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6664B1 - 무선 키 보드 및 마우스를 갖는 퍼스널 컴퓨터 - Google Patents

무선 키 보드 및 마우스를 갖는 퍼스널 컴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6664B1
KR100196664B1 KR1019960010116A KR19960010116A KR100196664B1 KR 100196664 B1 KR100196664 B1 KR 100196664B1 KR 1019960010116 A KR1019960010116 A KR 1019960010116A KR 19960010116 A KR19960010116 A KR 19960010116A KR 100196664 B1 KR100196664 B1 KR 100196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keyboard
personal computer
wired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0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1220A (ko
Inventor
이근석
Original Assignee
이상영
세진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45501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19666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영, 세진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상영
Priority to KR1019960010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6664B1/ko
Publication of KR970071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1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6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66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1Cordless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Arrangements integrating additional peripherals in a keyboard, e.g. card or barcode reader, optical scann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4Wireless input, i.e. hardware and software details of wireless interface arrangements for poin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퍼스널 컴퓨터에 관한 것으로서, 눌려진 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무선 키보드와; 눌려진 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며, 제 1 표시부를 구비하여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락 상태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유선 키보드와; 제 2 표시부와, 버퍼와, 무선 키보드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부의 데이터 및 유선 키보드의 데이터를 순착적으로 수신하여 대응 구동하고, 데이터들이 락 모드를 지시하는 데이터이면 락 모드로 구동하며, 락 모드시에 상기 표시부로 구동시키고, 유선 및 무선 키보드로부터 데이터가 인가되지 않을 때까지 유선 키보드의 제 1 표시부를 구동시키는 데이터를 버퍼에 저장시킨 후 상기 유선 키보드에 인가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은 퍼스널 컴퓨터 내부에 송신용 데이터를 위한 별도의 버퍼를 구성하므로써 퍼스널 컴퓨터의 락상태를 유선 키보드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한편, 퍼스널 컴퓨터의 표시부를 통하여 표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선 키보드 및 마우스를 갖는 퍼스널 컴퓨터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키보드 및 마우스를 갖는 퍼스널 컴퓨터의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키보드 및 마우스를 갖는 퍼스널 컴퓨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무선 키보드 2 : 유선 키보드
3 : 퍼스널 컴퓨터
본 발명은 무선 및 유선 키보드를 이용하는 퍼스널 컴퓨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키보드의 락(Lock)상태를 표시하며, 무선 마우스의 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무선 키보드 및 마우스를 갖는 무선 키보드 및 마우스를 갖는 퍼스널 컴퓨터에 관한 것이다.
퍼스널 컴퓨터의 입력 장치로서는 유선으로 컴퓨터와 연결되는 키보드가 통상 사용되고 있으나, 미국 특허 공보 제 4,628,54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적외선 신호를 이용하는 통신 장치의 등장으로 무선 키보드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퍼스널 컴퓨터가 개발되고 있다.
한편, 퍼스널 컴퓨터의 유선 키보드에는 통상 락키(Num Lock, Caps Lock, Scroll Lock) 들이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락 키의 구동 상태를 표시하는 별도의 표시 장치가 구성되어 있고, 표시 장치는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인가되는 명령 신호에 따라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무선 키보드를 겸용으로 사용하는 종래의 퍼스널 컴퓨터에서는 키보드의 락 키의 구동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게 괸다. 즉, 퍼스널 컴퓨터는 유선 또는 무선 키보드들중 어느 하나와 통신중에는 다른 키보드와 동시에 통신이 불가능한 상태이므로, 통신 중인 키보드에는 표시 명령 신호를 인가할 수 있으나, 다른 키보드 즉, 통신중이 아니었던 키보드에는 표시 명령 신호를 인가할 수 없게 되어 락 키의 구동 상태가 표시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통신중이 아닌 키보드의 사용자는 락 키에 의하여 퍼스널 컴퓨터가 락 모드로 구동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알 수 없어 잘못된 데이터를 입력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의 입력 장치의 하나로서 마우스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마우스 역시 무선으로 사용할 수 있게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무선 마우스의 경우에 무선 키보드와는 별도의 송신 장치를 구비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제작 단가가 높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무선 겸용 퍼스널 컴퓨터에서 락 키의 구동 상태를 표시하여 주는 무선 키보드 및 마우스를 갖는 퍼스널 컴퓨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 키보드 및 무선 마우스를 결합하므로써 하나의 송신 장치로서 무선 키보드 및 무선 마우스의 신호를 퍼스널 컴퓨터에 송신할 수 있게 한 무선 키보드 및 마우스를 갖는 퍼스널 컴퓨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의 락 표시 장치는, 눌려진 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무선 키보드와; 눌려진 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며, 제 1 표시부를 구비하여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락 상태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유선 키보드와; 제 2 표시부와, 버퍼와, 무선 키보드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부의 데이터 및 유선 키보드의 데이터를 순착적으로 수신하여 대응 구동하고, 데이터들이 락 모드를 지시하는 데이터이면 락 모드를 구동하며, 락 모드시에 상기 표시부로 구동시키고, 유선 및 무선 키보드로부터 데이터가 인가되지 않을 때까지 유선 키보드의 제 1 표시부를 구동시키는 데이터를 버퍼에 저장시킨 후 상기 유선 키보드에 인가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무선 키보드는, 키 메트릭스와; 마우스와; 키 메트릭스의 눌려진 키 및 마우스의 볼 회전을 순차적으로 탐색하여 눌려진 키 및 볼 회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키보드(1) 및 유선 키보드(2)와 연결되는 퍼스널 컴퓨터의 (3)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키보드(1)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1), 키 메트릭스(13) 및 송신부(15)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1)는 스캐닝 신호를 키 메트릭스(13)에 인가하므로써 키 메트릭스(13)의 키들중 눌려진 키를 탐색하고 해당 키 코드를 송신부(15)를 통하여 퍼스널 컴퓨터(3)에 송신한다.
