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3259B1 - 테이프 고속 복사를 위한 디지탈기록재생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프 고속 복사를 위한 디지탈기록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3259B1
KR100203259B1 KR1019950043207A KR19950043207A KR100203259B1 KR 100203259 B1 KR100203259 B1 KR 100203259B1 KR 1019950043207 A KR1019950043207 A KR 1019950043207A KR 19950043207 A KR19950043207 A KR 19950043207A KR 100203259 B1 KR100203259 B1 KR 100203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d
recording
heads
head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3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50043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3259B1/ko
Priority to MYPI96004846A priority patent/MY113684A/en
Priority to DE19648502A priority patent/DE19648502A1/de
Priority to CN96123419A priority patent/CN1086044C/zh
Priority to US08/756,249 priority patent/US5986829A/en
Priority to GB9624470A priority patent/GB2307590B/en
Priority to JP8313996A priority patent/JP2851596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3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32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86Re-recording, i.e. transcribing information from one magnetisable record carrier on to one or more similar or dissimilar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008Recording on, or reproducing or erasing from, magnetic tapes, sheets, e.g. cards, or wires
    • G11B5/00813Recording on, or reproducing or erasing from, magnetic tapes, sheets, e.g. cards, or wires magnetic tapes
    • G11B5/00847Recording on, or reproducing or erasing from, magnetic tapes, sheets, e.g. cards, or wires magnetic tapes on transverse tracks
    • G11B5/0086Recording on, or reproducing or erasing from, magnetic tapes, sheets, e.g. cards, or wires magnetic tapes on transverse tracks using cyclically driven heads providing segmented track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12Masking of heads; circuits for Selecting or switching of heads between operative and inoperative functions or between different operative functions or for selection between operative heads; Masking of beams, e.g. of light beams
    • G11B15/125Masking of heads; circuits for Selecting or switching of heads between operative and inoperative functions or between different operative functions or for selection between operative heads; Masking of beams, e.g. of light beams conditioned by the operating function of the apparatu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1808Driving of both record carrier and head
    • G11B15/1875Driving of both record carrier and head adaptations for special effects or edi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6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 G11B15/467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 G11B15/4671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by controlling simultaneously the speed of the tape and the speed of the rotating hea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G11B5/52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simultaneous movement of head and record carrier, e.g. rotation of head
    • G11B5/53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n rotating support
    • G11B5/531Disposition of more than one recording or reproducing head on support rotating cyclically around an axis

Landscapes

  • Digital Magnetic Record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개시된 디지탈기록재생장치는 정상적인 기록 및 재생을 위한 정상속력의 N배의 고속력으로 테이프를 복사하기 위한 것으로, 정상속력인 경우의(1/2 )N배인 직경 및 2/N배인 감긴각을 갖는 기록헤드드럼 및 재생헤드드럼, 상기 헤드드럼들에 각각 2N개씩 설치된 재생 헤드들 및 기록헤드들, 재생헤드들로부터의 신호를 N배의 고속력 복사에 적합하도록 처리하며 , 상기 기록 해드들로 공급하는 신호처리수단, 및 정상속력보다 N배 빠른 속력으로 재생 및 기록을 위한 테이프들을 이송시키도록 그리고 정상속력인 경우의 N×(정상속력에서의 드럼직경)÷(N배 고속복사를 위한 드럼 직경 )배가 되는 회전수로 상기 헤드드럼 들을 회전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다량의 테이프 복사시 복사시간 및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을 가져온다.

Description

테이프 고속 복사를 위한 디지탈기록재생장치
제1(a)-1(c)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기록재생장치의 2배속 고속복사를 위한 헤드배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제2(a)-2(e)도는 여러가지 배속에 관련한 헤드배치 및 드럼직경을 보여주는 도면들.
제3도는 일반적인 1배속 복사를 위한 디지탈기록재생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2배속 복사를실현하는 디지탈기록재생장치의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제5(a)도는 제4도의 재생데크부 및 증폭부를 보여 주는 도면이고, 제5(b)도는 기록데크부 및 증폭부를 보여주는 도면.
제6(a) 및 6(b)도는 각각 제5(a)도 및 5(b)도에 관련한 동작타이 명도.
제7도는 제4도의 트랙메모리부를 나타내는 상세도.
제8도는 제4도의 데이타검출부를 나타내는 상세도.
제9(a),9(b) 및 9(c)도는 각각 제8도의 진폭등화기, 위상통화기 및 미분통화기를 나타내는 상세도.
제10도는 제8도의 검출기를 나타내는 상세도.
제11도는 제8도의 PLL를 나타내는 상세도.
