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2418B1 - 팩시밀리장치에서 핸드셋 크래들 분리시 팩스 자동 수신기능 및 외부단말기의 통화 연결회로 - Google Patents

팩시밀리장치에서 핸드셋 크래들 분리시 팩스 자동 수신기능 및 외부단말기의 통화 연결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2418B1
KR100202418B1 KR1019960082600A KR19960082600A KR100202418B1 KR 100202418 B1 KR100202418 B1 KR 100202418B1 KR 1019960082600 A KR1019960082600 A KR 1019960082600A KR 19960082600 A KR19960082600 A KR 19960082600A KR 100202418 B1 KR100202418 B1 KR 100202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switch
handset
telephone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82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3154A (ko
Inventor
최해열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82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2418B1/ko
Publication of KR19980063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3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2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24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7Initiating, continuing or ending a single-mode communication; Handshaking therefor
    • H04N1/32704Establishing a communication with one of a facsimile and another telecommunication apparatus sharing a single line
    • H04N1/32715Detecting
    • H04N1/32728Detecting an off-hook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005Automation of particular receiver jobs, e.g. rejecting unwanted c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
본 발명은 팩시밀리장치에서 핸드셋 크래들 분리시 팩스 자동 수신기능 및 외부 단말기의 통화 연결회로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
종래에는 핸드셋 크레들이 분리된 경우에는 전화라인의 한 쪽 선이 오픈되어 외부잭, 링검출회로, 전화기회로가 연결되지 않아 링 신호의 착신 여부를 검출할 수 없기 때문에 팩시밀리장치의 문서 수신기능과 외부잭에 연결된 전화기(외부단말기)로 음성 통화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없었다.
다.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
본 발명은 핸드셋 크레들이 분리됨으로 인해 훅크스위치가 제거될 시 별도의 통화루프가 형성되도록 스위칭되는 릴레이회로를 추가 구성하여 핸드셋 크래들이 분리되는 경우에도 팩스 자동 수신기능 및 외부잭에 연결된 전화기(외부단말기)로 통화를 연결하는 회로를 구현하였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
팩시밀리장치에 구비된 라인인터패이스회로.

Description

팩시밀리장치에서 핸드셋 크래들 분리시 팩스 자동 수신기능 및 외부단말기의 통화 연결회로
본 발명은 팩시밀리장치의 라인인터패이스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핸드셋 크래들이 분리되어도 링 신호 검출과 외부단말기를 이용한 통화가 가능하도록 구현된 라인인터패이스회로에 관한 것이다.
팩시밀리장치는 신속한 정보의 공유를 요구하는 현대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정보 통신의 매체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팩시밀리장치는 원고의 송, 수신 기능과 더불어 음성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화기회로를 내장하고 있으며, 외부단말기의 병렬 접속이 가능하도록 외부잭이 구비되었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전화기회로와 외부잭을 가지는 팩시밀리장치에 구비된 라인인터패이스회로의 구성과 동작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기능선택스위치(10)는 팩시밀리장치의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팩스 메시지 송, 수신기능 또는 전화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통화 루프를 연결한다. 상기 기능선택스위치(10)는 대기 상태에서 음성 통화루프가 형성되도록 출력단 c1, c2에 연결되며, 제어부로부터 팩스 메시지의 송, 수신기능 수행 요구가 있으면 출력단 b1, b2로 스위칭된다. 외부잭(20)은 팩시밀리장치에서 사용되는 전화라인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외부단말기를 접속한다. 링검출회로(30)는 전화라인을 통해 착신되는 링 신호를 검출한다. 전화기회로(40)는 음성 통화시 음성 송화와 수화를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훅크스위치(50)는 연동되는 두 개의 스위치로 구성되어 내부 송수화기의 들림에 의해 스위칭된다. 상기 훅크스위치(50)를 구성하는 하나의 스위치는 송수화기의 들림에 의해 전화라인을 상기 외부잭(20)과 병렬 연결된 링검출회로(30)와 전화기회로(40)를 스위칭 연결한다. 상기 훅크스위치(50)를 구성하는 다른 스위치는 송수화기의 들림에 의해 스위칭되어 훅크-오프 검출신호를 출력한다.
