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9592B1 - 고충격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충격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9592B1
KR100199592B1 KR1019950056772A KR19950056772A KR100199592B1 KR 100199592 B1 KR100199592 B1 KR 100199592B1 KR 1019950056772 A KR1019950056772 A KR 1019950056772A KR 19950056772 A KR19950056772 A KR 19950056772A KR 100199592 B1 KR100199592 B1 KR 100199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propylene
weight
resin composition
polypropylene resin
per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6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2762A (ko
Inventor
최치훈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50056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9592B1/ko
Publication of KR970042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2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9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95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4Pe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00Compositions of natural rubb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충격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프로필렌과 천연 고무로 이루어진 수지를 제조함에 있어서 여기에 상용화제로서 과산화물 또는 첨가조제를 첨가하여 이루어짐으로써 기계적 물성 등을 향상시키면서 충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충격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은 고충격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프로필렌과 천연 고무로 이루어진 수지를 제조함에 있어서 여기에 상용화제로서 과산화물 또는 첨가조제를 첨가하여 이루어짐으로써 기계적 물성 등을 향상시키면서 충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프로필렌은 물성과 가격면에서 공업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수지나 충격강도가 낮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고자 중합공정시 에틸렌과의 공중합을 통하여 제조된 블럭 타입 또는 랜덤 타입(random type)의 공중합체가 시판되고 있다.
또다른 방법으로는 폴리프로필렌과 상용성이 우수한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또는 에틸렌-폴리프로필렌-디엔 터폴리머(terpolymer)를 충격보강제로 사용하여 충격특성을 보완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같은 충격보강제들은 비교적 고가이고 그 효과가 우수하지 못한 문제를 갖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충격보강제의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가격면에서 유리한 천연 고무를 사용하고, 과산화물 또는 첨가조제를 첨가함으로써 고충격성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 95~75 중량%, 천연 고무 5~25 중량%로 이루어진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와 과산화물 0.001~0.5 중량부 및 첨가조제 0.01~5.0 중량부로 이루어진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천연고무와 과산화물을 첨가함으로써 고충격성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폴리프로필렌으로는 단일중합체나 블럭공중합체 모두를 사용할 수 있으며, 단일중합체의 경우 상온에서의 아이조드 충격강도는 2~3 kgf.cm/cm의 값을 가지고, 폴리프로필렌 블럭공중합체의 경우는 6~10 kgf.cm/cm의 값을 갖는다.
그리고, 상용화제로서 첨가되는 과산화물은 폴리프로필렌과 천연고무의 혼합물 100중량부 대하여 0.001~0.5 중량부로 첨가되며 과산화물로는 1,3-비스(t-부틸옥시이소프로필)벤젠, 2,5-디메틸-2,5-비스(t-부틸옥시)헥산 및 디쿠밀퍼옥사이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만일, 과산화물의 함량이 0.001 중량부 미만이면 반응 활성이 떨어지고, 0.5 중량부를 초과하면 폴리프로필렌의 분해로 제반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첨가조제로는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또는 트리알릴시아네이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 함량은 폴리프로필렌과 천연 고무의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5.0 중량부로서 이 범위를 벗어나면 반응이 잘 안되거나 가교밀도가 떨어져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압출기내의 열분해 및 산화방지를 위한 첨가제로는 Irganox B561, Irganox 1010, 칼슘스테아레이트, Ultranox 627A, Tinurin DF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조성을 수지로 캄파운딩할 때 이축압출기를 사용하며 이때 가공온도는 165~195이고, 압출기내에서의 열분해 및 산화방지를 위해 상기의 첨가제를 0.1~0.5 중량부 첨가한다.
이와같이 제조된 수지 조성물은 충격강도 증가시 수반되는 굴곡탄성율의 저하를 방지하여 굴곡탄성율은 그대로 유지하거나 또는 증가시키면서 상온에서의 충격강도가 15~30 kgf.cm/cm인 새로운 고충격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이다. 따라서, 본 조성물은 자동차의 내장재료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4 및 비교예 1~2]
다음 표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 및 함량비로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제조 하였으며 그 공정은 다음과 같다.
사용한 폴리프로필렌은 상업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제품으로서 펠렛 또는 분말형태의 수지를 사용하였으며, 천연고무는 커팅(cutting)을 사용하였다. 장비로는 롤밀(roll mill), 반브리 믹서(banbury mixer), 트윈스크류믹서(twin screw extruder), 로터믹서(rotor mixer)등을 사용하였으며, 천연고무는 열에 약하여 200이상에서는 쉽게 분해가 일어나므로 가공온도는 180이하로 조절하였다.
먼저, 분말형태의 폴리프로필렌, 절단된 천연고무를 90:10 중량비로 혼합하고, 과산화물 및 첨가조제 첨가량을 다음 표와 같이 변화시켜가면서 전혼합한 후, 이출압출기를 이용하여 180에서 사출성형하여 시편을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시편에 대하여 아이조드 충격 강도, 용융지수 및 굴곡탄성율을 ASTM 방법에 따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굴곡탄성율이 우수하면서 충격강도가 향상됨으로 자동차 내장재료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3)

