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7899B1 - 전분이 매트릭스 수지에 화학결합된 생분해성 플라스틱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물 - Google Patents

전분이 매트릭스 수지에 화학결합된 생분해성 플라스틱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7899B1
KR100197899B1 KR1019960061524A KR19960061524A KR100197899B1 KR 100197899 B1 KR100197899 B1 KR 100197899B1 KR 1019960061524 A KR1019960061524 A KR 1019960061524A KR 19960061524 A KR19960061524 A KR 19960061524A KR 100197899 B1 KR100197899 B1 KR 100197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rch
weight
parts
composition
matrix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1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2813A (ko
Inventor
이병형
정광식
김영욱
방상구
조원영
조병천
엄기남
Original Assignee
남창우
에스케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창우, 에스케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남창우
Publication of KR970042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2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7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78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1/00Preparation of derivatives of starch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00Compositions of starch, amylose or amylopectin or of their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 C08L3/02Starch;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e.g. dextr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6Biodegradab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Biological Depolymerization Polymer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분이 매트릭스 수지에 화학결합된 생분해성 플라스틱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물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폴리에틸렌과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터가 1:1∼1:30의 중량비로 혼합된 매트릭스 수지 100중량부, 전분 10∼150중량부, 전분가소제 0.01∼40중량부, 전분의 결합파괴제 0.01∼10중량부, 결합제 0.01∼10중량부, 라디칼개시제 0.01∼1.0중량부 및 자동산화제 0.01∼10중량부로 이루어진 매트릭스 수지에 전분이 화학결합된 생분해성 플라스틱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분이 매트릭스 수지에 화학결합된 생분해성 플라스틱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물
본 발명은 전분이 매트릭스 수지에 화학결합된 생분해성 플라스틱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물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가공성과 물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과 생분해성을 갖는 지방족 폴리에스터의 혼합 매트릭스 수지에 열가소성을 갖도록 변형시킨 전분을 고함량 혼합시켜서 된 생분해성 플라스틱 조성물과 이축압축기를 이용한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생분해성 조성물을 펠렛화하여 제조된 필름, 사출품 및 성형물에 관한 것이다.
합성 플라스틱은 뛰어난 물성과 함께 값싸고 가벼운 특성으로 인하여 천연소재의 한계와 제약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었고 플라스틱을 중심으로 다양한 고분자물질이 개발되어 현대과학문명을 구축해 왔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세계적으로 무수히 쏟아져 나오는 플라스틱 제품으로 인한 공해문제가 날로 심화되어 가는 추세와 맞물려 세계 각국에서는 이 문제의 해결을 위한 다각도의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최근들어 폐플라스틱으로 인한 공해문제 해결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플라스틱을 비롯한 각종 고형 폐기물에 의한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그 동안 매립, 소각 및 재생이라는 방법을 주로 활용해 왔다. 그러나, 재생은 물론 매립을 통한 폐기물 처리로는 환경오염 문제를 완전히 해결할 수가 없다.
따라서, 최근의 추세로는 폐플라스틱 자체를 분해가 가능하도록 만드는 소위 분해성 플라스틱 개발에 지대한 관심과 연구개발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분해성 플라스틱과 관련된 기술을 세분하면 생분해 기술, 광분해 기술 그리고 이들 두기술을 조합한 생·광분해 기술로 나뉘어진다. 생분해성 플라스틱으로는 PHB(Poly-β-hydroxybutylate)등과 같은 미생물 생산 고분자, 미생물 생산 바이오케미칼(Biochemical)을 합성원료로 한 고분자, 화학적으로 합성된 지방족 폴리에스터, 키틴(chitin)등의 천연고분자 및 전분 등을 첨가한 플라스틱 등 여러 형태가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전분을 열가소성을 갖도록 변형시켜 이를 고함량으로 플라스틱에 혼합시키는 생분해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특허들을 살펴보면, Warner-Lambert사에 의해 출원, 등록된 유럽특허 제 304,401호에서는 압출기와 같은 밀폐된 장치를 이용하여 일정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전분과 가소제를 150℃ 이상의 고온에서 혼련시키면 고압의 수증기압이 발생하여 전분 분자간의 수소결합이 파괴되어 열가소성을 갖게 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사출 등의 성형물을 제조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특허의 기술은 필름과 같이 성형시 높은 용융강도와 성형후 높은 신장율과 인장강도를 요구하는 용도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Novamont사에 의해 출원, 등록된 유럽특허 제 400,531호 및 제 400,532호에서는 에틸렌-비닐알콜 공중합체와 에틸렌-에틸아크릴산 공중합체와 같이 전분과 상용성이 있는 합성수지를 일정량의 수분이 함유되어 있는 전분 및 가소제와 함께 고온(150℃ 이상)의 압출기내에서 혼련시켜 전분의 분자간 결합을 파괴시켜 수지와 새로운 화학적 또는 물리적 결합을 갖도록 하여 고함량의 전분이 함유된 생분해성 필름을 제조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에틸렌-비닐알콜 공중합체나 에틸렌-에틸아크릴산 공중합체와 같은 합성수지는 생분해성이 거의 없을 뿐만 아니라 고가이어서 이로부터 제조된 필름은 가격이 싼 범용 플라스틱 필름을 대체하기에는 현실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있다.