제12(a)-12(c)도는 각각 제10도에서 검출기, 더블러 및 전압제어발진기를 나타내는 상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1,45 : 동기복구부 51,55 : 복조부
71,75 : 변조부 100 : 서보마이콤
200 : 재생데크부 251,252 : 재생증폭부
301,302 : 데이타검출부 601,602 : 메모리부
801,802 : 기록증폭부 850 : 기록데크부
본 발명은 디지탈VCR등과 같은 디지탈기록재생장치에서의 테이프복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량의 테이프를 고속으로 복사할 수 있도록 한 테이프 고속 복사를 위한 디지탈기록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이프를 기록매체로 하여 복사할 때 소스테이프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장치와 소스테이프의 재생 내용을 타겟테이프에 기록하기 위한 기록장치가 각각 필요하다. 그러므로, 하나의 재생장치와 100대의 테이프기록장치를 사용하여 하나의 테이프를 100개 복사하기 위해서는, 소스테이프의 기록시간만큼의 복사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반면에, 하나의 재생장치와 하나의 기록장치로 1시간 테이프 100개를 복사할 경우 100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복사방식들은 또한 그 만큼의 전력 낭비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헤드수 및 배치, 헤드드럼직경, 테이프이송속력, 감긴각, 그리고 신호처리를 위한 블록들을 적절하게 조합하므로써, 다량의 테이프를 고속 복사하므로써 복사소요시간 및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한 테이프 고속 복사를 위한 디지탈기록재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정상적인 기록 및재생을 위한 정상속력의 N배의 고속력으로 테이프를 복사하는 디지털기록 재생장치는, 정상속력인 경우의(1/2)N배인 직경 및 2/N배인 감긴각을 갖는기록헤드드럼 및 재생헤드드럼, 상기 헤드드럼들에 각각 2N개씩 설치된 재생헤드들 및 기록헤드들, 재생헤드들로부터의 신호를 N배의 고속력 복사에 적합하도록 처리하여, 상기 기록헤드들로 공급하는 신호처리수단, 및 정상속력보다 N배 빠른 속력으로 재생 및 기록을 위한 테이프들을 이송시키도록 그리고 정상속력인 경우의 N ×(정상속력에서의 드럼직경 )÷(N배 고속복사를 위한 드럼직경)배가 되는 회전수로 상기 헤드드럼들을 회전시키도록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상적인 기록 및 재생을 위한 정상속력의 N배의 고속력으로 테이프를 복사하는 디지탈기록재생장치는, 정상속력인 경우의 N배인 직경 및 1/N배인 감긴각을 갖는 기록헤드드럼 및 재생헤드드럼, 상기 헤드드렴들에 각각 2N개씩 설치된 재생헤드들 및 기록헤드들, 재생헤드들로부터의 신호를 N배의 고속력 복사에 적합하도록 처리하여, 상기 기록헤드들로공급하는 신호처리 수단, 및 정상속력 보다 N배 빠른 속력으로 재생 및 기록을 위한 테이프들을 이송시키도록 그리고 정상속력인 경우의 N ×(정상속력에서의 드럼직경) ÷(N배 고속복사를 위한 드럼직경)배가 되는 회전수로 상기 헤드드럼들을 회전시키도록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SD-VCR의 테이프기록규격에 따라 트랙각(track angle)이 9.1568° 이고, 트랙 피치(track pitch)가 10.0㎛를 기본조건으로 한 경우, 기록재생시스템의 구성을 달리하더라도 이 기본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이 기본조건을 만족하면서 안정된 드럼회전수를 고려 할 때, 정상 기록재생시스템에서, 드럼회전수는 9000/1.001rpm(NTSC의 경우), 드럼직경은 21.7mm, 테이프이동속력을, 18,831/l.001mm/s(NTSC의 경우)이다. 그러므로, 테이프와 헤드사이의 상대속력은 10.19711㎧, 유효트랙 길이는 32.89017mm가 된다.
제1(a)-1(c)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기록재생장치의 2배속 복사에 적합하게 된 헤드배치의 설명을 위한 도면들로, 제1(a)도는 기준헤드인 A헤드에 대한 C헤드, B헤드 및 D헤드의 드럼 상의 취부각도를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C헤드는 A헤드로부터 각도 θ만큼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며 , θ=45°인 경우, B헤드 및 D헤드는 A헤드로부터 각각 180° 및 225°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다. 제1(b)도는 이러한 헤드들의 트랙상의 배치 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A헤드, C헤드, B헤드, D헤드 순으로 트랙 배치된다. 제1(c)도는 헤드들의 단차(취부높이)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A헤드를 기준으로 C헤드는 x만큼의 단차를 가지며 B헤드는 Y만름의 단차를 갖는다. 그리고, D헤드는 B헤드를 기준헤드로 하여 z만큼의 단차를 갖는다. 제1(c)도의 각 헤드들에 표기된 사선들은 해당 헤드의 에지머스(azimuth)를 나타낸 것이다. 트랙 피치(Tp)가 10㎛인 경우 전술한 배치를 갖는 C헤드, B헤드, D헤드 각각의 A헤드에 대한 단차 x, y, z는 다음과 같이 된다.
