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4227B1 - 전자레인지의 조리제어시 커버유무 및 분량인식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레인지의 조리제어시 커버유무 및 분량인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4227B1
KR100204227B1 KR1019960070743A KR19960070743A KR100204227B1 KR 100204227 B1 KR100204227 B1 KR 100204227B1 KR 1019960070743 A KR1019960070743 A KR 1019960070743A KR 19960070743 A KR19960070743 A KR 19960070743A KR 100204227 B1 KR100204227 B1 KR 100204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time
cooking
determined
area rat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0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1824A (ko
Inventor
최이존
황인영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60070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4227B1/ko
Publication of KR19980051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1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4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42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47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6Circuits
    • H05B6/68Circuits for monitoring or control
    • H05B6/687Circuits for monitoring or control for cook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의 조리 제어시 랩(WRAP) 또는 용기의 뚜껑 유무 및 조리물의 분량을 정확하게 인식하여 커버(Cover)의 유무 및 분량에 따라 음식물의 조리를 제어하도록 하므로서, 조리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전자레인지의 조리제어시 커버 유무 및 분량 인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조리제어방법에 있어서는 뚜껑유무 및 분량 판정을 기준으로 정한 시점에서의 면적비만으로 판정하게 되는 바, 랩과 같은 커버를 느슨하게 감싼 경우, 랩이 순간적으로 터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데, 이는 면적비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므로서, 커버가 없는 경우로 판정하여 분량은 물론이고, 커버의 유무 판단에 있어서도 심각한 오류를 발생시킬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에서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커버의 유무 판단에 있어서 이상파형이 발생하였는 가를 검지하고, 이상파형이 발생하였는 가의 판단여부에 따라 커버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순간적인 저항비의 변화에도 상관없이 정확한 커버의 유무 판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정확한 조리진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레인지의 조리제어시 커버유무 및 분량인식 방법.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의 조리 제어시 랩(WRAP) 또는 용기의 뚜껑 유무 및 조리물의 분량을 정확하게 인식하여 커버(Cover)의 유무 및 분량에 따라 음식물의 조리를 제어하도록 하므로서, 조리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전자레인지의 조리제어시 커버 유무 및 분량 인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면 제 1도는 일반적인 전자레인지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제 1도를 참조하여 일반적인 전자레인지의 조리를 위한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열실(1)과, 가열실(1)내의 음식물이 놓여지는 턴테이블(2)과, 턴테이블(2)을 회전시키는 모터(3)와, 고압을 발생시키는 고압발생부(4)와, 고압발생부(4)로 부터 발생되는 고압을 입력받아 턴테이블(2)에 놓여진 음식물을 가열시키기 위하여 마이크로파를 출력시키는 마그네트론(5)과, 마그네트론(5)으로 부터 출력되는 마이크로파를 가열실(1)내로 전달하기 위한 도파관(6)과, 외부공기를 가열실(1)내로 전달하기 위한 도파관(6)과, 외부공기를 가열실(1)내로 전달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팬(7)과, 팬(7)의 회전으로 외부공기를 가열실(1)내로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8)와, 흡입구(8)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가열실(1)에서 발생되는 수증기, 가스등이 배출되는 배출구(9)와, 배출구(9)로 부터 배출되는 수증기, 가스 등을 감지하는 센서(10)와, 상기 모터(3) 및 고압발생부(4)와 팬(7) 등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11)과, 상기 센서(10)로 부터 읽어들인 센싱신호를 판독하여 조리 진행정보를 출력하는 센서신호처리수단(12)과, 센서신호처리수단(12)으로 부터 입력된 조리 진행정보에 따라 음식물의 상태 및 부하를 인식하여 그에 따른 조리 진행방법을 출력하는 인식처리수단(13)과, 키이입력부(14)로 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제어신호 및 인식처리수단(13)으로 부터 입력되는 조리 진행방법을 입력받아 상기 구동수단(11)을 제어하여 음식물의 조리를 제어하는 제어부(15)로 구성된다.
