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0954B1 - 섬유원단 처리기계의 구동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섬유원단 처리기계의 구동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0954B1
KR100200954B1 KR1019960057255A KR19960057255A KR100200954B1 KR 100200954 B1 KR100200954 B1 KR 100200954B1 KR 1019960057255 A KR1019960057255 A KR 1019960057255A KR 19960057255 A KR19960057255 A KR 19960057255A KR 100200954 B1 KR100200954 B1 KR 100200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net
rollers
drying
mo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7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8358A (ko
Inventor
이탁경
Original Assignee
송인택
미광기계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인택, 미광기계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송인택
Priority to KR1019960057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0954B1/ko
Publication of KR19980038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8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0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0954B1/ko

Links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섬유원단을 건조처리하는 기계에 있어서 네트를 이송시키는 구동장치 및 방법에 관한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원단을 건조함에 있어서 원단이 올려져 이송되는 네트의 이송속도가 각단 모두 원단의 수축률에 상관없이 동일하여 일부의 단에서는 원단의 공급 속도에 비해 네트의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리거나 빠르게 되어 원단에 얼룩이나, 마찰광택등의 불량품이 발생하고 고른 건조가 되지않아 상품성이 저하되었던것으로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것이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여러단으로 네트(2a),(2b),(2c)가 설치된 섬유원단 처리기계에 있어서 네트(2a),(2b),(2c)가 설치된 로울러(1a),(1b),(1c)의 속도를 원단(100)의 수축률에 대응할 수 있도록 상기한 로울러(1a),(1b),(1c) 각각의 모우터(3a),(3b),(3c)를 설치하여 로울러가 서로 다른 속도로 적절히 회전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원단 건조시 원단이 접히거나 네트에 닿지 않으므로서 양질의 원단을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섬유원단 처리기계에 있어서의 로울러 구동장치.