C헤드 : 헤드 A와의 각도관계가 θ =45° 일 때,
Tp = x(단차) + Tp × θ/180 이므로,
x = Tp - Tp × θ/180 = 10 - 10 ×45/180 = 7.5㎛
B헤드 : 헤드 A와의 각도관계가 180° 일 때
Tp = y + Tp 이므로,
y = Tp - Tp = 0㎛
D헤드 : B헤드와의 각도관계가 45° 일 때
Tp = z + Tp ×45/180 이므로,
z = Tp - Tp ×45/180 = 10 - 10 ×45/180 = 7.5㎛
전술한 내용에 근거하여 고속 복사를 위한 조건을 다앙한 형태로 확장할 수 있다. 제2(a)-2(e)도는 이러한 확장에 따라서 테이프 고속 복사에적합하게 된 헤드배열들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이 도면들의 설명에 앞서, 두개의 헤드로 정상속력으로 재생 및 기록하는 경우의 헤드배치를 보여주는 제2(a)도에 관련한 드럼직경, 드럼회전수, 테이프속력, 감긴각 및 배속을 각각 차원(dimension)이 1인 것으로 정한다. 제2(b)도는 제1도에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한 헤드배치 및 단차들을 갖도록 배치된 A헤드 내지 D헤드를 보여 준다. 제2(b)도에 보여진 헤드배치하에서는, 드럼직경과 감긴각을 그대로 1로 두고, 드럼회전수와 테이프속력을 B배로 한 경우, 2배속 복사가 가능하다. 제2(c)도는 A헤드 내지 D헤드가 90° 의 각도간격관계를 갖는 헤드배치 및 그 직경이 2인 헤드드럼을 보여 준다. 제E(c)도의 경우, 드럼회전수를 1로 고정하고 드럼 직경과 테이프속력을 2배로 하며 감긴각을 1/2로 하면, 2배속 복사가 가능하다. 제2(d)도는 드럼직경이 2이며 A헤드 내지 H헤드가 45° 의 각도간격관계를 갖는 헤드배치를 보여준다.
제2(d)도에 보여진 헤드배치하에서는, 드럼의 회전수를 2배로 하고 테이프속력을 4배로 하며 감긴각을 1/2로 하면, 4배속 복사가 가능하다. 제2(e)도는 A헤드 내지 H헤드가 45° 의 각도간격관계를 가지며 드럼직경이 4인 헤드드럼을 보여 준다. 제2(e)도에 보여진 헤드배치하에서는, 드림회전수는 고정하고 드럼직경과 테이프속력을 4배로 하며 감긴각은 1/4로 하면, 4배속 복사가 가능하다. 제2(e)도에 보여진 헤드배치를 사용하는 경우, 드럼의 직경과 회전수를 각각 2배로 증가시키고 테이프속력은 4배로 하므로써 4배속의 복사가 가능한 디지탈기록재생장치를 구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조건들을 정리하면, 디지탈기록재생장치는 테이프고속복사를위해 다음 수식들이 적절한 조합을 만족하도록 구성되야 한다.
감는각 = [정상속력에서의 테이프 감긴각(WA0)] / [드럼직경]
필요헤드수 = [배속] × 2
배속 = [드럼직경 / 정상속력에서의 드럼직경(DD0)] × [드럼회전수 1 정상속력에서의 드럼회전수(DSo)]
테이프속력 = [정상속력에서의 테이프속력(TS0)] × [배속]
본 발명에 따른 2배속 고속 복사를 실현하는 제4도 장치의 설명에 앞서, 제3도를 참조하여 일반적인 디지탈기록재생장치를 이용한 1배속 복사의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의 장치는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 하기 위한 서보마이콤(10)을 포함한다. 재생데크부(20)는 서보마이콤(10)의 서보제어에 따라 A헤드(2IA)와 B헤드(21B)를 교대로 동작시켜 소스테이프(미도시)의 해당트랙으로부터 데이타를 읽어낸다. A헤드(21A)와 B헤드(2IB)를 통해 읽어내어진 신호는 대응하는 로터리트랜스포머(R/T)(23A,23B)를 통해 재생증폭부(25)고 전달한다. 재생증폭부(25)에서, 스위치(27)는(1/rps)sec 주기(T)의 동작타이밍을 갖는 서보마이콤(10)의 제어신호(A/B CTL)에 따라 A헤드(2IA)와 B헤드(21B)로부터의 재생신호를 교번적으로 선택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 rps는 초당 드럼회전수를 의미한다. 스위치(27)를 통해 출력되는 재생신호는 증폭기(AMPPB)(29)에서 일정 크기로 증폭된 후 데이터검출부(30)로 출력된다.
데이타검출부(30)는 증폭기(AMPPB)(29)에 의해 일정 크기로 증폭된 재생신호와, 서보마이콤(10)으로부터 출력되는 속력정보를 수신한다. 데이타검출부(3O)내의 등화기(31)는 속력 정보에 의한 배속에 맞는 등화동작을 증폭기(AMPPB)(39)의 재생신호에 대하여 수행 한다. 등화된 신호는 검출기(35) 및 PLL(33)로 입력된다. PLL(33)은 등화된 신호와 속력정보를 입력받고, 속력정보에 맞는 클럭을 발생한다. 검출기(35)는 PLL(33)에서 발생되는 클럭을 이용하여, 등화된 신호로부터 디지탈데이타를 검출한다.
