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0520B1 - 선재의 유지구 - Google Patents

선재의 유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0520B1
KR100200520B1 KR1019960027143A KR19960027143A KR100200520B1 KR 100200520 B1 KR100200520 B1 KR 100200520B1 KR 1019960027143 A KR1019960027143 A KR 1019960027143A KR 19960027143 A KR19960027143 A KR 19960027143A KR 100200520 B1 KR100200520 B1 KR 100200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wire rod
holding
holder
attach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7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11619A (ko
Inventor
다까히꼬 이나리
Original Assignee
오가사와라 도시아끼
가부시끼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가사와라 도시아끼, 가부시끼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오가사와라 도시아끼
Priority to KR1019960027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0520B1/ko
Publication of KR980011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11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0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05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4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mounting or secu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045Cable-harn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2Floating cables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재의 직경이 다름에 영향받지 않고 안정한 상태로 유지할수 있도록 한 선재의 유지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그 구성은, 하단에 부착걸림부(2)를 구비하는 봉형상의 기체(1)의 일측면에, 상측을 향하여 만곡하는 고정편(5)을 연장형성하고, 또한 이 고정편(5)의 개구부(7)를 막도록 산형상의 빠짐방지편(6)을 융기형성하여 선재(C)의 유지부(4)를 형성하며, 상기 고정편(5)의 내측면에는 고정중공부(8)를 향하여 돌출하는 탄성누름편(9)를 형성하여 상기 개구부(7)로부터 고정중공부(8)내로 비집고 들어가게 하는 선재(C)를 상기 탄성누름편(9)으로 탄성을 이용하여 눌러 고정하도록 한 선재의 유지구.

Description

선재(線材)의 유지구
제1도는 유지구의 정면도.
제2도는 유지구의 우측면도.
제3도는 유지구의 좌측면도.
제4도는 유지구의 평면도.
제5도는 유지구의 저면도.
제6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7도는 부착걸림부의 확대정면도.
제8도는 제7도의 일부저면도.
제9도는 선재를 고정한 사용상태를 설명하는 부분의 확대정면도.
제10도는 부착걸림부의 부착편에 대한 걸림상태를 일부단면으로 나타낸 확대정면도.
제11도는 사용을 설명하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체(基體) 2 : 부착걸림부
3 : 손잡이편 4 : 유지부
5 : 고정부 6 : 빠짐방지부
7 : 개구부 8 : 고정중공부(中空部)
9 : 탄성누름편 10 : 빠짐방지편의 상경상면
11 : 빠짐방지편의 하경사면 12 : 빠짐방지편의 중공부
13 : 안내편 14 : 걸림축부
15 : 걸림돌기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전선이나 코드 등의 선재(線材)를 유지고정하는 데에 매우 접합한 선재의 유지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브라운관의 배면을 따라 방출되는 자력선을 소거하기 위해 배선되는 소자코일을 유지고정하는 경우에 적합한 유지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전선이나 코드는 전기기구의 내부에서 임의로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부착되는데, 이 고정부착에 합성수지재의 클램프 즉 고정구나 유지구가 사용되고 있다. 이들 고정구나 유지구는 고정부착할 전선이나 코드의 종류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고정부착의 목적이나 장소에 따라서도 그 형태는 여러가지이며 종래서부터 수많은 것이 제안되고 실용화되어 왔다. 그러나, 합성수지를 소재로 하여 제조되는 고정구나 유지구는 소재의 특성, 특히 절연성과 내후성을 살리고 있음과 아울러 소재가 가지는 탄성, 탄성, 가요성(flexibility) 등의 특성이 그대로 살려져 전선이나 코드 등의 선재를 끼워고정하거나 눌러부착하여 이것을 유지고정하는 구조로 되어 있고, 기본적으로는 이 특성을 각각 변형시킨 형태로 이용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합성수지를 소재로 하여 제조되는 선재의 유지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브라운관의 배면을 따라 배선되는 소자코일을 부착고정하는 경우에 적합한 선재의 유지구에 관한 것이다.
