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2734B1 - 수동형 액체분무기 - Google Patents

수동형 액체분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2734B1
KR100202734B1 KR1019960018491A KR19960018491A KR100202734B1 KR 100202734 B1 KR100202734 B1 KR 100202734B1 KR 1019960018491 A KR1019960018491 A KR 1019960018491A KR 19960018491 A KR19960018491 A KR 19960018491A KR 100202734 B1 KR100202734 B1 KR 100202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s
movable member
opening
wall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8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0353A (ko
Inventor
비. 돕스 더글라스
스패시어스 어다니스
Original Assignee
재큐어스 배리악
칼마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큐어스 배리악, 칼마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재큐어스 배리악
Publication of KR970000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2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27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4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 B05B11/042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the spray being effected by a gas or vapour flow in the nozzle, spray head, outlet or dip tub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018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devices for making foam
    • B05B7/005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devices for making foam wherein ambient air is aspirated by a liquid flow
    • B05B7/0056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devices for making foam wherein ambient air is aspirated by a liquid flow with disturbing means promoting mixing, e.g. balls, crowns
    • B05B7/0062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devices for making foam wherein ambient air is aspirated by a liquid flow with disturbing means promoting mixing, e.g. balls, crowns including sieves, porous memb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2Actuation means
    • B05B11/1056Actuation means comprising rotatable or articulated levers
    • B05B11/1057Triggers, i.e. actuation means consisting of a single lever having one end rotating or pivoting around an axis or a hinge fixedly attached to the container, and another end directly actuated by the us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39/00Fluid sprinkling, spraying, and diffusing
    • Y10S239/23Screens

Landscapes

  • Nozzl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동형 액체분무기에 관한 것으로, 이분무기는 액체방울의 분무를 감소시키기 위한 분무깃의 통로에 위치하고 후퇴위치와 전지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하는 개구가 형성된 가동부재를 갖는다. 상기 가동부재는 이 부재가 장치되는 노즐캡의 배출오리피스와 동축으로 교란실을 형성하는 매끄러운 내측벽을 갖는 실린더를 구비한다. 이 실린더내에는 상기 배출오리피스와 동축으로 이 배출오리피스의 규격보다 큰 규격을 갖는 개구를 구비하는 개구벽이 있다. 상기 가동부재는 분무액체가 개구벽에 있는 개구의 어떠한 부위로 부터도 영향을 받지않는 상태로 이 분무액체가 개구벽의 개구를 통과할수 있도록 하는 후퇴위치와 상기 분무액체가 상기 가동부재의 내측벽에 충돌하여 교란실내에 있는 공기와 혼합된후 개구벽을 통과하게 함으로써 상기 가동부재로부터 분사되는 거품을 생성하는 전진위치 사이에서 상기 노즐캡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할수 있도록 되어있다.

Description

수동형 액체분무기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노즐조립체에 구비되는 가동부재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단면선 2-2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제3도는 트리거 분무기(trigger sprayer)의 노즐에 장착되는 제1도의 가동부재가 후퇴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하는 단면도.
제4도는 상기 가동부재가 전진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하는 단면도.
제5도는 상기 가동부재의 개구벽을 확대 도시하는 정면도.
제6도 및 제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동부재의 개구벽을 확대 도시하는 정면도.
제8도는 제7도의 단면선 8-8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동부재의 개구벽을 확대 도시하는 정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단면선 10-10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분무기 21 : 가동부재
24 : 노즐캡 25 : 배출오리피스
28 : 슬리이브 37 : 레버
38 : 개구 39 : 다리
44 : 실린더 45 : 내벽
46 : 교란실 47 : 격자(스크린)
48,49 : 리브 52 : 링
55 : 그리드 56,57 : 리브
본 발명은 노즐에 대해 후퇴 및 전진위치 사이를 선택적으로 이동하여 분부위치와 거품발생위치를 선택적으로 달성할수 있는 가동부재를 구비하는 노즐조립체를 갖는 수동형 펌프 분무기(trigger actuated pump sprayer)에 관한 것이다. 상기 가동부재에는 이 부재가 전진위치에서 거품을 생성할 수 있도록 교란실(turbulence chamber)이 구비되는데, 이 교란실에는 거품생성효과를 증진하는 목적으로 성형플라스틱으로 된 격자가 구비된다.
