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2058B1 - 혼합미백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혼합미백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2058B1
KR100202058B1 KR1019950008122A KR19950008122A KR100202058B1 KR 100202058 B1 KR100202058 B1 KR 100202058B1 KR 1019950008122 A KR1019950008122 A KR 1019950008122A KR 19950008122 A KR19950008122 A KR 19950008122A KR 100202058 B1 KR100202058 B1 KR 100202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itening
aloesin
mixed
agent composition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8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7041A (ko
Inventor
이승기
정명희
박영인
박정일
Original Assignee
이병훈
주식회사남양알로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훈, 주식회사남양알로에 filed Critical 이병훈
Priority to KR1019950008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2058B1/ko
Publication of KR960037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7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2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20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부틴 및 코지산으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된 제 1 미백성분, 및 제 2 미백성분인 알로에신의 배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혼합미백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혼합미백제 조성물은 두가지 성분의 배합물이 존재하기 때문에 각각의 미백작용에 대한 보완작용으로 각각의 성분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에 비해 훨씬 더 소량에서도 월등히 우수한 상승적 미백효과를 나타낼 뿐 아니라 알부틴 및 코지산과 같은 미백성분의 사용량을 줄임으로써 그들에 의한 제품의 제조과정 및 보관중의 착색등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는 잇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혼합미백제 조성물
제1도는 실험예 1에서 측정된 것으로 알로에신과 알부틴의 배합농도 변화에 따른 상승적 티로시나제 활성억제 효과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제 1 군(알로에신+0.03mM 알부틴), -□-: 제 2 군(0.03mM 알로에신+알부틴), --: 제 3 군(알로에신), -○-: 제 4 군(알부틴)].
제 2도는 실험예 2 에서 측정된 것으로 알로에신과 코지산의 배합농도 변화에 따른 상승적 티로시나제 활성억제 효과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 제 1 군(알로에신+ 코지산), -□-: 제 2 군(0.03mM 알로에신+0.03mM 코지산), : --제 3 군(알로에신), --: 제 4 군(코지산)].
본 발명은 혼합미백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알부틴, 코지산 및 비타민 C 유도체중에서 선택된 제 1 미백성분과 제 2 미백성분인 알로에신의 배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혼합미백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혼합미백제 조성물은 제 1 및 제 2 미백성분들의 상호보완적인 티로시나제 억제작용 및 그에 따른 멜라닌 색소형성 억제작용에 의하여 각각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에 얻어지는 미백효과에 비하여 월등히 우수한 상승적 미백효과를 제공한다.
지금까지 선행기술에서 미백성분으로서 화장품 분야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이용되어 오던 성분은 알부틴, 코지산 및 비타민 C 성분 등이다. 그러나 이들 성분들을 화장품으로 제조하는 경우에는 제조과정중에 또는 제품의 보관중에 착색되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착색을 줄이기 위해서는 다량의 첨가제를 사용하여야 하거나 유효성분을 소량으로 첨가하여야 하는데, 첨가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첨가제 성분에 의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유효성분을 소량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목적하는 만큼의 충분한 미백효과를 얻을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기존의 미백성분들의 단점을 보완하면서 더 소량으로 목적하는 미백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집중적으로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 이들 미백성분과 알로에신을 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이러한 목적이 달성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서 배합되는 성분인 알로에신은 오래전부터 약용으로 사용되어 오던 식물인 알로에(Aloe)로 부터 분리되는 성분이다. 