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8987B1 - 화장지의 지관에 지필을 연결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화장지의 지관에 지필을 연결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8987B1
KR100198987B1 KR1019960054086A KR19960054086A KR100198987B1 KR 100198987 B1 KR100198987 B1 KR 100198987B1 KR 1019960054086 A KR1019960054086 A KR 1019960054086A KR 19960054086 A KR19960054086 A KR 19960054086A KR 100198987 B1 KR100198987 B1 KR 100198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roll
injection pipe
spool roll
sp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4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5674A (ko
Inventor
박종화
박재규
왕흥근
권인환
Original Assignee
차석용
쌍용제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석용, 쌍용제지주식회사 filed Critical 차석용
Priority to KR1019960054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8987B1/ko
Publication of KR19980035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5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8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89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7/00Other details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13/00Making discontinuous sheets of paper, pulpboard or cardboard, or of wet web, for fibreboard production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지의 지관에 지필을 연결하는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스풀롤을 임시저장하는 스풀롤 저장대와, 스풀롤을 이동시키는 로워링 아암과, 스풀롤과 대면된 상태로 회전되어 스풀롤에 지필이 원활하게 감길 수 있도록 하는 릴 드럼과, 로워링 아암에서 스풀롤을 인계받아 릴 드럼의 상부에 위치시키는 제1아암과, 스풀롤에 원단이 감긴 지필을 제1아암에서 인계받아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는 제2아암과, 젖은 종이를 건조시키는 양키 드라이어와, 양키 드라이어에서 인출되는 지필의 무게나 수분을 측정하는 비엠 메타와, 비엠 메타를 통과하여 대기중인 스풀롤측으로 이동하는 지필을 일정한 폭으로 커트하는 슬리터 나이프가 구비되는 화장지의 지관에 지필을 연결하는 장치에 있어서, 릴 드럼의 상부에 설치되는 사출 파이프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노즐을 설치한다. 그리고, 사출 파이프의 일단에 연결되어 접착제를 임시저장하고, 사출 파이프로 아교를 공급하는 공급펌프를 구비한다. 또한 사출 파이프에는 복수의 체크 밸브를 설치하고, 사출 파이프의 다른 일단과 공급 펌프 사이에 에어의 공급을 제어하는 복수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설치하여 스풀롤에 감길 지필에 일정한 간격으로 접착제를 분사하여 지필이 원활하게 스풀롤에 연결될 수 있도록하여 지필의 날림 현상을 방지하고, 지필지연시간을 단축시킨다. 이에 따라 작업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화장지의 지관에 지필을 연결하는 장치
본 발명은 화장지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종이의 초지공정의 권취공정에서 화장지의 지관에 지필을 연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재생용지를 이용하여 화장지를 제작하는 과정은, 재생용지를 물과 함께 해리한 후에 재생용지에 포함된 비닐, 철사, 핀 등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정선과정을 거쳐 재생용지의 잉크입자를 제거하는 제거하는 탈묵과정, 표백과정, 세척과정을 거쳐 화장지으 원료를 조성하는 원료조성공정과, 조성된 원료를 금망위에 사출시켜 섬유를 서로 결합시키는 지합과정과 탈수 및 건조를 거쳐 화장지 원지를 권취하여 반제품을 생산하는 초지공정 및 반제품 상태의 원지를 재권취하여 화장지의 부드러움을 향상시키는 엠보싱 작업, 적당한 크기로 잘라주는 절단작업, 제품을 포장해 주는 포장작업을 거쳐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최종 완제품 화장지를 생산하는 가공공정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초지공정에서 권취과정은 초지기의 형태나 제작회사의 특성에 따라 설비 및 지필연결 방법에서 다소간의 차이가 발생한다. 비교적 저속 초지기(fourdriner)의 경우에는 스풀롤(spool roll)의 하중이나 에어(air) 분사만을 통해 지필연결 및 원단이월이 이루어지는 반면, 대형화된 고속 초지기(twin wire)의 경우에는 고속으로 운전되므로 기존 에어 발럼닝 시스템(air ballooning system)과 물 스프레이를 이용하여 지필연결 및 원단 이월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권취과정이 이루어지는 종래 화장지의 지관에 지필을 연결하는 장치를 제1도에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시스템을 작동시키면, 로워링아암(lowering arm;20)이 제2랙, 피니언 기어(21)(22)들에 의해 스풀롤 저장대(30)에서 지관(紙管;45)이 장착된 스풀롤(40)을 제1아암(80)의 제1랙, 피니언 기어(84)(86)들에 의해 릴 드럼(reel drum;90)의 상부에 대기시켜 턴업(turn-up)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스풀롤(40)에 감길 양키 드라이어(yankee drier;60)에서 건조된 지필(200)은 도시하지 않은 트랜스퍼 시스템(transfer system)에 의해 종이의 무게나 종이 내부에 포함된 수분을 측정하여 종이의 두께를 조절하는 비엠 메타(65)로 이송된다.