데이타검출부(30)에서 검출된 디지탈데이타는 동기복구부(40)로 입력되어 등기 복구된다. 복조부(50)는 동기 복구된 디지탈데이타를 변조되기 전의 본래 데이타로 복조한 후, 메모리부(60)로 출력한다. 메모리부(60)의 스위치(61)는 복조부(50)로부터 입력하는 복조데이타를 서보마이롬(10)에서 발생되는 제어신호(A/B CTL)에 따라 트랙 메모리(63A,63B)에 교번적으로 공급한다. 스위치(61)를 통해 데이타를 수신하는 트랙 메모리(63A 또는 63B)는 입력 데이타를 저장한다. 이러한 트랙 메모리들(63A,63B)은 데이타검출부(30)의 PLL(33)에 의해 발생되는 클럭(A/B CLK)에 따라 동작한다. 한편, 두 트랙 메로리들(63A,63B)의 출력에 연결된 스위치(65)는 스위치(61)와는 상반되게 절환되며, 해당 트랙 메모리(63A 또는 63B)에 저장된 복조데이타가 출력된다. 즉, A트랙 메모리(63A)가 복조부(50)로부터 입력되는 복조데이타를 저장하는 동안 B트랙메모리(63B)는 저장하고 있는 복조데이타를 출력시킨다. 그 다음에는,A트랙메모리(63A)가 저장된 복조데이타를 출력하는 동안 B트랙 메모리(63B)는 입력되는 복조데이타를 저장한다. 스위치(65)를 통해 출력되는 데이타는 변조부(70)로 공급된다. 변조부(70)는 입력데이타를 채널특성에 맞게 변조하여 기록증폭부(80)로 출력한다. 기록증폭부(80)의 증폭기(AMPREG)(81)는 변조부(70) 출력을 일정 크기로 증폭한 후 스위치(83)로 출력한다. 인버터(INV)는 서보마이콤(10)의 제어신호(A/B CTL)출 반전시켜 스위치(83)로 전달한다. 그러므로, 기록증폭부(80)의 스위치(83)는 인버터(INV)에 의해 재생증폭부(25)의 스위치(27)와 상반되게 스위칭된다.
스위치(83)는 증폭기(AMPREG)(81)에 의해 증폭된 데이타를, 인버(INV)에 의해 반전된 신호에 따라 기록데크부(85)의 두 로터리트랜스포머(R/T)(87A, 87B)에 교번적으로 인가한다. 기록데크부(85)의 로터리트랜스포머(87A,87B)는 스위치(83)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타를 대응하는 A헤드(89A) 또는 B헤드(89B)를 통해 타겟테이프(미도시)상에 기록한다. 따라서 , 재생데크부(20)에서 재생된 소스테이프의 내용이 기록데크부(85)의 타겟테이프상에 복사된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기록재생장치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2배속 복사에 적합하게된 장치를 보여준다. 본 발명의 2배속 복사를 실현하기 위한 제4도의 장치는 제1도 및 제2(b)도에 관련하여 설명한 헤드배치 및 조건을 만족하도록 설계된 것으로, 그 구성 및 동작을 제5(a) 내지 제12(c)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서보마이콤(100)의 서보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재생데크부(2OO)는 제5(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2배속 재생을 위해 4개의 헤드들(21A∼2ID)과 그에 대응하는 4개의 로터리트랜스포머(23A-23D)를 구비하고 있다. A헤드(21A)와 B헤드(2lB)는 상호 교번적으로 동작하며, C헤드(21C)와 D헤프(2ID) 역시 상호 교번적으로 동작한다. 그러나,헤드들(2IA 및 21B)은 해드들(2IC 및 21D)과는 독자적으로 동작한다. 재생데크부(2OO)는 헤드가 동작함에 따라 소스테이프상의 해당트랙으로부터 읽혀지는 재생신호를 대응하는 로터리트랜스포머(23A,23B,23C 또는 23D)를 통해 재생증폭부(251 또는252)로 출력한다.
제1재생증폭부(251)에서,스위치(271)는 서보마이콤(100)의 제어신호(A/B CTL)에 따라 교번적으로 스위칭되며, A헤드(21A) 또는 B헤드(2IB)를 통해 읽어낸 신호를 선택하여 증폭기(AMPPB)(291)로 출력한다.
제어신호(A/B CTL)의 타이밍도가 제6(a)도에서 보여졌다. 증폭기(AHPPB)(291)는 스위치(27l)에서 선택된 신호를 일정 크기로 증폭한 후 제1데이타검출부(301)로 출력한다. 제2재생증폭부(25l)의 스위치(272)는 C헤드(21C)와 D헤드(2ID)를 통해 읽어낸 재생신호를 제6(b)도에 도시된 동작타이밍을 갖는 서보마이콤(100)의 제어신호(C/D CTL)에 따라 교번적으로 선택하여 증폭기(AMPPB)(292)로 출력한다. 증폭기(AMPPB)(292)는 스위치(272)에서 선택된 신호를 일정 크기로 증폭한 후 제2데이타검출부(302B)로 출력한다. 제5(a)-5(b)도에 보여진 제어신호들(A/B CTL, C/D CTL)의 주기(T)는(1/rps)sec로 표시된다. 그리고, 제어신호들(A/B CTL 및 C/D CTL)간의 시간차(1)는 [(1/rps)×( θ/360)]sec로서, θ는 제1도에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헤드 A와 C헤드 사이의 각도를 의미한다.
