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2285B1 - 생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생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2285B1
KR100202285B1 KR1019970008956A KR19970008956A KR100202285B1 KR 100202285 B1 KR100202285 B1 KR 100202285B1 KR 1019970008956 A KR1019970008956 A KR 1019970008956A KR 19970008956 A KR19970008956 A KR 19970008956A KR 100202285 B1 KR100202285 B1 KR 100202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medium
fermentation tank
fermentation
tank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8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3597A (ko
Inventor
김문수
Original Assignee
김문수
김삼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49990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20228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김문수, 김삼순 filed Critical 김문수
Priority to KR1019970008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2285B1/ko
Publication of KR19980073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3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2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2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9/00Fertilisers from household or town refuse
    • C05F9/02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05F11/08Organic fertilisers containing added bacterial cultures, mycelia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매체를 이용하여 발효조내의 일정온도를 유지시킴과 동시에 진공펌프로 발효조내의 공기압을 저하시켜 습기를 제거함으로써 미생물의 활동을 극대화시켜 생쓰레기의 발효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고, 다량의 생쓰레기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생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폐쇄공간을 형성하며 투입되는 생쓰레기를 발효시키는 발효조, 상기 발효조에 투입된 생쓰레기를 교반시키는 교반기, 상기 발효조를 형성하는 벽면의 내부에 열매체가 유동되도록 공간부를 형성하는 열매체 재킷으로 이루어진 발효수단과, 상기 발효조내의 공기를 진공펌프로 흡입하여 공기압을 저하시고 그 흡입되는 공기중의 수분을 응축시키는 진공 응축수단과, 상기 열매체 재킷에 열매체를 순환시켜 상기 발효조의 온도를 일정온도로 유지시켜 주는 열매체 공급수단과, 상기 발효수단과 진공 응축수단 및 열매체 공급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생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생쓰레기 처리장치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나 도축장에서 발생되는 가축의 피와 같은 생쓰레기를 발효시켜 사료 또는 비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생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열매체를 이용하여 발효조내의 일정온도를 유지시킴과 동시에 진공펌프로 발효조내의 공기압을 저하시켜 습기를 제거함으로써 생쓰레기의 처리효율을 증대시킴은 물론 미생물의 활동을 극대화시키는 생쓰레기 처리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열매체 이용하여 발효조를 가열함으로써, 열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우리민족은 전통적으로 쓰레기 재활용이 의식화되어 일상생활에서 발생되는 모든 쓰레기를 한집안내에서 소화시켜 왔다. 이는 음식물찌꺼기는 물론이고 밥을 짓기 위해 쌀을 씻어낸 구정물 한방울까지도 소, 돼지 등 가축에 먹이게 하는 철저한 쓰레기 관리를 해왔으나 현대 무기농법으로 인하여 농민들의 퇴비사용이 불가능하게 되자 토양은 척박해지고 전국토는 유해한 화학물질이 포함된 쓰레기로 뒤덮히게 하는 매립지 포화상태로 쓰레기와의 전쟁이 선포된 상황이다. 이에 당국에서는 우선 매립량을 줄이기 위한 감량화에 치중하는 정책으로 일관해 음식물 찌꺼기 수거 요령을 보면 물을 빼내기 위해 채발에 받쳐 액체는 하수구로 마구 흘려 보내 수질오염을 가중시키고 고체 쓰레기는 대부분 비닐봉지에 담아 일반쓰레기와 같이 버려지고 있는 실태로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음식쓰레기 처리가 외국에 비해 어렵게 된 요인은 세계에서도 독특한 우리의 식생활 문화로 인해 식단이 수많은 탕종류와 국물위주로 구성되어 생쓰레기의 수분함량이 83% 정도로 외국 생쓰레기의 수분함량 60%와는 상당한 차이가 있기 때문이며, 이에 따라 한국 실정에 알맞는 분리 방법 및 장치를 통해 액체와 고체를 동시에 완벽하게 처리하여 양질의 가축사료와 안전한 비료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었다.