또한, 지방족 폴리에스터는 고가이어서 가격이 저렴한 폴리에틸렌과 단순히 혼합하여 사용하는 예도 있으나, 두 물질은 서로 상용성이 좋지 않아 단순히 혼합하면 물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폴리카프로락톤과 같이 용융점(약 60℃)이 낮은 지방족 폴리에스터는 결정화 온도가 낮아 블로운(Blown) 필름 성형시 대기중의 공기로는 충분히 냉각되지 않으므로 필름 성형이 불가능하여 별도의 공기 냉각기(Chiller)를 설치하여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자들에 의해 개발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94-11556호와 제 94-11558호에서는 전분과 매트릭스 수지를 화학적 결합제에 의해 결합시킴으로써 물리적인 결합력 뿐만 아니라 화학적 결합력에 의해 전분 충전에 따른 물성 감소를 극복하였으며 제조 공정도 단순화시켜 제조 원가를 현저히 줄일 수 있었다. 그러나, 폴리에틸렌만으로는 여전히 생분해성이 좋지 않으며, 전분 첨가로 인한 물성저하의 문제점도 있었다.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플라스틱의 생분해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가격이 저렴하고 가공성과 물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과 생분해성이 우수한 지방족 폴리에스터의 혼합 매트릭스 수지를 일정 조건하에서 열가소성를 가질 수 있도록 변형시킨 전분과 함께 결합제를 사용하여 화학적으로 결합시켜서 된 생분해성 플라스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개발하였다. 상기 폴리에틸렌은 가격이 저렴하여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매트릭스 수지의 결정화 온도를 높여주어 블로운 필름 성형시 냉각기와 같은 추가의 장비 보완이 불필요하며, 상기 결합제는 폴리에틸렌과 지방족 폴리에스터의 결합제로도 작용할 수 있어 단순히 혼합하였을 때의 물성 저하를 개선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분이 매트릭스 수지에 화학결합된 생분해성 플라스틱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생분해성 플라스틱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생분해성 플라스틱 조성물을 이용한 성형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생분해성 플라스틱 조성물은 폴리에틸렌과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터가 1:1∼1:30의 중량비로 혼합된 매트릭스 수지 100중량부와 전분 10∼150중량부, 전분가소제 0.01∼40중량부, 전분의 결합파괴제(Destructurizing Agent) 0.01∼10중량부, 결합제 0.01∼10중량부, 라디칼개시제 0.01∼1.0중량부 및 자동산화제 0.01∼10중량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플라스틱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2개의 원료 공급부와 2대의 원료공급기가 부착된 이축압출기에서 폴리에틸렌과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터가 1:1∼1:30의 중량비로 혼합된 매트릭스 수지 100중량부와 결합제 0.01∼10중량부 및 라디칼개시제 0.01∼1.0중량부를 상기 이축압출기의 주공급부에 넣고, 전분 10∼150중량부와 전분가소제 0.01∼40중량부, 전분 결합파괴제 0.01∼10중량부 및 자동산화제 0.01∼10중량부를 측면공급부에 넣어 상기 매트릭스 수지 혼합물과 상기 전분 혼합물을 서로 다른 위치에서 공급하여 이축압출기에서 혼합시킨 후, 온도 150∼220℃, 스크류속도 50∼300rpm의 조건하에서 반응압출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생분해성 플라스틱 조성물을 이용한 성형물은 상기 전분이 매트릭스 수지에 화학결합된 생분해성 플라스틱 조성물을 펠렛화하여 이로부터 제조된다.
제1도는 비고예 1에 따른 필름의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을 도시한 그래프.
제2도는 비교예 2에 따른 필름의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을 도시한 그래프.
제3도는 비교예 5에 따른 필름의 단면을 주사 현미경(×2400)으로 관찰한 사진의 사본.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생분해성 필름의 단면을 주사 현미경(×2000)으로 관찰한 사진의 사본.
제5도는 폴리카프로락톤의 시차주사열분석기 데이터를 도시한 그래프.