이와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전자레인지에 있어서, 키이입력부(14)를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의 키이입력신호에 따라서 제어부(15)에서는 구동수단(11)을 제어하여 음식물을 조리하게 되는 바,
도면 제 2도는 종래 전자레인지의 커버유무 및 분량인식에 다른 조리제어수순을 보인 플로우챠트로서, 제 2도를 참조하여 종래기술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키이입력부(14)를 통하여 메뉴를 선택한후, 조리시작을 입력하게 되면, 제어부(14)에서는 이를 인식하여 구동수단(11)을 통하여 턴테이블(2)을 회전시키고, 고압발생부(4)를 구동시켜 마그네트론(5)으로 부터 마이크로파가 출력되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마이크로파가 출력되므로서, 턴테이블(2)에 놓여진 음식물은 가열되기 시작한다.
이때, 배출구(9)측에 형성된 센서(10)는 배출구(9)로 배출되는 수증기, 가스 등을 감지하게 되고, 상기 센서(10)에서 감지된 신호는 센서신호처리수단(12)에서 판독하여 조리 진행정보를 인식처리수단(13)으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인식처리수단(13)에서는 센서신호처리수단(12)으로 부터 읽어들인 조리 진행정보에 따라서, 현재 가열실(1)내의 음식물의 상태를 판단하여 제어부(15)로 전달하게 된다.
제어부(15)에서는 상기에서 전달된 센서(10)의 출력에 의하여 각 부를 제어하여 조리를 진행시키게 되는 바,
제어부(15)에서는 가열이 시작되면, 센서(10)의 초기값(Ro)을 측정하게 되고, 계속적인 가열이 이루어짐에 따른 센서(10)의 출력을 계속 측정(Rs)하게 된다.
이때, 음식물이 계속 가열됨에 따라서, 발생하는 수증기, 가스등은 배출구(9)를 통해 배출되고, 배출되는 수증기, 가스 등의 온도증가 등에 비례하여 센서(10)의 출력이 변화하게 되는데, 제 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센서(10)의 저항비가 증가함을 알수 있으며, 랩을 씌운 경우와 씌우지 않은 경우에 있어 파형의 기울기가 다르게 나타남을 알수 있다.
이와같은 센서(10)의 출력파형으로서, 인식처리수단(13)에서는 가열이 시작된 이후로 센서(10)의 저항비(△G=Rs/Ro)를 계속 산출하게 되며, 이와같이 산출되는 저항비(△G)가 면적비를 계산하는 면적 계산 기준점(△Ga)에 도달하게 되면, 면적비를 계산하게 되며, 조리진행중 센서(10)의 출력 저항비(△G)가 일정한 값(센싱지점)에 도달하면 그때의 시간을 센싱시간(Ts)으로 계산해둔다.
도면 제 4도는 센서신호의 면적비를 나타낸 것으로서, 마그네트론이 발진하기 시작하여 센서의 출력 파형이 나타나게 되는데, 이를 계속측정하여 상기에서와 같이 저항비(△G)를 산출하게 되고, 저항비(△G)가 면적비 계산 기준점(△Ga)에 도달하게 되면, 이점의 저항비(△Ga)가 커버의 유무를 판단하기 위하여 산출되는 면적비를 구하는 기준값이 되는 것이다.
이때, Ts는 센서의 출력파형이 센싱지점(△Gs)에 도달했을 때의 시간을 의미하며 이를 근거로 전체가열시간을 계산하게 된다.
여기서, 면적비란 센서신호의 출력파형이 일정한 △Ga에 도달할때까지의 걸린시간(t1)×△G를 전체면적으로 할 때, 센서신호의 출력파형이 일정한 △G에 도달할 때까지의 센서신호의 출력파형을 시간에 대해 적분한 면적을 전체면적으로 나눈 것을 말한다.