소자코일을 유지고정하는 고정구에 관해서 종래의 예를 들어 일본국실용신안공보 소화58-8967호에 기재된 제안이 있다. 이 제안은 상기한 합성수지의 특성을 활용한 것으로, 탄력을 이용하여 선재 즉 소자코일을 유지부에 끼워넣는 한편, 띠형상의 기판의 타단에 구비한 걸림구를, 브라운관에 감은 스틸밴드에 형성하는 채널부재의 직사각형 구멍에 걸어고정하여 상기 소자코일이 브라운관의 배면에 따라 배선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
이 종래의 유지구는, 소재의 탄성을 이용하여 유지부에 소자코일을 끼워넣어 고정하는 한편, 띠형상기판의 탄력을 이용하여 유지부에 고정한 소자코일에 장력을 걸어 이것을 긴장된 상태로 유지고정할 수 있는 것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유지부 그 자체는 단순히 만곡하는 것이어서 각기 지름이 다른 코일들을 항상 안정적이고 고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 되지 못했다. 또한 이 유지구는 브라운관에 고정부착하기에 특수형상이어서 상기 채널부재를 이용하지 않으면 고정부착할 수 없으며 사용면에서 제약을 가져오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일례로서 든 종래의 유지구에 있어서의 문제점, 특히 소자코일등 선재의 지름의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유지상태의 변화로 인해, 항상 안정적으로 유지고정할 수는 없는 점을 감안하여 이것을 개선할 목적으로 개발된 것으로서, 선재의 지름의 변화에 대응하여 항상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고정시에 간단히 고정할 수 있도록 개선한 선재의 유지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즉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단에 부착걸림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면 봉 형상을 하는 기체(基體)의 일측면에 만곡하여 상측을 향해서 연장돌출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의 개구부를 막도록 융기형성되는 걸림편으로 이루어지는 유지부를 형성하며, 상기 걸림편을 지나 비집고 들어가는 선재를 상기 고정편에 삽입하여 유지고정하도록 한 선재의 유지구로서, 상기 고정편에는 내측벽면에서 고정중공부(中空部)를 향하여 불룩하게 탄성누름편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되는 선재를 누름편으로 눌러 구속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탄성누름편은, 유지부내로 비집고 들어가 고정되는 선재를 고정편과 함께 탄력적으로 눌러부착하여 고정하는 것으로, 고정되는 선재의 지름에 대응하여 탄성 변형하고,
이 변형에 의해 각각 지름이 다른 선재를 수용함과 동시에 항상 복원력을 작용시켜 선재를 요동없이 안정적으로 고정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지부를 구성하는 빠짐방지편은 고정편에 대하여 개구부를 향하여 산(山)형상으로 융기형성함과 아울러 그 중앙부에 중공부(中空部)를 형성하여 가요성을 부여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유지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빠짐방지편은 산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개구부로부터의 선재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그 중앙부를 중공으로 함으로써 선재의 삽입시에 변형을 도와 선재의 침입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정편의 개구부를 향한 자유단에, 상기 산형상을 하는 빠짐방지편의 상경사면에 대향하여 외측으로 경사지면서 연장돌출하는 안내편을 형성함으로써 선재의 침입을 용이하게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 선재의 유지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체의 하단에 형성되는 부착걸림부는 걸림축부와 이 걸림축부의 단부에서 연장형성되는 걸림돌기로 구성되며, 상기 걸림축부는 기체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각도를 주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 선재의 유지구를 제공한다.
상기 기체에 있어서는, 그 하단에서 연장형성되는 걸림축부를 각도를 주어 연장형성함으로써 상기 걸림축부를 부착기판(편)등에 형성한 부착구멍에 걸어 장착했을 때 부착기판에 대하여 기판이 치우친 상태로 고정부착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 치우침에 의해 그 일면에 형성되는 유지부를 상기 부착걸림부의 바로 위에 위치시킴과 아울러 기체의 상단으로부터 개구부를 눈으로 보기쉽게 하여 선재의 부착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그 한편 본 발명은, 상기 기체의 상단부에 손잡이편을 일체로 형성하여 선재의 고정부착시에 이 손잡이편을 잡고 안정한 상태로 선재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 선재의 유지구를 제공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도시하는 실시예에 따라 상술하고 그 특징으로 하는 바를 명확히 한다.