제1데이타검출부(301)와 제2데이타검출부(302)는 대응하는 재생증폭부(251,1,252)로부터의 증폭된 신호와 서보마이콤(100)으로부터의 속력정보를 함께 입력받는다. 제1데이타검출부(301)와 제2데이타검출부(302)는 제8도에 보인 것처럼, 재생증폭부의 출력신호 및 속력 정보를 수신하며 등화된 신호를 출력하는 등화기(310), 등화기(310)의 출력 및 속력 정보를 이용하여 클럭(A/B CLK 또는 C/D CLK)을 발생하는 PLL(330), PLL(330)의 클럭 ,등 화기(310)의 출력 및 속력정보를 수신하며 데이타를 검출하는 검출기(35O)를 구비한다. 이러한 제1데이타검출부(301)와 제2데이타검출부(3O2)는 재생증폭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속력정보에 따른 배속에 적합한 진폭등화, 위상등화 및 미분등화하며, 발생되는 클럭에 근거하여 등화된 신호로부터 디지탈데이타를 검출한다. 진폭등화기(311), 위상등화기(313) 및 미분등화기(315)로 구성된 등화기(310), PLL(330) 및 검출기(35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제9도 내지 제12(c)도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제11데이타검출부(301)와 제2데이타검출부(302)에서 각각 검출된 디지탈데이타는 대응하는 제1 및 제2동기 복구부(41,45)로 입력되며, 동기 복구된다. 제1복조부(51)와 제2복조부(55)는 대응하는 동기복구부(41,45)에서 동기복구된 디지탈데이타를 입력받아 변조되기 전의 본래 데이타로 복조한다. 복조된 데이타는 제1및 제2메모리부(601,602)로 입력 된다.
제1 및 제2메모리부(601,602)는 각각 제7(a) 및 7(b)도에 보여진 구성을 갖는다. 제7(a)도에 보여진 제1메모리부(601)에서 , 스위치(611)는 제1복조부(51)에서 공급되는 복조된 데이타를 서보마이콤(100)의 제어신호(A/B CTL)에 따라 A트랙메모리(63A)와 B트랙 메모리(63B)의 입력측에 교번적으로 공급한다. 즉, 스위치(611)는 제어신호(A/B CTL)의 하이(H)레벨구간에서 A트랙 메모리(63A)를 선택하고, '로우(L)레벨구간에서 B트랙 메모리(63B)를 선택한다. A트랙 메모리(63A)와 B트랙 메모리(63B)는 제1데이타검출부(301)에서 발생되는 클럭(A/B CLK)에 따라 동작한다. B트랙메모리(63B)는 서보마이콤(100)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A/B CTL)를 그대로 인가받는 쓰기인에이블단자()를 갖는 반면, A트랙메모리(63A)는 인버터(INV3)에 의해 반전된 제어신호를 인가받는 쓰기인에이블단자()를 구비한다. A트랙메모리(63A)와 B트랙메모리(63B)는 교번적으로 쓰기인에이블상태가 되어 스위치(611)에서 선택된 데이타를 저장하고, 쓰기인에이블 상태가 아닌 기간동안 저장한 데이타를 출력한다. 스위치(651)는 A트랙메모리(63A)와 B트랙 메모리(63B)의 출력단들을 제어 신호(A/B CTL)를 반전시키는 인버터(INV3)의 출력에 따라 선택하며, 선택된 출력단으로부터의 데이타는 제1변조부(71)로 출력 한다.
제7(b)도에 보여 진 제2메모리부(602)에서, 스위치(612)는 제3복조부(55)로부터 공급되는 복조된 데이타를 서보마이콤(100)의 제어신호(C/DCTL)에 따라 C트랙 메모리(63C)와 D트랙 메모리(63D)에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C트랙 메모리(63C)와 B트랙 메모리(63B)는 제2데이타검출부(302)의 클럭(C/D CLK)에 따라 동작하는 것으로, D트랙 메모지(63D)는 서보마이콤(100)의 재어신호(C/D CTL)를 쓰기 인에이블단자()로 인가받는 반면에, C트랙 메모리(63C)는 제어신호(C/D CTL)를 반전시키는 인버터(INV4)의 출력을 쓰기 인에이블단자()로 인가받는다. 스위치(652)는 제어신호(C/D CTL)를 반전시키는 인버터(INV4)의 출력에 따라 동작한다. 이러한 구성의 제2메모리부(602)는, 제7(a)도에 관련하여 설명된 제1메모리부(601)의 동작을 잘 이해할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므로, 그 구체적인 동작설명은 생략하였다.
제1변조부(71)와 제2변조부(75)는 대응하는 트랙메모리부(601,602)로부터 공급된 데이타를 변조하고, 변조된 데이타를 해당하는 기록증폭부(801,802)로 출력한다. 제5(b)도를 참조하면, 제1기록증폭부(801)는제1변조부(71)의 변조데이타를 증폭기(AMPREG)(811)를 통해 일정크기로 증폭시킨 후 스위치(831)로 출력한다. 스위치(831)는 입력데이타를 서보마이콤(100)의 제어신호(A/B CTL)에 따라 기록데크부(850)의 로터리트랜스포머(87A) 또는 로터리트랜스포머(87B)에 교번적으로 전달한다. A헤드(89A) 및 B헤드(89B)는 전달되어진 데이타를 타겟테이프상의 트랙에 기록한다. 제2기록증폭부(802)는 제2변조부(75)의 변조데이타를 일정 크기로 증폭시키는 증폭기(AMPREC)(812), 및 증폭기(AMPREC)(813)의 출력을 서보마이콤(100)의 제어신호(C/D CTL)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스위치(83B)를 구비한다.