이후, 조리진행중 센서의 출력 저항비가 센싱지점(△Gs)에 도달하고, 또한 동시에 센서의 출력 저항비가 면적비 계산 기준점(△Ga)에 도달하였는 지를 판단하고, 면적비 계산 기준점(△Ga)에 도달하지 못하였으면,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게 되고, 도달하였으면 커버의 유무를 판단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과정에서 구한 면적비를 미리 실험을 통하여 설정되어 있는 기준 면적비와 비교하여 커버의 유무를 판단하게 된다.
면적비가 기준 면적비이하 일 경우에는 커버가 있다고 판단하게 되며, 면적비가 기준 면적비보다 클 경우에는 커버가 없다고 판단하여 각각의 기준값과 센싱시간(Ts)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이 분량을 판단하게 된다.
상기 면적비가 기준 면적비 이하 일 경우 센싱시간(Ts)과 커버 1,2인분의 기준시간과 비교하게 되고, 센싱시간(Ts)이 커버 1,2인분의 기준시간 이하 일 경우에는 커버 1인분으로 판단하고, 센싱시간(Ts)이 커버 2,3인분의 기준시간 이하 일 경우에는 커버 2인분으로 판단하고, 센싱시간(Ts)이 커버 3,4인분의 기준시간 이하 일 경우에는 커버 3인분으로 판단하고, 센싱시간(Ts)이 커버 4,5인분의 기준시간 이하 일 경우에는 커버 4인분으로 판단하고, 센싱시간(Ts)이 커버 4,5인분의 기준시간보다 클 경우에는 커버 5인분으로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노우 커버(No Cover)에 대한 분량 판단은 센싱시간(Ts)이 노우 커버 1,2인분의 기준시간이하 일 경우에는 노우 커버 1인분으로 판단하고, 센싱시간(Ts)이 노우 커버 2,3인분의 기준시간 이하 일 경우에는 노우 커버 2인분으로 판단하고, 센싱시간(Ts)이 노우 커버 3,4인분의 기준시간이하 일 경우에는 노우 커버 3인분으로 판단하고, 센싱시간(Ts)이 노우 커버 4,5인분의 기준시간이하 일 경우에는 노우 커버 4인분으로 판단하고, 센싱시간(Ts)이 노우 커버 4,5인분의 기준시간보다 클 경우에는 노우 커버 5인분으로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면적비를 이용하여 커버의 유무를 판단하고, 센싱시간(Ts)과 커버의 유무 및 인분에 따른 기준시간을 비교하여 커버의 유무별 분량을 판단하게 되고, 상기와 같이 판단이 완료되면, 전체가열시간을 산출하기 위한 비례상수(K)를 커버의 유무별 분량별에 따라 결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비례상수(K)를 결정하게 되면, 이를 이용하여 전체가열시간(T)을 산출하게 되고, 전체가열시간과 현재 조리 진행시간을 비교하여 조리 종료여부를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 조리제어방법에 있어서는 뚜껑유무 및 분량 판정을 기준으로 정한 시점에서의 면적비만으로 판정하게 되는 바, 랩과 같은 커버를 느슨하게 감싼 경우, 랩이 순간적으로 터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데, 이는 면적비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므로서, 커버가 없는 경우로 판정하여 분량은 물론이고, 커버의 유무 판단에 있어서도 심각한 오류를 발생시킬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에서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커버의 유무 판단에 있어서 이상파형이 발생하였는 가를 검지하고, 이상파형이 발생하였는 가의 판단여부에 따라 커버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순간적인 저항비의 변화에도 상관없이 정확한 커버의 유무 판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정확한 조리진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전자레인지의 일반적인 구성을 보인 블럭도.
도 2(도 2A,도 2B)는 종래 전자레인지의 조리제어시 커버유무 및 분량인식 방법의 실행과정을 보인 플로우챠트.
도 3은 종래 전자레인지의 조리제어시 커버유무 및 분량인식 방법에 있어 시간에 따른 센서신호의 출력을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종래 전자레인지의 조리제어시 커버유무 및 분량인식 방법에 있어, 센서신호출력 파형에 있어 면적비를 나타낸 도면.