이때, 양키 드라이어(60)의 인접한 위치에 독타(62)가 설치되어 양키 드라이어(60)에서 비엠 메타(65)로 이송중에 발생되는 지필(200)의 끊김을 재연결시킨다.
한편, 슬리터 나이프(slitter knife;70)로 이송된 지필(200)은 슬리터 나이프에 의해 지필을 그폭으로 절단 한다.
이렇게 절단된 지필(200)은 작업자가 에어 제트(air jet;도시하지 않음)로 발룸 블로잉(balloon blowing)시켜 릴 드럼(reel drum;19)을 타고 턴업상태인 스풀롤(40)의 지관(45)에 감기도록 한다.
이러한 지필(200)이 지관(45)의 전폭에 걸쳐 랩핑(wrapping)이 잘되었으면, 제1아암(80)이 스풀롤(40)의 가로대(42) 위치가 되고, 제2아암(50)이 유압실린더(55)에 의해 서서히 릴 드럼(90)측으로 이동하여 스풀롤(40)에 접촉된다.
그리고, 스풀롤(40)의 가로대(42)를 잡고 있던 제1아암(80)의 클램프(85)는 오픈(open)되고, 제1아암(80)은 다시 릴 드럼(90)의 상부로 이동한다.
이어서, 로워링 아암(20)은 제2랙, 피니언 기어(21)(22)에 의해 스풀롤 저장대(30)에서 새로운 스풀롤(40)을 픽업(pick-up)하여 제1아암(80)에 장착하고, 다시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면, 지필(200)을 권취하는 하나의 사이클이 이루어진다.
제2아암(50)으로 이동한 스풀롤(40)은 계속해서 지필(200)이 감기고 원단(201)을 이루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지필 권취공정에서, 스풀롤의 지관에 지필을 연결하기 위한 과정은 지필연결 시간이 걸리고, 접착력이 약해 지필 연결 중 지필이 날려 작업의 안전성 문제점이 발생되고, 지관의 파손에 따른 지필 연결시간이 지연됨과 동시에 지관파손에 따른 비용이 낭비되는 문제점도 따른다.
또한, 에어 스프레이로 지필을 연결함으로서, 지관에 연속해서 감기는 지필의 접착력이 떨어지고, 아울러 수동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과정은 에어모터의 잦은 불규칙적 작동으로 인하여 에어모터의 작동불량을 초래하는 문제점도 따른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관에 연결되는 지필의 접착력을 높일 수 있고, 지필입들의 날림현상과 지관파손의 낭비를 줄일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스풀롤을 임시저장하는 스풀롤 저장대와, 스풀롤을 이동시키는 로워링 아암과, 스풀롤과 대면된 상태로 회전되어 스풀롤에 지필이 원활하게 감길 수 있도록 하는 릴 드럼과, 로워링 아암에서 스풀롤을 인계받아 릴 드럼의 상부에 위치시키는 제1아암과, 스풀롤에 원단이 감긴 지필을 제1아암에서 인계받아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는 제2아암과, 젖은 종이를 건조시키는 양키 드라이어와, 양키 드라이어에서 인출되는 지필의 무게나 수분을 측정하는 비엠 메타와, 비엠 메타를 통과하여 대기중인 스풀롤측으로 이동하는 지필을 일정한 폭으로 커트하는 슬리터 나이프가 구비되는 화장지의 지관에 지필을 연결하는 장치에 있어서, 릴 드럼의 상부에 설치되는 사출 파이프와; 사출 파이프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노즐과; 노즐을 통과하여 스풀롤에 지필이 감기는 과정에서 일정한 접착력을 갖도록 하는 접착제와; 사출 파이프의 일단에 연결되어 접착제를 임시저장하고, 사출 파이프로 아교를 공급하는 공급펌프와; 사출 파이프의 다른 일단과 공급 펌프 사이에 설치되어 에어의 공급을 제어하는 복수의 솔레노이드 밸브와; 사출 파이프에서 일정한 방향으로 접착제와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체크 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지필 연결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 파이프의 위치를 보인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 파이프를 도시한 상세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풀롤의 이월위치를 도시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로워링아암(lowering arm) 30 : 스풀롤 저장대(spool rool storage)