그런데, 지금까지 개발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의 경우에 대부분 건조시키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장시간에 걸쳐 가열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열손실이 많고 다량의 수분 조절제를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건조된 제품을 가축에 먹이면 치명적인 염류중독이 유발될 수도 있으며, 토양에 시비하는 경우에는 염류축적이나 부패균에 의한 부패분해가 일어나 농작물에 병충해가 심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발효 방식을 채택한 처리장치는 대부분 기계 내부에 임펠라를 설치하여 내용물을 저어 주면서 열과 공기를 공급하여 자연 발효를 유도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 경우에는 발효 처리된 제품에 호기 호열성 미생물 중 부패 미생물 계열이 잔존하기 때문에 건조 처리시간이 길어지면 변질되어 악취를 발생시키거나 비위생적으로 되며 제품의 영양도 떨어지게 된다. 또한 이 제품을 시비하는 경우 토양속에서도 어느 정도의 유기물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습도와 온도만 맞추어지면 산소를 선호하는 부패균이 토양에서 우위를 차지하게 되므로 작물에 큰 피해를 주며, 토양을 더욱 더 부패형으로 변화시켜 토지의 황폐화를 가져 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열매체를 이용하여 발효조내의 일정온도를 유지시킴과 동시에 진공펌프로 발효조내의 공기압을 저하시켜 습기를 제거함으로써 미생물의 활동을 극대화시켜 생쓰레기의 발효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고, 다량의 생쓰레기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생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폐쇄공간을 형성하며 투입되는 생쓰레기를 발효시키는 발효조, 상기 발효조에 투입된 생쓰레기를 교반시키는 교반기, 상기 발효조를 형성하는 벽면의 내부에 열매체가 유동되도록 공간부를 형성하는 열매체 재킷으로 이루어진 발효수단과, 상기 발효조내의 공기를 진공펌프로 흡입하여 공기압을 저하시고 그 흡입되는 공기중의 수분을 응축시키는 진공 응축수단과, 상기 열매체 재킷에 열매체를 순환시켜 상기 발효조의 온도를 일정온도로 유지시켜 주는 열매체 공급수단과, 상기 발효수단과 진공 응축수단 및 열매체 공급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생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발효수단은 상기 발효조와 연통된 투입구에 설치되는 투입측 도어, 상기 투입측 도어를 투입구에 가압하여 밀착시키는 투입측 밀봉용 실린더 유니트, 상기 투입측 도어를 왕복 이송시켜 상기 투입구를 개폐시키는 투입측 이송용 실린더 유니트로 이루어지는 투입구 개폐수단과과, 상기 발효조와 연통된 배출구에 설치되는 배출측 도어, 상기 배출측 도어를 배출구에 가압하여 밀착시키는 배출측 밀봉용 실린더 유니트, 상기 배출측 도어를 왕복 이송시켜 상기 배출구를 개폐시키는 배출측 이송용 실린더 유니트로 이루어지는 배출구 개폐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진공 응축수단은 진공펌프로 발효조내의 공기압을 저하시켜 공기를 흡입하는 진공펌프, 상기 진공펌프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를 냉각시켜 공기중의 수분을 응축시키는 냉각탱크, 상기 냉각탱크로부터 분리된 응축수를 저장하는 응축수 저장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열매체 공급수단은 열매체를 가열하는 보일러, 상기 가열된 물을 순환시키는 열매체 순환펌프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수단은 열매체 재킷에 설치되는 열매체 온도센서를 통해 70 ~ 80 ℃의 열매체를 순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열매체를 통해 발효조내의 온도를 상승시킴과 동시에 진공을 통해 생쓰레기의 수분을 분리함으로써, 미생물의 활동을 극대화시킴과 아울러 발효효율을 증대시키고, 종래의 발효처리장치에서와 같이 전체 처리 내용물의 70 %에 해당하는 수분 조절제을 사용하지 않게 되어 다량의 생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처리의 효율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쓰레기 처리장치을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수단의 내부를 보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수단을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수단을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 응축수단의 냉각탱크를 보인 종단면도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발효수단 110 : 발효조
111 : 프레임 112 : 맨홀
113 : 투시창 120 : 교반기
121 : 교반축 123 : 임펠라
125 : 구동모터 130 : 투입구 개폐수단
130a : 투입구 131 : 투입측 도어
133 : 투입측 이송용 실린더 유니트 135 : 투입측 밀봉용 실린더 유니트
140 : 배출구 개폐수단 140a : 배출구
141 : 배출측 도어 143 : 배출측 이송용 실린더 유니트
145 : 배출측 밀봉용 실린더 유니트 150 : 열매체 재킷
200 : 진공 응축수단 210 : 진공펌프
220 : 냉각탱크 221 : 냉각 하우징
223 : 냉각관 224 : 물재킷
230 : 응축수 포집조 240 : 응축수 저장조
300 : 열매체 공급수단 310 : 보일러
320, 330 : 열매체 순환펌프 340 : 열매체 온도센서
400 : 제어수단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쓰레기 처리장치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투입되는 생쓰레기를 저장 발효시키는 발효수단(100)과, 그 발효수단(100)내의 공기를 진공펌프로 흡입하여 공기압을 저하시고 그 흡입되는 공기중의 수분을 응축시키는 진공 응축수단(200)과, 상기 발효수단(100)에 열매체를 순환시켜 일정온도로 유지시켜 주는 열매체 공급수단(300)과, 상기 발효수단(100)과 진공 응축수단(200) 및 열매체 공급수단(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400)으로 구성된다.