도 5(도 5A,도 5B)는 본 발명 전자레인지의 조리제어시 커버유무 및 분량인식 방법의 실행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6은 본 발명 전자레인지의 조리제어시 커버유무 및 분량인식 방법에 있어서 랩의 폭발로 인하여 발생되는 이상파형을 나타내기 위한 그래프.
본 발명은 센서의 초기값과 조리가 진행됨에 따라 변환된 데이터의 값을 설정하여 저항비를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저항비를 산출시 발생되는 이상 파형을 검지하는 과정과, 센서의 저항비가 면적비 계산 기준점인 일정한 기준값에 도달했을 때 면적비를 산출하는 과정과, 센서의 저항비값이 센싱시점에 도달했을 때의 시간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산출된 면적비를 기준 면적비와 비교하거나 또는 상기 과정에서 검지되는 이상파형에 따라 커버의 유무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판단된 커버의 유무에 따른 기준설정값과 센싱시간을 이용하여 커버의 유무에 따른 분량을 판정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판정된 커버의 유무 및 분량에 따른 비례상수(K)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설정된 센싱시점을 기준으로 전체가열시간을 계산하여 산출된 가열시간으로 조리를 제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도면 제 5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실행과정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센서의 초기값을 측정하는 과정과, 센서의 출력이 계속됨에 따라 저항비(△G)를 산출하는 과정과,
저항비(△G)를 산출하는 과정에 있어서, 이상파형이 발생하는 가를 검지하는 과정과,
산출된 저항비(△G)가 면적비 계산기준점(△Ga)에 도달하게 되면, 면적비를 산출하는 과정과,
센서의 출력 저항비(△G)가 일정한 값(△Gs)에 도달하면, 센싱시간(Ts)을 계산하는 과정과, 조리진행중 센서의 출력 저항비(△G)가 센싱시점(△Gs)에 도달하고, 또한 동시에 센서의 출력 저항비(△G)가 면적비 계산 기준점(△Ga)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 판단결과 센서의 출력 저항비(△G)가 센싱시점에 도달하고, 면적비 계산 기준점(△Ga)에 도달하면 면적비와 설정되는 기준 면적비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이상파형이 검지되는 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면적비 비교과정 및 이상파형 검지 판단과정의 결과에 따라 커버의 유무를 판단하게 되는 과정과,
상기 과정 판단결과 노우 커버라고 판단되면, 노우 커버에 대하여 각 분량별로 설정된 기준 센싱시간과 상기 설정된 센싱시간(Ts)을 비교하여 노우 커버에 대한 분량을 판단하도록 하는 노우 커버에 대한 분량 판단과정과,
상기 과정 판단결과 커버가 있다고 판단되면, 커버에 대하여 각 분량별로 설정된 기준 센싱시간과 상기 설정된 센싱시간(Ts)을 비교하여 커버에 대한 분량을 판단하도록 하는 커버에 대한 분량 판단과정과,
커버의 유무 및 분량 판단과정을 통하여 판단된 커버의 유무별 분량별 비례상수(K)를 결정하여 전체가열조리시간을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산출된 전체가열조리시간과 현재 진행된 조리시간을 비교하여 조리종료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의 유무 판단과정에 있어서 커버의 유무 판단은 면적비가 기준 면적비이하 일 경우 또는 이상파형이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 커버가 있다고 판단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에 대한 분량의 판단과정은 센싱시간(Ts)이 커버 1,2인분의 기준시간이하 일 경우에는 커버 1인분으로 판단하고, 센싱시간(Ts)이 커버 1,2인분의 기준시간보다 클 경우에는 커버 2,3인분의 기준시간과 비교하는 단계와,