  1. 폴리프로필렌 95~75 중량%, 천연고무 5~25 중량%로 이루어진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100중량부의 과산화물 0.001~0.5 중량부 및 첨가조제 0.01~5.0 중량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충격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산화물은 1,3-비스(t-부틸옥시이소프로필)벤젠, 2,5-디메틸-2,5-비스(t-부틸옥시)헥산 및 디쿠밀퍼옥사이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충격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조제는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또는 트리알릴시아네이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충격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9950056772A 1995-12-26 1995-12-26 고충격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0199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6772A KR100199592B1 (ko) 1995-12-26 1995-12-26 고충격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6772A KR100199592B1 (ko) 1995-12-26 1995-12-26 고충격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2762A KR970042762A (ko) 1997-07-26
KR100199592B1 true KR100199592B1 (ko) 1999-06-15

Family

ID=19444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6772A KR100199592B1 (ko) 1995-12-26 1995-12-26 고충격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95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9922B1 (ko) * 2019-01-16 2020-07-06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유동성 부분 가교형 내충격 폴리프로필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91399A (ko) * 2020-01-13 2021-07-22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내마모성과 내충격성이 향상된 폴리프로필렌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92159A (zh) * 2018-02-22 2018-06-22 青岛科技大学 一种碳纳米管增强杜仲胶形状记忆材料的制备方法及应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9922B1 (ko) * 2019-01-16 2020-07-06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유동성 부분 가교형 내충격 폴리프로필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91399A (ko) * 2020-01-13 2021-07-22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내마모성과 내충격성이 향상된 폴리프로필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92295B1 (ko) 2020-01-13 2021-08-25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내마모성과 내충격성이 향상된 폴리프로필렌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2762A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51916A (en) Polyoxymethylene molding blends
EP0501340B1 (en) Filled hydrolyzable copolymer compositions resistant to premature crosslinking
US4611024A (en) Propylene polymer composition containing a hydrotalcite and an acetal of an alditol
US5981664A (en) Low-shrinkage polyethylene moulding compounds
CA1138147A (en) Thermoplastic blend of polypropylene, epm and propylene-ethylene copolymer
EP0320001A2 (en) Elastoplastic compositions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m
EP0635041B1 (en) Polyoxymethylene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encapsulated nucleant
KR910005690B1 (ko) 폴리올레핀 조성물
US4436863A (en) Use of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s and oxidized high density polyethylene homopolymers as processing aids for talc filled polypropylene compounds
EP0446952B1 (en) Ethylene propylene rubber composition
KR100199592B1 (ko) 고충격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EP0255693B1 (en) High stiffness propylene polymer compositions
EP0450276B1 (en) Polyolefin composition containing fluoropolymer
JPS5936656B2 (ja) ポリプロピレンジユシソセイブツ
JPS6172039A (ja)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AU640054B2 (en) Polyoxymethylene compositions containing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US5859139A (en) Propylene polymers grafted with polyalkenylenes and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KR100563482B1 (ko) 고충격특성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조성물
EP0324263A2 (en) Method of extrusion of compositions of linear polyethylene and polyacetal and films thereof
KR20020095908A (ko) 난연성 폐플라스틱 성형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0123043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429466B1 (ko) 음향기용고중량폴리프로필렌수지조성물
JP2859346B2 (ja) 多孔性フイルム
JP3272068B2 (ja) ポリプロピレン組成物
JPH03149244A (ja) 硬質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