상기 발효수단(100)은 도 2와 도 3 및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원통형의 내부에 폐쇄공간을 형성하며 발효조(110)에는 투입된 생쓰레기를 교반시키는 교반기(120)가 설치되고, 그 발효조(110)를 형성하는 벽면의 내부에 즉, 내부판(110a)과 외부판(110b)에는 열매체가 유동되도록 공간부를 형성하는 열매체 재킷(150)이 설치된다. 이에 따라, 발효조(110)의 하부면에는 열매체가 유입되는 유입관(151) 및 그 유입된 열매체가 배출되는 배출관(152)이 설치되며, 열매체 재킷(150)내에는 열매체의 온도를 감지하는 열매체 온도센서(340)가 설치된다. 즉, 상기 제어수단(400)은 열매체 재킷(150)에 설치되는 열매체 온도센서(340)를 통해 70 ~ 80 ℃의 열매체를 순환시켜 생쓰레기의 수분 증발을 활성화시킨다.
상기 교반기(120)는 발효조(110)내의 원통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교반축(121)과, 회전방향을 중심으로 T형상의 경사각을 가지며 상기 교반축(121)에 다수개 설치되는 임펠라(123)와, 상기 교반축(121)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125)로 이루어진다. 상기 교반축(121)의 양측단은 베어링(127)을 통해 발효조(110)의 양측단벽에 설치된다. 상기 구동모터(125)의 회전동력은 체인(124) 및 스프로킷(121a)(125a)를 통해 교반축(121)에 전달된다. 또한, 임펠라(123)의 말단 즉, 발효조(110)의 내주면과 인접하는 위치에는 고무판(123a)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발효조(110)에는 음식물을 투입하는 투입구(130a)를 개폐시키는 투입구 개폐수단(130)과, 발효된 음식물을 배출하는 배출구(140a)를 개폐시키는 배출구 개폐수단(140)이 마련된다. 그 투입구(130a)는 발효조(110)의 전면부 상측에 발효조(110)와 연통되게 형성되고, 그 배출구(140a)는 발효조(110)의 하부면에 연통되게 형성된다.
우선, 상기 투입구 개폐수단(130)은 투입구(130a)에 설치되는 투입측 도어(131)와, 상기 투입측 도어(131)를 투입구(130a)에 가압하여 밀착시키는 투입측 밀봉용 실린더 유니트(135)와, 상기 투입측 도어(131)를 왕복 이송시켜 상기 투입구(130a)를 개폐시키는 투입측 이송용 실린더 유니트(133)로 이루어진다. 즉, 투입측 밀봉용 실린더 유니트(135)의 공압 실린더는 발효조(110)의 벽면에 고정되고, 이의 피스톤은 그 실린더로 주입되는 공기압에 의해 투입측 도어(131)를 투입구(130a)에 밀착시킨다. 또한, 투입측 이송용 실린더 유니트(133)의 공압 실린더는 발효조(110)의 벽면에 고정되고, 이의 피스톤은 그 공압 실린더로 주입되는 공기압에 의해 투입측 도어(131)를 왕복시켜 투입구(130a)를 개폐시킨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 개폐수단(140)은 배출구(140a)에 설치되는 배출측 도어(141), 상기 배출측 도어(141)를 배출구(140a)에 가압하여 밀착시키는 배출측 밀봉용 실린더 유니트(145), 상기 배출측 도어(141)를 왕복 이송시켜 상기 배출구(140a)를 개폐시키는 배출측 이송용 실린더 유니트(143)로 이루어진다. 역시 배출측 밀봉용 실린더 유니트(145)의 공압 실린더는 발효조(110)의 벽면에 고정되고, 이의 피스톤은 그 실린더로 주입되는 공기압에 의해 배출측 도어(141)를 배출구(140a)에 밀착시킨다. 또한, 배출측 이송용 실린더 유니트(143)의 공압 실린더는 발효조(110)의 벽면에 고정되고, 이의 피스톤은 그 공압 실린더로 주입되는 공기압에 의해 배출측 도어(141)를 왕복시켜 배출구(140a)를 개폐시킨다.