비교결과 센싱시간(Ts)이 커버 2,3인분의 기준시간이하 일 경우에는 커버 2인분으로 판단하고, 센싱시간(Ts)이 커버 2,3인분의 기준시간보다 클 경우에는 커버 3,4인분의 기준시간과 비교하는 단계와,
비교결과 센싱시간(Ts)이 커버 3,4인분의 기준시간 이하 일 경우에는 커버 3인분으로 판단하고, 센싱시간(Ts)이 커버 3,4인분의 기준시간보다 클 경우에는 커버 4,5인분의 기준시간과 비교하는 단계와,
비교결과 센싱시간(Ts)이 커버 4,5인분의 기준시간 이하 일 경우에는 커버 4인분으로 판단하고, 센싱시간(Ts)이 커버 4,5인분의 기준시간보다 클 경우에는 커버 5인분으로 판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노우 커버에 대한 분량 판단과정은,
센싱시간(Ts)이 노우 커버 1,2인분의 기준시간 이하 일 경우에는 노우 커버 1인분으로 판단하고, 센싱시간(Ts)이 노우 커버 1,2인분의 기준시간보다 클 경우에는 노우 커버 2,3인분의 기준시간과 비교하는 단계와,
비교결과 센싱시간(Ts)이 노우 커버 2,3인분의 기준시간 이하 일 경우에는 노우 커버 2인분으로 판단하고, 센싱시간(Ts)이 노우 커버 2,3인분의 기준시간보다 클 경우에는 노우 커버 3,4인분의 기준시간과 비교하는 단계와,
비교결과 센싱시간(Ts)이 노우 커버 3,4인분의 기준시간 이하 일 경우에는 노우 3인분으로 판단하고, 센싱시간(Ts)이 노우 3,4인분의 기준시간보다 클 경우에는 노우 커버 4,5인분의 기준시간보다 클 경우에는 노우 커버 4,5인분의 기준시간과 비교하는 단계와,
비교결과 센싱시간(Ts)이 노우커버 4,5인분의 기준시간이하 일 경우에는 노우 커버 4인분으로 판단하고, 센싱시간(Ts)이 노우 커버 4,5인분의 기준시간보다 클 경우에는 노우 커버 5인분으로 판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은 실행수순으로서 이루어지는 본 발명 전자레인지의 조리제어시 커버유무 및 분량인식 방법은 센서의 출력으로 부터 얻어지는 저항비를 이용하여 면적비를 산출하고, 산출된 면적비를 이용하여 커버의 유무를 판단하도록 하고, 또한 순간적으로 변화되는 저항비의 변화에 따른 커버의 상태 오판을 방지하기 위하여 저항비를 산출하는 동안 이상파형이 발생하는 가를 판단하여 이에 따라 커버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여, 그 판단된 커버의 유무 상태에 따라 각각의 분량을 판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도면 제 6도는 용기 내부의 압력 증가로 인하여 랩이 폭발함에 따라 발생되는 이상파형을 나타낸 그래프로서, 도면 제 6도에서 보면 정상적인 랩이 경우에 있어 파형은 기울기가 완만하고 미분불가능한 구간이 없다.
그러나, 랩의 폭발로 인한 이상파형에서는 미분불가능한 곳(첨점 또는 불연속점)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시간에 따라 센서신호의 출력을 측정해가는 도중에 랩의 폭발에 따른 이상파형이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정확한 면적비의 산출이 어렵게 되므로 서 정확한 커버의 판정을 진행할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와같이 저항비의 산출도중에 발생되는 이상파형을 검지하여 이에 따라 정확한 커버의 판정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사용자가 메뉴를 선택한 후, 가열을 시작하게 되면, 제어수단에서는 센서의 초기값(Ro)을 측정하게 되고, 계속적인 가열이 이루어짐에 따라, 센서의 출력을 계속 측정(Rs)하여 저항비(Rs/Ro)를 산출하게 된다.
