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5949B1 -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스템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5949B1
KR100195949B1 KR1019950044982A KR19950044982A KR100195949B1 KR 100195949 B1 KR100195949 B1 KR 100195949B1 KR 1019950044982 A KR1019950044982 A KR 1019950044982A KR 19950044982 A KR19950044982 A KR 19950044982A KR 100195949 B1 KR100195949 B1 KR 100195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y tube
cathode ray
stem
acceleration
electron gu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4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0193A (ko
Inventor
윤희원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50044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5949B1/ko
Publication of KR970030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0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5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59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92Means forming part of the tube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to 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94Selection of substances for gas fillings; Means for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ressure within the tube, e.g. by gettering

Landscapes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극선관용 전자총 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극선관의 내부 진공도를 유지하기 위한 배기공정후의 진공도를 유지하도록 밀봉하는 공정인 스템의 배기관을 잘라내는 공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배기관에 잘라내는 부위에 비드부를 설치한 스템의 배기관에 관한 것으로써, 전자총을 음극선관의 내부에 내장, 고정시켜 주고 각 전기들에 일정전압을 인가해 주는 스템의 구조가 음극선관의 내부 진공도 유지를 배기 시키는 통로인 배기관의 형상이 내측은 일직선 형태를 유지하면서 외측면 비드부를 구비한 것이다.