알로에(Aloe)는 백합과(Liliaceae)에 속하는 약용식물로서 그의 다양한 약효로 인하여 고대로부터 민간에서 널리 이용되어 오고 있다. 알로에를 최초로 약으로 이용한 기록은 기원전 4000년경의 것으로 추정되는 이집트의 사원 벽화에서 알로에 베라(Aloe vera)가 영생초(the plant of immortality)로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찾을 수 있으며, 구체적인 이용의 기록은 기원전 1750년경의 수메리안 클레이 타블렛(Sumerian clay tablets)에서부터 찾을 수 있다. 또한, 기원전 1550년경의 이집트 의료서(Ezyptian Book of Remedies)에는 알로에를 감염치료제 및 피부 마삿지제로서 이용하는 방법과 더불어 알로에를 약제로 사용하는 방법에 관하여 기술하고 있고, 기원후 74년 그리스의 의사인 디스코르데스(Disscordes)는 그의 저서(De Materis Media)에서 알로에 베라가 하젤서 매우 효과적이며 상처 및 부스럼, 튼살 등에 대한 치료효과가 있고 생식기 궤양(genital ulcers)과 편도선염을 완화시키는 효과도 있다고 기술하였다. 실제로 민간에서는 오래전부터 수종의 알로에(Aloe perryi, Aloe forex, Aloe barbadesis 등)를 썬텐(suntan) 연고, 썬텐 분말, 화장용 크림, 로숀, 샴푸 등으로 다양하게 이용하고 있다. 최근에 야기(Yagi) 등은 알로에 추출물중에 버섯 티로시나제를 억제하는 물질이 함유되어 있다고 보고하였다(Akira Yagi et al., Planta Medica, 515-517, 1987). 그러나 이렇게 오래전부터 이용되어 오던 알로에에 대해서 그 약효가 어떠한 성분으로 부터 유래하는 것인지, 또는 어떠한 작용기전에 의해 나타나는 것인지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는 비교적 최근에 와서야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 알로에에 대한 의학적인 연구의 하나로서 실제로 화상 회복기 환자를 대상으로 알로에의 상처치유 효과를 관찰한 결과, 화상치유후의 합병증인 홍반, 소양증, 비후성 반흔형성 등이 대조군에서는 25%인 것에 반해 알로에 처리군에서는 10%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화상을 입은 알비노 래빗트를 대상으로 하여 상처부위에 알로에 크림을 도포하여 치료한 결과, 2 주후에 흉터가 없이 치료된 반면에 바세린과 가제만으로 처리한 군에서는 3 내지 4 주후에 큰 흉터를 남긴채 치료가 종료되었음이 보고되었다[참조: Davis, R.H., Leitner, M.G., Russo, J.M. ansd Byrne, M.E., J. of American Pediatric Meical Association, 79:559-562, 1989]. 또한, 부분정제된 알로에를 염증을 유발시킨 쥐에게 정맥주사하면 통증의 감소와 복부의 혈관투과 억제효과가 있음도 보고되었으며[참조: Beppy, H., Fujita, K., Shinzato, M. and Murakami, A., 12the Annual Meeting of Fujita Medical Society Abstract, 4:51-52, 1980], SD 계 수컷 랫트의 뒷발에 겨자를 주입하여 부종을 유발시킨 후, 알로에 베라를 주입하면 부종이 44% 억제되었고, 마우스의 피하에 젤라틴을 주입하여 유발된 염증형성 부위에서 PMN(polymorph nuclear leukocyte: 다형핵 백혈구) 침윤을 측정한 결과, PMN 침윤이 알로에 베라의 투여시에 58% 정도 억제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참조: Davis, R.H., Kabbai, J.M. and Maro, N.P., Proceedings of the Pennsylvania of Science, 60:67-70, 1986]. 이러한 연구 결과들로부터 알로에는 상처치유 효과와 소염활성, 궤양치료 활성, 항암활성(세포분화활성), 항미생물활성, 면역조절활성, 세포성장촉진활성, 피부침투활성 등의 다양한 활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알로에의 성분중에서 어떠한 성분이 각각의 작용을 나타내는지에 대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결과는 보고된 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알로에에 대한 보다 과학적인 접근으로 알로에의 각 성분들에 대한 약물학적인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알로에의 유효성분중의 하나인 알로에신(Aloesin)이 탁월한 티로시나제 억제효과를 나타내어 미백제로서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알로에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제 조성물에 관한 발명은 본 출원과 동일자로 제출하는 특허출원에서 별도로 특허를 청구하였다.