40 : 스풀롤(spool roll) 45 : 지관(paper pipe)
50 : 제2아암 60 : 양키 드라이어(yankee drier)
65 : 비엠 메타(B/M meter) 70 : 슬리터 나이프(slitter knife)
80 : 제1아암 90 : 릴 드럼(reel drum)
100 : 사출 파이프 110 : 노즐(nozzle)
113(115) : 체크 밸브(check valve) 120 : 공급 펌프(provided pump)
130(132) :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박엽지 지필을 연결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서, 스풀롤 저장대(spool roll storage;30)에는 지관(45)이 장착되는 다수의 스풀롤(40)이 저장된다
그리고, 스풀롤 저장대(30)의 인접한 위치에 제2랙 피니언 기어(21)(22)들에 의해 구동되는 로워링 아암(20)이 설치되어 하나의 스풀롤(40)을 최초로 이동시킨다.
스풀롤 저장대(30)의 하부에는 레일(rail;35)이 설치되고, 이 레일(35)의 하단부에 조인트(joint)연결된 두개의 링크(51)(52)로 이루어진 제2아암(50)이 설치된다. 이 아암(50)의 제1링크(51)에는 유압실린더(55)가 설치되어 제2아암(50)이 레일(35)을 따라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제2링크(52)의 다른 끝단은 고정된다.
한편, 전(前)과정에서 탈수과정을 마친 재생용지인 지필(200)은 대략 110도(℃)까지 상승하는 양키 드라이어(60)에서 젖은 지필을 건조시킨다.
그리고, 이러한 양키 드라이어(60)의 인접한 위치에는 비엠 메타(65)가 설치된다. 이는 도시하지 않은 트랜스퍼 시스템에 의해 이송되는 지필(200) 1평방미터(㎡)의 무게나 지필(200)내에 포함된 수분 등을 측정하여 지필(200)의 두께를 조절한다.
또한, 비엠 메타(65)의 인접한 위치에는 슬리터 나이프(70)가 설치되어 비엠 메타(65)를 통과하는 지필(200)이 이송되는 데, 초기 지필 연결시 지필(200)의 끝단은 대략 20센티미터(cm)의 폭길이를 갖는다.
이러한 슬리터 나이프(70)의 인접한 위치에는 제1랙, 피니언 기어(84)(86)들에 의해 구동되는 제1아암(80)이 설치되어 로워링 아암(20)에 의해 픽업된 스풀롤(40)을 인계받는다.
이 제1아암(80)은 두 개의 링크(81)(82)들로 이루어지는데, 제1링크(81)는 제2링크(82)와 조인트 연결되며 그 끝단에 스풀롤(40)을 캐취(catch)할 수 있도록 클램프(clamp;85)가 설치된다. 그리고, 제2링크(82)의 하단부에는 제1랙키어(rack gear;84)가 형성되며, 이 제1랙기어(84)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1피니언 기어(pinion gear;86)가 설치된다.
제2링크(82)의 중심부에는 원기둥형태의 릴 드럼(90)이 설치되는데, 이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고, 릴 드럼(90)의 상부에 위치하는 스풀롤(40)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들 릴 드럼(90)과 스풀롤(40)은 상호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져 있다가 이들이 상호 맞물려 회전하면, 지필(200)이 지관(45)에 연결된다.
스풀롤(40)은 제2아암(50)에 의해 레일(35) 위로 이동하고, 지필(200)은 계속해서 스풀롤(40)의 지관(45)에 감겨 원단(201)을 형성한다.
한편,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사출 파이프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릴 드럼(90)의 상부에 설치되는데, 이는 대략 릴 드럼(90)의 상단에 위치하게 되는 스풀롤(40)의 전측 대략 250밀리미터(mm)되는 지점에서 설치된다.
