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3430B1 - 진공청소기의 액체흡입 경보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의 액체흡입 경보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3430B1
KR100203430B1 KR1019960078389A KR19960078389A KR100203430B1 KR 100203430 B1 KR100203430 B1 KR 100203430B1 KR 1019960078389 A KR1019960078389 A KR 1019960078389A KR 19960078389 A KR19960078389 A KR 19960078389A KR 100203430 B1 KR100203430 B1 KR 100203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cleaner
microcomputer
moisture
control signal
al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8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9053A (ko
Inventor
안치형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60078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3430B1/ko
Publication of KR19980059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9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3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34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89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systems, e.g. for prevention of motor over-heating or for protection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57User input or output elements for control, e.g. buttons, switches or display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0Status alarms responsive to mois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42Suction motors or blow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01F23/2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variations of capacity or inductance of capacitors or inductors arising from the presence of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in the electric or electromagnetic fields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의 액체흡입 경보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집진실(9)의 일측에 구성되어 먼지봉투내의 수분량을 감지하는 수분감지센서(14)와, 베이스단에 저항(R1)을 통해 구동전압(Vcc)이 연결되어 컬렉터단에 연결된 상기 수분감지센서(14)로부터 감지신호가 발생되었을 때에 구동전압(Vcc)을 스위칭시키는 트랜지스터(12)와, 상기 트랜지스터(12)의 스위칭상태를 감지하여 내장된 프로그램이나 기준데이터와 비교 및 판단하여 제어신호를 출력시키는 마이콤(10)과, 상기 마이콤(10)의 제어신호로 일정주파수의 경보음을 출력시키는 경보수단(16)과, 상기 마이콤(10)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로 자화되는 코일부(22)의 자기장에 의해 전원공급부(18)에서 모터구동부(24)로 공급되는 전원을 스위칭시키는 릴레이스위치(21)로 구성된 릴레이(20)로 구성되어 진공청소기내에 부착된 먼지봉투로 액체가 흡입되었을 때에 이를 감지하여 일정주파수의 경보음의 발생 및 운전을 중지시키는 것이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의 액체흡입 경보방법 및 그 장치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진공청소기내에 부착된 먼지봉투로 액체가 흡입되었을 때에 이를 감지하여 일정주파수의 경보음의 발생 및 운전을 중지시키는 진공청소기의 액체흡입 경보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진공청소기는 본체에 내장된 모터의 구동에 따라 발생되는 강력한 흡입력에 의해 외부의 먼지나 이물질을 흡입하는 것으로, 흡입된 먼지나 이물질은 집진실내에 장착된 집진용 봉투에서 포집되며, 깨끗한 공기는 구동실의 필터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진공청소기는 그 형태에 따라 구석진 곳의 청소가 가능하고, 이동이 편리하며, 브러시나 노즐의 교체가 용이한 캐니스터타입(Canister Type)과, 넓은 공간의 청소가 용이하고, 보관이 편리한 업라이트타입(Upright Type)으로 대별된다.