이하 동작을 설명하면, 핸드셋 크래들이 부착된 경우에는 착신 링 신호는 기능선택스위치(10)의 출력단 C2를 통해 출력되어 훅크스위치(50)의 입력단 a3로 공급되며, 입력단 a3로 공급된 링 신호는 출력단 b3로 출력되어 링검출회로(30)와 외부잭(20)으로 제공된다. 상기 링검출회로(30)는 링 신호가 착신되면 링검출신호(R.D)를 팩시밀리장치의 제어부로 공급된다. 상기 착신 링 신호에 응답하여 외부잭(20)에 접속된 외부단말기가 응답하면 상기 훅크스위치(50)는 훅크-온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착신 링 신호에 응답하여 내부 송수화기가 들리는 경우에는 상기 훅크스위치(50)는 전환된다. 상기 훅크스위치(50)가 절환되면 전화라인이 연결된 입력단 a3는 출력단 c3를 통해 전화기회로(40)로 연결되며, 입력단 a4는 출력단 c4를 접지시켜 로우레벨의 훅크-오프 검출신호(hook-off)를 팩시밀리장치의 제어부로 출력한다.
하지만 핸드셋 크래들이 분리된 경우에는 전화라인의 한 쪽 선이 오픈되어 외부잭(20), 링검출회로(30), 전화기회로(40)가 연결되지 않아 링 신호의 착신 여부를 검출할 수 없기 때문에 팩시밀리장치의 문서 수신기능과 외부잭에 연결된 전화기(외부단말기)로 음성 통화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없었다.
상기와 같이 핸드셋 크래들을 분리한 상태로 팩시밀리장치를 정상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서비스맨을 호출하여 내부회로를 수정하여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핸드셋 크래들의 분리되는 경우에도 팩스 자동 수신기능 및 외부단말기의 통화 구현이 가능한 라인인터패이스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팩시밀리장치에 구비된 라인인터패이스회로의 상세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팩시밀리장치의 핸드셋 크래들 분리시 외부단말기의 통화 구현을 위한 라인인터패이스 상세 회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라인인터패이스회로의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훅크스위치(50')는 송수화기의 훅크-오프에 의해 연동되는 3개의 스위치로 구성된다. 제1스위치는 기능선택스위치(10)를 통해 인입되는 전화라인을 훅크-온시에는 링검출회로(30)와 외부잭(20)으로 연결하며, 훅크-오프시에는 전화기회로(40)로 스위칭 연결한다. 제2스위치는 송수화기가 들리면 훅크-오프 검출신호가 출력되도록 스위칭된다. 제3스위치는 훅크-오프될 시 스위칭되어 릴레이회로(60)가 계속 동작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훅크스위치(50')는 핸드셋 크래들에 내장되어 있으며, 핸드셋 크래들이 팩시밀리장치로부터 분리될 시 같이 팩시밀리장치로부터 제거된다. 상기 릴레이회로(60)는 훅크-온시에는 제2스위치를 통해 접지되고 훅크-오프시에는 제3스위치를 통해 접지되어 동작상태를 유지한다. 하지만 핸드셋 크래들이 분리됨으로 인해 훅크스위치(50')가 제거되는 경우 상기 릴레이회로(60)는 동작이 차단되어 전화라인을 훅크스위치(50')를 통하지 않고 링검출회로(30)와 외부잭(20)으로 연결한다.