한편, 상기 발효조(110)의 상단부에는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내부와 연통되는 맨홀(112)이 형성되고, 그 맨홀(112)에는 이를 밀봉시키는 밀봉뚜껑(112a)이 설치된다. 또한, 발효조(110)의 상단부에는 내부를 육안 식별할 수 있는 투시창(113)이 각각 2개소 설치되고, 측면부에는 자연광이 유입되는 유리창이 설치된다.
그리고, 발효조(110)의 상단부에는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출기관(115)이 설치된다. 상기 발효조(110)의 하부에는 발효조(110)를 지지하는 프레임(111)이 설치된다.
상기한 진공 응축수단(200)은 상기 발효조(110)내의 공기를 진공으로 흡입하여 공기압을 저하시키는 진공펌프(210)와, 상기 진공펌프(210)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를 냉각시켜 공기중의 수분을 응축시키는 냉각탱크(220)와, 상기 냉각탱크(220)로부터 분리된 응축수를 저장하는 응축수 저장조(240)로 이루어지며, 상기 냉각탱크(220)와 응축수 저장조(240)의 사이에는 공기중의 응측수를 포집하는 응축수 포집조(230)가 설치된다.
상기 냉각탱크(22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내부의 공간부(221a)가 유입구(221b)와 취출구(221c)보다 확장되게 형성하며 상기 발효조(110)와 연통되는 냉각 하우징(121)과, 그 냉각 하우징(121)의 공간부(221a)와 연통된 다수개관으로 설치되어 공간부(221a)의 내부면과 밀폐된 물재킷(124)을 형성하는 냉각관(123)과, 그 물재킷(124)에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냉각수 순환펌프(225)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응축수 저장조(240)에는 응축수의 저장수위를 감지하는 응축수 수위센서(243)가 설치되고, 그 응축수 수위센서(243)로부터 감지된 응축수의 수위가 설정치 이상일 때에는 응축수 토출펌프(245)를 가동하여 상기 응축수를 오수 발효탱크에 공급한다.
상기 냉각 하우징(121)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수직으로 설치되며, 내부의 공간부(221a) 상하단부는 유입구(221b)와 취출구(221c)측으로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221d)(221e)이 형성된다. 또한, 물재킷(124)내에는 물재킷(124)의 온도를 감지하는 냉각수 온도센서(227)가 설치되어 냉각수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냉각수 순환펌프(225)를 가동시켜 냉각수를 순환시킨다.
상기한 열매체 공급수단(300)은 열매체 즉, 물을 가열하는 통상의 보일러(310)와, 그 보일러(310)에 의해 가열된 물을 상기 발효조(110)의 외곽을 둘러싼 열매체 재킷(150)으로 강제 순환시키는 2개의 열매체 순환펌프(320)(330)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발효수단(100)은 수송차량(1)을 통해 생쓰레기를 직접 투입할 수 있도록 수송차량(1)의 위치와 단차를 두어 하부에 설치한다. 이는 다량의 쓰레기를 발효조(110)에 순간적으로 빨리 투입하게 위함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17은 발효조(110)내의 진공을 해제시키는 입기관이며, 161은 발효조(110)내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이고, 162는 발효조(110)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이며, 223a는 냉각수가 물재킷(224)내로 유입되는 냉각수 유입구이고, 223b은 그 물재킷(224)로 유입된 냉각수가 배출되는 냉각수 배출관이며, 253는 진공펌프(210)로부터 가해지는 진공라인의 진공압력을 감지하는 진공 압력센서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수송차량(1)으로부터 실려온 음식물 쓰레기나 도축장의 가축피 등의 생쓰레기를 발효조(110)내에 투입할 수 있도록 투입구 개폐수단(130)을 동작시킨다. 즉, 투입측 이송용 실린더 유니트(133)의 공압 실린더에 공압을 가하게 되면, 이에 설치된 피스톤은 투입측 도어(131)를 투입구(130a)에서 측면으로 이송시켜 투입구(130a)를 개방시킨다. 이때, 상기 개방된 투입구(130a)를 통해 수송차량(1)의 생쓰레기를 발효조(110)에 투입함과 동시에, 미생물 조성물 등의 생균을 투입한다.