이러한 사출 파이프(100)를 제3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세 개의 파이프(102)(104)(106)로 이루어진 사출 파이프는 대략 T모양의 이음새(105)에 의해 연결된다. 이들 중에서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제1,2사출 파이프(102)(104)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노즐(110)이 설치된다.
그리고, 제1,2사출 파이프(102)(104)의 끝부분에 유체인 공기와 접착제가 사출 파이프(102)(104)의 내부로 유통되는 것을 제어하는 개폐가능한 복수의 밸브(112)(114)가 설치된다.
또한, 제2사출 파이프(104)의 일부분에는 제1체크 밸브(check valve;113)가 설치되어 에어가 사출 파이프(102)(104)내에서 일정한 방향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하고, 제3사출 파이프(106)의 일부분에도 제2체크 밸브(115)가 설치되어 제1,2사출 파이프(102)(104)로 공급되는 접착제가 일정한 방향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에어와 접착제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에어공급시스템에 의해 사출 파이프(102)(104)들로 공급되는데, 제3사출 파이프(106)에는 접착제가 채워지는 공급펌프(120)가 연결되고, 이 공급펌프(120)의 다른 일단은 제1배관(122)에 의해 제2사출 파이프(104)측으로 연결되며, 제1배관(122)의 일부분에 제1,2솔레노이드 밸브(130)(132)가 설치된다.
공급펌프(120)에 채워지는 접착제는 바람직하게 에틸렌 옥사이드계 아교와 물을 배합하여 사용하는데,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화장지의 지관에 지필을 연결하는 장치에서는 물과 에틸렌 옥사이드계 아교가 대략 1 대 0.75의 비율로 배합된다. 이는 스풀롤(40)의 지관(45)에 지필(200)이 연결되는 초기에는 접착력을 가지나 건조되면 접착력이 상실되는 특성을 갖는다.
그리고, 각각의 솔레노이드 밸브(130)(132)에 제2배관(142)들을 접속시키고, 이를 릴 드럼(90)을 동작시키는 도시하지 않은 릴 드럼 작동시스템에 연결하여 스풀롤(40)에 지필(200)이 연결되거나 스풀롤(40)에 지필(200)이 연결된 상태로 제2아암(50)으로 이월될 때 대략 1초간격으로 작동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장지의 지관에 지필을 연결하는 장치는 시스템을 작동시키면, 로워링아암(20)이 제2랙, 피니언 기어(21)(22)들에 의해 지관(紙管;45)이 장착된 스풀롤(40)을 제1랙, 피니언 기어(84)(86)에 의해 작동되는 제1아암(80)으로 인계하고, 제1아암(80)은 릴 드럼(90)의 상부에 스풀롤(40)을 대기시킨다.
한편, 양키 드라이어(60)에서 건조된 지필(200)은 도시하지 않은 트랜스퍼 시스템에 의해 이송되어 비엠 메타(65)에서 지필의 무게와 지필에 포함된 수분량을 측정하여 지필의 두께를 설정한다.
이 때 양키 드라이어(60)에서 비엠 메타(65)로 이송중에 발생되는 지필(200)의 끊김은 독타(62)에 의해 재연결된다.
한편, 슬리터 나이프(70)에서 지필을 그폭으로 절단하고, 이렇게 절단된 지필(200)의 한측면으로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릴 드럼(90)의 상부에 설치된 사출 파이프(100)의 노즐(110)을 통해 일정량의 접착제가 분사된다.
이 과정은 에어공급시스템에서 보내는 신호에 따라 제1솔레노이드 밸브(130)가 개방되고, 제2솔레노이드 밸브(132)가 잠기면, 에어는 공급펌프(120)로 유입되고, 소정의 작용에 의해 접착되는 제3사출 파이프(106)로 유입된다.
이어서, 접착제는 제2체크 밸브(115)를 경유하여 제1,2사출 파이프(102)(104)로 유입되며, 다수의 노즐(110)들을 통해 지필(200)에 분사된다.
또한, 에어공급시스템의 다른 신호에 따라 제1솔레노이드 밸브(130)는 잠기고, 제2솔레노이드 밸브(132)가 개방되면, 에어는 제1체크 밸브(113)를 경유하여 제1,2사출 파이프(102)(104)의 재부를 청소한다.
