체외로 배출되어질 때 세균이 감염되지 않도록 하고, 인체의 독소가 잘 흡수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바닷물로부터 생산되는 소금은 오존이 많이 함유되어져 있으므로 살균력이 우수하고 인체에 매우 유익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찜질기의 본체를 황토로 구성함으로써 뜸질 도중에 몸에 유익한 원적외선을 방사할 수 있도록 하고, 쑥 연기가 중공(中空) 원뿔형태의 연기 유도관과 원통형의 연결부재를 거쳐 외부에 배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쑥 연기가 환부에 집중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치료효과가 종래방법에 의해 크게 향상되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통형 연결부재를 본체 상부 또는 하부에 연결함으로써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체형 또는 설치환경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쑥 찜질 좌욕기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찜질기의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찜질기의 사용상태도로서 상기 도면에서 보면,
내부에 소금(12)이 채워져 있으며 외벽에는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통공(13)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내벽면에서 일정 폭만큼 돌출되어진 걸림턱(11)이 전 주에 걸쳐 형성되어진 본체(1)와,
상기 본체(1) 내부에 채워진 소금(12)의 상부에 위치하며 쑥(26)이 내부에 수용되고 외벽은 그물망 구조로 이루어진 쑥 수용부(2)와,
하단부가 상기 걸림턱(11)위에 놓여지고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중공(中空) 원뿔형상으로 이루어진 연기 유도관(3)과,
하단부가 상기 연기 유도관(3)과 함께 걸림턱(11)위에 놓여지되 내경이 상기 연기 유도관(3)의 외경보다 커서 상기 연기 유도관(3)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위치하며, 그 외벽에는 공기가 유입되기위한 통공(42)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내벽면에서 일정 폭만큼 돌출되어진 돌출턱(41)이 전 주에 걸쳐 형성되며 전체적으로는 중공(中空)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 연결부재(4)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본체(1)와 연결부재(4)에는 쑥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충분히 공급할 수 있도록 통공(13)(42)이 외벽에 형성되어있다.
상기 쑥 수용부(2)는 연결부(24)를 중심으로 개폐되어지는 상부덮개(21) 및 하부덮개(22)로 구성되고, 상, 하부 덮개의 체결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결합수단(23)이 함께 구비되며, 상부덮개(21) 및 하부덮개(22)는 내부에 쑥(26)을 수용할 수 있도록 외측으로 불룩한 형태로 돌출되어진 그물망(25)이 결합되어 구성된다.
한편, 상기 쑥 수용부(2)는 본체(1) 내부에 채워진 소금(12) 상부에 위치하되, 그 하부의 상당부분은 소금(12) 내부에 파묻히도록 하여 소금과 쑥이 최대한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 연결부재(4)와 연결유도관(3)의 하단은 모두 본체(1)의 내측 상부에 위치한 걸림턱(11) 위에 놓이게 되므로, 상기 걸림턱(11)이 형성된 본체(1)의 내경은 상기 연결부재(4)의 외경보다 커야하며, 상기 걸림턱(11)의 내경은 상기 연결 유도관(3)의 직경보다 작아야 한다.
상기 연기유도관(3)의 상단은 상기 연결부재(4)의 상단보다 낮게 위치하여 연기 유도관(3)이 연결부재(4)밖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찜질기의 사용상태도로서 상기 도면에서 보면, 먼저 본체(1) 내부에 굵은 소금(12)을 걸림턱(11)보다 약간 낮은 위치까지 채운다음, 쑥(26)을 쑥 수용부(2)에 담고 불을 붙인 다음 상, 하부 덮개(21)(22)를 체결하고, 소금(12) 위에 놓고 눌러 약간 파묻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연결유도관(3)과 연결부재(4)를 그 하단이 본체(1)의 걸림턱(11)위에 오도록 순차적으로 결합한 다음, 상기 연결부재(4)의 상부에 환자의 엉덩이를 갖다대고 좌욕을 하게된다.