도 1은 이러한 진공청소기의 내부일측에 설치되는 먼지봉투의 장착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통상적으로 진공청소기의 본체(1)내부는 격벽에 의해 구동실과 집진실로 분리되어 있으며, 집진실(9)내에는 브러시헤드를 통해 흡입된 먼지를 포집하는 먼지봉투(6)가 설치된다. 먼지봉투(6)는 버튼(2)에 의해 잠금상태가 해제되어 본체(1)로부터 대략 90°의 각도로 회동하면서 개방되도록 장착된 커버(3)에 의해 보호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먼지봉투(6)는 중앙에 먼지흡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카드보드(5)에 부착되어 있으며, 작동레버(4)에 의해 집진실(9)로부터 분리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진공청소기로 청소를 마친 후에 먼지봉투(6)에 먼지가 가득찬 경우에는 작동레버(4)를 눌러 카드보드(5)를 집진실(9)로부터 인출한 후에, 새로운 먼지봉투(6)를 교체할 수 있다. 즉, 진공청소기의 사용도중에 먼지봉투(6)에 일정량의 먼지 및 이물질이 포집되면, 먼지봉투(6)내의 먼지 및 이물질을 깨끗하게 비우거나 새것으로 교체하여야 진공청소기의 흡인력 및 사용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인 (7)은 어댑터이고, (8)은 바퀴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진공청소기는 먼지 및 이물질을 흡입하여 먼지봉투에 포집하게 되는 데,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진공청소기를 사용하는 도중에 먼지봉투로 포집되는 먼지 및 이물질외에 액체가 흡입되면, 종이재질인 먼지봉투는 흡입된 액체로 인하여 찢어져 먼지 및 이물질이 집진실내로 쏟아져 나와 집진실을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먼지봉투로 흡입된 액체는 먼지봉투에 수막을 형성시켜 흡입력을 약화시키므로 모터에 과부하가 걸리게 하거나, 먼지봉투를 통과한 액체의 양이 많을 경우에는 모터로 액체가 유입되어 모터를 망실시키는 문제도 도출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집진실내의 먼지봉투로 유입되는 액체나 수분을 감지하여 일정량이상이 되면, 경보음을 발생시키고, 모터의 구동을 중지시키는 진공청소기의 액체흡입 경보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도 1은 종래에 진공청소기에 먼지봉투가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먼지봉투에 흡입되는 액체를 감지하여 경보하는 장치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먼지봉투에 액체가 감지되었을 때에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제어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마이콤 12 : 트랜지스터
14 : 수분감지센서 16 : 경보수단
18 : 전원공급부 20 : 릴레이
24 : 모터구동부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진공청소기를 운전시키는 시작키의 입력으로 운전중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운전시작과 동시에 수분감지센서에서 먼지봉투내의 수분량을 센싱하는 단계 먼지봉투내의 수분량에 의한 유전계수가 마이콤에 설정된 유전계수와 같은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마이콤에 설정된 설정치보다 유전계수가 작을 경우에 계속적으로 진공청소기의 운전을 수행시키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마이콤에 설정된 설정치와 같거나 클 경우에 일정주파수의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수단을 작동시키는 단계 정지키가 입력되었나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정지키가 입력되었을 때에 모터구동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수동으로 차단시키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일정시간동안 정지키가 입력되지 않았을 때에 모터구동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진공청소기의 액체흡입 경보방법을 제시한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은,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집진실의 일측에 구성되어 먼지봉투내의 수분량을 감지하는 수분감지센서와, 베이스단에 저항을 통해 구동전압이 연결되어 컬렉터단에 연결된 상기 수분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가 발생되었을 때에 구동전압을 스위칭시키는 트랜지스터와, 상기 트랜지스터의 스위칭상태를 감지하여 내장된 프로그램이나 기준데이터와 비교 및 판단하여 제어신호를 출력시키는 마이콤과, 상기 마이콤의 제어신호로 일정주파수의 경보음을 출력시키는 경보수단과, 상기 마이콤으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로 자화되는 코일부의 자기장에 의해 전원공급부에서 모터구동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스위칭시키는 릴레이스위치로 구성된 릴레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먼지봉투에 흡입되는 액체를 감지하여 경보하는 장치의 블록도이다.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수분감지센서(14)는 진공청소기내에 먼지봉투(6)가 장착되는 집진실(9)의 일측에 구성되어 먼지봉투(6)로 흡입된 액체의 수분량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시키는 것이다. 수분감지센서(14)가 먼지봉투(6)내의 수분함유량을 판단하는 것은 수분에 포함된 유전계수에 의해 그 감지신호의 크기가 달라진다. 또한, 수분감지센서(14)는 정전용량형 근접스위치를 브러쉬의 종단에 장착시켜 액체가 닿아 감지되었을 때에 감지신호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12)는 상기 수분감지센서(14)에 컬렉터단이 연결되고, 베이스단에는 저항(R1)을 통해서 구동전압(Vcc)이 연결된다. 또한 베이스단에는 구동전압(Vcc)과 병렬로 마이콤(10)의 입력단에 연결된다. 트랜지스터(12)는 컬렉터단에 연결된 수분감지센서(14)의 감지신호로 베이스단에 연결된 구동전압(Vcc)의 인가로 인하여 턴온되어 마이콤(10)에 스위칭신호를 출력시킨다.