이러한 알로에신의 미백효과를 기초로 하여 본 발명자들은 알로에신과 기존의 미백성분들과의 상호작용을 비교검토하여 보았으며, 그 결과 알로에신과 기존의 미백성분들을 배합하여 사용하면 각각의 성분들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에 비해서 월등히 상승된 미백효과가 나타날 뿐 아니라, 이러한 상승적 미백효과에 의해 기존의 미백성분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제조 및 보관과정에서의 착색등의 변화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알부틴 및 코지산으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된 제 1 미백성분 및 제 2 미백성분인 알로에신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혼합미백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제 1 미백성분으로 사용되는 알부틴 및 코지산은 당해기술분야에서 이미 그들의 미백효과 입증되어 실제로 사용되고 있는 미백성분들이다.
본 발명의 혼합미백제 조성물에서 이용되는 제 2 의 미백성분인 알로에신은 알로에 베라(Aloe vera) 등과 같은 알로에 식물의 잎으로 부터 추출되는 성분으로서 다음의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분자식: C19H22O9, 분자량: 394]:
알로에신 [=4H-1-벤조피란-4-온, 8-D-글루코피라노실-7-하이드록시-5-메틸-2-(2-옥소프로필)]
지금까지의 선행기술에 따르면 알로에신은 피부에 대한 자외선 차단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참조:Strickland, F.M., Pelly, R.P., Hill, D. and Kripke, M.L., J. Investigative Dermatology, 98, 653, 1992], 세포성장 촉진작용이 있다는 것을 본 발명자들이 보고한 것을 제외하고는 의약용으로서의 약리학적 용도에 대하여는 보고된 바가 없었다. 그러나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자들에 의해 알로에신이 인간의 멜라노사이트에 존재하는 티로시나제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티로신이 멜라닌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근본적으로 차단함으로써 미백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이 확인됨으로써 알로에신의 미백제로서의 새로운 용도가 밝혀지게 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이용되는 알로에신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방법, 예를들면 문헌[참조: Akira Yagi, Kenji Makino and Itsuo Nishioka, Chem. Pharm. Bull. 25(7), 1771-1776, 1977]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알로에 식물을 처리함으로써 수득될 수 있다. 예를들어 알로에신은 신선한 알로에 식물, 예를들면 알로에 베라의 전체 잎을 깨끗이 수세한 후에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과 같은 저급 알코올,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과 같은 저급 케톤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추출하고, 이 추출물을 물에 현탁시켜 다시 에틸에테르 등과 같은 저급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등과 같은 저급 에스테르, 사염화탄소,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등과 같은 할로겐화 탄화수소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추출하고 수층을 다시 저급 알콜로 추출한 후, 이 알콜 추출물을 할로겐화 탄화수소 용매와 저급 알콜이 2:1 내지 100:1, 바람직하게는 5:1 내지 20:1의 비로 혼합된 혼합용매 또는 저급 에스테르, 저급 알코올 및 물이 20:1:0 내지 6:4:2의 비로 혼합된 혼합용매를 용출제로 사용하여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라피시킴으로써 순수하게 분리하여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혼합미백제 조성물에서 제 1 미백성분과 알로에신은 1:0.1-10의 몰비로, 바람직하게는 1:1-5의 몰비로, 특히는 1:1-3의 몰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비율은 두가지 성분을 배합하는데 용이한 정도의 범위이며, 이 범위를 벗어나도 병용 사용으로 인한 미백효과에 대한 상승작용이 나타나지만, 정량적으로는 이 범위내에서 상승작용이 훨씬 높게 유지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혼합미백제 조성물은 외용의약품, 화장품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제형으로는 연고제, 팅크제, 비누 및 통상적인 화장품, 예를 들면 클린싱 크림, 콜드크림, 화장수, 밀크로션, 영양크리, 에센스, 파운데이션, 백분 등이 언급될 수 있다. 