연결부재(4) 상부에 직접 환부를 갖다대는 것이 불편하게 느껴진다면 도 3에서와 같이 의자를 구성함으로써 장시간 동안 편안한 자세로 좌욕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의자(5) 시트의 중앙부에 구멍(52)을 형성하고 시트의 하부로는 상기 구멍(52)의 테두리부와 일체로 연결되어진 가이드관(51)이 상기 쑥찜질 좌욕기의 연 결부재(4)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관(51)과 연결부재(4)간의 결합부위에는 되도록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쑥찜질하는 동안에 쑥 연기가 외부로 새지않고 환부에만 집중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쑥(26)이 연소되는데 필요한 공기는 본체(1)의 통공(13)과 연결부재(4)의 통공(41)을 통해서 공급된다.
쑥이 연소될 때 쑥연기는 공기보다 가벼우므로 위로 상승하게되는데, 도 2에서와 같이 중공(中空) 원뿔형태의 연기 유도관(3)을 거치는 동안 안쪽으로 집중되어지며, 다시 중공(中空) 원통형상의 연결부재(4)를 거치는 동안 안쪽으로 집중된 쑥 연기가 안정화되어진 다음 환부에 공급됨으로써 집중적인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원발명에서는 뜸쑥의 열기가 해독성, 살균성이 우수한 소금을 통해 피부에 전달되어지므로, 독소 및 노폐물이 땀과 함께 피부로부터 배출되어질 시에 피부를 통한 세균 감염이 방지되고 해독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에서 사용되는 본체(1), 연기 유도관(3) 및 연결부재(4)는 모두 미네랄이 약 4% 정도 함유된 황토로 제작되므로 좌욕 도중에 인체에 이로운 원적외선이 방사된다. 따라서 체내 노폐물 배출 및 치료효과가 있다.
즉, 몸에 좋은 쑥 성분을 살균성 및 해독성이 우수한 소금과 함께 사용하며 미네랄이 다량 함유된 황토를 본체(1), 연기 유도관(3) 및 연결부재(4)로 사용하고 있으므로 체내독소 및 노폐물 제거효과가 우수한 바, 산후조리, 치질 등에 탁월한 치료효과가 있는 것이다.
한편, 본원발명은 경우에 따라서는 도 4에서와 같이 사용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방법과 동일 구성요소를 그대로 사용하되 연결부재(4)를 본체(1) 상부에 놓고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그 하부에 끼워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에 소금(12)이 채워져 있으며 외벽에는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통공(13)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내벽면에서 일정 폭만큼 돌출되어진 걸림턱(11)이 전 주에 걸쳐 형성되어있으며 하단에서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진 본체(1)와,
상기 본체(1) 내부에 채워진 소금(12)의 상부에 위치하며 쑥(26)이 내부에 수용되고 외벽은 그물망구조로 이루어진 쑥 수용부(2)와,
하단부가 상기 걸림턱(11)위에 놓여지고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중공(中空) 원뿔형상으로 이루어진 연기 유도관(3)과,
외벽에는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통공(42)이 형성되고 전체적으로는 중공(中空)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그 내경이 상기 본체(1) 외벽의 상 하단의 직경의 중간정도가 되도록 하여 이에 상기 본체(1)의 하부에 끼워져 결합되어지는 연결부재(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할 경우 쑥찜질 좌욕기의 높이를 연결부재(4)의 높이만큼 높일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체형 및 주변 환경에 따라 도 1, 도 2의 방법과 같이 사용하거나 도 4의 방법과 같이 사용할 수 있다.
이때에도 상기 연기 유도관(3)이 본체(1) 상부에 결합되어지므로 쑥 연기는 분산되지않고 환부에 집중적으로 공급될 수 있으며, 쑥연소에 필요한 공기는 특공(13)을 통해 본체(1) 내부로 공급되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쑥 찜질 좌욕기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찜질기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찜질기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찜질기의 또 다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쑥 수용부
3 : 연기 유도관 4 : 연결부재
5 : 의자 11 : 걸림턱
12 : 소금 13, 42 : 통공
21 : 상부덮개 22 : 하부덮개
23 : 결합수단 24 : 연결부
25 : 그물망 41 : 돌출턱
51 : 가이드관 52 : 구멍

Claims (2)

  1. 내부에 소금(12)이 채워져 있으며 외벽에는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통공(13)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내벽면에서 일정 폭만큼 돌출되어진 걸림턱(11)이 전 주에 걸쳐 형성되어진 본체(1)와,
    상기 본체(1) 내부에 채워진 소금(12)의 상부에 위치하며 쑥(26)이 내부에 수용되고 외벽은 그물망 구조로 이루어진 쑥 수용부(2)와,
    하단부가 상기 걸림턱(11)위에 놓여지고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중공(中空) 원뿔형상으로 이루어진 연기 유도관(3)과,
    하단부가 상기 연기 유도관(3)과 함께 걸림턱(11)위에 놓여지되 내경이 상기 연기 유도관(3)의 외경보다 커서 상기 연기 유도관(3)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위치하며, 그 외벽에는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통공(42)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내벽면에서 일정 폭만큼 돌출되어진 돌출턱(41)이 전 주에 걸쳐 형성되며 전체적으로는 중공(中空)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 연결부재(4)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찜질 좌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의자(5) 시트의 중앙부에 구멍(52)을 형성하고 시트의 하부로는 상기 구멍(52)의 테두리부와 일체로 연결되어진 가이드관(51)이 상기 쑥찜질 좌욕기의 연결부재(4)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쑥찜질용 좌욕기.