스위치(832)는 증폭기(AMPREC)(812)의 출력을 교번적으로 로터리트랜스포미(87C,87D)에 공급하며 , 그 데이타는 로터리트랜스포머(87C)의 출력에 연결된 C헤드(89C) 및 로터리트랜스포머(89D)의 출력에 연결된 D헤드(89D)를 통해 타겟테이프상의 해당트랙에 기록된다. 따라서, 재생데크부(200)에서 재생된 소스테이프의 내용이 기록용 데크부(85)의 타겟테이프상에 2배속으로 복사된다.
전술한 제4도의 장치는 2배속 복사를 위하여 헤드드럼상의 대행되는 제3도의 장치에 비하여 대략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2개씩 갖는다. 그러므로, N배속 복사를 할 경우 제3도와 같은 디지탈기록재생장치와 동일한 구성을 N개만큼 구비하면 된다. 그러나, N배속 복사를 위한 다른 조건들은 위에서 언급한 수식들에 근거하여 결정된다.
제9(a)-9(c)도는 진폭등화기(311), 위상왜곡을 보상하기 위한 위상등화기(3l2), 및 미분특성으로 인한 왜곡을 보상하기 위한 미분등화기(315)를 각각 보여주는 상세블록도들이다.
제9(a)도에 보여진 진폭등화기(311)는 기록채널특성에 기인한 진폭왜곡를 보상하기 위한 것으로, 배속수에 따라 지연시간을 달리하는 지연기를(D1,D2)과, 배속수에 따라 이득을 달리 하기 위해 서로 다른 값으로 설정된 저항들(Rl,R2)을 구비하고 있다. 스위치들(SWI∼SW3)은 배속에 맞는 진폭등화를 위해 속력정보에 따라 스위칭동작한다. 그러므로, 1배속 복사의 경우 제1지연기(Dl)와 제1저항(Rl)이 사용되며, 2배속 복사의 경우 제2지연기(D2)와 제2저항(R2)이 사용된다. 여기서, 제1지연기(Dl)의 지연시간이 l0ns이면 제2지연기(D2)는 20ns가 된다. 재생증폭부의 출력신호는 서보마이콤(100)의 속력정보에 의해 스위치(SWI)가 선택한 저항(Rl 또는 R2)의 저항값에 따라 이득 조절된다. 이득 조절된 신호는 속력정보에 의해 스위치(SW2)가 선택한 지연기(Dl 또는 D2)로 입력됨과 동시에 가산증폭기(AMPADD)로 입력된다. 지연기(Dl 또는 D2)는 입력신호를 기설정된 지연시간만큼 지연한 후 출력한다. 가산증폭기(AMPADD)는 속력정보에 의해 스위치(SW3)가 선택한 지연기(Dl 또는 D2)에서 출력되는 지연신호와 원신호를 선형적으로 가산시켜 입력된 신호를 진폭등화시키고, 이를 일정 크기로 증폭시켜 동일 위상의 증폭신호와 위상이 반전된 증폭신호로 각각 출력한다.
제9(b)도의 위상등화기(313)는 진폭등화기(311)의 가산증폭기(AMPADD)의 동상출력단에 직렬로 연결된 콘덴서 및 코일(Cl 및 Ll, C2 및L2)로 된 두 공진회로를 병렬로 구비하고, 가산증폭기(AMPADD)의 역상출력단에 병렬 연결된 서로 다른 값의 저항들(R3,R4)을 구비 한다. 여기서, 코일(L1,L2)과 콘덴서(C1,C2) 및 저항(R3,R4) 각각의 인덕턴스와 전기 용량 및 저항값은 기록채널의 위상왜곡을 배속수에 맞게 보상할 수 있게 하는 미리 결정된 값을 갖는다. 위상등화기(313)는 또한, 속력 정보에 따라 해당하는 값을 선택하기 위해 스위칭동작하는 다수의 스위치들(SW4∼SW7)을 구비한다. 동일위상의 증폭신호와 위상이 반전된 증폭신호가 각각 입력되면, 스위치들(SW4,SW5)은 서보마이콤(100)의 속력정보에 따라 저항(R3 또는 R4)을 선택하고, 스위치(SW6)는 속력정보에 따라 코일(Ll 또는 L2)과 콘덴서(C1) 또는 C2)를 선택한다. 선택된 코일 및 콘덴서로 이루어진 공진회로 및 저항(R3 또는 R4)에 의해 위상왜곡이 보상된다. 혼합기(MIX)는 스위치(SW5) 및 스위치(SW7)가 선택한 동상 및 역상의 위상왜곡보상신호를 합성하여 출력한다.