이들을 제형화하는 경우에는 외용 의약품, 비누기제 및 화장품 제조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 및 부형제, 예를들면 유화제, 보존재, 윤활제, 희석제, 점증제, 보습제, 색소, 향료 등을 사용하여 화장품 제조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방법에 따라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제형으로 제조하여 이용하는 경우에 상기한 바와 같은 배합비로 혼합된 제 1 미백성분과 알로에신의 혼합물은 각 제형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일반적으로 0.01 내지 10.0 중량%의 양으로,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0중량%의 양으로 제형중에 존재할 수 있다. 0.01 중량% 이하에서는 미백효과가 그다지 크지 않게 되며 또한 제조중에 또는 보관 중에 착색 방지 효과가 감소되며, 10.0 중량%를 초과하여도 미백효과에 대해 크게 증가되지 않고 사용상 의미가 없다.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제 1 및 제 2 미백성분들은 모두 이미 그들의 안정성이 확립되어 있어 부작용이 없이 사용될 수 있는 성분들이며, 본 발명에서는 두성분의 상승적 효과에 의해 통상적으로 사용되오던 각 성분의 양에 비해 그 사용량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이들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도 역시 부작용이 거의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혼합미백제 조성물의 티로시나제 억제효과는 문헌에 기재된 방법, 예를들면 민감도가 높은 포메란쯔(Pomerantz)의 활성탄 흡착방법[참고문헌: Pomerantz, S.H., Anal. Biochem. 75, 86-90 (1976)]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포메란쯔의 활성탄 흡착법은 L-3,5-3H-티로신을 기질로 하여 미백성분 및 티로시나제 등을 반응시키고 반응하고 남은 기질과 불순물을 활성탄을 이용하여 제거하고 다시 염산으로 활성화시킨 다이아이온(DIAION) 수지로 남은 기질을 제거하고 상층을 취해서 방사능을 측정하여 티로시나제의 활성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하의 실험예 1 및 2에서 포메란쯔의 활성탄 흡착법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혼합미백제 조성물의 배합농도 변화에 따른 티로시나제 활성억제효과를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되나,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의해 어떤 식으로든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조성물 실시예]
[조성물예 1 : 영양크림]
상기의 성분들을 사용하여 크림제의 제조를 위한 화장품 제조분야에서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목적하는 영양크림제를 제조한다.
[조성물예 2 : 밀크로션]
상기의 성분들을 사용하여 로션제의 제조를 위한 화장품 제조분야에서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목적하는 밀크로션제를 제조한다.
[조성물예 3 : 에센스]
상기의 성분들을 사용하여 에센스의 제조를 위한 화장품 제조분야에서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목적하는 에센스를 제조한다.
[조성물예 4 : 화장수]
상기의 성분들을 사용하여 화장수의 제조를 위한 화장품 제조분야에서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목적하는 화장수를 제조한다.
[조성물예 5 : 콜드크림]
상기의 성분들을 사용하여 콜드크림의 제조를 위한 화장품 제조분야에서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목적하는 콜드크림을 제조한다.
[조성물예 6 : 연고제]
상기의 성분들을 사용하여 연고제의 제조를 위한 약제학적 분야에서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목적하는 연고제를 제조한다.
[조성물예 7 : 비누]
상기의 성분들을 사용하여 통상적인 비누의 제조방법에 따라 목적하는 비누를 제조한다.
[실험예]
[실험예 1 : 알로에신의 티로시나제에 대한 억제효과]
포메란쯔(Pomeranz)의 활성탄 흡착법의 변형법을 이용하여 알로에신의 티로시나제에 대한 억제효과를 측정하였다. 일정량의 미백제, L-3,5-[3H]-티로신 1Ci/, 0.1M 인산나트륨 완충용액(pH6.8)을 전체 반응부피를 100로 하여 37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여기에서 미백제로서 제 1 군에는 알부틴의 농도를 0.03mM 로 고정시키고 알로에신의 농도를 0 내지 0.3mM로 변화시킨 배합조성물을 사용하고, 제 2 군에서는 알로에신의 농도를 0.03mM로 고정시키고 알부틴의 농도는 0 내지 0.3mM로 변화시킨 배합조성물을 사용하며, 제 3군에는 알로에신만을 0 내지 1.0mM의 농도로 변화시켜 사용하고, 제 4군에는 알부틴만을 0 내지 1.0mM의 농도로 변화시켜 사용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에 0.2N 염산에 100/의 농도로 현탁시킨 활성탄을 동량 가하여 혼합시키고 12,000g에서 15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등액을 1N 염산으로 세척하고 활성화시킨 다이아이온 수지 1가 담긴 튜브에 옮긴 후, 5분 동안 혼합시켰다. 다시 12,000g에서 원심분리시킨 후에 상등액 100를 취해서3HOH의 방사능을 섬광계수기(Pharmacia 1024)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 표 1 및 제 1 도에 나타내었다.