다음으로 상술한 구성의 연결 괸계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훅크스위치(50')의 제1스위치 입력단 a3에는 기능선택스위치(10)의 출력단 c2가 연결되며, 출력단 b3는 링검출회로(30)가 연결되고 출력단 c3는 전화기회로(40)가 연결된다. 기능선택스위치(10)의 출력단 c1은 링검출회로(30), 외부잭(20), 전화기회로(40)가 연결된다. 훅크스위치(50')의 제2스위치 입력단 a4는 접지되며, 출력단 b4는 릴레이회로(60)가 연결되고 출력단 c4는 팩시밀리장치의 제어부가 연결되어 훅크-오프 검출신호(hook-off)를 출력한다. 훅크스위치(50')의 제3스위치 입력단 a5는 릴레이회로(60)가 연결되며, 출력단 b5는 오픈되고 출력단 c5는 제2스위치 출력단 c4가 연결된다. 릴레이회로(60)는 코일과 스위치로 구성되어 코일의 일측에는 전압 Vcc가 제공되고 코일의 다른 일측은 제2스위치의 출력단 b4와 제3스위치 입력단 a5가 연결된다. 릴레이회로(60)를 구성하는 스위치의 일측은 외부잭(20)과 링검출회로(30)가 연결되고 다른 일측은 기능선택스위치(10)의 출력단 c2가 연결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상술한 구성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핸드셋 크래들이 부착되어 있는 경우를 설명하면,
전화라인으로부터 링신호가 입력되면 기능선택스위치(10) a2와 c2를 통해 훅크스위치(50')의 제1스위치 입력단 a3로 공급된다. 상기 훅크스위치(50')는 훅크-온 상태이므로 제1스위치의 입력단 a3로 공급된 링신호는 출력단 b3로 출력되어 링검출회로(30)와 외부잭(20)으로 연결된다. 상기 링검출회로(30)는 링신호의 공급에 따라 링검출신호(R.D)를 출력한다. 상기 공급되는 링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잭(20)을 통해 접속된 외부단말기가 응답하는 경우에는 제1스위치는 상기 상태를 유지하여 외부단말기의 통화루프를 형성하며, 팩시밀리를 통한 문서의 수신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기능선택스위치(10)를 스위칭하여 전화라인을 출력단 b1와 b2를 통해 모뎀측으로 연결한다. 한편, 전화기회로(40)를 통한 음성통화를 요구하는 송수화기가 들리면 상기 훅크스위치(50')는 기계적으로 구동하여 제1스위치, 제2스위치, 제3스위치가 연동하여 스위칭된다. 상기 제1스위치가 스위칭되므로 전화라인은 a3와 c3를 통해 전화기회로(40)에 연결되어 송수화기를 통한 통화가 가능하다. 한편, 제2스위치가 스위칭되어 출력단 c4가 입력단 a4를 통해 접지되므로 하이에서 로우로 하강 에지되는 송수화기의 훅크-오프 검출신호(hook-off)가 출력된다. 제3스위치는 훅크-오프에 의해 스위칭되어 릴레이회로(60)가 접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릴레이회로(60)는 훅크-온시에는 제2스위치의 a4와 b4를 통해 접지되고 훅크-오프시에는 제3스위치의 a5와 c5를 통해 접지된다. 음성 통화가 종료되어 상기 송수화기가 놓여지면 상기 훅크스위치(50')의 제1스위치, 제2스위치, 제3스위치는 각각 출력단 b3, b4, b5로 스위칭된다.
다음으로 핸드셋 크래들이 분리되는 경우를 설명하면,
훅크스위치(50')가 내장된 핸드셋 크래들이 분리되면 도 2에 도시된 훅크스위치(50')가 제거된다. 상기 훅크스위치가 제거되면 릴레이회로(60)의 접지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릴레이회로(60)를 구성하는 코일을 통해 흐르던 전류가 차단되어 동작하지 않게되고 스위치는 원래의 상태로 복귀한다. 상기 릴레이회로(60)가 복귀하게 되면 기능선택스위치(10)의 출력단 c2는 상기 릴레이회로(60)를 통해 외부잭(20)과 링검출회로(30)에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루프가 형성된 상태에서 링신호가 착신되면 상기 기능선택스위치(10) a2와 c2를 통해 릴레이회로(60)로 공급된다. 상기 릴레이회로(60)는 복귀된 상태이므로 상기 공급된 링신호는 링검출회로(30)와 외부잭(20)으로 연결된다. 상기 링검출회로(30)는 링신호의 공급에 따라 링검출신호(R.D)를 출력한다.
만약 분리되었던 핸드셋 크래들이 다시 부착되면 상기 릴레이회로(60)가 다시 접지되어 릴레이회로(60)의 코일을 통해 전류가 흐르게 되어 스위치는 오픈되어 훅크스위치(50')를 통하지 않고 전화라인이 외부잭(20)과 링검출회로(30)로 연결되는 것을 차단한다.