즉, 마이크로 프로세서(11)는 키보드내의 키들을 계속 훑어가면서 어떤 키가 눌려졌는가를 확인하여 눌린 키가 있으면 눌린 키에 해당하는 코드를 찾아 컴퓨터(3)로 전송한다. 마이크로 컴퓨터(11)가 이와 같이 눌린 키가 있는가를 검사하는 것을 스캔(scan)이라 하며, 스캔을 통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11)가 인식하는 코드를 키보드 스캔 코드라 한다.
스캔을 통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11)가 인식하는 코드를 키보드 스캔 코드라 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11)는 이 키보드 스캔 코드를 받아서 컴퓨터(3)로 보낼 코드로 다시 변환시키는데 이 변환된 코드를 시스템 스캔 코드(본 명세서에서는 데이터라 칭하였다.)라 한다.
유선 키보드(2)는 마이크로 프로세서(21), 키 메트릭스(23) 및 표시부(25)를 포함하며, 마이크로 프로세서(21)는 퍼스널 컴퓨터(3)와 예컨데 RS232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어 퍼스널 컴퓨터(3)와 상호 통신이 가능하다. 즉, 마이크로 프로세서(21)는 키 메트릭스(23)의 눌려진 키에 대응하는 시스템 스캔 코드 즉, 데이터를 퍼스널 컴퓨터(3)에 송신하는 한편, 퍼스널 컴퓨터(3)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에 따라 표시부(25)를 구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표시부(25)는 락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 3개의 발광 다이오드(Num Lock, Caps Lock, Scroll Lock용 각각)이며, 마이크로 프로세서(21)는 퍼스널 컴퓨터(3)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에 따라 표시부(25)의 다이오드들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것이다.
퍼스널 컴퓨터(3)에는 무선 키보드(1)의 송신부(15)를 통하여 송신된 코드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30)가 구성되고, 수신부(30)는 이 수신 데이터를 퍼스널 컴퓨터(3)의 내부 프로세서(31)에 전송한다. 이 내부 프로세서(31)는 유선 키보드(2)와 직접 연결되어 있어 키보드(2)와의 통신이 가능하다.
도한, 프로세서(31)에는 별도의 버퍼(32)가 연결되어 있으며, 이 버퍼(3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유선 키보드(2)의 표시부(33)를 구동시키도록 전송하는 데이터가 일시 저장된다. 즉, 프로세서(31)는 무선 또는 유선 키보드(1,2)의 데이터가 락 키에 해당하는 것(예컨데, 락 키에 의하여 락 모드가 설정된 경우)일 때에는 이에 해당하는 작동을 행하고, 유선 키보드(2)에는 락 모드가 설정되어 있음을 표시하도록 표시부(25)를 구동시키라는 데이터를 송신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31)는 데이터의 송신 시점에서 무선 키보드(2)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는 상태일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유선 키보드(2)에 데이터를 송신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이 경우에 본 발명의 프로세서(31)는 유선 키보드(2)에 송신할 데이터를 버퍼(32)에 일시 저장시키고, 무선 키보드(2)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한 후 즉, 유선 키보드(2)에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시점에서 버퍼(32)에 저장된 데이터를 유선 키보드(2)로 송신하는 것이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여 유선 키보드(2)는 표시부(25)를 통하여 락 상태를 표시할 수 있으나, 무선 키보드(2)는 락 상태를 표시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퍼스널 컴퓨터(3)에 키보드(1,2)들의 락 상태를 표시하는 별도의 표시부(33)를 구성하였으며, 프로세서(31)는 락 상태일 때에 표시부(33)를 구동시키게 구성된다. 즉, 무선 키보드(2)의 사용자는 퍼스널 컴퓨터(3)의 표시부(33)를 통하여 락 상태를 알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퍼스널 컴퓨터에서 키보드와의 다른 입력 장치로서 마우스가 있으며, 이러한 마우스 역시 무선을 통하여 퍼스널 컴퓨터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무선 마우스는 별도의 송신 장치를 구비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제2도에는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선 키보드(1)의 마이크로 프로세서(11)에는 키 메트릭스(13)외에 마우스(17)가 연결되어 있으며, 마이크로 프로세서(11)는 키 메트릭스(13)의 키 및 마우스(17)의 볼 회전을 순차적으로 감지하여 먼저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송신부(15)에 인가하는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본원 발명에서는 마우스(17)의 볼 회전을 감지하기 위한 별도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마우스(17)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별도의 송신부를 구성할 필요가 없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퍼스널 컴퓨터 내부에 송신용 데이터를 위한 별도의 버퍼를 구성하므로써 퍼스널 컴퓨터의 락 상태를 유선 