도면은 본 발명을 소자코일의 유지구에 대하여 상술한 일례로서, 제1도는 본 발명에 관련된 유지구의 정면도, 제2도는 우측면도, 제3도는 좌측면도, 제4도는 평면도, 제5도는 저면도이다. 도면 부호 1은 두꺼운 띠판상으로 형성하여 봉형상으로 한 기체이고, 2는 이 기체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한 부착걸림부, 3은 기체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나가듯이 형성한 손잡이편, 4는 기체(1)의 길이중간의 일측면에 형성한 선재(C)를 고정하기 위한 유지부이다
여기에 나타낸 유지구는 열가소성 합성수지, 구체적으로 나일론수지를 소재로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성형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선재(C)를 유지고정하는 유지부(4)는 고정편(5)과 빠짐방지편(6)으로 구성되고, 일측의 고정편(5)은 기체의 길이중간의 일측면에서 위를 향해 만곡되도록 연장형성하고 또한 빠짐방지편(6)은 이 고정편의 개구부(7)를 막도록 기체의 일측면으로부터 산형상으로 융기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고정편(5)은 고정하는 선재(C)의 직경을 미리 예상하여 이것을 수용할 수 있을 크기로 형성하고, 이 오목한 호형상을 하는 내측면에는 고정중공부(8)쪽으로 불룩하게 내밀어지도록 탄성누름편(9)을 구비하고 있다.
탄성누름편(9)은, 일단은 개구부(7)에 가까운 내측면에, 타단을 내측면중앙부에 접속하여 항상 소재의 탄성에 의해 내측으로 불룩하게 내밀어지도록 하여 고정중공부(8)의 중앙부분을 나누고 있다.
한편 빠짐방지편(6)은, 기체(1)의 일측면으로부터 융기하여 상기 고정편(5)의 개구부(7)를 반절정도 막아서, 고정되는 선재(C)의 탈거를 방지하는 것으로, 상경사면(10)은 완만하게 하경사면은 급하게 하여 선재의 침입시의 안내를 매끄럽게 하는 한편 고정편내에 침입한 선재의 탈거를 어렵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는 빠짐방지편(6)의 중앙부를 제거하여 중공부(12)를 형성하여 빠짐방지편에 가요성을 부여하여 선재의 삽입성을 좋게 하는 한편 상기 상경사면(10)에 대향하는 고정편(5)의 개구부(7)를 향하는 자유단에 상경사면(10)과 대칭이 되도록 안내편(13)을 연장형성하여 선재의 유도가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부착걸림부(2)는, 제7, 8도 및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체(1)의 하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걸림축부(14)와, 이 걸림축부(14)의 단부에서 닻형상으로 연장형성되는 걸림돌기(15)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걸림시에 상기 걸림축부(14)의 삽입량을 규제함과 동시에 걸림시의 요동을 방지하는 〈자형을 한 한쌍의 탄성편(16)을 더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부착걸림부(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부착편(판부)(17)에 유지구를 고정부착하기 위한 것으로 부착편에 형성한 구멍(18)에 닻형상의 걸림돌기(15)를 압입하여 걸고, 이때 구멍(18)의 직경에 맞추어 형성하는 걸림축부(14)의 일부를 삽입하여 이 걸림상태를 안정화시켜두고 또한 이 걸어들어감과 함께 탄성편(16)을 부착편(17)의 상면에 맞닿게 하며 중앙부의 굴곡점(16a)의 절곡에 의해 삽입깊이를 조정하면서 탄력을 작용시켜 상기 걸림돌기(15)의 걸어맞춤을 확보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기체(1)의 하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걸림축부(14)는 기체(1)의 길이 방향에 대해 약간 각도를 주어 연장형성하고 부착편(17)에 부착걸림부(2)를 건 후, 이 부착편에 대하여 기체(1)가 약간 일측면으로 경사지며 유지부(4)를 형성한 일측면이 상측으로부터 보이게 하고 있다.
이 기체(1)의 경사는, 상측으로부터 유지부(4)의 개구부(7)가 보임과 아울러, 개구부(7)를 향하여 선재(C)를 압입했을 때 이 압입방향의 바로 아래에 부착걸림부(2)가 위치하며 이 압입력에 의해 기체(1)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 작용하게 된다.