이때, 저항비(Rs/Ro)를 측정하는 도중 이상파형이 검지되면 이를 기억해두었다가 커버의 유무 판정에 이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산출되는 저항비(Rs/Ro)가 면적계산 기준점(△Ga)에 도달하게 되면, 면적비를 계산하게 되며, 조리진행중 센서의 출력 저항비가 일정한 값(센싱지점)에 도달하게 되면, 그때의 시간을 센싱시간(Ts)으로 계산해둔다.
이후, 조리진행중 센서의 출력 저항비가 센싱지점(△Gs)에 도달하고, 또한 동시에 센서의 출력 저항비가 면적비 계산 기준점(△Ga)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고, 면적비 계산 기준점(△Ga)에 도달하지 못하였으면,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게되고, 도달하였으면 커버의 유무를 판단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커버의 유무 판단과정에 있어서는 면적비를 설정되어 있는 기준 면적비와 비교하게 된다.
그 비교결과 면적비가 기준면적비 이하 일 경우에는 노우 커버라고 판정하게 되며, 면적비가 기준 면적비보다 클 경우에는 커버가 있다고 판단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과정에서 이상파형이 검지되었다고 판단되면, 노우 커버라고 판정하게 되는 바,
면적비가 기준 면적비보다 클 경우라도 이상파형이 발생되었다면 노우 커버라고 판단하게 된다.
이는 랩의 폭발로 인하여 비정상적으로 면적비가 증가하게 되므로서, 산출된 면적비가 정확하다고 볼 수 없기 때문이다.
이와같이 커버의 유무를 판단하게 되면, 판단된 커버의 상태에 따라 각각의 분량 판정단계를 진행하게 되는 데,
상기에서 커버가 있다고 판단되면, 센싱시간(Ts)과 커버 1,2인분의 기준시간과 비교하게 되고, 센싱시간(Ts)이 커버 1,2인분의 기준시간이하 일 경우에는 커버 1인분으로 판단하고, 센싱시간(Ts)이 커버 2,3인분의 기준시간이하 일 경우에는 커버 2인분으로 판단하고, 센싱시간(Ts)이 커버 3,4인분의 기준시간이하 일 경우에는 커버 3인분으로 판단하고, 센싱시간(Ts)이 커버 4,5인분의 기준시간이하 일 경우에는 커버 4인분으로 판단하고, 센싱시간(Ts)이 커버 4,5인분의 기준시간보다 클 경우에는 커버 5인분으로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노우 커버라고 판단되면, 센싱시간(Ts)이 노우 커버 1,2인분의 기준시간이하 일 경우에는 노우 커버 1인분으로 판단하고, 센싱시간(Ts)이 노우 커버 2,3인분의 기준시간이하 일 경우에는 노우 커버 2인분으로 판단하고, 센싱시간(Ts)이 노우 커버 3,4인분의 기준시간이하 일 경우에는 노우 커버 3인분으로 판단하고, 센싱시간(Ts)이 노우 커버 4,5인분의 기준시간이하 일 경우에는 노우 커버 4인분으로 판단하고, 센싱시간(Ts)이 노우 커버 4,5인분의 기준시간보다 클 경우에는 노우 커버 5인분으로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센싱시간(Ts)과 산출된 면적비와 각각의 분량에 따른 기준시간 및 면적비 기준값의 비교결과에 따라 커버의 유무를 판단하고, 판단된 커버의 상태 및 분량에 따른 기준시간을 비교하여 커버의 유무별 분량을 판단하게되고, 상기와 같이 판단이 완료되면, 전체가열시간을 산출하기 위한 비례상수(K)를 커버의 유무별 분량별에 따라 결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비례상수(K)를 결정하게 되면, 이를 이용하여 수학식 1과같이,전체가열시간(T)을 산출하게 되고, 전체가열시간과 현재 조리진행시간을 비교하여 조리종료여부를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가열이 진행됨에 따라서 용기 내부의 압력증가로 인하여 랩 등의 커버가 폭발하여 정확한 면적비의 산출이 어렵게 될 경우에 있어서도 이상파형을 검지하여 이를 판단하여 커버의 유무를 판정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정확한 커버의 상태를 판단하여 이에 따른 분량을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어, 조리의 질과 맛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센서의 초기값과 조리가 진행됨에 따라 변환된 데이터의 값을 설정하여 저항비를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저항비를 산출시 발생되는 이상 파형을 검지하는 과정과,
    센서의 저항비가 면적비 계산 기준점인 일정한 기준값에 도달했을 때 면적비를 산출하는 과정과,