상기 생쓰레기와 함께 투입되는 미생물 조성물은 특허출원 제 97-2194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싸레기 가루, 미가(쌀겨), 황토, 식초, 막걸리, 당미, 광합성균, 유황가루 및 지장수를 혼합, 발효시켜 1차 발효액을 얻고, 이 발효액에 유박, 어분, 육분, 게가루, 골분, 산야초화 한약재, 해초, 부엽토, 황토, 톱밥, 숫가루, 질석을 혼합하여 회전드럼 발효기에서 40 ℃가 될 때까지 서서히 가열하면서 분말화한 후, 단열화된 합성통에서 4 ~ 5일간 혐기 발효처리한 다음에, 이것을 지장수와 함께 액체 발효기에서 급기하면서 저온 발효 또는 고온 발효함으로써 얻어낸 것으로서, 본 발명의 사용에 가장 적합하다.
상기와 같이, 발효조(110)내에 내용물의 투입이 완료되면, 다시 투입측 이송용 실린더 유니트(133)를 통해 투입측 도어(131)를 이송시켜 투입구(130a)를 폐쇄시킨 다음, 투입측 밀봉용 실린더 유니트(135)의 공압 실린더에 다시 공기을 가압하여 이의 피스톤을 돌출시킨다. 이때, 돌출되는 피스톤은 상기 투입구(130a)를 폐쇄시킨 투입측 도어(131)를 가압하여 투입구(130a)에 밀착시킨다. 이와 동시에 배출구 개폐수단(140) 역시 배출구(140a)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배출측 도어(141)를 밀착시켜 발효조(110) 내부를 완전히 밀봉킨다.
이렇게 발효조(110)가 밀봉된 상태에서, 교반기(120)의 구동모터(125)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열매체 공급수단(300)의 보일러(310) 및 진공 응축수단(200)의 진공펌프(210)를 가동시킨다.
우선, 상기 구동모터(125)의 회전력은 체인(124) 및 스프로킷(121a)(125a)을 통해 교반축(121)을 회전시킨다. 이때, 교반축(121)에 방사상으로 교차되게 설치되는 임펠라(123)는 교반축(121)과 동기 회전하면서 상기 발효조(110)에 투입된 내용물 즉, 생쓰레기와 미생물 조성물을 뒤섞어 혼합한다. 상기 회전되는 임펠라(123)는 T자형태로 회전방향으로 경사각을 갖게 되어 내용물의 저항을 줄일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보일러(310)는 열매체를 가열하고, 그 가열된 열매체는 열매체 순환펌프(320)(330)를 통해 발효조(110)의 유입관(151)을 통해 열매체 재킷(150)으로 유입되며, 그 유입된 열매체는 다시 유출관(152)을 통해 보일러(310)로 순환된다. 이때, 제어수단(400)은 열매체 재킷(150)내에 설치된 열매체 온도센서(340)로부터 검출된 열매체의 온도가 75 ℃를 초과할 경우 보일러(310) 및 열매체 순환펌프(320)(330)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다시 온도가 75 ℃이하로 저하될 경우 보일러(310) 및 열매체 순환펌프(320)(330)를 동작시켜, 열매체 재킷(150)내의 온도를 유지시킨다.
이렇게 열매체를 통해 발효조(110)내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과정에서, 진공펌프(210)는 발효조(110)내에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압을 저하시키게 된다. 이때의 발효조(110)는 70 ℃이상의 온도를 유지하고 있어 수분 증발이 빨리 일어나 흡입되는 공기중에 다량의 수분을 포함시킨다.