손잡이편(3)은 기체(1)의 상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모습으로 형성되고 그 양면에는 미끄럼방지돌기(19)가 다수 연이어 형성되어 있다.
이 손잡이편(3)은 선재를 유지부(4)에 장착할 때 손으로 유지하여 기체(1)의 흔들림을 방지하며 신속 정확히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기체(1) 및 걸림부(2)가 소요량만큼의 강성으로 제조될 경우에는 그 필요성은 작아진다.
도면중 20, 21은 기체의 강성을 높이기 위해 양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한 보강리브이다. 일측의 리브(21)는 고정편(5)의 바로 아래에서 파생하여 기체(1)의 보강과 함께 이 고정편(5)의 강성을 높혀 선재의 유지력을 확보한다.
제11도는 상기 본 발명에 관련된 유지구에 의해 선재(C)인 소자코일을 브라운관(22)의 배면을 따라 배선하는 경우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유지구는 브라운관(22)을 캐비넷(23)에 수용하기 전에 이 브라운관(22)에 감아붙이는 밴드(24)로부터 연장형성하는 부착편(17)을 통하여 고정부착된다.
상기 부착편(17)에 대한 유지구의 부착은, 상기한 바와 같으며 이 부착편(17)에 형성되는 구멍(18)에 부착걸림부(2)의 걸림돌기(15)를 걸어 넣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 부착에 있어서 각각의 유지구는, 브라운관(22)을 가운데 두고 유지부(4)가 외측을 향하게 장착하며, 부착걸림부(2)의 걸림축부(14)의 각도를 이용하여 기체(1)가 브라운관의 배면의 경사를 따르도록 비스듬이 세워두고 이에 의해 유지부(4)의 개구부(7)가 부착편(17)에 걸리는 걸림축부(14)의 바로 위에 위치하도록 한다.
브라운관의 4모퉁이에 형성되는 부착편(17)에 각각 유지구를 부착한 후 배후에서부터 코일(C)을 위치시키고, 각각의 기체(1)를 가이드로 하면서 개구부(7)로 끌고 들어가며 안내편(13)과 빠짐방지편(6)의 상경사면(10)의 안내로 고정중공부(8)로 비집고 들어가게 하여 고정편(5)에 고정시킴과 아울러, 탄성누름편(9)을 변형시키며 그 복원력을 이용하여 코일(C)을 끼워붙이도록 하여 유지시킨다.
또한, 코일(C)이 비집고 들어감에 있어서 경우에 따라서는 유지부의 손잡이편(3)으로 기체(1)를 지지하도록 하여 코일(C)을 개구부(7)에 압입하면 용이하게 유지부에 침입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지구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으로, 유지부(4)에 침입한 코일(C)은 탄성누름편에 의해 요동없이 유지됨과 아울러, 개구부(7) 방향으로의 이동은 빠짐방지편(6)의 하경사면(11)의 급경사에 의해 저지되게 되어있어 간단히 탈거되지 않게 된다.
또한, 탄성누름편(9)의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호 형상을 하는 단일편으로 하였지만, 호형상을 연속시키는 복수편으로 해도 좋으며, 또 이들 편은 양단을 접속하지 않고 일측의 단만을 고정편(5)의 내면에 접속시키도록 해도 된다.
[발명의 효과]
이상 설명과 같이 본 발명의 유지구에 의하면, 부착편에 대해서는 부착걸림부(2)의 압입에 의해 간단히 부착할 수 있으며, 소자코일 등 선재의 부착에 있어서는, 상측을 향하여 구멍이 트인 개구부를 향하여 압입하면 빠짐방지편의 경사면을 안내로 간단히 유지부로 비집고 들어가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일단 고정된 선재는 탄성누름편의 복원력에 의해 눌러지기 때문에 항상 요동없이 안정한 상태로 유지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유지구는, 탄성누름편에 의해 선재를 눌러 부착하는 것이므로 고정편내의 고정중공부에 넓게 설계할 수 있고, 따라서 각종 지름이 다른 선재를 유지고정할 수 있으므로 선재에 대한 허용범위를 확대할 수 있음과 아울러, 항상 이들 지름이 다른 선재를 탄성을 이용하여 유지할 수 있어서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지구는, 부착걸림부에 의한 부착상태에 있어서 기체를 비스듬히 하여 유지부의 개구부를 바로 위를 향하게 하며 또 기판의 경사를 안내로 할 수 있다는 것으로부터 선재의 장착작업이 용이하게 그리고 신속히 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유지구는 합성수지에 의한 일체성형이 가능하기 때문에 대량생산에 적합하고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는 것은 두말할 나위없다.