Description

섬유원단 처리기계의 구동장치및 방법
제1도는 섬유원단 처리기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요부인 구동계통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제3도는 종래 섬유원단 처리기계의 구동계통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la, 1b, 1c : 로울러 2a, 2b, 2c : 망체형의 네트
3a, 3b, 3c : 구동모우터 4a, 4b, 4c : 체인
100 : 원단 101 : 수지조
본 발명은 섬유원단을 건조처리하는 기계에 있어서의 네트를 이송시키는 구동장치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히는 복수의 단으로 원단의 건조를 위하여 네트가 설치된 섬유 원단 처리기계에 있어서 섬유원단을 건조시 원단을 이송하는 무한궤도식으로 설치된 네트의 이동속도(로울러의 구동속도를 뜻함)를 원단의 수축률에 적합하게 각각 설정구성하므로서 원단의 건조가 이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자 함에 있다.
섬유원단 처리기계는 대략 제1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제1도는 3단으로 네트가 설치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각 구동로울러(1a),(1b),(1c)에 벨트식으로 망체형의 네트(2a),(2b),(2c)가 여러단으로 설치되며 상부 제1단네트(2a)의 사이에는 일측(도면의 좌측)으로부터 수지조(101)에 침지된후 탈수로울러(102)에 의해 탈수가 이루어진 원단(100)이 이송되어와 올려지며 이때 모우터(도시생략)의 구동력에 의해 로울러(1a)가 회전하므로서 원단(100)은 네트(2a)의 이동 방향(도면의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되고 이때 네트(2a)의 상,하부에서는 별도의 도시하지 아니한 노즐로 부터 고온공기가 공급되어 네트(2a)위에 올려진 원단을 건조시키게 되는것이다.
또한 원단은 노즐에서 분사되는 고온공기에 의해 루프상을 형성하여 이동되고 루프상의 상하교번을 반복하여 비팅효과가 얻어져 원단에 부드러운 촉감을 부여한다.
이와같은 상태로 원단은 지그재그상으로 3단을 통한후 건조가 완료되는것이다.
이와같은 일련의 공정및 그에 따른 구체적인 구성은 기 알려진 주지의 사실이므로 생략한다.
한편, 종래에 있어서 3단구조로된 기계의 네트가 설치된 로울러의 구동 장치는 제3도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3개의 구동로울러(1a),(1b),(1c)에 각각 네트(2a),(2b),(2c)가 벨트식으로 설치되고 상기한 3개의 구동로울러(1a),(1b),(1c)는 1기의 구동모우터(3)에 체인(4)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공히 그 회전속도는 동일하게 되어 있으며 이에따라 원단(100)이 올려져 이송되는 모든 네트(2a),(2b),(2c) 역시 동일한 속도로 이동하게 되었던 것이다.
한편, 수지조(101)로부터 침지가 된 원단(100)은 탈수로울러(102)에 의해 1차탈수가 이루어진후(제1도참조) 3단으로 된 각 네트(2a),(2b),(2c)를 통과하면서 건조가 이루어지는데 처음 제1단의 네트(2a)로 공급된 원단(100)은 함수율이 높고 제2단, 제3단을 거치면서 차츰함수율이 떨어지면서 건조가 되는것이다.
다시 말해서 제1단의 네트(2a)를 통해 이동하는 원단(100)은 함수율이 많음에 따라 원단(100)수축량이 작고 제2단및 제3단의 네트(2b),(2c)를 통할때에는 건조가 많이 이루어진 상태가 되므로 원단(100)의 수축량이 증대 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에는 이와같이 건조에 따른 원단의 수축량이 크고 작음에도 불구하고 각 네트(2a),(2b),(2c)의 이동속도는 동일 하였다.
또한 원단의 수축에 대응하기 위하여 공급로울러(103)에 의하여 원단을 과공급하였으나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던 것이다.
첫째; 공급로울러로 인하여 네트에 원단이 과공급에 의한 건조초기의 원단이탈로 작업중단이 빈번하고
둘째; 원단이 건조되면서 수축됨으로 인하여 원단의 평활화로 네트에 마찰되어 닳아 광택이 나는 불량품이 발생하며
세째; 원단 루프상의 쓰러짐으로 인한 비팅효과 감소와 쓰러져 겹친 부분에서의 얼룩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발명은 원단의 수축율에 적합한 속도로 이동되게 하므로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그에 따른 장치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그 구성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종래구조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한 원단건조 방법을 살펴보면, 네트(2a),(2b),(2c)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각 구동로울러(1a),(1b),(1c)에 회전력이 서로 다른 별도의 모우터(3a),(3b),(3c)를 각각 접속설치하여 원단(100)의 건조를 행하되 상기한 각 모우터(3a),(3b),(3c)의 회전속도는 원단(100)의 수축력에 대응하도록 각기 다른 속도로 설정하여 원단(100)의 건조를 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제2도참조).
복수의 단으로 설치된 네트(2a),(2b),(2c)와 구동로울러(1a),(1b),(1c)는 공지의 구성과 같이 설치된다.
한편, 각 네트(2a),(2b),(2c)를 구동시키는 각각의 구동로울러(1a),(1b),(1c)에 각각 설치된 모우터 (3a), (3b), (3c)의 회전속도는 별도 설치되는 제어 장치에 의해 개별 조정된다.
이때 각 모우터(3a),(3b),(3c)의 회전속도는 제1단게 설치된 모우터(3a)가 제일빠르고, 제2단의 모우터(3b), 제3단의 모우터(3c)순으로 점차 회전 속도가 느리게 조정하고 이러한 조정은 제어 장치에 의해 임의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각 모우터(3a),(3b),(3c)와 각 구동로울러(1a),(1b),(1c)간에는 체인(4a),(4b),(4c)을 설치하여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구성은 각 단에 설치된 구동로울러(1a),(1b),(1c)의 회전 속도가 각각 다르도록 조정할 수 있는 모우터와 제어장치를 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장치는 편의상 3단으로된 섬유처리기계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2단, 4단 혹은 그 외의 여러단으로 구성된 섬유처리기계에 간단히 적용시킬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원발명의 장치에 대한 작용및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수지조(101)에서 침지되어 탈수로울러(102)에 의해 탈수된 원단(100)은 제1단에 설치된 네트(2a)위에 공급되게 된다.
이때 제1단의 모우터(3a)는 회전속도가 빠르므로 네트(2a)의 회전이 빠르며 이에 따라 자연히 네트(2a)위에 올려진 원단(100)역시 이동이 빨라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1단에 공급된 원단(100)은 네트의 이동 속도를 적절히 조정하여 균일한 루프상을 형성하여 루프상의 쓰러짐에 의한 겹침이 없게 할 수 있고, 비팅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다.
따라서 원단(100)에 얼룩이 생기거나 혹은 건조의 불균형이 발생될 염려가 최소화되어 양질의 원단을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1단에서 건조가 된 원단(100)은 제2단에 설치된 네트(2b)위로 공급이송되면서 건조가 이루어지는데 이때는 1차 건조가 이루어졌으므로 건조률은 높아져 결국 제2단에서는 수축률이 더욱 높아지며 이에 따라 네트의 속도를 조정하여 원단을 제1단과 동일한 루프상을 형성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때는 제2단의 모우터(3b)의 회전속도가 제1단의 모우터(3a) 회전속도보다 느리므로 원단(100)의 수축률에 적절히 대응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1단및 제2단에서 건조가 된 원단(100)은 제3단에 설치된 네트(2c)위로 공급이송되면서 건조가 이루어지는데 1,2차 건조가 이루어져 있으므로 원단(100)의 수축률이 더욱 증대되어 원단(100)의 평활화로 네트와 마찰이 발생할 수 있는 구간이므로 네트의 속도를 느리게 조정하여 불량발생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제3단의 모우터(3c)는 회전속도가 제2단의 모우터(3b)의 회전속도 보다 느리므로 원단(100)의 건조에 따른 수축률에 적절히 대응할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각 모우터(3a),(3b),(3c)의 회전속도는 각 단을 통과하는 원단(100)의 수축률에 따라 적절히 설정되며 이와같이 수축률에 대응할 수 있도록된 모우터(3a),(3b),(3c)와 제어장치를 설치하여 원단을 이동건조시킴으로써 양질의 원단을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복수의 단으로 네트(2a),(2b),(2c)와 로울러(1a),(1b),(1c)를 설치하여 원단(100)을 이송/건조하도록 된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네트(2a),(2b),(2c)를 구동시키는 각 로울러(1a),(1b),(1c)에 회전속도를 서로 다르게 조정할 수 있는 모우터(3a),(3b),(3c)와 제어장치를, 각각 설치하되 모우터(3a),(3b),(3c)는 함수율이 많아 수축률이 작은 상단의 모우터(3a)의 회전속도가 빠르고 그 하단으로 향하면서 회전속도가 느리도록하여 로울러(1a),(1b),(1c)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원단 처리기계의 구동장치.
  2. 네트(2a),(2b),(2c)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각 구동로울러(1a),(1b),(1c)에 회전속도를 서로 다르게 조정할 수 있는 별도의 모우터(3a),(3b),(3c)와 제어장치를 각각 접속설치하여 원단(100)의 건조를 행하되 상기한 각 모우터(3a),(3b),(3c)의 회전속도는 원단(100)의 수축력에 대응하도록 서로 다른 속도로 설정하여 로울러(1a),(1b),(1c)를 구동시키므로서 원단(100)의 불량발생은 최소화 하면서 건조를 행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원단 처리기계의 구동방법.
KR1019960057255A 1996-11-26 1996-11-26 섬유원단 처리기계의 구동장치 및 방법 KR100200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7255A KR100200954B1 (ko) 1996-11-26 1996-11-26 섬유원단 처리기계의 구동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7255A KR100200954B1 (ko) 1996-11-26 1996-11-26 섬유원단 처리기계의 구동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8358A KR19980038358A (ko) 1998-08-05
KR100200954B1 true KR100200954B1 (ko) 1999-06-15