키보드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한편, 퍼스널 컴퓨터의 표시부를 통하여 표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무선 키보드와 무선 마우스를 하나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 송신부를 이용하여 퍼스널 컴퓨터와 결합시키므로써 제작 단가가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퍼스널 컴퓨터와 연결되는 입력 장치로서, 눌려진 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무선 키보드와; 눌려진 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며, 제 1 표시부를 구비하여 상기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락 상태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유선 키보드와; 제 2 표시부와, 상기 무선 키보드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버퍼와, 상기 수신부의 데이터 및 상기 유선 키보드의 데이터를 순착적으로 수신하여 대응 구동하고, 상기 데이터들이 락 〃를 지시하는 데이터이면 락 모드로 구동하며, 락 모드시에 상기 표시부로 구동시키고, 상기 유선 및 무선 키보드로부터 데이터가 인가되지 않을 때까지 상기 유선 키보드의 제 1 표시부를 구동시키는 데이터를 상기 버퍼에 저장시킨 후 상기 유선 키보드에 인가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무선 키보드 및 마우스를 갖는 퍼스널 컴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키보드는, 키 메트릭스와; 마우스와; 상기 키 메트릭스의 눌려진 키 및 상기 마우스의 볼 회전을 순차적으로 탐색하여 눌려진 키 및 상기 볼 회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무선 키보드 및 마우스를 갖는 퍼스널 컴퓨터.
KR1019960010116A 1996-04-04 1996-04-04 무선 키 보드 및 마우스를 갖는 퍼스널 컴퓨터 KR100196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0116A KR100196664B1 (ko) 1996-04-04 1996-04-04 무선 키 보드 및 마우스를 갖는 퍼스널 컴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0116A KR100196664B1 (ko) 1996-04-04 1996-04-04 무선 키 보드 및 마우스를 갖는 퍼스널 컴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1220A KR970071220A (ko) 1997-11-07
KR100196664B1 true KR100196664B1 (ko) 1999-06-15

Family

ID=19455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0116A KR100196664B1 (ko) 1996-04-04 1996-04-04 무선 키 보드 및 마우스를 갖는 퍼스널 컴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66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8479A (ko) * 1998-07-14 2000-02-07 윤종용 유, 무선의 주변장치를 동시에 지원하는 컴퓨터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1220A (ko) 199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8129438A (ja) 表示装置
KR100196664B1 (ko) 무선 키 보드 및 마우스를 갖는 퍼스널 컴퓨터
JP2000148316A (ja) 携帯端末装置、携帯端末装置のインタフェース切替方法および記録媒体
US6556187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of wireless keyboard having track-ball
US5892459A (en) Processing circuit for input signal from key or remote-controller
KR0179757B1 (ko) 암호 입력 장치
US5907718A (en) Signal processing system for transmission of data between a keyboard and a signal processing unit
KR200156467Y1 (ko) 리모콘과 마우스를 접속시키기 위한 접속장치를갖는 컴퓨터
KR100525863B1 (ko) 개인용 정보 단말기에서의 원격 제어장치 및 방법
JP3526759B2 (ja) 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用キーボード
KR19980072128A (ko) 개인용 컴퓨터의 리모트 조이스틱 장치
KR100501379B1 (ko) 원격 조작 장치
KR100471078B1 (ko) 휴대용 컴퓨터 및 그 제어방법
JPH09222945A (ja) ワイヤレス式入力装置
JPH08137599A (ja) データ入力装置
JPH10174177A (ja) 赤外線通信制御システムおよび赤外線通信制御方法
KR19990056411A (ko) 무선 문자 입력 및 디스플레이 장치
JPH08163038A (ja) ワイヤレス入力装置
KR20020030865A (ko) 특수 기능키 상태 제어 방법
KR960006672A (ko) 상호 통신용 적외선 원격 조정 송신기 및 수신기
JPS62212718A (ja) キ−ボ−ド装置
KR20060008763A (ko) 리모콘과 티브이간의 상호 식별 구조
KR0144331B1 (ko) 계산기 겸용 리모콘의 구동 방법
KR19990019794A (ko) 무선 원격제어 시스템
KR19990019813A (ko) 표시창이 구비된 키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00327

Effective date: 2000122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