Claims (5)

  1. 하단에 부착걸림부(2)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기체(1)의 일측면에 만곡하여 상측을 향해서 연장돌출되는 고정편(5)과, 상기 고정편(5)의 개구부(7)를 막도록 융기형성된 빠짐방지편(6)으로 이루어지는 유지부(4)를 형성하며, 빠짐방지편(6)을 지나서 비집고 들어가는 선재를 고정편(6)에 끼워넣어 유지고정되도록 한 선재의 유지구로서, 상기 고정편(5)은 내측벽면에 고정중공부(8)쪽으로 불룩하게 내밀어지는 탄성누름편(9)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 선재의 유지구.
  2. 제1항에 있어서, 유지부(4)를 구성하는 빠짐방지편(6)은, 고정편(5)의 개구부(7)를 향하여 산형상으로 융기형성됨과 아울러 중앙부에 중공부를 형성하여 가요성을 부여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 선재의 유지구.
  3. 제1항에 있어서, 개구부(7)를 향하는 고정편(5)의 자유단에는, 산형상을 한 빠짐방지편(6)의 상경사면(10)에 대향하여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돌출된 안내편(13)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 선재의 유지구.
  4. 제1항에 있어서, 기체(1)의 하단에 형성되는 부착걸림부(2)는, 걸림축부(14)와 이 걸림축부(14)의 단부에서 연장형성되는 걸림돌기(15)로 구성되며, 상기 걸림축부(14)는 기체(1)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각도를 주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 선재의 유지구.
  5. 제1항에 있어서, 기체(1)의 상단부에는 손잡이편(3)을 일체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 선재의 유지구.
KR1019960027143A 1996-07-04 1996-07-04 선재의 유지구 KR100200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7143A KR100200520B1 (ko) 1996-07-04 1996-07-04 선재의 유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7143A KR100200520B1 (ko) 1996-07-04 1996-07-04 선재의 유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1619A KR980011619A (ko) 1998-04-30
KR100200520B1 true KR100200520B1 (ko) 1999-06-15

Family

ID=19465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7143A KR100200520B1 (ko) 1996-07-04 1996-07-04 선재의 유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052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1619A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54861C (en) Improved cable tie having a locking head and a separate strap
US5131613A (en) Cable tie
JP2556979Y2 (ja) 線、棒状物のクランプ
JPH034806Y2 (ko)
EP0660018B1 (en) A tie
KR101550548B1 (ko) 표피재 지착용 클립
US5966781A (en) Dual spacing clamp tie
US4138770A (en) Bundling tie
JP3463984B2 (ja) 紐固定具
US4610476A (en) Carrying strap mounting
KR100200520B1 (ko) 선재의 유지구
GB2187771A (en) Clips, with two mounting sections primarily for securing electrified wires to supports
US4188004A (en) Cable tie mount and tie for use therewith
JPH0315893Y2 (ko)
JPS60191851A (ja) プロテクタモ−ルの取付方法
KR100221642B1 (ko) 하네스클립
JP3074344B2 (ja) 線材の保持具
KR100222249B1 (ko) 와이어 고정용 클립
JP2709826B2 (ja) ケーブルの固定方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固定具
JPH0340313A (ja) 電気的な導体のための表示担体
KR200277447Y1 (ko) 고정밴드
KR100710584B1 (ko) 신속한 결착 및 해지가 용이한 밴드케이블
JPS6330809Y2 (ko)
KR920005523Y1 (ko) 비닐 하우스 지지 밴드
KR100221641B1 (ko) 결속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3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