제9(C)도의 미분등화기(315)는 위상등화기(313)의 위상등화된 신호를 각 배속수에 맞게 기설정된 값을 갖는 콘덴서들(C3,C4)중의 하나로 전달하기 위한 스위치(SW8), 콘덴서들(C3,C4)의 출력들중의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SW9), 각 배속수에 맞게 기설정된 저항들(R5,R6)중의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SWIO), 저항들(R5,R6)의 출력들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위치(SWll)를 구비한다. 그리고, 속력정보에 의해 스위치(SW9)가 선택한 콘덴서의 출력을 일정 크기로 증폭하기 위한 증폭기(AMP)를 구비한다. 미분등화기(315)는 2배속의 경우 콘덴서(C4), 저항(R6)을 사용하며, 입력신호를 미분하여 출력한다.
제10도는 제8도의 검출기(350)를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검출기(350)는 크게 1+D유닛(351)과 3치 -2치 변환기(355)를 구비한다. 이 검출기(350)는 기본적으로 제3도의 검출기(35)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으로서, 단지 2배속에 맞게 기설정된 지연기, 콘덴서, 저항 등의 지연시간, 전기용랑 및 저항값을 서보마이콤(100)으로부터 출력되는 속력정보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검출기(350)는 2배속 복사를 위한 속력 정보가 인가되면, l+D유닛(351)이 지연기(D2)를, 3치 -2치 변환기(355)가 콘덴서(C2) 및 저항(R2)을 이용하도록 동작되어진다. 이런 점을 제외하면, 검출기(350)는 제3도의 검출기(35)와 동일하게 동작하므로 그 구체적인 동작설명은 생각하였다.
제11도는 제8도의 PLL(330)를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PLL(330)은 일반 PLL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즉, 검출기(331), 입력신호의 2배주파수를 얻은 수 있는 더블러(333), 위상비교기(335), 루프필터(337), 및 전압제어 발진기(VCO)(339)로 구성 된다. 각 구성중 검출기(331)와 더블러(333) 및 전압제어 발진기(339)에 대한 상세한 구성을 제12(a)-(c)도에 도시 하였다. 제12(a)-(c)도에 도시된 검출기(331)와 더블러(333) 및 전압제어 발진기(339)는 2배속 복사에 적합하게 된 저항, 콘덴서 및 지연기등을 더 포함하는 점을 제외하면, 종래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그리고, 2배속 복사의 경우 추가된 회로들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면 기존의 해당 블록들과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다.
제4도에 관련하여 설명한 실시예를 잘 이해할 당입자에게는 제1도 내지 제2(e)도에 관련하여 설명한 조건들에 근거하여 N배속으로 고속 복사하는 다양한 형태의 디지탈기록재생장치를 설계할 수 있음은 명백한 것일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속 복사를 위한 디지털기록재생장치는 다량의 테이프 복사시 복사시간 및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을 가져온다.

Claims (8)

  1. 정상적인 기록 및 재생을 위한 정상속력의 N배의 고속력으로 테이프를 복사하는 디지털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정사속력인 경우의(1/2)N배인 직경 및 2/N배인 감긴각을 갖는 기록헤드드럼 및 재생헤드드럼; 상기 헤드드럼들에 각각 2N개씩 설치된 재생헤드들 및 기록헤드들; 재생헤드들로부터의 신호를 N배의 고속력 복사에 적합하도록 처리하여, 상기 기록헤드들로 공급하는 신호처리수단; 및 정상속력보다 N배 빠른 속력을 재생 및 기록을 위한 테이프들을 이송시키도록 그리고 정상속력인 경우의 N×(정상속력에서의 드럼직경)÷(N배 고속복사를 위한 드럼직경)배가 되는 회전수로 상기 헤드드럼들을 회전 시키도록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디지털기록재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들은, 헤드드럼상의 대향되는 위치에 놓인 2헤드가 테이프상의 인접한 2트랙에 기록할 수 있게 하는 단차를 갖는 형태로 해당 헤드드럼상에 설치되는 디지털기록재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수단은 재생헤드들로 부터의 신호 및 기록헤드들로의 신호들을 처리하기 위하여 병렬로 구성된 실질적으로 N개의 동일한 회로들을 포함하는 디지털기록재생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회로들이 해당하는 재생헤드들로부터의 신호들 및 기록헤드들로의 신호들을 처리하도록 제어하는 디지탈기록재생장치.