미합중국 특허 제4,779,803호에서는 노즐의 전방벽에 대해 후퇴와 전진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가동부재를 노즐에 장착시킨 수동형 액체분무기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 특허에서 가동부재에는 개구가 구비되는데, 이개구는 분무기의 배출오리피스와 동축상에 위치하고 이 오리피스의 규격보다 큰 규격을 갖는다. 상기 가동부재에는 오리피스로부터의 분무상태가 필요이상으로 넓게 퍼지는 확산분무를 완화시키는 목적으로 확산분무완화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가동부재의 개구크기는 분무깃(spray plume)의 규격에 대응하여 정해지며 액체가 이 개구를 통과하여 분무될 때 분무액체에 대해 상기확산분무완화수단이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되어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5,397,060호에서는 가동개구벽이 분무기의 노즐에 있는 전방배럴(front barrel)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된 거품-분무 트리거 분무기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 특허에서는 분무기의 가동개구벽이 수류(stream)위치와 거품생성위치 사이에서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 수류위치에서는 개구벽의 중앙개구가 전방배럴내에 있는 거품생성실의 뒷벽에 구비되는 유출오리피스의 측근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거품생성위치에서는 상기 개구벽이 외측오리피스의 전방에 위치하게 되고, 이 위치에서 액체방울들이 개구벽위에 충돌하여 튀면서 공기와 섞여 거품을 생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하면, 분무유체가 개구가 형성된 판이나 벽을 통해 통과하는 가동부재의 전진위치에서 거품생성 조건이 달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분무기에서는 특히 가정용 세척제를 분무하는데 사용될 경우 과도한 양의 액체방울들이 공중부유상태로 대기중으로 분무되면서 사용자의 눈, 코 그리고 입에 화상을 입힐수 있는 증기를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종래의 분무기에 의한 거품을 대상물에 분무시켰으때 이 거품이 아래로 흘러내리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수동식의 액체분무기용 거품/분무 노즐조립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조립체에서는 거품발생부재가 비작동 위치와 분무 및 거품발생을 위한 작동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한다. 상기 거품발생부재에는 개구벽의 상부에 조합된 교란실을 구비하여 전진위치에서 효과적으로 거품을 발생시키도록 하고, 아울러 공기중으로 분무되는 액체방울들의 양을 상당히 감소시키는 동시에 적당한 간격으로 대상물위에 거품이 분무되었을 때 흘러내리지 않는 양호한 질의 거품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구가 형성된 가동부재에 실린더가 구비되고 이 실린더에는 배출오리피스와 동축으로 교란실을 형성하는 매끄러운 내측벽과 횡방향으로 연장된 개구벽이 구비된다. 상기 개구벽에는 배출오리피스와 동축으로 이 오리피스보다 큰 규격을 갖는 개구가 형성된다. 상기 가동부재는 노즐에 대해 전진 및 후퇴위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할수 있도록 상기노즐에 장착된다. 상기 가동부재가 후퇴위치에 있을 때 이 부재는 상기 개구벽의 개구를 통과하여 분무되는 액체에 대해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않는다. 한편, 상기 가동부재가 전진위치에 있을 때, 상기 분무되는 액체는 교란실의 내부벽에 충돌하여 이교란실내에 있는 공기와 섞여 거품을 만들어 내면서 이 거품을 농축시킨다. 그후 이거품은 개구벽을 통과하도록 되어있어서 상기 가동부재로부터 분사되는 거품을 보다 효과적으로 만들어 낼수 있도록 되어있다.