Family

ID=19483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7255A KR100200954B1 (ko) 1996-11-26 1996-11-26 섬유원단 처리기계의 구동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09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321B1 (ko) * 2020-12-01 2021-03-31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선택적 건조 기능을 갖는 원단 수축 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8358A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5201B1 (ko) 종이 웹의 양면을 연속 건조시키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US2974838A (en) Sock printing machine, method, and article
KR101988416B1 (ko) 섬유 건조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0967089B1 (ko) 직물 수축가공장치
CA1295824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nish drying of tubular knitted fabrics
KR100200954B1 (ko) 섬유원단 처리기계의 구동장치 및 방법
CN114576962B (zh) 具有选择性干燥功能的布料收缩干燥机
JP2006500478A (ja) 織布仕上げ装置
US3618226A (en) Apparatus for continuously drying web material especially textile material
US4888848A (en) System for treating fabrics in cord in closed ring
KR101021856B1 (ko) 직물 수축가공장치
US214415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rinking woven or knitted textile fabrics
KR100625607B1 (ko) 직물원단 자동 유연건조방법 및 그 장치
JPS6229544B2 (ko)
CN209082201U (zh) 一种高效的开幅机
WO2011065786A2 (ko) 직물 수축가공장치
JPH09294539A (ja) 生茶葉の除水方法並びに装置
EP017993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ying tubular knitted fabric
US3487566A (en) Ironing machine for clothes,textile fabrics or the like
KR200439629Y1 (ko) 섬유 건조장치
KR960012754B1 (ko) 자동 스크린 인쇄기 및 교환장치에 있어서 세척 및 스크린 프레임 교환 방법
JPH0586587A (ja) 経捺染の方法及び装置
CN108796896A (zh) 一种布料水洗机及一种布料的水洗方法
US3522719A (en) Device for treating a continuously moving fabric web in at least three treatment zones
KR102244089B1 (ko) 연동형 섬유 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