제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0에 따른 조성물의 시차주사열분석기 데이터를 도시한 그래프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과 생분해성 지방쪽 폴리에스터가 1:1∼1:30의 중량비로 혼합된 매트릭스 수지 100중량부와 전분 10∼150중량부, 전분가소제 0.01∼40중량부, 전분기 결합파괴제 0.01∼10중량부, 결합제 0.01∼10중량부, 라디칼개시제 0.01∼1.0중량부 및 자동산화제 0.01∼10중량부로 이루어지며, 전분이 열가소성을 갖게 되어 구조변형이 일어나고, 지방족 폴리에스터의 첨가로 생분해성이 향상되며, 결합제에 의해 매트릭스 수지에 전분이 화학결합된 생분해성 플라스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생분해성 플라스틱 조성물에 조단량체 0.01∼10중량부 및/또는 촉매역할과 상용화제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상용촉매제가 0.01∼10중량부 더욱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매트릭스 수지로는 가격이 저렴하고 가공성과 물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과 생분해성이 우수한 지방족 폴리에스터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상기 폴리에틸렌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이 바람직하고,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터로는 폴리카프로락톤, 폴리락트산 및 디올(Diol)과 디엑시드(Diacid)로 축중합되는 지방족 폴리에스터 등의 지방족 폴리에스터와 이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분으로는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및 쌀 전분 등으로 제조된 일반 전분은 물론, 산처리 전분, 에스테르 전분, 양성 전분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전분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한다. 이때 혼합량은 매트릭스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0∼150중량부가 바람직한데, 전분의 혼합량이 10중량부 이하이면 조성물의 생분해속도가 너무 느려져 생분해성의 효율이 매우 저하되고, 150중량부 이상이면 물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플라스틱 조성물의 생분해성과 물성을 모두 우수하게 제조하기 위해서는 전분을 60∼120중량부 첨가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분과 매트릭스 수지를 화학적으로 결합시켜주는 결합제로는 무수말레인산, 무수메타크릴산 또는 말레이미드가 사용된다.
상기 라디칼개시제로는 벤조일 퍼옥사이드, 디-삼중부틸 퍼옥사이드, 아조비스이소부틸로 니트릴, 삼중부틸 히드로 퍼옥사이드, 디큐밀퍼옥사이드, 루퍼졸 101(Pennwalt사 제품, 2, 5-Dimethyl-2, 5-di(t-butylperoxy)hexane), 또는 퍼카독스-14(AKZO사 제품, 1, 3-Bis-(t-butylperoxy-isopropyl)benzen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분 가소제로는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솔비톨, 글리세린(글리세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분의 결합파괴제로는 요소(Urea), 파라톨루엔술폰아마이드, 멜라민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의 분해를 가속화시키는 상기 자동산화제로는 올레인산, 스테아린산, 올레인산 망간, 스테아린산 망간, 올레인산 철(II), 스테아린산 철(II)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단량체에는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및 에틸아크릴레이트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이 혼합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상용촉매제로는 아크릴산 및/또는 메타크릴산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플라스틱 조성물의 제조방법에서는 공정 단순화를 통한 제조원가 절감과 전분 배합후에 생기는 물성 저하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전술된 바와 같은 조성물들을 이축압출기를 이용하여 반응압출(Reactive Extrusion)시키는 방법을 사용한다. 즉, 2개의 원료 공급부와 2대의 원료공급기가 부착된 이축압출기를 이용하여 폴리에틸렌과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터가 1:1∼1:30의 중량비로 혼합된 매트릭스 수지 100중량부, 결합제 0.01∼10중량부, 라디칼개시제 0.01∼1.0중량부 및 자동산화제 0.01∼10중량부를 이축압출기의 주공급부(main hopper)에 넣고, 전분 10∼150중량부, 전분가소제 0.01∼40중량부 및 전분 결합파괴제 0.01∼10중량부를 압출기 중간에 위치한 측면공급부에 넣어 상기 매트릭스 수지 혼합물과 상기 전분 혼합물을 서로 다른 위치에서 공급하여 이축압출기에서 혼합시킨 후, 온도 150∼220℃, 스크류속도 50∼300rpm으로 조절하고 반응 압출시킴으로써 폴리에틸렌 사슬에 결합제가 그라프트되어 폴리에틸렌과 지방족 폴리에스터의 상용성이 증가함과 동시에 분자간 결합이 파괴된 전분과 에스테르 반응이 일어나도록 하여 전분이 매트릭스 수지에 화학결합된 생분해성 플라스틱 조성물을 제조하게 된다.