상기 개구벽은 평행하게 이격된 평면내에 놓여지는 여러쌍의 리브를 구비하는데, 이 리브들은 서로 인접되게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리브들은 직사각형의 단면으로 이 단면에서 장축이 축방향으로 놓여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개구벽에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평행한 여러쌍의 리브를 구비할수도 있다. 여기서, 한쌍의 리브들이 갖는 간격은 다른쌍의 리브가 갖는 간격의 1/2로 되어있다. 상기 리브들의 단면은 사다리꼴로 되어있으며, 유동방향에서 상류측의 리브들은 그 사다리꼴 단면의 양측면이 앞 쪽으로 수렴하는 방향으로 놓여지고 하류쪽의 리브들은 그 사다리꼴 단면의 양측면이 뒤쪽으로 수렴하도록 놓여진다.
물론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구조이외에도 위에서 예로든 종래기술에서 설명된 리브들로 개구벽을 구성할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는 동일 또는 대응하는 부품에 대해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였다. 제3도 및 제4도에서는 트리거로 작동되는 본 발명의 수동식 펌프분무기가 참조번호(20)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 분무기(20)에는 개구가 형성된 가동부재(21)가 장치된다.
상기분무기(20)의 구조는 예를들어 위에서 언급한 종래기술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이미 공지되어 있는 것으로 이분무기의 펌프몸체(22)에는 배출통로(23)가 형성된다. 중앙에 배출오리피스(25)가 구비된 회전식 노즐캡(24)이 상기펌프몸체(22)의 끼워맞춤부(27)에서 배출단부(26)위에 끼워맞춤된다. 상기 캡(24)에는 링형의 배출용 플랩밸브(31, flap valve)를 지지하는 프로브캡(29, probe cap)과 결합하기 위한 내측슬리이브(28)가 구비된다. 상기프로브캡(29)은 프로브(32)의 일단에 고정되고, 외측단부에는 와류챔버(33)가 형성된다. 상기프로브캡(29)에 있는 길다란홈(34,35)과 슬리이브(28)는 노즐캡(24)의 상대적 회전에 따라 서로 연통될수 있으며, 이렇게 연통되는 경우 분무기의 펌핑작용에 따라 배출밸브(31)을 통과한 액체가 접선방향의 통로(36)를 따라 와류챔버(33)속으로 유입된다. 따라서, 액체내에 와류를 형성하고 이 액체는 확산분무의 형태로 배출오리피스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펌핑작용은 몸체(22)에 공지된 방식으로 힌지연결된 트리거레버(37)를 손으로 작동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펌프분무기는 액체에 와류를 유발하여 이 액체가 통상적으로 확산분무콘(divergent spray cone)의 형태로된 분무깃으로써 오리피스(25)를 통해 배출되도록 한 다른 형식의 와류챔버 혹은 스핀(spin)챔버를 구비할수도 있다. 또한, 분무매커니즘은 분무정지(spray-off) 및 수류정지(stream -off)위치 사이에서 노즐캡의 회전에 따라 분무배출 및 배출정지를 달성하는 미합중국 특허 제4,706,888호에 기재된 매커니즘으로 할수 있다.
본 발명의 가동부재(21)는 상기한 종래기술에서 공지된 가동부재와 거의 유사한데 다만 본 발명의 부재(21)가 배출오리피스와 동축상으로 개구(38)를 구비하고, 노즐캡(24)상에 신축이동 가능하게 장치되어 제3도에 도시된 후퇴위치와 제4도에 도시된 전진위치 사이에서 이동한다는 점에서 서로 다르다. 상기 부재(21)에는 여러개의 지지다리(39)가 있는데, 이 다리(39)들은 노즐캡(24)내에 위치하고 이 캡(24)의 외측벽(41)으로 개구된 동일한 개수의 여러개의 축방향개구(도시생략)속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다리(39)에 구비된 돌기(42)는 노즐캡(24)의 홈에 구비된 정지부와 결합하여 부재(21)가 제4도의 위치로 전진하는 것을 제한하는 역할을 하며 이러한 구성은 미 합중국 특허 제4,779,803호에서 기재된 구성과 유사하다.
상기 가동부재(21)는 노즐캡(24)에 있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측벽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돌출하여 이부재(21)를 수동으로 슬라이딩시킬 때 작업을 용이하게 할수 있는 손잡이수단(43)을 구비할수도 있다.