상기와 같이 진공펌프(210)를 통해 발효조(110)로부터 유출되는 고온 다습한 공기는 우선 냉각탱크(220)의 유입구로 유입되면서 확장된 공간부(221a)에 설치된 다수개의 냉각관(123)을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의 냉각관(123)은 물재킷(124)으로 유입된 냉각수에 의해 통과하는 공기를 급격히 냉각시킨다. 이렇게 냉각된 공기중의 수분은 응축되어 물방울을 형성하게 되며, 계속 공기를 따라 응축수 포집조(230)로 유입된다. 이때, 응축수 포집조(230)는 응축수를 포집하고, 순수 공기는 외부로 취출시킨다. 상기 포집된 응축수는 응축수 저장조(240)로 유입 저장되고, 그 저장된 응축수는 응축수 토출펌프(245)를 통해 오수 발효탱크로 보내진다. 또한, 상기 외부로 취출되는 공기는 냉각장용에 따른 수분분리와 동시에 악취가 제거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발효조내 발효된 내용물은 사료의 원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부패균에 의한 변질을 방지하기 위해 호기호열성의 초기 발효 직후에 곧바로 내용물을 40℃로 냉각시킨 뒤, 미세한 쌀겨나 약간의 톱밥 또는 곡류 등을 합성균과 함께 발효조(110)에 투입하여 약 30분 동안 교반기(120)를 동작시켜 골로루 혼합한다. 그리고 나서 배출구 개폐수단(140)을 통해 배출구(140a)를 개방시켜 발효된 내용물을 배출한다. 이렇게 배출된 내용물은 합성통으로 옮겨 저장한 후 밀폐시킨 상태로 4 내지 7일 동안 혐기 발효시킨 다음 컨베이어를 거쳐 분쇄기로 옮긴 뒤 분쇄하여 포장기로 포장한 다음 외부로 반출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열매체를 이용하여 발효조내를 일정온도로 유지시키면서 진공펌프로 발효조내의 공기압을 저하시킴으로써, 발효조내의 생쓰레기에 포함하는 상당량의 수분을 원활히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다량의 수분을 포함하는 가축피나 음식물 쓰레기도 한 번에 다량으로 처리할 수 있어, 발효조의 체적당 생쓰레기의 처리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음은 물론 미생물의 활동을 극대화시켜 생쓰레기의 발효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열매체 이용하여 발효조를 가열함으로써, 버너 등의 가열기로 발효조를 직접 가열하는 것에 비하여 온도제어가 용이함은 물론 열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내용물의 분해 발효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초기 발효시는 호기성 발효지만 후기 발효시에는 혐기성의 합성균들이 주체가 되어 오히려 오염 물질인 가스 등을 먹이로 하므로 산소를 내놓게 되어 호기성 미생물들과 공존하게 되어 발효와 합성이 연동되어지기 때문에 액체 발효나 고체 발효가 극대화되어 유해 가스의 발생 없이 내용물은 고체 상태로 사료 및 비료화된다.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내부에 폐쇄공간을 형성하며 투입되는 생쓰레기를 발효시키는 발효조(110), 상기 발효조(110)에 투입된 생쓰레기를 교반시키는 교반기(120), 상기 발효조(110)를 형성하는 벽면의 내부에 열매체가 유동되도록 공간부를 형성하는 열매체 재킷(150)으로 이루어진 발효수단(100);
    상기 발효조(110)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압을 저하시고 그 흡입되는 공기중의 수분을 응축시키는 진공 응축수단(200) ;
    상기 열매체 재킷(150)에 열매체를 순환시켜 상기 발효조(110)의 온도를 일정온도로 유지시켜 주는 열매체 공급수단(300);
    상기 발효수단(100)과 진공 응축수단(200) 및 열매체 공급수단(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쓰레기 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수단(100)은 상기 발효조(110)와 연통된 투입구(130a)에 설치되는 투입측 도어(131), 상기 투입측 도어(131)를 투입구(130a)에 가압하여 밀착시키는 투입측 밀봉용 실린더 유니트(135), 상기 투입측 도어(131)를 왕복 이송시켜 상기 투입구(130a)를 개폐시키는 투입측 이송용 실린더 유니트(133)로 이루어지는 투입구 개폐수단(130)과;
    상기 발효조(110)와 연통된 배출구(140a)에 설치되는 배출측 도어(141), 상기 배출측 도어(141)를 배출구(140a)에 가압하여 밀착시키는 배출측 밀봉용 실린더 유니트(145), 상기 배출측 도어(141)를 왕복 이송시켜 상기 배출구(140a)를 개폐시키는 배출측 이송용 실린더 유니트(143)로 이루어지는 배출구 개폐수단(1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쓰레기 처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조(110)의 상단부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맨홀(112)이 형성되고, 그 맨홀(112)에 밀봉뚜껑(112a)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쓰레기 처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진공 응축수단(200)은 상기 발효조(110)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압을 저하시키는 진공펌프(210), 상기 진공펌프(210)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를 냉각시켜 공기중의 수분을 응축시키는 냉각탱크(220), 상기 냉각탱크(220)로부터 분리된 응축수를 저장하는 응축수 저장조(2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쓰레기 처리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탱크(220)는 내부에 확장된 공간부(221a)를 형성하며 상기 발효조(110)와 연통되는 냉각 하우징(121), 상기 냉각 하우징(121)의 공간부(221a)와 연통된 다수개관으로 설치되어 공간부(221a)의 내부면과 밀폐된 물재킷(124)을 형성하는 냉각관(123), 상기 물재킷(124)에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냉각수 순환펌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쓰레기 처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매체 공급수단(300)은 열매체를 가열하는 보일러(310), 상기 가열된 물을 순환시키는 열매체 순환펌프(320)(3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쓰레기 처리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400)은 열매체 재킷(150)에 설치되는 열매체 온도센서(340)를 통해 70 ~ 80 ℃의 열매체를 순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쓰레기 처리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기(120)는 상기 발효조(110)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교반축(121), T형상으로 경사각을 가지며 상기 교반축(121)에 다수개 설치되는 임펠라(123), 상기 교반축(121)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12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쓰레기 처리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조(110)의 상단부에는 내부를 육안 식별할 수 있는 투시창(113)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쓰레기 처리장치.