마이콤(10)은 상기 트랜지스터(12)의 스위칭으로 수분감지센서(14)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내장된 프로그램이나 기준데이터값에 대입하여 비교하고 판단하여 해당되는 제어신호를 출력시킨다.
릴레이(20)는 상기 마이콤(10)에 코일부(22)가 연결되고, 코일부(22)에 대응되는 릴레이스위치(21)가 전원공급부(18)와 모터구동부(24)사이에 연결된다. 즉, 마이콤(10)에서 출력된 제어신호는 릴레이(20)의 코일부(22)로 인가되고, 코일부(22)는 자화되어 일정크기의 자기장을 발생시키므로 릴레이스위치(21)를 스위칭시켜 전원공급부(18)에서 모터구동부(24)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킨다. 이때, 릴레이스위치(21)는 항시 온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진공청소기를 사용할 때에는 전원공급부(18)로부터 모터구동부(24)로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관한 진공청소기의 액체흡입 경보방법 및 그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진공청소기의 사용중에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먼지 및 이물질이외에 액체를 흡입시키게 되면, 진공청소기의 집진실(9)일측에 구성된 수분감지센서(14)는 흡입된 액체의 수분량을 감지하게 된다. 수분감지센서(14)에서 감지된 수분량에 대해서는 수분감지센서(14)가 정전용량형 센서이므로, 일정크기의 유전계수(약 80)이상일 경우에만 감지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집진실(9)에 장착되는 먼지봉투(6)로 액체가 흡입되어 먼지봉투(6)에 수분량이 증가되어 일정습도가 되면, 수분감지센서(14)에서 수분을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를 트랜지스터(12)의 컬렉터단으로 출력시킨다. 이때, 트랜지스터(12)의 베이스단으로 저항(R1)을 거쳐 인가되는 구동전압(Vcc)에 의해 컬렉터단으로 인가되는 수분감지센서(14)의 감지신호는 트랜지스터(12)를 턴온상태로 만든다.
트랜지스터(12)의 턴온으로 구동전압(Vcc)이 스위칭되는 것을 트랜지스터(12)의 베이스단에 연결된 마이콤(10)이 감지하게 된다. 즉, 트랜지스터(12)의 베이스단에 연결된 구동전압(Vcc)은 저항(R1)을 거쳐 마이콤(10)로 인가되다가 트랜지스터(12)의 스위칭으로 오프되어 마이콤(10)이 입력신호의 변화를 감지하게 되는 것이다.
마이콤(10)은 입력된 신호에 의해 내장된 프로그램이나 기준되는 데이터를 비교하고 판단하여 흡입된 액체가 설정된 기준치와 같은 경우에 경보수단(16)로 제어신호를 출력시켜 경보수단(16)을 통해 일정주파수의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한다. 이때, 경보수단(16)은 일정시간(약 3-10초)동안 경보음이 발생된다. 마이콤(10)은 경보수단(16)을 통해 경보음이 울리는 동안 키입력부(미도시)를 통해 정지키가 입력되면, 릴레이(20)로 제어신호를 출력시킨다. 또한, 마이콤(10)은 일정시간동안 경보음이 울린 후에도 정지키의 입력이 없을 때에도 릴레이(20)로 제어신호를 자동으로 출력시켜 모터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킨다.
즉, 마이콤(10)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는 릴레이(20)의 코일부(22)로 인가되고, 코일부(22)는 인가된 제어신호로 자화된다. 자화된 코일부(22)는 자기장으로 대응되는 릴레이스위치(21)를 오프시켜 전원공급부(18)에서 모터구동부(24)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게 된다. 따라서, 진공청소기는 액체가 흡입되면, 그 수분량을 감지하고 판단하여 진공청소기의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켜 모터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다. 또한, 흡입되는 액체로 인하여 먼지봉투(6)에 흡입되는 공기압이 먼지봉투(6)를 찢어 집진실(9)이 먼지 및 이물질로 오염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마이콤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는 도 3의 제어흐름도와 같다.