제4도의 전진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부재(21)는 상술한 종래기술에서 기재된바와 마찬가지로 거품발생캡으로 작용하게 된다. 상기 다리(39)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공기통로로 사용되며, 상기 부재(21)는 개구(38) 및 배출오리피스(25)와 동축인 내측실린더(44)를 구비한다. 상기 실린더(44)에는 매끄러운 내측벽(45)이 마련되며, 이 실린더(44)내에는 교란실(46)이 형성된다. 따라서, 펌핑작동중에 확산 분무되는 액체가 상기 교란실(46)의 내측벽(45)에 충돌하여 분무되는 입자가 상기 이격된 다리(39)사이의 공간을 통해 교란실내로 들어온 공기와 혼합되어 거품을 생성하고 농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도 내지 제6도에서 도시되는 것처럼 평행한 평면 내에 설치되고 실린더(44)의 내벽(45)에 양단부가 일체로 고정되는 제1 및 제2세트의 리브(48,49)들을 구비하는 스크린 혹은 격자(47)형태의 거품생성 촉진기, 즉 분무입자 완화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리브들(48,49)은 서로 인접하여 있고, 각 세트의 리브들은 서로 평행한 동시에 다른 세트으 리브들과 서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있으므로 상기 두세트의 리브(48,49)사이에는 사각형의 공간(51)이 형성된다. 또한, 전술한종래 기술에서와 마찬가지로 각 리브(48,49)의 단면은 직사각형 단면으로되어 있으며, 이 단면에서 장축이 배출오리피스를 통과하는 액체의유동방향에서 하류측 방향으로 위치한다.
상기와 같은 액체의 유동로를 따라 리브의 단면장축이 놓여지게 되면 교란실내에서 농축되는 거품이 상기 리브(49)의 대향평면과 먼저 부딪치고 난 후 난류흐름을 조장하는 리브(49)의 양측 면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그후, 상기 거품은 리브(48)의 대향측면과 충돌하고 난류흐름을 조장하는 이 리브(48)들의 양측 면을따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같은 리브(48,49)들의 배치는 거품생성을 촉진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거품은 교란실(46)내의 공기와 다시 혼합되어 거품발생효과를 더욱 촉진하게 되고 생성된 거품은 상기 스크린(48)을 통해서 대상물에 분사되는 섯이다.
제3도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부재(21)의 후퇴위치에서는 이 부재(21)가 노즐캡의 전방벽(41)에 닿아 있는 상태가 되며, 상기 개구(38)의 크기는 확산분무깃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는데, 이 때 상기 분무깃은 분무액체가 어떤 부위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지 않는 상태로 개구(38)를 통과할 수 있도록 허용해야 한다.
상기 개구(38)는상기리브(48,49)들의 내측단부와 일체가 될 수 있도록 성형되는 링(52)에 의해 만들어진다. 그러나, 상기 링(52)은 제6도에 도시되는 것처럼 상기리브(48,49)으 내측단부(53,54)에 의해 자체적으로 만들어지는 경우에는 링(52)의 구성을 완전히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리브(48,49)들의 내측단부를 간단히 서로 연결하는 역할 이외에는 다른 역할을 하지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가동부재(21)의 실린더(44)와 결합되는 거품발생 촉진수단은 제7도 및 제8도에서 도시하는 것처럼 격자 혹은 그리드(55,grid)의 형태로만들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그리드(55)는 상기 설명한 스크린(47)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실린더(44)내에서 축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이 실린더(44)내에 일체로 만들어진다. 제4도에서 도시한 것처럼, 상기 부재(21)가 전진위치에 있을 경우 확산분무된 액체는 먼저 내측벽(45)과 충돌하여 거품을 생성하고 상기 스크린 혹은 격자형의 리브들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과하기 때문에 거품발생 효과를 더욱 향상시키는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때, 분무입자와 서로 섞여 있는 거품방울들은 마찬가지로 스크린(47) 혹은 그리드(55)의 하류측에 위치하는내측벽(45)에 먼저 충돌하게 되므로 거품발생효과를 더욱 향상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물론, 상기 스크린(47)이나 그리드(55)는 상기 내측벽(45)의 하유측에 더욱 근접하여 위치될 수도 있는데, 이때에는 상기 거품방울들 및/또는 분무입자들이 상기 스크린이나 그리드의 하류측에서 더 이상 내측벽(45)에 충돌하지 않고 거품의 형태로 상기 스크린이나 그리드의 하류측으로부터 직접 배출된다.