상기 생분해성 플라스틱 조성물의 제조시 매트릭스 수지에 결합제의 그래프트 비율을 높여주기 위하여 조단량체 0.01∼10중량부를 결합제와 동시에 첨가할 수 있으며, 상기 생분해성 플라스틱 조성물에 촉매역할과 상용화제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상용촉매제 0.01∼10중량부를 결합제와 동시에 첨가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생분해성 플라스틱 조성물은 단축압출기를 사용하여 온도 150~220℃, 스크류 속도 50∼150 rpm의 운전조건에서 압출하여 일반적인 폴리에틸렌 블로운 필름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생분해성 플라스틱 조성물을 이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생분해성이 우수한 사출품 및 성형물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지만, 하기예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헨셀믹서(Henschel Mixer)에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용융지수=1g/10min, 밀도=0.919g/㎤) 2.5kg과 폴리카프로락톤(PCL, Union Carbide 사, TONE P-787 ) 2.5kg을 넣고 100mL의 아세톤에 무수말레인산 100g, 올레인산 10g, 벤조일 퍼옥사이드 30g, 올레인산 망간 20g, 아크릴산 50g 및 스티렌 50g을 녹인 용액을 사용해 폴리에틸렌에 코팅시켰다. 또 다른 헨셀믹서에 수분함유율이 10중량%인 옥수수전분 500g과 글리세린 50g, 파라톨루엔 술폰아마이드 50g을 넣고 혼합하여 준비하였다. 상기 각 혼합물들을 2대의 원료공급기(Feeder)를 사용하여 압출온도 170℃, 스크류 속도 250rpm으로 유지되는 압출기에서 혼합시킨 후 이를 반응압출시켜 전분이 매트릭스 수지에 화학결합된 생분해성 플라스틱 조성물 펠렛을 제조하였다. 상기 생분해성 플라스틱 조성물 펠렛으로 생분해성 필름을 제조한 후 이의 물성과 생분해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2∼6]
전분의 함량을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생분해성 조성물 펠렛을 제조한 후 이를 이용하여 각각 필름을 제조하였다. 각 실시예에서 제조된 필름의 물성 및 생분해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또한 실시예 4에 따른 필름의 단면을 주사 전자현미경(× 2000)으로 관찰하고 이의 사진을 제4도에 도시하였다.
[비교예 1]
폴리카프로락톤과 전분을 혼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조성물을 제조한 후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필름의 생분해도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또한, 이에 따른 필름의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을 제1도로 나타내었다.
[비교예 2]
매트릭스 수지와 전분의 화학결합시 생기는 에스터 결합을 확인하기 위하여 폴리카프로락톤을 혼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조성물을 제조한 후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필름의 생분해도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또한 이에 따른 필름의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을 제2도로 나타내었다.
[비교예 3]
전분과 무수말레인산(결합제)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조성물을 제조한 후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필름의 물성 및 생분해도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비교예 4]
전분을 혼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조성물을 제조한 후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필름의 물성 및 생분해도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비교예 5]
전분을 가소화시키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조성물을 제조한 후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필름의 물성 및 생분해도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으며, 이의 필름 단면을 주사 전자 현미경(×2400)으로 관찰하고 이의 사진을 제3도에 도시하였다.
[비교예 6]
무수말레인산(결합제)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조성물을 제조한 후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필름의 물성 및 생분해도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생분해도는 ASTM G21-70 법에 따라 최소 21일간 배양하여 필름에 곰팡이가 뒤덮인 정도를 다음과 같이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제조된 생분해성 필름의 기계적 물성은 UTM(Universal Testing Machine)을 사용하여 인장강도와 신장율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7∼13]
본 실시예에서는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에 폴리카프로락톤(PCL, Union Carbide 사, TONE P-787)을 하기 표 2와 같은 비율로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을 제조한 후 이의 물성 및 생분해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또한 실시예 10에 따른 조성물의 시차주사열분석기 데이터를 제6도에 도시하였다.
[실시예 14∼ 19]
본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전분의 함량을 하기 표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사용하고 결합제로서 무수말레인산 대신 무수메타크릴산을 사용하고 상용촉매제로서 아크릴산 대신 메타크릴산을 사용하여 필름을 제조한 후 필름의 둘성 및 생분해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20 ∼ 23]
본 실시예에서는 폴리카프로락톤(PCL, Union Carbide 사, TONE P-787)을 하기 표 4와 같은 비율로 폴리에틸렌과 혼합하여 상기 실시예 17과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을 제조한 후 이의 물성 및 생분해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4에 기재하였다.