주) 1. 상기의 수치는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낸 것이다.
2. 대조군에 대한 백분율은 알로에신 및 알부틴의 농도가 모두 0인 경우의 티로시나제 활성을 100%로 하여 나타낸 것이다.
3. 제 1군 : 알부틴을 0.03mM의 농도로 고정시키고 알로에신의 농도를 0 내지 0.3mM로 변화시킨 배합물을 사용한 군
제 2군 : 알로에신을 0.03mM의 농도로 고정시키고 알부틴의 농도를 내지 0.3mM로 변화시킨 배합물을 사용한 군
제 3군 : 알로에신만을 0 내지 1.0mM 농도로 사용한 군
제 4군 : 알부틴만을 0 내지 1.0mM 농도로 사용한 군
상기 표 1 및 제1도에 기재된 결과로 부터, 알로에신과 알부틴을 배합하여 사용하면 각각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에 비해 훨씬 더 소량에서도 월등히 증가된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 알로에신과 코지산 배합물의 티로시나제에 대한 억제효과]
포메란쯔(Pomeranz)의 활성탄 흡착법의 변형법을 이용하여 알로에신과 코지산의 배합물의 티로시나제 억제효과를 측정하였다. 일정량의 미백제, L-3,5-[ H]-티로신 1Ci/(210 M), 버섯 티로시나제 100 유니트/, 0.1M 인산 나트륨 완충용액, pH 6.8을 전체 반응부피를 100로 하여 37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여기에서 미백제로는 제 1군에는 코지산의 농도를 0.03mM로 고정시키고 알로에신의 농도를 0 내지 0.3mM로 변화시킨 배합조성물을 사용하고, 제 2군에는 알로에신의 농도를 0.03mM로 고정시키고 코지산의 농도를 0 내지 0.3 mM로 변화시킨 배합조성물을 사용하며, 제 3 군에는 알로에신만을 0 내지 1.0mM의 농도로 변화시켜 사용하고, 제 4 군에는 코지산만을 0 내지 1.0mM의 농도로 변화시키면서 사용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에 0.2N 염산에 100/의 농도로 현탁시킨 활성탄을 동량 가하여 혼합시키고 12,000g에서 15분 동안 원심 분리하여 얻은 상등액을 1N 염산으로 세척하고 활성화시킨 다이아이온 수지 1가 담긴 튜브에 옮긴 후, 5분 동안 혼합시켰다. 다시 12,000g에서 원심분리시킨 후에 상등액 100를 취해서 HOH의 방사능을 섬광계수기(Pharmacia 1024)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 표 2 및 제2도에 제시하였다.
주) 1. 상기의 수치는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낸 것이다.
2. 대조군에 대한 백분율은 알로에신 및 코지산의 농도가 모두 0인 경우의 티로시나제 활성을 100%로 하여 나타낸 것이다.