이와 같이 에어공급시스템에 의해 반복해서 에틸렌 옥사이드계 아교가 함유된 접착제와 에어가 지필(200)로 분사됨에 따라, 종래의 에이 제트와 물 스프레이를 사용하여 접착력이 떨어졌던 지필 연결작업이 상승된 접착력과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의해 턴업상태인 스풀롤(40)의 지관(45)에 자동적으로 지필(200)이 감기도록 한다.
이러한 지필(200)이 지관(45)의 전폭에 걸쳐 랩핑(wrapping)이 잘되었으면, 제1아암(80)이 스풀롤(40)의 가로대(42) 위치가 되고, 제2아암(50)이 유압실린더(55)에 의해 서서히 릴 드럼(90)측으로 이동하여 스풀롤(40)에 접촉된다.
즉,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릴 드럼(90)의 상부(90a)에 위치한 스풀롤(40)이 제1아암(80)에 의해 시계반대 방향으로 일정각도 이동(90b)하고, 이와 동시에 제2아암(50)이 지필 연결된 스풀롤(40)을 인계받아 레일(35)을 따라 원위치로 되돌아가고, 지필(200)은 계속해서 스풀롤(40)에 감겨 원단(201)이 형성된다.
그리고, 스풀롤(40)의 가로대(42)를 잡고 있던 제1아암(80)의 클램프(85)는 오픈(open)되고, 제1아암(80)은 다시 릴 드럼(90)의 상부로 이동한다.
그러나, 스풀롤(40)이 제2아암(50)으로 이월될 때나 레일(35)상에서 지관(45)에 지필(200)이 감기는 중에 지필(200)이 끊기게 되면 스풀롤(40)이 드럼(90)의 측면(90c)으로 위치하게 되고, 스풀롤(40)은 제2아암(50)으로 권취되지 않는다.
이어서, 로워링 아암(20)은 제2랙, 피니언 기어(21)(22)에 의해 스풀롤 저장대(30)에서 새로운 스풀롤(40)을 픽업(pick-up)하여 제1아암(80)에 장착하고, 다시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면, 지필(200)을 권취하는 하나의 사이클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화장지의 지관에 지필을 연결하는 장치는 지절 및 원단 이월시 원단내에 삽입되는 지필의 삽입횟수는 하루에 3회가 소요되었으나 종래의 지필 연결 시스템은 하루에 37회가 소요되어 일일 기준으로 34회가 감소함에 따라 지관에 지필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발행되는 파지량을 감소시켜 생산비용의 절감효과를 얻을수 있다.
또한, 종래의 지필 연결시스템은 원단 이월시 30초가 소요되고, 본 발명에 따른 지필 연결시스템은 22초가 소용되어 대략 8초를 단축하고, 지절연결시 소요시간도 종래에는 56초가 소요되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는 21초가 소요되어 생산성이 크게 상승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화장지의 지관에 지필을 연결하는 장치는 원단이월 및 지절된 지필의 연결시, 지필을 연결하는 작업횟수가 감소하여 지필제거 작업에 따른 작업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지필연결시 지관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에어 제트에 의해 날린 지필이 원단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화장지의 품질을 향상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장지의 지관에 지필을 연결하는 장치은, 작업안전성의 확보와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생산성도 향상시킬 수 있어 종래의 시스템에 비해 시스템의 신뢰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6)

  1. 스풀롤을 임시저장하는 스풀롤 저장대와, 스풀롤을 이동시키는 로워링 아암과, 스풀롤과 대면된 상태로 회전되어 스풀롤에 지필이 원활하게 감길 수 있도록 하는 릴 드럼과, 로워링 아암에서 스풀롤을 인계받아 릴 드럼의 상부에 위치시키는 제1아암과, 스풀롤에 원단이 감긴 지필을 제1아암에서 인계받아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는 제2아암과, 젖은 종이를 건조시키는 양키 드라이어와, 양키 드라이어에서 인출되는 지필의 무게나 수분을 측정하는 비엠 메타와, 비엠 메타를 통과하여 대기중인 스풀롤측으로 이동하는 지필을 일정한 폭으로 커트하는 슬리터 나이프가 구비되는 화장지의 지관에 지필을 연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릴 드럼(90)의 상부에 설치되는 사출 파이프(100)와; 상기 사출 파이프(100)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노즐(110)과; 상기 노즐(110)들을 통과하여 스풀롤(40)에 지필(200)이 감기는 과정에서 일정한 접착력을 갖도록 하는 접착제와; 상기 사출 파이프(100)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접착제를 임시저장하고, 사출 파이프(100)로 아교를 공급하는 공급펌프(120)와; 사출 파이프(100)의 다른 일단과 공급펌프(120) 사이에 설치되어 에어의 공급을 제어하는 복수의 솔레노이드 밸브(130)(132)와; 상기 사출 파이프(100)에서 일정한 방향으로 접착제와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체크 밸브(113)(11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지의 지관에 지필을 연결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 파이프(100)가 제1,2,3사출 파이프(102)(104)(106)인 세개로 이루어지고, 이들 중 두개(102)(104)에 상기 노즐(110)들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지의 지관에 지필을 