본 발명은 핸드셋 크래들이 분리되는 경우에도 링 착신 서비스 즉, 팩스 자동 수신기능 서비스와 외부단말기가 접속된 경우에는 외부단말기를 통한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팩시밀리장치의 사용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외부단말기가 접속되는 외부잭과,상기 외부잭과 병렬 연결되어 링신호를 검출하는 링검출회로와, 음성 통화를 수행하는 전화기회로와, 핸드셋 크래들을 구비한 팩시밀리장치의 라인인터패이스회로에 있어서,
    상기 핸드셋 크래들에 내장되어 송수화기의 상태에 따라 전화라인을 상기 링검출회로 또는 전화기회로로 연결하여 통화루프를 형성하고 훅크-오프 검출신호가 출력되도록 스위칭하는 훅크스위치와,
    상기 핸드셋 크래들이 분리되면 스위칭되어 상기 전화라인을 상기 외부잭과 상기 링검출회로로 연결하는 릴레이회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장치에서 핸드셋 크래들 분리시 팩스 자동 수신기능 및 외부단말기의 통화 연결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훅크스위치는,
    상기 송수화기가 훅크-온시 상기 전화라인을 상기 링검출회로로 연결하고 상기 송수화기가 훅크-오프될 시 스위칭되어 상기 전화라인을 전화기회로로 연결하는 제1스위치와,
    상기 송수화기가 훅크-온시 상기 릴레이가 구동되도록 전류 루프를 형성하고 상기 송수화기가 훅크-오프될 시 스위칭되어 훅크-오프 검출신호가 출력되도록 연결하는 제2스위치와,
    상기 송수화기가 훅크-오프될 시 스위칭되어 상기 릴레이가 구동되도록 전류 루프를 형성하는 제3스위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장치에서 핸드셋 크래들 분리시 팩스 자동 수신기능 및 외부단말기의 통화 연결회로.
KR1019960082600A 1996-12-31 1996-12-31 팩시밀리장치에서 핸드셋 크래들 분리시 팩스 자동 수신기능 및 외부단말기의 통화 연결회로 KR100202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82600A KR100202418B1 (ko) 1996-12-31 1996-12-31 팩시밀리장치에서 핸드셋 크래들 분리시 팩스 자동 수신기능 및 외부단말기의 통화 연결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82600A KR100202418B1 (ko) 1996-12-31 1996-12-31 팩시밀리장치에서 핸드셋 크래들 분리시 팩스 자동 수신기능 및 외부단말기의 통화 연결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154A KR19980063154A (ko) 1998-10-07
KR100202418B1 true KR100202418B1 (ko) 1999-06-15

Family

ID=19494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82600A KR100202418B1 (ko) 1996-12-31 1996-12-31 팩시밀리장치에서 핸드셋 크래들 분리시 팩스 자동 수신기능 및 외부단말기의 통화 연결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241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154A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03643A (en) Multi-line station interface
USRE43706E1 (en) Fallback function telecommunications device
CN101442590B (zh) 通信电路、通信装置和通信方法
US6477248B1 (en) Multi-line station interface
US6137189A (en) Line circuit 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to a telephone set in telecommunication systems
KR100202418B1 (ko) 팩시밀리장치에서 핸드셋 크래들 분리시 팩스 자동 수신기능 및 외부단말기의 통화 연결회로
JPS6251018B2 (ko)
KR100208387B1 (ko) 팩시밀리의 증설 전화라인 제어회로
JP2680587B2 (ja) 通信装置
JP3091065B2 (ja) ノーリンギングによりデータ伝送を行う通信装置
EP0602650B1 (en) Facsimile apparatus
EP1185059A2 (en) Telephone set
JPH1188548A (ja) Catv電話システム及びその端末装置
JPH10164257A (ja) 電話通信端末及びそれを使用した通信方法
US2007022366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ternatively switching between phone service lines
JP3249802B2 (ja) ノーリンギング通信装置
JPH01233870A (ja) 電話装置
JPS6276347A (ja) デイジタル電話機ブランチ回路
JPH08205216A (ja) 単独電話機を収容するボタン電話装置
JPS62178051A (ja) 電気通信回線の分岐通信方式
JP2003163798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2000324258A (ja) 回線自動切替システム装置
JPS6193762A (ja) 無通話時状態表示方式
JPH0537612A (ja) 電話装置
JPH0955814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