상기 실시예 1∼6 및 비교예 1∼6으로 부터 알 수 있듯이, 전분과 지방족 폴리에스터가 혼합되지 않은 비교예 1의 경우에는 생분해가 전혀 일어나지 않았으나, 지방족 폴리에스터나 전분이 혼합된 실시예 및 비교예의 경우는 생분해가 일어났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전분이 혼합되지 않은 비교예 3과 4를 비교하여 보면 결합제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매트릭스 수지로 사용되는 폴리에틸렌과 폴리카프로락톤(지방족 폴리에스터)의 상용성이 좋지 않아 물성에 있어서 현저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3 및 16과 같이 전분의 함량이 60중량부 이상이면 생분해도가 매우 양호함을 알 수 있었으며 전분의 함량이 상기 실시예 5 및 18과 같이 120중량부 이상이면 생분해도는 양호하나 인장강도와 신장율이 저하되기 시작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사용하는 플라스틱 제품의 물성과 생분해성의 필요 정도에 따라 전분이 10 내지 150중량부 혼합된 플라스틱 조성물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이중에서도 물성과 생분해성이 모두 우수한 가장 바람직한 전분의 첨가량은 60∼120중량부임을 알 수 있다.
한편,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 분석을 통하여 전분과 매트릭스 수지 사이에 화학적 결합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분과 폴리카프로락톤(지방족 폴리에스터)을 첨가하지 않고 단순히 결합제만 플리에틸렌 수지에 그래프트시킨 것(비교예 1)은 1800∼1760cm-1에서 결합제의 산무수물의 흡수가 일어났음을 알 수 있고,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리에틸렌 수지에 전분을 첨가하여 반응압출시킨 것(비교예 2)은 1800∼1760cm-1에서는 흡수가 일어나지 않고 1760∼1680cm-1에서 결합제의 산무수물과 전분의 수산화기가 반응하여 새롭게 생긴 에스터 결합의 카르복실기의 흡수가 일어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1과 2에서 매트릭스 수지로 폴리에틸렌만을 사용한 이유는 매트릭스 수지와 전분이 화학결합하여 생기는 에스터 결합의 적치선 분광 스펙트럼 흡수가 지방족 폴리에스터의 흡수와 중첩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실시예 4(제4도)와 비교예 5(제3도)에 따른 생분해성 필름의 단면을 관찰한 결과 전분의 분자간 결합이 파괴되어 입자의 크기가 7∼20㎛(제3도)의 기본입자에서 1㎛ 이하(제4도)로 작아졌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시차주사열분석기를 이용하여 폴리카프로락톤(제5도)과 실시예 10(제6도)의 결정화 온도를 측정하여 본 결과, 결합제를 이용하여 폴리에틸렌과 가소화전분을 혼합하여 주면 폴리카프로락톤의 결정화 온도가 17℃(제5도)에서 29℃(제6도)로 12℃ 상승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게다가 100℃ 부근에서 새롭게 결정화가 일어남을 알 수 있는데, 이는 필름 가공시 냉각이 촉진되어 필름 성형성이 향상됨을 의미한다. 이렇게 향상된 필름 성형성을 얻으면서도 기계적 물성과 생분해도가 유지되는 것은 상기 표 2로부터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플라스틱 조성물은 가공성과 물성이 우수하고, 생분해성도 향상되며, 제조방법이 간단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Claims (18)

  1. 폴리에틸렌과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터가 1:1∼1:30의 중량비로 혼합된 매트릭스 수지 100중량부와 전분 10∼150중량부, 전분가소제 0.01∼40중량부, 전분의 결합파괴제 0.01∼10중량부, 결합제 0.01∼10중량부, 라디칼개시제 0.01∼1.0중량부 및 자동산화제 0.01∼10중량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분이 매트릭스 수지에 화학 결합된 생분해성 플라스틱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 조단량체 0.01∼10중량부 및/또는 상용촉매제 0.01~10중량부가 더욱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단랑체가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및 에틸아크릴레이트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이 혼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용촉매제가 아크릴산 및/또는 메타크릴산인 것을 특징로 하는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이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터가 폴리카프로락톤, 폴리락트산, 및 디올과 디엑시드로 축중합되는 지방족 폴리에스터와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분이 60∼120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분이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및 쌀 전분 등으로 이루어지는 일반 전분과 산처리 전분, 에스테르 전분, 양성 전분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분가소제가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솔비톨, 글리세를 또는 이들의 혼합조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분의 결합파괴제가 요소, 파라톨루엔 술폰아마이드, 멜라민 또는 이들의 혼합조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제가 무수 말레인산, 무수 메타크릴산 및 말레이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칼개시제가 벤조일 퍼옥사이드, 디-삼중부틸 퍼옥사이드, 아조비스 이소부틸로 니트릴, 삼중부틸 히드로 퍼옥사이드, 디큐밀 퍼옥사이드, 1, 3-Bis(t-butylperoxy-isoaropyl)benzene, 또는 2, 5-Dimethyl-2, 5-di(t-butylperoxy)hexa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산화제가 올레인산, 스테아린산, 올레인산 망간, 스테아린산 망간, 올레인산 철(II), 스테아린산 철(II) 또는 이들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4. 2개의 원료 공급부와 2대의 원료공급기가 부착된 이축압출기를 준비하여 폴리에틸렌과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터가 1:1∼1:30의 중량비로 혼합된 매트릭스 수지 100중량부와 결합제 0.01∼10중량부 및 라디칼개시제 0, 01∼1.0중량부를 이축압출기의 주공급부에 넣고 전분 10∼150중량부와 전분가소제 0.01∼40중량부, 전분 결합파괴제 0.01∼10중량부 및 자동산화제 0.01∼10중량부를 측면공급부에 넣어 상기 매트릭스 수지 혼합물과 상기 전분 혼합물을 서로 다른 위치에서 공급하여 이축압출기에서 혼합시킨 후, 온도 150∼220℃, 스크류속도 50∼300rpm에서 반응압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분이 매트릭스 수지에 화학 결합된 생분해성 플라스틱 조성물의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제조시 조단량체 0.01∼10중량부 및/또는 상용촉매제 0.01∼10중량부가 결합제와 동시에 더욱 첨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조단량체가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에틸 아크릴레이트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상용촉매제가 아크릴산 및/또는 메타크릴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8.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분이 매트릭스 수지에 화학결합된 생분해성 플라스틱 조성물로부터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성형물.