KR1020090126072A 2009-12-17 2009-12-17 쑥 찜질 좌욕기 KR101054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6072A KR101054846B1 (ko) 2009-12-17 2009-12-17 쑥 찜질 좌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6072A KR101054846B1 (ko) 2009-12-17 2009-12-17 쑥 찜질 좌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9363A KR20110069363A (ko) 2011-06-23
KR101054846B1 true KR101054846B1 (ko) 2011-08-11

Family

ID=44401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6072A KR101054846B1 (ko) 2009-12-17 2009-12-17 쑥 찜질 좌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48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241Y1 (ko) * 2016-03-08 2017-12-12 강동기 이중덮개를 갖는 쑥뜸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2474A (ja) 1996-06-19 1998-02-24 Seigen Ben 温灸器
JP2001286532A (ja) * 2000-04-10 2001-10-16 Kamaya Mogusa:Kk 温熱滋養灸
KR200411591Y1 (ko) * 2005-12-09 2006-03-15 봉하경 좌훈기
KR20060056481A (ko) * 2004-11-22 2006-05-25 남영우 쑥뜸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2474A (ja) 1996-06-19 1998-02-24 Seigen Ben 温灸器
JP2001286532A (ja) * 2000-04-10 2001-10-16 Kamaya Mogusa:Kk 温熱滋養灸
KR20060056481A (ko) * 2004-11-22 2006-05-25 남영우 쑥뜸기
KR200411591Y1 (ko) * 2005-12-09 2006-03-15 봉하경 좌훈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9363A (ko) 2011-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4317Y1 (ko) 족욕 및 좌욕이 가능한 다기능 스팀기
KR100933219B1 (ko) 좌식 훈증기
KR101195579B1 (ko) 좌훈기
CN109077920A (zh) 养生瓮
KR101054846B1 (ko) 쑥 찜질 좌욕기
KR100266907B1 (ko) 훈증 좌욕기
CN2925464Y (zh) 坐浴熏疗器
KR20170119178A (ko) 가습 및 뜸을 위한 발열장치
KR200249105Y1 (ko) 의자형 좌욕기
KR200186520Y1 (ko) 적외선 쑥뜸기
KR200289106Y1 (ko) 여성의 질에 사용되는 미용기구
KR20050059386A (ko) 건식훈증기를 구비한 한방헬스 의자
KR101262746B1 (ko) 숯을 이용한 좌훈제 및 이를 이용한 좌훈 장치
KR200234828Y1 (ko) 쑥뜸사우나기
KR19980056677U (ko) 황토.쑥의 훈증치료용 세트
KR200203754Y1 (ko) 캡슐형 찜질기
KR100946191B1 (ko) 뜸질기
KR100300770B1 (ko) 뜸치료기
KR200339570Y1 (ko) 발찜질이 가능한 좌욕기
KR100351609B1 (ko) 소금과쑥을사용한찜질기및찜질방법
KR200234816Y1 (ko) 좌욕 훈증장치
CN209316491U (zh) 一种艾灸座及带该艾灸座的艾灸理疗用具
KR200277119Y1 (ko) 일회용 쑥 훈증기
KR20110069364A (ko) 쑥과 소금을 사용하는 찜질기
CN209060159U (zh) 一种多功能家用结肠水疗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