상기 격자(55)는 동일한 방향, 즉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여러 개의 리브(56,57)들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리브(56)들은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제1세트의 리브(56)들에 의해 동일한 여러 개의 공간(58)이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제2세트의 리브(57)들도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제2세트의 리브들에 의해 동일한 여러개의 공간(59)이형성된다. 상기제1 및 제2리브 세트는 예를 들어 도면에서 도시되는 것처럼 수직방향에서 부분적으로 엇갈려 배치된다. 이때의 엇갈리는 간격은 공간(58,59) 크기의 1/2에 해당되며, 따라서 상기 두 세트의 리브(56,57)들에 의해서 제7도에 도시되는 것처럼 공간(61)이 형서된다.
이러한 배치관계에 의해 각 세트에서 리브에 의해 형성되는 보다 큰 공간(58,59)은 가공 및 성형작업을 더욱 쉽게 할 수 있는 효과를 내는 동시에 공간(58,59)이 갖는 크리의 1/2에 해당하는 크기를 갖는 유효공간(61)을 확보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리브세트(56,57)들은 평행한 평면 내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이 리브들의 상류측 면은 스크린(47)에 있는 리브에서와 마찬가지로 평평하다. 상기 리브(56,57)들의 단면은 사다리꼴 단면으로 할 수 있는데, 이때 제1세트에 있는 리브들의 양측 대향 벽은 하류방향으로 수렴되게 배치되고, 반면에 제2세트에 있는 리브들의 양측 벽은 하류방향으로 서로 벌어지게, 즉 상류방향으로 수렴되게 배치되어 있다. 물론, 상기 리브(56,57)들을 그들의 대향벽이 모두 하류측으로 수렴되게 하든지 혹은 반대로 상류측으로 수렴되게 방향을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 교란실(46)과 닿아 있는 리브들의 평면은 이 교란실내에서 생성되는 거품방울들이 일차로 충돌하여 거품발생 효과를 증진시킬수 있는 충돌면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리브들의 평면은 상기 가동부재(21)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그리드(55)를 통해 거품이 배출되는 것을 전혀 방해하지 않는다.
상기 리브(56,57)들의 내측단부에 의해 개구(38)를 형성할 수도 있고, 아니면 도면에서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예를들면 링(52)에 의해 서로 연결시켜 개구(38)를 형성할 수도 있다.
제9도 및 제10도에서는 가동부재(21)의 일부가 교란실(46)과 조합되어 거품생성을 증지시키는 수단을 구성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이격된 평면 내에 배치되고 상대적으로 엇갈려 배치되므로써 공간(58,59)을 형성하는 제1및 제2세트의 리브(56,57)를 구비한다는 점에서 상기 격자(55)와 유사한 스크린(62)의 형태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리브(56,57)들이 연장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세트의 리브(63)들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3세트의 리브(63)는 지그재그의 형상으로되어 있으며, 제10도에서 도시되는 것처럼 리브(56)의 뒤쪽, 즉 하류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수평방향의 리브(57)와 교차하도록 성형공정을 통해 만들어진다. 상기 제1 내지 제3세트의 리브들에 의해 제9도에 도시되는 것처럼 공간(64)이 형성된다. 상기 리브(63)들의 뒷면은 납작하고 단면이 사다리꼴 단면으로 되어 있으며, 이 리브(63)들은 그들의 단면에서 양측 벽이 하류방향으로 서로 수렴하거나 혹은 벌어지는 형상으로 배치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대해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이 상기설명에 국한되지 않고 이어지는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사상에서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경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9)