KR1019960061524A 1995-12-06 1996-12-04 전분이 매트릭스 수지에 화학결합된 생분해성 플라스틱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물 KR1001978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50048168 1995-12-06
JP101995048168 1995-12-06
KR101995048168 1995-12-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2813A KR970042813A (ko) 1997-07-26
KR100197899B1 true KR100197899B1 (ko) 1999-06-15

Family

ID=19438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1524A KR100197899B1 (ko) 1995-12-06 1996-12-04 전분이 매트릭스 수지에 화학결합된 생분해성 플라스틱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861461A (ko)
JP (1) JPH09194696A (ko)
KR (1) KR100197899B1 (ko)
DE (1) DE19650568A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94003A1 (en) * 2001-04-13 2002-11-28 Republic Of Korea Represented By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Biodegradable mulching-mat for preventing weed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mat
KR20030042572A (ko) * 2001-11-23 2003-06-02 주식회사 그린메이드 생분해성 및 생붕괴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성형제품
KR20030070623A (ko) * 2002-02-26 2003-09-02 수언룽윈 미생물분해 합성수지와 식물성 섬유를 복합한 생분해성일회용 용기재료의 제조방법
KR100405326B1 (ko) * 2000-12-18 2003-11-10 에코니아 주식회사 지력 향상성을 갖는 매립형 육묘용기 제조용 조성물,그로부터 제조된 매립형 육묘용기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440477B1 (ko) * 2002-01-10 2004-07-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생붕괴성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18646B1 (ko) 2010-05-27 2012-03-06 주식회사 블리스팩 투명도와 유연성이 우수한 생분해성 수지, 그의 제조방법 및 성형 가공체
KR101320435B1 (ko) 2010-09-08 2013-10-23 (주)우성케미칼 생분해성 필름 조성물
US9890258B2 (en) 2015-07-29 2018-02-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to ensure degradation of plastic films in an anaerobic environment, such as a landfil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278737T1 (de) * 1996-11-05 2004-10-15 Novamont Spa Biologiscgh abbaure polymerzusammensetzungen, die stärke und ein thermoplastisches polymer enthalten
US6124384A (en) * 1997-08-19 2000-09-26 Mitsui Chemicals, Inc. Composite resin composition
ITTO980524A1 (it) * 1998-06-17 1999-12-17 Novamont Spa Composizioni contenenti amido aventi elevata resistenza all'invecchiam ento.
KR100564345B1 (ko) * 1998-08-11 2006-03-27 도시노부 요시하라 생분해성 플라스틱 성형용 조성물, 이로부터 얻어진생분해성 플라스틱, 그 성형방법 및 생분해성 플라스틱의용도
KR100523480B1 (ko) * 1998-11-09 2006-01-12 주식회사 새 한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DE19908921A1 (de) * 1999-03-02 2000-09-07 Buna Sow Leuna Olefinverb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ehrphasigen Polymerelektrolyten aus biologisch abbaubarem Material auf Basis von Stärkeestern
US6482872B2 (en) 1999-04-01 2002-11-19 Programmable Materials, Inc. Process for manufacturing a biodegradable polymeric composition
CN1074435C (zh) * 1999-06-22 2001-11-07 沈阳南阳经贸集团有限公司 多元降解树脂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0368047B1 (ko) * 1999-12-09 2003-01-14 에코니아 주식회사 성형품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제조 방법
KR100346644B1 (ko) * 1999-11-02 2002-08-03 한화석유화학 주식회사 생붕괴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332163B1 (ko) * 1999-11-26 2002-04-12 이영일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81256B1 (ko) * 1999-12-30 2006-05-22 삼성토탈 주식회사 생분해성 수지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114653C (zh) * 2000-01-12 2003-07-16 李小鲁 可生物降解的树脂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0584950B1 (ko) * 2000-02-25 2006-05-29 에스케이 주식회사 생붕괴성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조성물 및 이의 필름
US6552124B2 (en) * 2000-12-29 2003-04-2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of making a polymer blend composition by reactive extrusion
ITTO20010060A1 (it) * 2001-01-25 2002-07-25 Novamont Spa Miscele ternartie di poliesteri alifatici biodegradabili e prodotti da queste ottenuti.