3. 제 1군 : 코지산을 0.03mM의 농도로 고정시키고 알로에신의 농도를 0 내지 0.3mM로 변화시킨 배합물을 사용한 군
제 2군 : 알로에신을 0.03mM의 농도로 고정시키고 코지산의 농도를 0 내지 0.3mM로 변화시킨 배합물을 사용한 군
제 3군 : 알로에신만을 0 내지 1.0mM 농도로 사용한 군
제 4군 : 코지산만을 0 내지 1.0mM 농도로 사용한 군
상기 표 2 및 제2도에 기재된 결과로부터, 알로에신과 코지산의 배합물은 각각의 성분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에 비해 훨씬 더 소량에서도 월등히 우수한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Claims (7)

  1. 유효성분으로서 알부틴 및 코지산으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된 제 1 미백성분, 및 제 2 미백성분인 알로에신이 1 : 0.1-10의 몰비로 혼합된 배합물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미백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유효성분으로서 알부틴과 알로에신의 배합물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미백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유효성분으로서 코지산과 알로에신의 배합물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미백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제 1 미백성분과 알로에신이 1 : 1-3의 몰비로 혼합된 배합물을 함유하는 혼합미백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연고제, 팅크제, 비누, 클린싱크림, 콜드크림, 화장수, 밀크로션, 영양크림, 에센스, 파운데이션 또는 백분의 형태로 제형화됨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미백제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제 1 미백성분과 알로에신의 배합물이 제형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1 내지 10 중량%의 비로 함유되는 혼합미백제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제 1 미백성분과 알로에신의 배합물이 제형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3 중량%의 비로 함유된 혼합미백제 조성물.
KR1019950008122A 1995-04-07 1995-04-07 혼합미백제 조성물 KR100202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8122A KR100202058B1 (ko) 1995-04-07 1995-04-07 혼합미백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8122A KR100202058B1 (ko) 1995-04-07 1995-04-07 혼합미백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7041A KR960037041A (ko) 1996-11-19
KR100202058B1 true KR100202058B1 (ko) 1999-06-15

Family

ID=19411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8122A KR100202058B1 (ko) 1995-04-07 1995-04-07 혼합미백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20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6190A (ko) * 2000-02-11 2001-09-10 이영준 짐네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020046034A (ko) * 2000-12-12 2002-06-20 안경옥 화장용 미백크림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7441B1 (ko) * 1997-06-13 2004-11-03 애경산업(주) 혼합 미백제조성물
KR100374965B1 (ko) * 1998-01-08 2003-06-11 주식회사 참 존 루틴을이용한알부틴안정화및미백효과유지방법
KR20030067051A (ko) * 2002-02-06 2003-08-14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락테이트 및 코직산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6190A (ko) * 2000-02-11 2001-09-10 이영준 짐네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020046034A (ko) * 2000-12-12 2002-06-20 안경옥 화장용 미백크림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7041A (ko) 1996-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91194B1 (en) Preparation for hair and/or scalp
KR101135172B1 (ko) 황백, 어성초, 선학초, 작약 및 감초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NO933092L (no) Terapeutiske og kosmetiske blandinger for behandling av hud
WO1999059580A1 (fr) Agents preventifs/therapeutiques pour les affections cutanees
CN105147757A (zh) 包含菊花提取物的组合物以及其用在皮肤美白和皮肤提亮应用中的方法
US5559146A (en) Method of using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an extract of eclipta alba
WO1992015276A3 (en) Therapeutic and cosmetic compositions for treatment of skin
EP1147086B9 (en)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skin diseases
US7179495B1 (en) Hyperforin as cytostatic agent and hyperforin ointment or cream as application form
KR100202058B1 (ko) 혼합미백제 조성물
JPH0217115A (ja) 美白化粧料
KR20070000675A (ko) 녹두 추출물, 백급 추출물 및 승마 추출물을 포함하는조성물 및 이의 용도
JPS6360910A (ja) 皮膚外用剤
JPH11100324A (ja) ニキビ治療用組成物
JPH0429934A (ja) いちょう葉抽出エキスを含有する外用組成物
JPH06157277A (ja) 皮膚化粧料
JPH11302133A (ja) 頭皮頭髪用化粧料
JP3614455B2 (ja) 収斂・結着性化合物および医療用・化粧用製剤
KR20020008268A (ko) 오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테스토스테론 5알파-리덕타아제저해제
KR101661694B1 (ko) 히드로퀴논을 포함하는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조성물
JPH11302131A (ja) 頭皮頭髪用化粧料
JPS6360909A (ja) 皮膚外用剤
JPH10194916A (ja) 抗菌性低刺激化粧料
JPS6322506A (ja) 皮膚外用剤
JPH01268623A (ja) 養毛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