  1. 수동형 액체분무기에 있어서, 상기 분무기는 하류방향으로 액체를 가압하여 확산분무하기위한 배출오리피스를 갖는 노즐; 액체방울의 분무를 감소시키기 위한 분무깃의 통로에 위치하고, 후퇴위치와 전진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하며, 상기 배출오리피스와 동축으로 교란실을 형성하는 매끄러운 내측벽을 구비하는 개구가 형성된 가동부재; 상기 실린더내에서 횡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배출오리피스와 동축으로 이 배출오리피스의 규격보다 큰 규격을 갖는개구를 구비하는 개구벽으로 구성되고; 상기가동부재는 분무액체가 상기개구벽에 있는 개구의 어떠한 부위로부터도 영향을 받지않는 상태로 개구벽의 개구를 통과할수 있도록 하는 상기 후퇴위치와상기분무액체가 상기 가동부재의 내측벽에 충돌하여 교란실내에 있는 공기와 혼합된후 개구벽을 통과하게 함으로써 상기 가동부재로부터 분사될 거품을 생성한는 전진위치 사이에서 상기노즐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할수 있도록 상기 노즐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형 액체분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가 전진위치에 있을 때 이 부재는 상기 노즐로부터 소정의 에어갭(air gap)만큼 이격되어 주위의 대기와 연통되고 이에따라 상기 개구벽의 개구를 통과하는 분무액체에 공기가 용이하게 섞일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형 액체분무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는 노즐에 대해 신축적인 슬라이드이동을 할수 있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형 액체분무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는 서로 평행한 제1 및 제2평면상에 서로 이격된 채로 장치되는 제1 및 제2세트의 리브들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세트의 리브들은 서로 인접하고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형 액체분무기.
  5. 제4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세트의 리브들은 직사각형 단면을 갖고, 이 단면에서 장축이 액체의 유동방향에서 하류방향으로 놓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형 액체분무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는 서로 평행한 제 1 및 제2평면상에 서로 이격된 채로 동일한 방향으로 향하도록 장치되는 제1 및 제2세트의 리브들로 구성되고, 상기 제2세트의 리브들은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제1세트의 리브들이 갖는 간격의 1/2만큼 제1세트의 리브들에 대해 부분적으로 엇갈려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형 액체분무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에는 상기 제1 및 제2세트의 리브들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이 리브들에 연결되어 있는 제3세트의 리브들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형 액체분무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세트의 리브들은 상기 제2세트의 리브들의 위치보다 하류쪽에 위치하며, 제1세트으 리브들은 단면의 양측면이 상기하류방향으로 수렴되는 사다리꼴 단면을 갖고 상기 제2세트의 리브들은 단면의 양측면이 상기하류방향으로 벌어지는 사다리꼴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형 액체분무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세트의 리브들은 상기 제2세트의 리브들의 위치보다 하류쪽에 위치하며, 제1세트의 리브들은 단면의 양측면이 상기 하류방향으로 수렴되는 사다리꼴 단면을 갖고 상기 제2세트의 리브들은 단면의 양측면이 상기 하류방향으로 벌어지는 사다리꼴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형 액체분무기.