단계(S100)에서 진공청소기를 운전시키는 시작키가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되어 진공청소기의 운전이 수행되면, 마이콤(10)은 진공청소기의 운전상태를 계속 감지하게 된다. 이때, 마이콤(10)은 진공청소기의 운전에 피료한 제어신호를 출력시킨다. 또한, 단계(S101)에서는 진공청소기의 운전시작과 동시에 수분감지센서(14)에서 먼지봉투(6)내의 수분량을 센싱하게 되고, 단계(S102)는 먼지봉투(6)내의 수분량이 마이콤(10)에 설정된 유전계수인가를 판단하게 된다. 즉, 수분감지센서(14)에서 감지되는 수분량이 일정의 유전계수(예를 들어, 약 80)과 같을 때에 감지신호를 출력시키는 것이다.
또한, 단계(S103)에서는 상기 단계(S102)에서 마이콤(10)에 설정된 유전계수에 관한 설정치보다 작을 경우에 계속적으로 진공청소기의 운전을 수행시키고, 단계(S104)에서는 상기 단계(S102)에서 마이콤(10)에 설정된 설정치와 같을 경우에 일정주파수의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수단(16)로 제어신호를 출력시켜 경보수단(16)을 구동시킨다. 따라서, 단계(S105)에서는 사용자가 경보음을 인식하고, 정지키가 입력시키면, 정지키의 입력상태를 판단하게 된다.
단계(S106)은 상기 단계(S105)에서 정지키가 입력되었을 때에 모터구동부(24)로 공급되는 전원을 수동으로 차단시키는 것으로, 사용자가 수동으로 정지키를 입력시켰을 때에 마이콤(10)은 릴레이(20)로 제어신호를 출력시켜 모터공급부(18)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켜 진공청소기의 운전을 오프시킨다. 그러나, 단계(S107)에서는 상기 단계(S105)에서 일정시간동안 정지키가 입력되지 않았을 때에도 릴레이(20)로 제어신호를 출력시켜 모터구동부(24)로 공급되는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시키므로, 강제로 진공청소기의 운전상태를 오프시키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진공청소기의 먼지봉투(6)내로 포집된 먼지 및 이물질이외에 일정량의 액체가 유입되어 집진실(9)내에 수분량이 증가되면, 수분감지센서(14)에서 수분량을 감지하고, 마이콤(10)에서 이를 판단하여 경보음을 발생시키며, 모터구동부(24)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킴으로써, 일정량의 액체가 모터로 유입되어 모터를 망실시킬 수 있는 것을 사전에 방지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의 사용자가 부주의로 먼지 및 이물질외에 액체를 흡입시켰을 때에 수분감지센서가 흡입된 일정량의 액체를 감지하고, 마이콤의 제어로 경보수단으로 하여금 경보음을 발생시켜 사용자가 이를 인식한 후에 진공청소기의 사용을 중지하도록 하거나 자동으로 진공청소기의 운전상태를 오프시켜 진공청소기의 모터로 액체가 유입되어 모터의 망실을 방지시킨 효과가 있다. 또한, 먼지봉투에 흡입된 수분으로 인하여 일정의 공기압이 형성되어 먼지봉투가 터져 집진실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시키므로 진공청소기의 운용에 편의성 증대 및 신뢰성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진공청소기를 운전시키는 시작키의 입력으로 운전중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100)운전시작과 동시에 수분감지센서에서 먼지봉투내의 수분을 센싱하는 단계(S101) 먼지봉투내의 수분량이 마이콤에 설정된 유전계수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102) 상기 단계(S102)에서 마이콤에 설정된 설정치보다 유전계수가 작을 경우에 계속적으로 진공청소기의 운전을 수행시키는 단계(S103) 상기 단계(S102)에서 마이콤에 설정된 설정치와 같은 경우에 일정주파수의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수단을 작동시키는 단계(S104) 정지키가 입력되었나를 판단하는 단계(S105) 상기 단계(S105)에서 정지키가 입력되었을 때에 모터구동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수동으로 차단시키는 단계(S106) 상기 단계(S105)에서 일정시간동안 정지키가 입력되지 않았을 때에 모터구동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시키는 단계(S107)로 이루어진 진공청소기의 액체흡입 경보방법.