연결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 파이프(100)들을 연결하는 대략 T자 모양의 이음새(10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지의 지관에 지필을 연결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 파이프(100)는 상기 릴 드럼(90)의 상단부에서 상기 스풀롤(40)로 상기 지필(200)이 말려 들어가는 전측 대략 250밀리미터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지의 지관에 지필을 연결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상기 스풀롤(40)의 지관(45)에 상기 지필(200)이 연결되는 초기에는 접착력을 가지나 건조된 후에는 접착력을 상실하는 에틸렌 옥사이드계 아교와 물로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지의 지관에 지필을 연결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에틸렌 옥사이드계 아교와 물이 대략 1 대 0.75 정도의 비율로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지의 지관에 지필을 연결하는 장치.
KR1019960054086A 1996-11-14 1996-11-14 화장지의 지관에 지필을 연결하는 장치 KR100198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4086A KR100198987B1 (ko) 1996-11-14 1996-11-14 화장지의 지관에 지필을 연결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4086A KR100198987B1 (ko) 1996-11-14 1996-11-14 화장지의 지관에 지필을 연결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5674A KR19980035674A (ko) 1998-08-05
KR100198987B1 true KR100198987B1 (ko) 1999-06-15

Family

ID=19481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4086A KR100198987B1 (ko) 1996-11-14 1996-11-14 화장지의 지관에 지필을 연결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898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5674A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39883B2 (en) Composite web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JP3205935B2 (ja) ロール巻取装置及び方法
ITFI20070087A1 (it) Metodo e dispositivo per la chiusura del lembo libero finale di un rotolo di materiale nastriforme e rotolo ottenuto
US6805317B1 (en) Adhesive dispenser in a reel-up in a paper machine
MXPA02008429A (es) Tejido de tisu de alto volumen.
KR20040073446A (ko) 감기 및 풀기과정 없이 웨브제품을 고속으로 제조하며마무리처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00352903C (zh) 一种制备高粘度清洁剂的方法
JP4025292B2 (ja) 棒状物品の包材として使用されるウエブを相互に接続するための接着テープ及びその接着テープの供給装置
MXPA02008302A (es) Tejidos de tisu procesados.
US4386988A (en) Web handling apparatus
CA2441196A1 (en) Multi-reel apparatus in a paper machine
KR100198987B1 (ko) 화장지의 지관에 지필을 연결하는 장치
CN107089537A (zh) 复卷机
US5679408A (en) Method and device for application of an adhesive or equivalent onto a moving material web and a nozzle for said device
US607382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ly breaking a continuously advancing cellulose web
JP2002235272A (ja) 経糸糊付け機
WO2008028997A2 (en) Method and device for patching a fibre web
KR960001076Y1 (ko) 다중 천막지 호스 제조 장치
ITMI952122A1 (it) Dispositivo e procedimento automatico per la sostituzione delle confezioni di teletta di alimentazione e per la preparazione e
EP1012095A1 (en) Device in a reel-up in a paper machine
JP2023025604A (ja) 連続シート切断装置及び連続シート切断装置を有するインターフォルダ
ITMI20000350A1 (it) Dispositivo per staccare il filo di avvolgimento posteriore dalla superficie di spole di filatura
JPS6123059A (ja) 織機の織布自動切断巻付装置
JP2023025606A (ja) 連続シート押え装置及び連続シート押え装置を有するインターフォルダ
FI114487B (fi) Menetelmä ja laitteisto paperi- tai kartonkikoneen kudoksen puhdistamiseks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