    센서의 저항비값이 센싱시점에 도달했을 때의 시간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산출된 면적비를 기준 면적비와 비교하거나 또는 상기 과정에서 검지되는 이상파형에 따라 커버의 유무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판단된 커버의 유무에 따른 기준설정값과 센싱시간을 이용하여 커버의 유무에 따른 분량을 판정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판정된 커버의 유무 및 분량에 따른 비례상수(K)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설정된 센싱시점을 기준으로 전체가열시간을 계산하여 산출된 가열시간으로 조리를 제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조리제어시 커버 유무 및 분량 인식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유무 판단과정에 있어 산출된 면적비와 기준면적의 비교결과에 상관없이 이상파형이 검지되었다고 판단되면 노우 커버라고 판단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의 조리제어시 커버유무 및 분량인식 방법.
KR1019960070743A 1996-12-23 1996-12-23 전자레인지의 조리제어시 커버유무 및 분량인식 방법 KR100204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0743A KR100204227B1 (ko) 1996-12-23 1996-12-23 전자레인지의 조리제어시 커버유무 및 분량인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0743A KR100204227B1 (ko) 1996-12-23 1996-12-23 전자레인지의 조리제어시 커버유무 및 분량인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1824A KR19980051824A (ko) 1998-09-25
KR100204227B1 true KR100204227B1 (ko) 1999-06-15

Family

ID=19490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0743A KR100204227B1 (ko) 1996-12-23 1996-12-23 전자레인지의 조리제어시 커버유무 및 분량인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422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1824A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58797A (en) Automatic food type determining device for a heating apparatus
US8217321B2 (en) Method for generating, processing and analysing a signal correlated to temperature and corresponding device
KR0154643B1 (ko) 증기센서의 출력신호를 이용한 적응 제어방법
US4918276A (en) Automatic cooking control system for a microwave oven
US6066839A (en) Temperature compensation method for a microwave oven
KR0154635B1 (ko) 증기센서의 용기에 따른 적응 제어방법
KR100204227B1 (ko) 전자레인지의 조리제어시 커버유무 및 분량인식 방법
US5422465A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automatically heating foods in microwave oven
KR100196692B1 (ko) 전자레인지의 용기의 뚜껑 유무 및 분량 인식장치와 방법
KR100623868B1 (ko) 스팀 오븐의 상대습도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204228B1 (ko) 전자레인지의 조리제어시 커버유무 및 분량인식 방법
KR100233928B1 (ko) 전자레인지의 조리제어시 커버 유무 및 분량 인식 방법
KR19980051825A (ko) 전자레인지의 조리제어시 커버유무 및 분량인식 방법
KR19980051823A (ko) 전자레인지의 조리제어시 커버유무 및 분량인식 방법
KR940007230B1 (ko) 전자레인지의 자동 가열 제어 방법
JP2907531B2 (ja) 炊飯器の加熱制御方法
JPH0444529B2 (ko)
KR0152844B1 (ko) 전자레인지의 음식물 조리시 용기뚜껑 유무 및 분량인식방법
US5698126A (en) Microwave oven with food wrap film detecting function
JPH04193115A (ja) 炊飯器の加熱制御方法
KR100988930B1 (ko) 전자레인지의 제어방법
US6791070B2 (en) Simmering control method in microwave oven
KR0154639B1 (ko) 증기센서의 폐회로 구성 감지방법
KR940003015B1 (ko) 초전센서를 이용한 전자레인지의 자동 가열장치
KR970070758A (ko) 가스레인지의 비등점 검지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