  2.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집진실(9)의 일측에 구성되어 먼지봉투내의 수분을 감지하는 수분감지센서(14)와, 베이스단에 저항(R1)을 통해 구동전압(Vcc)이 연결되어 컬렉터단에 연결된 상기 수분감지센서(14)로부터 감지신호가 발생되었을 때에 구동전압(Vcc)을 스위칭시키는 트랜지스터(12)와, 상기 트랜지스터(12)의 스위칭상태를 감지하여 내장된 프로그램이나 기준데이터와 비교 및 판단하여 제어신호를 출력시키는 마이콤(10)과, 상기 마이콤(10)의 제어신호로 일정주파수의 경보음을 출력시키는 경보수단(16)과, 상기 마이콤(10)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로 자화되는 코일부(22)의 자기장에 의해 전원공급부(18)에서 모터구동부(24)로 공급되는 전원을 스위칭시키는 릴레이스위치(21)로 구성된 릴레이(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액체흡입 경보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감지센서(14)인 정전용량형 근접스위치를 브러쉬의 종단에 장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액체흡입 경보장치.
KR1019960078389A 1996-12-30 1996-12-30 진공청소기의 액체흡입 경보방법 및 그 장치 KR100203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8389A KR100203430B1 (ko) 1996-12-30 1996-12-30 진공청소기의 액체흡입 경보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8389A KR100203430B1 (ko) 1996-12-30 1996-12-30 진공청소기의 액체흡입 경보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9053A KR19980059053A (ko) 1998-10-07
KR100203430B1 true KR100203430B1 (ko) 1999-06-15

Family

ID=19492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8389A KR100203430B1 (ko) 1996-12-30 1996-12-30 진공청소기의 액체흡입 경보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34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69221A (zh) * 2016-08-01 2018-02-09 德国福维克控股公司 具有探测装置的清洁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69221A (zh) * 2016-08-01 2018-02-09 德国福维克控股公司 具有探测装置的清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9053A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87954C (en) Vacuum cleaner with operating condition indicator system
JP2001506894A (ja) フィルタ目詰まり表示手段を有する電気掃除機
US5946770A (en) Vacuum cleaner comprising an odor filter
KR100203430B1 (ko) 진공청소기의 액체흡입 경보방법 및 그 장치
JP2002078652A (ja) 電気掃除機及び電気掃除機用フィルタユニット
JP4113315B2 (ja) フィルター目詰まり検知装置
KR20060036728A (ko) 공기청정기의 오염도 감지장치 및 그 방법
KR100621802B1 (ko) 진공청소기의 먼지봉투 교환시기 알림장치
JP2001128912A (ja) 電気掃除機
KR100565516B1 (ko) 진공청소기
JP3106959B2 (ja) 空気清浄機
JPH05168574A (ja) 電気掃除機
JP3094572B2 (ja) 掃除機
JPH084092Y2 (ja) 空気清浄機
JP2002292301A (ja) 厨芥処理装置
KR19990043452A (ko) 진공청소기의 먼지 인식 감지방법
KR200155843Y1 (ko) 진공청소기의 전동기 보호장치
JP3417822B2 (ja) 電気掃除機用集塵袋及びこの集塵袋を用いた電気掃除機
KR19980036820A (ko) 진공청소기의 운전방법 및 그 장치
KR970005516B1 (ko) 진공청소기에서의 흡입먼지 유무에 따른 구동전원 자동차단장치 및 그 방법
KR100237054B1 (ko) 진공청소기의 운전제어장치
JPH04210032A (ja) 電気掃除機
JPH0822266B2 (ja) 電気掃除機
KR970011919B1 (ko) 진공청소기의 운전제어장치
JP3731176B2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