Description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스템
제1도는 종래 음극선관의 단면도.
제2도는 종래 음극선관의 음극지지체 구조를 보인 것으로,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
제3도는 종래 음극선관의 구조를 보인 것으로,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
제4도는 종래 음극선관의 스템 구조를 확대한 확대도.
제5도는 종래 음극선관의 스템 팁오프(tip-off)공정도.
제6도는 종래 음극선관의 스템 팁오프(tip-off)형상도.
제7도는 본 발명은 음극선관의 구조를 보인 정먼도.
제8도는 본 발명 음근선관의 스템 확대도.
제9도는 본 말명은 음극선관의 스템 팁오프 형상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 : 배기관 112 : 비드부
113 : 스텝부
본 발명은 음극선관용 전자총 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극선관의 내부 진공도를 유지하기 위한 배기공정후의 진공도를 유지하도록 밀봉하는 공정인 스템의 배기관을 잘라내는 공정을 용이하게 잘라 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 음극선관용 인라인형 전자총의 각 전극들은 음극(3)에서 발생된 전자빔(13,14,15)이 일정한 세기와 형태로 제어되어서 스크린(17)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전자빔(13,14,15)이 통과하는 경로에 대해 수직이 되게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하도록 하였다.
이를 제1도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호독립된 세 개의 음극(3)과 이 음극에서 일정거리를 떨어져 배치되어 있는 세 개의 음극(3)의 공통 구조체인 제어전극(4)과 제어전극(4)에서 일정거리 간격으로 배치된 가속전극(5)과 제1가속/집속전극(6), 제2가속/집속전극(7), 제3가속/집속전극(8), 제4가속/집속전극(9)의 순으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전자총은 음극(3)내부에 내장된 히터(2)가 스템핀(1)으로 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면, 이 열에 의해 음극(3)으로 부터 열전자가 방출되고, 이 전자는 제어전극(4)에 의해 전자빔(13,14,15)이 제어되고, 가속전극(5)에 의해 전자빔이 가속되며, 프리포커스렌즈(pre-focus lens)형성 전극인 제1가속/집속전극(6), 제2가속/집속전극(7), 제3가속/집속전극(8)에 의해 전자빔(13,14,15)의 발산각을 줄이고 주렌즈 형성 전극인 제3가속/집속전극, 제4가속/집속전극(9)에 의해 접속 및 가속되어 형광면(17)앞에 설치된 섀도우마스크(16)를 통과하여 형광면(17)에 충돌하여 발광하도록 구성되었다.
그리고 제2도는 일반적인 칼라 음극선광용 전자총의 음극지지체 구조로써, 상기 음극지지체는 음극선관내에 내장하기 위하여 각각의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급전선(20)들을 결합하고, 또한 상기의 전자총을 음극선관에 고정하기 위하여 전자총을 유리성분으로 구성된 스템부(18)에 일부분을 용접 고정하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제3도는 음극선관에 내장되기전의 급전선(20)과 스템(18)을 결합한 전자총의 형상을 나타낸 것으로서, 전차총에 용접하 고정된 스템(18)은 음극선관의 관측방향으로 일직선으로 봉입되어 음극선관내의 전자총을 일정위치에 고정시켜주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음극선관의 내부에는 음극선관이 동작시에 양오한 제반 특성을 나타내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5 내지 -7 Torr의 진공도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음극선관이 제 특성을 내기위한 일정수준의 진공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완성된 전자총을 음극선관에 내장한 후 음극선관내의 잔류가스와 공기는 배기펌프를 이용하여 배기를 시킨 후 관내 기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밀봉을 하게 된다.
상기의 밀봉공정을 이하에서는 팁오프(Tip-off) 공정이라 하는데 상기 팁오프공정에서 팁오프의 형성과 상태가 음극선관의 관내 진공도를 결정하는제 중요 인자가 된다.
상기 팁오프 공정은 배기가 끝난 음극선관의 배기관(19)주위에 열을 발생시키는 전열코일(21)로 부터 열을 받게 되고 열을 받은 배기관(19)의 일부분이 녹아서 배기관(19)를 밀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공정을 거친 후 완전히 밀봉한 상태가 되었을 때 줄로서 밀봉부분의 아래부분인 필요없는 부분을 줄로서 제거하게 된다.
상기에서 종래의 전자총 구조에서 보면 제5도에서와 같이 완성도니 전자총에 부착된 스템(18)의 구조에서 배기관(19)의 형상이 단순 직선형태인 일자형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의 전열코일(21)의 위치선정이 음극선관 마다 일정하지 않고 배기관(19)의 표면에 전열코일(21)의 밀착정도가 각각의 음극선관 마다 다르기 때문에 팁오프의 조건을 설정하는데 상당히 곤란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음극선관의 배기공정후 팁오프 공정시 스템의 배기관(19)의 형상이 일직선의 하나의 관으로 형성되므로 인하여 전열코일(21)의 위치설정이 힘들고 배기관(19)를 녹게 하여 밀봉시키는 많은 시간과 전력이 필요헤게 되며, 이로 인한 팁오프의 형상에 영향을 주게 되어 제6도에서와 같은 불안정상태의 형상으로 되어 음극선관의 관내 진공도 유지가 불안정하게 될뿐만 아니라, 상기 팁오프 공정 다음의 줄작업후 안분의 안전성 및 각 전극에 대한 급전선(20)의 상호 절연을 위한 베이스(도시하지 않음)를 결합할시에도 정확하게 결합이 되지 않음으로 인해 결과적으로는 음극선관의 전반적인 특성에 대한 신뢰도에서 상당히 불리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음극선관에 내장되는 전자총에 있어서 전자총의 스템부 중 배기관의 형상을 절연코일이 위치하는 부위에 비드부를 구성함으로써 보다 짧은 시간으로 팁오프공정이 완료되게 하고, 일정한 형상의 일정한 위치에 팁오프가 되므로 안히여 생산성 및 품질특성이 양호한 음극선관을 제공하여 결과적으로는 신뢰성이 우수한 전자총을 제공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스템을 제7도 내지 제9도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세 개의 음극(3)과 이 음극에서 일정거리에 떨어져 배치되어 있는 세 개의 음극(3)의 공통구조체인 제어전극(4)과 제어전극(4)에서 일정거리 간격으로 배치된 가속전극(5)과, 제일가속/집속전극(6), 제2가속/집속전극(7), 제3가속/집속전극(8), 제4가속/집속전극(9)의 순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전자총을 음극선관의 내부에 내장, 고정시켜주고 각 전기들에 일정전압을 인가해주는 스템(110)의 구조가 음극선관의 내부 진공도를 유지를 위 배기시키는 통로인 배기관(111)의 형상이 내측은 일직선 형태를 유지하면서 외측면 비드부(112)를 구비하였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근복적인 음극선관의 구성은 종래와 같이구성된 것으로 부호는 종래와 동일하게 부여하고 이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스템(113)의 구조는 스템(113)의 전체적인 형상은 종래와 유하사나 음극선관의 내부진공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행하는 배기를 위한 스템의 배기관(111)이 형상을 일정한 위치에서 팁오프가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양호한 형상으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배기관(111)의 전열코일이 위치하는 부위에 홈형상의 비드부(112)를 설치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즉, 음극선관애부의 진공도 유지를 위한 배기를 실시함에 있어서 배기관(111)의 형상이 전열코일이 위치하는 부위에 배기관(111)의 외측으로 비드부(112)를 형성하였다.
그리고, 제8도에 의하여 배기관(111)을 확대하여 보면 배기관(111)의 외측벽을 따라 전열코일이 위치하는 부위에 비드부(112)를 설치하고 있는데, 배기를 위한 상기 배기관(111)의 내보는 원할한 배기를 위하여 종래와 동일한 내경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일직선 형태로 구성하고 외측면만 비드부(112)를 설치하였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구성된 배기관(111)을 가진 전자총으로 음극선관을 제조할 때에는 음극선관의 내부진공돌르 유지하기 위한 배기공정에 있어서, 배기관(111)의 내경은 종래와 같으므로 배기의 시간과 배기능력에는 변동을 주지않게 되고 단지 배기공정후의 팁오프공정에서 상기 본 발명에 의한 비드부(112)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인하여 절연코일에 의한 가열시간이 짧아진다.
따라서, 정확한 위치에 동일한 형상으로 팁오프가 행해지게 되므로 제9도에서와 같이 양호한 형태로 팁오프가 이루어지므로 인하여 음극선관의 내부진공도의 손실이 없는 양호한 음극선관을 제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배기관(111)을 가진 스템으로 전자총을 재작하게 되면 음극선관의 내부 진공도 유지를 위한 배기작업후의 팁오프 공정이 쉬워질 뿐만 아니라 팁오프 형상도 양호하게 되어 베이스의 결합도 안정하게 되고, 양호한 팁오프 형상도 양호하게 되어 베이스의 결합도 인정하게 되고 양호한 팁오프 공정으로 인하여 배기공정후 배기손실이 없어 양호하게 작업이 완료되므로 결과적으로 음극선관의 제반 특성이 원래 설계대로의 구성으로 제작 가능하게 된다.