KR20020066258A (ko) * 2001-02-09 2002-08-14 김희성 환경 친화성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458042B1 (ko) * 2001-09-11 2004-11-26 호남석유화학 주식회사 전분함유 폴리에틸렌 생붕괴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465980B1 (ko) * 2001-09-21 2005-01-13 주식회사 진웅화학 생분해성 수지조성물
KR100484721B1 (ko) * 2002-02-27 2005-04-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생분해성 마스터배치 수지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생붕괴성 필름
FI115463B (fi) * 2002-10-25 2005-05-13 Valtion Teknillinen Uudet tärkkelyspohjaiset koostumukset ja menetelmä niiden valmistamiseksi
CN1172983C (zh) * 2002-10-28 2004-10-27 汕头市奇佳机械厂有限公司 以淀粉为基料的全降解仿纸材料及其制备方法
DE10336387A1 (de) * 2003-08-06 2005-03-03 Basf Ag Biologisch abbaubare Polyestermischung
ITPD20030213A1 (it) * 2003-09-17 2005-03-18 Deca Srl Materiale termoplastico biodegradabile.
JP2005145895A (ja) * 2003-11-17 2005-06-09 Kao Corp 粘着ゲルシートの製造方法
EP1724300A1 (en) * 2004-03-10 2006-11-22 Agri Future Joetsu Co., Ltd. Starch-blended resin composition, molding thereof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100644256B1 (ko) * 2004-04-30 2006-11-10 호남석유화학 주식회사 자동차 웨더스트립용 코팅재 및 이의 제조방법
US7153354B2 (en) * 2004-11-19 2006-12-26 Board Of Trustees Of Michigan State University Chemically modified plasticized starch compositions by extrusion processing
US7629405B2 (en) * 2004-11-19 2009-12-08 Board Of Trustees Of Michigan State University Starch-polyester biodegradable graft copolyers and a method of preparation thereof
US7666946B2 (en) * 2006-01-27 2010-02-23 Arkema Inc. Blends of biopolymers with acrylic copolymers
JP2007269995A (ja) * 2006-03-31 2007-10-18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ポリ乳酸含有樹脂組成物、ポリ乳酸含有樹脂フィルム及びポリ乳酸含有樹脂繊維
WO2008014483A1 (en) * 2006-07-28 2008-01-31 Alcan Packaging Flexible France Coextruded film with polylactic acid (pla) and ethylene vinyl acetate (eva)
US7909003B2 (en) 2006-08-07 2011-03-22 J. W. Pet Company, Inc. Chew toys comprising biologically degradable material
WO2009073197A1 (en) * 2007-12-05 2009-06-11 Board Of Trustees Of Michigan State University Biodegradable thermoplasticized starch-polyester reactive blends for thermoforming applications
FR2934272B1 (fr) * 2008-07-24 2013-08-16 Roquette Freres Procede de preparation de compositions a base de matiere amylacee et de polymere synthetique.