  5. 정상적인 기록 및 재생을 위한 정상속력의 N배의 고속력으로 테이프를 복사하는 디지털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정상속력인 경우의 N배인 직경 및 1/N배인 감긴각을 갖는 기록헤드드럼 및 재생헤드드럼; 상기 헤드드럼들에 각각 2N개씩 설치된 재생헤드들 및 기록헤드들; 재생헤드들로부터의 신호를 N배의 고속력 복사에 적합하도록 처리하여, 상기 기록헤드들로 공급하는 신호처리수단; 및 정상속력보다 N배 빠른 속력으로 재생 및 기록을 위한 테이프들을 이송시키도록 그리고 정상속력인 경우의 N×(정상속력에서의 드러직령)÷(N배 고속복사를 위한 드럼직경)배가 되는 회전수로 상기 헤드드럼들을 회전시키도록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디지털기록재생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들은, 헤드드럼상의 대향하는 위치에 놓인 2헤드가 테이프상의 인접한 2트랙에 기록할 수 있게 하는 단차를 갖는 형태로 해당 헤드드럼상에 설치되는 디지털기록재생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수단은 재생헤드들로부터의 신호 및 기록헤드들로의 신호들을 처리하기 위하여 별렬로 구성된 실질적으로 N개의 동일한 회로들을 포함하는 디지털기록재생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회로들이 해당하는 재생헤드들로부터의 신호들 및 기록헤드들로의 신호들을 처리하도록 제어하는 디지털기록재생장치.
KR1019950043207A 1995-11-23 1995-11-23 테이프 고속 복사를 위한 디지탈기록재생장치 KR100203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3207A KR100203259B1 (ko) 1995-11-23 1995-11-23 테이프 고속 복사를 위한 디지탈기록재생장치
MYPI96004846A MY113684A (en) 1995-11-23 1996-11-21 Digital recorc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for high-speed copying of tape
DE19648502A DE19648502A1 (de) 1995-11-23 1996-11-22 Digitale Aufzeichnungs- und Wiedergabevorrichtung für das Hochgeschwindigkeitskopieren eines Bandes
CN96123419A CN1086044C (zh) 1995-11-23 1996-11-23 用于磁带高速转录的数字式记录重放装置
US08/756,249 US5986829A (en) 1995-11-23 1996-11-25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for high-speed copying of tape
GB9624470A GB2307590B (en) 1995-11-23 1996-11-25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for high-speed copying of tape
JP8313996A JP2851596B2 (ja) 1995-11-23 1996-11-25 ディジタル記録再生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3207A KR100203259B1 (ko) 1995-11-23 1995-11-23 테이프 고속 복사를 위한 디지탈기록재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03259B1 true KR100203259B1 (ko) 1999-06-15

Family

ID=19435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3207A KR100203259B1 (ko) 1995-11-23 1995-11-23 테이프 고속 복사를 위한 디지탈기록재생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986829A (ko)
JP (1) JP2851596B2 (ko)
KR (1) KR100203259B1 (ko)
CN (1) CN1086044C (ko)
DE (1) DE19648502A1 (ko)
GB (1) GB2307590B (ko)
MY (1) MY113684A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6543A (en) * 1987-09-11 1989-09-12 Electro Sound, Inc. Multiple slave video tape reproduction system
US4888653A (en) * 1987-12-28 1989-12-19 Eastman Kodak Company High speed video tape duplicator
JPH01208704A (ja) * 1988-02-16 1989-08-22 Victor Co Of Japan Ltd デジタル信号記録再生装置
US5337199A (en) * 1990-07-06 1994-08-09 Hitachi, Ltd. Digital transmission signal processing system and recording/reproducing system
KR960003700B1 (ko) * 1993-11-16 1996-03-21 대우전자주식회사 2배속 고속복사전용 브이씨알 시스템의 데크주행계
KR970004613B1 (ko) * 1993-11-16 1997-03-29 대우전자 주식회사 고속복사전용 브이씨알 시스템
JPH08315308A (ja) * 1995-05-18 1996-11-29 Hitachi Ltd 磁気記録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986829A (en) 1999-11-16
JPH09171604A (ja) 1997-06-30
GB2307590A (en) 1997-05-28
GB2307590B (en) 1998-07-15
JP2851596B2 (ja) 1999-01-27
CN1086044C (zh) 2002-06-05
GB9624470D0 (en) 1997-01-15
DE19648502A1 (de) 1997-05-28
CN1159641A (zh) 1997-09-17
MY113684A (en) 2002-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71006B1 (en) Magnetic recording apparatus
EP0209047B1 (en) Apparatus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n information signal
JPS59142730A (ja) ビデオ信号再生装置
JP2753173B2 (ja) 複数セグメント記録におけるトラッキング制御装置
EP0473417B1 (en) Digital signal reproducing apparatus
KR100203259B1 (ko) 테이프 고속 복사를 위한 디지탈기록재생장치
EP0343726B1 (en) Apparatu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an electric signal
KR0155836B1 (ko) 아날로그와 디지탈 배속 기록 및 재생 장치
EP0318937B1 (en) Rotatable head type digital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JP3804856B2 (ja) ダビングシステム
JPH01277304A (ja) 回転ヘッド型記録または再生装置
JPH07307079A (ja) ディジタル信号記録装置
EP0357352B1 (en) Video sign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3580086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S62189629A (ja) ダビング装置
JPS60106076A (ja) 補助トラツク上への多重化デ−タ記録再生方式
JPS6314591A (ja) カラ−画像信号記録装置
JPH0563849B2 (ko)
JPS60106055A (ja) トラツキングエラ−検出装置
JPS62151016A (ja) 可変遅延線回路
JPS62262206A (ja) 磁気記録媒体の再生装置
JPS59203206A (ja) Pcm信号の記録方法
JPH03108105A (ja) 磁気記録再生回路
JPH0520800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3245304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