KR1019970008956A 1997-03-17 1997-03-17 생쓰레기 처리장치 KR100202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8956A KR100202285B1 (ko) 1997-03-17 1997-03-17 생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8956A KR100202285B1 (ko) 1997-03-17 1997-03-17 생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3597A KR19980073597A (ko) 1998-11-05
KR100202285B1 true KR100202285B1 (ko) 1999-06-15

Family

ID=19499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8956A KR100202285B1 (ko) 1997-03-17 1997-03-17 생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22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4734A (ko) * 1999-05-04 1999-08-05 강신탁 음식물 찌꺼기를 사료화시키는 장치 및 방법
KR101100850B1 (ko) * 2011-02-28 2012-01-02 박해성 혈액을 이용한 아미노산 액비 제조장치
KR102019071B1 (ko) * 2019-05-16 2019-09-06 주식회사 평강비아이엠 음식물쓰레기의 드럼교반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3597A (ko) 199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543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organic waste and organic material obtained by the treatment method
KR19980071974A (ko) 음식물쓰레기 발효사료 및 비료화 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100224502B1 (ko) 하수 및 분뇨 슬럿지의 퇴비화장치
KR19980066553A (ko) 생쓰레기를 발효시켜 사료화 또는 비료화하는 미생물 조성물
JP4302308B2 (ja) 有機物の発酵飼料化装置
KR970001218B1 (ko) 음식물 쓰레기의 사료 및 비료화 방법 및 플랜트
KR100973154B1 (ko) 진공 흡입식 음식물 발효 건조장치
KR100202285B1 (ko) 생쓰레기 처리장치
KR100245607B1 (ko) 음식물 쓰레기 및 식품폐기물에 미생물 첨가에의한 유용물질의 제조방법과 그 장치
KR100238097B1 (ko) 음식물쓰레기의 퇴비화 장치
KR100317934B1 (ko) 폐열 이용이 가능한 생쓰레기 발효장치
KR200214056Y1 (ko) 음식물쓰레기의고속진공발효건조기
KR100230519B1 (ko) 음식 폐기물 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200330139Y1 (ko) 음식쓰레기의 발효건조 장치
KR20000031445A (ko) 음식물 찌꺼기를 이용한 습식 사료 제조 방법및 장치
KR100512256B1 (ko) 대용량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JPH11290831A (ja) 有機性廃棄物処理システムおよび有機性廃棄物処理車
KR20200061150A (ko) 유기성 폐기물의 밀폐형 순환 건조화 방법 및 건조 장치
JPH06312168A (ja) 生ゴミの処理方法及び装置
KR102523105B1 (ko) 호열성 복합미생물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의 고속부숙처리 자원화 장치
KR200358420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를 위한 건조,발효장치
KR19990037738A (ko) 진공건조처리시스템및그처리방법
KR20040089185A (ko) 음식쓰레기의 발효건조 방법 및 그 장치
KR19990045871A (ko) 음식물쓰레기자원화공정중음식물쓰레기의부패방지를위한방법및장치
CN217921875U (zh) 一种环保农业秸秆腐化再利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