KR1019960018491A 1995-06-13 1996-05-29 수동형 액체분무기 KR1002027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489,718 US5678765A (en) 1995-06-13 1995-06-13 Foam/spray nozzle assembly for trigger sprayer
US8/489,718 1995-06-13
US08/489,718 1995-06-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0353A KR970000353A (ko) 1997-01-21
KR100202734B1 true KR100202734B1 (ko) 1999-06-15

Family

ID=23944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8491A KR100202734B1 (ko) 1995-06-13 1996-05-29 수동형 액체분무기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5678765A (ko)
EP (1) EP0748656B1 (ko)
JP (1) JP3177159B2 (ko)
KR (1) KR100202734B1 (ko)
CN (1) CN1072982C (ko)
AR (1) AR002443A1 (ko)
AU (1) AU693020B2 (ko)
BR (1) BR9602762A (ko)
CA (1) CA2179107C (ko)
CZ (1) CZ285930B6 (ko)
DE (1) DE69623538T2 (ko)
ES (1) ES2182928T3 (ko)
HK (1) HK1003202A1 (ko)
HU (1) HU220052B (ko)
MX (1) MX9602277A (ko)
PL (1) PL185170B1 (ko)
SI (1) SI9600192B (ko)
TW (1) TW32243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48752A (en) * 1995-09-08 1998-12-15 Task Force Tips, Inc. Foam aeration nozzle
DE19728622A1 (de) * 1997-07-04 1999-01-07 Stephan Dipl Ing Rieth Verfahren und Vorrichtung für die Erzeugung eines Aerosols
USD407975S (en) * 1998-03-31 1999-04-13 The Procter & Gamble Co. Nozzle
US6382527B1 (en) * 2001-01-03 2002-05-07 Owens-Illinois Closure Inc. Hand-activated dispensing pump having sprayer/foamer selector wheel
US6557783B1 (en) * 2001-11-23 2003-05-06 Continental Sprayers International, Inc. Telescoping foamer nozzle
EP1460921B1 (en) * 2001-12-24 2006-03-1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Beverage device for making a beverage with a foam layer on top
US6968982B1 (en) 2002-09-18 2005-11-29 Burns Caleb E S Multiple-mist dispenser
DE10246334B4 (de) * 2002-10-04 2015-05-07 Neoperl Gmbh Sanitäres Einbauteil
CN100417432C (zh) * 2003-07-02 2008-09-10 蒋迪 多相反应的混合方法及采用该方法的超强湍流传质塔
US7051955B2 (en) * 2004-04-30 2006-05-30 Horner Joseph D Sprayer system
NZ586011A (en) * 2004-05-07 2012-08-31 Deb Ip Ltd A foaming composition having suspended particles adapted for use in a non-aerosol dispenser
KR101130401B1 (ko) * 2004-08-16 2012-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증기 배출 커버구조
US20100154146A1 (en) 2008-07-02 2010-06-24 S.C. Johnson & Son, Inc. Carpet decor and setting solution compositions
US8846154B2 (en) 2005-06-07 2014-09-30 S.C. Johnson & Son, Inc. Carpet décor and setting solution compositions
JP4731306B2 (ja) * 2005-12-20 2011-07-20 花王株式会社 発泡吐出容器
US20090256008A1 (en) * 2008-04-11 2009-10-15 Continentalafa Dispensing Company Trigger Sprayer Nozzle Assembly with Pull/Push Foaming Tube
US20100108782A1 (en) * 2008-10-30 2010-05-06 Living Fountain Plastic Industrial Co., Ltd. Foam nozzle for assembly onto a trigger-type sprayer
CN101797539B (zh) * 2009-02-11 2011-11-23 屠旭峰 泡沫喷枪
US8844841B2 (en) * 2009-03-19 2014-09-30 S.C. Johnson & Son, Inc. Nozzle assembly for liquid dispenser
GB2478141A (en) 2010-02-25 2011-08-31 Jeyes Group Ltd A dispenser comprising a spray head and a pouring outlet
US8955769B2 (en) 2011-12-02 2015-02-17 Gojo Industries, Inc. Vortex atomizing foam pump and refill unit utilizing same
US20160288147A1 (en) * 2013-03-25 2016-10-06 S.C. Johnson & Son, Inc. Fluid Dispenser and Method of Forming Fluid Dispenser
CN104433131A (zh) * 2014-12-10 2015-03-25 宁波吉登电子科技有限公司 头部按摩装置