Claims (1)

  1. 전자빔을 발생시키는 음극과 제어전극, 가속전극으로 구성되는 삼극부와 전자빔을 가속, 집속하여 형광면에 맺히게 하는 제1가속/집속전극, 제2가속/집속전극, 제3가속/집속전극, 제4가속/집속전극으로 으루어진 주렌즈부로 구성하는 인라인형 전자총에 있어서, 전자총을 음극선관의 내부에 내장, 고정시켜 주고 각 전극들에 일정 전압을 인가해 주는 스템의 구조가 음극선관으의 내부 진공도 유지를 위해 배기시키는 통로인 배기관(24)의 형상이 내측은 일직선 형태를 유지하며 외측면에 비드부를 구비하여 절단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스템.
KR1019950044982A 1995-11-29 1995-11-29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스템 KR100195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4982A KR100195949B1 (ko) 1995-11-29 1995-11-29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4982A KR100195949B1 (ko) 1995-11-29 1995-11-29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0193A KR970030193A (ko) 1997-06-26
KR100195949B1 true KR100195949B1 (ko) 1999-06-15

Family

ID=19436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4982A KR100195949B1 (ko) 1995-11-29 1995-11-29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594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0193A (ko) 1997-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5949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스템
US5896003A (en) Compact fluorescent lamp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798644B2 (ja) 陰極線管用電子銃
KR100458577B1 (ko) 음극선관의제조방법
KR930004101Y1 (ko) 전자총 구조체의 히이터 지지체
US7775847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hot cathode fluorescent lamp
KR100207336B1 (ko) 음극선관의 제조 방법
KR0132726Y1 (ko) 전자총의 히터탭/히터스트랩 결합구조
JPH04324236A (ja) 蛍光表示管
KR940006969Y1 (ko) 음극선관 전자총의 히이터 탭
KR200363106Y1 (ko) 음극선관의 스템과 이를 포함하는 음극선관
KR200143920Y1 (ko) 게터의 부착 위치 설정 지그
KR970004126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히터 지지체
KR0114335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비드글라스
KR100396668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EP0061747A2 (en)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bulbs
KR100778400B1 (ko) 투사관용 전자총
KR930004531Y1 (ko) 음극선관용 마운트 조립 지그
KR200153641Y1 (ko) 칼라 음극선관의 비이딩 지그
KR19980076792A (ko) 음극선관과 그 관의 제조방법
US20020130599A1 (en) Cathode ray tube having plurality of electron guns
KR100394033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0177946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200200878Y1 (ko) 음극선관용전자총전극의고정구조
KR0184096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구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