KR101379552B1 (ko) 2011-08-18 2014-03-31 (주)엘지하우시스 Pla 수지를 사용한 친환경 시트
CO6350195A1 (es) * 2011-09-23 2011-12-20 Univ Del Cauca Peliculas y empaques biodegradables obtenidos a partir de almidon de yuca y proceso de fabricacion de los mismos
US9327438B2 (en) 2011-12-20 2016-05-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for forming a thermoplastic composition that contains a plasticized starch polymer
US9718258B2 (en) 2011-12-20 2017-08-0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ulti-layered film containing a biopolymer
JP2013142153A (ja) * 2012-01-11 2013-07-22 Joiaasu Kk 機械的強度に優れた生分解性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れを用いた生理用品および衛生用品
GB201217207D0 (en) * 2012-09-26 2012-11-07 Biome Bioplastics Ltd Bio-resins
RU2714887C1 (ru) * 2018-11-22 2020-02-2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Москов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пищевых производств" Биологически разрушаемая полимерная композиция
US20200172321A1 (en) * 2018-11-30 2020-06-04 Lightbulb Innovation, LLC Removable Lining System For Coolers
JP7246691B2 (ja) * 2018-12-14 2023-03-28 株式会社コバヤシ 樹脂組成物
CN110467736B (zh) * 2019-09-18 2021-12-07 枣阳市东航塑编彩印有限公司 一种可生物降解的塑料编织袋生产工艺
CN112405931B (zh) * 2020-10-26 2022-09-20 苏州和塑美科技有限公司 一种纳米蒙脱土增强淀粉基生物降解吹膜材料的制备方法及其产品和应用
KR102508277B1 (ko) * 2021-02-15 2023-03-09 대상 주식회사 열가소성 전분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34783B (it) * 1989-05-30 1992-05-27 Butterfly Srl Procedimento per la produzione di composizioni a base di amido destrutturato e composizioni cosi ottenute
US5412005A (en) * 1991-05-03 1995-05-02 Novamont S.P.A. Biodegradable polymeric compositions based on starch and thermoplastic polymers
DE4116404A1 (de) * 1991-05-18 1992-11-19 Tomka Ivan Polymermischung fuer die herstellung von folien
SK147693A3 (en) * 1991-06-26 1994-09-07 Procter & Gamble Biodegradable, liquid impervious film
US5254607A (en) * 1991-06-26 1993-10-19 Tredegar Industries, Inc. Biodegradable, liquid impervious films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5326B1 (ko) * 2000-12-18 2003-11-10 에코니아 주식회사 지력 향상성을 갖는 매립형 육묘용기 제조용 조성물,그로부터 제조된 매립형 육묘용기 및 그의 제조방법
WO2002094003A1 (en) * 2001-04-13 2002-11-28 Republic Of Korea Represented By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Biodegradable mulching-mat for preventing weed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mat
KR20030042572A (ko) * 2001-11-23 2003-06-02 주식회사 그린메이드 생분해성 및 생붕괴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성형제품
KR100440477B1 (ko) * 2002-01-10 2004-07-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생붕괴성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30070623A (ko) * 2002-02-26 2003-09-02 수언룽윈 미생물분해 합성수지와 식물성 섬유를 복합한 생분해성일회용 용기재료의 제조방법
KR101118646B1 (ko) 2010-05-27 2012-03-06 주식회사 블리스팩 투명도와 유연성이 우수한 생분해성 수지, 그의 제조방법 및 성형 가공체
KR101320435B1 (ko) 2010-09-08 2013-10-23 (주)우성케미칼 생분해성 필름 조성물
US9890258B2 (en) 2015-07-29 2018-02-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to ensure degradation of plastic films in an anaerobic environment, such as a landfill
US10808090B2 (en) 2015-07-29 2020-10-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composition to ensure degradation of plastic films in an anaerobic environment, such as a landfi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9194696A (ja) 1997-07-29
DE19650568A1 (de) 1997-06-12
KR970042813A (ko) 1997-07-26
US5861461A (en) 1999-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7899B1 (ko) 전분이 매트릭스 수지에 화학결합된 생분해성 플라스틱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물
KR960012444B1 (ko) 전분이 화학 결합된 생분해성 폴리에틸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960012445B1 (ko) 전분이 화학결합된 생분해성 폴리에틸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22786B1 (ko) 폴리락트산-함유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JP3716730B2 (ja) 乳酸系樹脂組成物
JPH0623260B2 (ja) 微生物崩壊性熱可塑性樹脂成形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073539A (ja) 高強度生分解性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KR100368738B1 (ko) 생/광분해성 농업용 멀칭필름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 부터 제조된 성형물
WO2018199494A1 (ko) 복합분해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EP4071211A1 (en) Biodegradable resin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iangkitiwan et al. Poly (lactic acid) filled with cassava starch-g-soybean oil maleate
KR100458042B1 (ko) 전분함유 폴리에틸렌 생붕괴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332163B1 (ko)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339789B1 (ko) 열가소성 전분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얻어진 열가소성 전분으로부터 분해성 플라스틱 마스터배치를 제조하는 방법
CN1156154A (zh) 生物可降解的塑料组合物制备该组合物的方法和用该组合物制备的产品
KR100484721B1 (ko) 생분해성 마스터배치 수지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생붕괴성 필름
KR102204708B1 (ko) 복합분해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346644B1 (ko) 생붕괴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5314948A (en) Olefinic impact modifiers for, and blends with, thermoplastic polyester resins
JP2003221423A (ja) 複合樹脂組成物とその製造方法
US5356992A (en) Compatibilized blends of PPE/polyethylene copolymer
KR960005075B1 (ko) 중합관능기를 갖는 전분을 이용한 생분해성 폴리에틸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6041914A (zh) 一种可降解塑料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0354496B1 (ko)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의해 수득된 조성물
KR20020066258A (ko) 환경 친화성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