US10654051B2 (en) * 2017-01-31 2020-05-19 Packaging Concepts Associates Holdings, Inc. Droplet dispensing assembly and converter attachment for spray-to-droplet conversion
EP3513880B1 (en) 2018-01-23 2021-08-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ensing device suitable for a foamable product
CN109264810B (zh) * 2018-10-10 2021-03-23 中国石油集团渤海石油装备制造有限公司 一种自旋流水气同轴喷头及其使用方法
US11267644B2 (en) * 2018-11-08 2022-03-08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erosol foam dispenser and methods for delivering a textured foam product
JP7166221B2 (ja) * 2019-05-30 2022-11-0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トリガー式液体噴出器
US11794199B2 (en) 2022-01-20 2023-10-24 Packaging Concepts Associates Holding, Inc. Folding extension nozzle and dispensing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72547A (en) * 1973-12-11 1977-05-04 Bekaert Sa Nv Wire screens
AU537072B2 (en) * 1979-08-16 1984-06-07 Canyon Corp. Foam dispenser
JPS6027481A (ja) * 1983-07-22 1985-02-12 Hitachi Ltd 低圧拡散接合法
US4779803A (en) * 1986-08-11 1988-10-25 Calmar, Inc. Manually actuated liquid sprayer
US4925106A (en) * 1988-04-13 1990-05-15 Afa Products, Inc. Foam-off nozzle assembly with barrel screen insert for use in a trigger sprayer
DE4138471A1 (de) * 1991-11-22 1993-05-27 Bergmann Franz Aufschaeumduese fuer fluessigkeiten
JP3396246B2 (ja) * 1993-01-18 2003-04-14 株式会社ナガオカ 多層コンポジットスクリーン
US5397060A (en) * 1994-01-21 1995-03-14 Afa Products, Inc. Foam-spray-off trigger sprayer
US5366160A (en) * 1994-03-09 1994-11-22 Calmar Inc. Foamer nozzle with looped rib flow disrupt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179107A1 (en) 1996-12-14
EP0748656A3 (en) 2000-02-09
DE69623538D1 (de) 2002-10-17
EP0748656B1 (en) 2002-09-11
HUP9601428A1 (en) 1997-04-28
BR9602762A (pt) 1998-09-08
AR002443A1 (es) 1998-03-11
PL314743A1 (en) 1996-12-23
CA2179107C (en) 2003-01-21
TW322434B (ko) 1997-12-11
HU220052B (hu) 2001-10-28
CN1072982C (zh) 2001-10-17
AU5243796A (en) 1997-01-02
CZ171096A3 (en) 1997-02-12
SI9600192B (sl) 2002-02-28
PL185170B1 (pl) 2003-03-31
JP3177159B2 (ja) 2001-06-18
US5678765A (en) 1997-10-21
MX9602277A (es) 1997-01-31
KR970000353A (ko) 1997-01-21
DE69623538T2 (de) 2003-05-15
JPH091006A (ja) 1997-01-07
SI9600192A (en) 1996-12-31
HU9601428D0 (en) 1996-07-29
EP0748656A2 (en) 1996-12-18
HK1003202A1 (en) 1998-10-16
CZ285930B6 (cs) 1999-11-17
AU693020B2 (en) 1998-06-18
ES2182928T3 (es) 2003-03-16
CN1140635A (zh) 1997-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2734B1 (ko) 수동형 액체분무기
US5647539A (en) Foamer nozzle assembly for trigger sprayer
US5611490A (en) Foamer assembly for fluid dispenser
JP2597410B2 (ja) 引き金式噴霧器用のバレルスクリーンインサートを有するフォームオフ・ノズル構造
US7222802B2 (en) Dual sprayer with external mixing chamber
US4779803A (en) Manually actuated liquid sprayer
JP4417245B2 (ja) 内部混合空気式霧化スプレーノズル組立体
JP4276311B2 (ja) 二流体ノズル
US5702058A (en) Dual foamer nozzle assembly for trigger sprayer
US4013228A (en) Foam generating sprayer apparatus
JPH11156250A (ja) 改良型空気圧式噴霧装置
TW200406259A (en) Spray gun with improved pre-atomization fluid mixing and breakup
KR900004592B1 (ko) 공기 유도식 분무기
JP2023174199A (ja) 噴霧装置
JPS635141B2 (ko)
JPH09313997A (ja) トリガー式噴霧器用泡発生ノズル装置
SU1301418A1 (ru) Сопло дл тонкого распылени жидкостей,в частности,дл огнетушителей
SU971505A1 (ru) Пневматическа форсунка Яцкевича
JPH0783846B2 (ja) 低圧空気霧化内部混合エアースプレーガ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