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3641Y1 - 칼라 음극선관의 비이딩 지그 - Google Patents

칼라 음극선관의 비이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3641Y1
KR200153641Y1 KR2019930025999U KR930025999U KR200153641Y1 KR 200153641 Y1 KR200153641 Y1 KR 200153641Y1 KR 2019930025999 U KR2019930025999 U KR 2019930025999U KR 930025999 U KR930025999 U KR 930025999U KR 200153641 Y1 KR200153641 Y1 KR 2001536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
electrode
center rod
bidding
cathode 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59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5492U (ko
Inventor
강성근
Original Assignee
김영남
오리온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남, 오리온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남
Priority to KR20199300259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3641Y1/ko
Publication of KR9500154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54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36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36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02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 H01J9/18Assembling together the component parts of electrode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09/00Apparatus and processes for manufacture of discharge tubes
    • H01J2209/18Assembling together the component parts of the discharge tube
    • H01J2209/185Machines therefor, e.g. electron gun assembl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칼라 음극선관의 개선된 비이딩 지그를 개시한다.
종래에는 비이딩시의 열에 의해 지그의 센터로드가 열변형되어 전극의 센터빔 통과구멍이 변형되는 등 완성된 음극선관의 화질을 열화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에서는 센터로드에 에어홀을 형성하여, 이에 에어를 불어넣음으로써 비이딩 시 센터로드의 열변형이 방지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칼라 음극선관의 비이딩 지그
제1도는 일반적인 비이딩 지그를 개략적으로 보이는 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비이딩 지그를 개략적으로 보이는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베이스(base) 13 : 지지로드
14 : (지지로드의)센터로드 14a : (센터로드의) 에어홀(air hole)
G : (전자총을 구성할)전극 S : 전극 스페이서(spacer)
본 고안은 칼라 음극선관(color 陰極線菅)제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인라인(in - line)형 전자총(electron gun)을 조립하는데 사용되는 비이딩 지그(beading jig)에 관한 것이다.
칼라 음극선관은 전자총으로부터 발사된 R,G,B 전자빔을 R,G,B형광체로 된 형광면의 해당 형광체에 선택적으로 랜딩(landing)시켜 발광시킴으로써 칼라 화상을 표시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전자총은 통상 수평 배열되어 전자를 방출하는 세 캐소드(cathode)와, 이들로부터 방출된 전자를 각각 빔(beam)의 형태로 집속(集束)및 가속(加速)시키는 복수의 전극으로 이뤄진다. 이에따라 각 전극간은 정전렌즈(electrostatic lens)의 형성을 위해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는 바, 열가소성 유리재질인 비이드 글래스(bead glass)로 각 전극을 융착(融着)고정함으로써 소정간격을 유지시키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이와같이 전자총을 조립하는 데에는 일반적으로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비이딩 지그가 사용되는데, 이의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서, 비이딩 지그는 지그홀더(jig holder; H)상에 고정되어 있다. 베이스(base; 1)의 지지블럭(支持 block; 2)에 일렬로 배열된 세 지지로드(支持 rod; 3)에 각 전극(G)과 스페이서(spacer; S)를 교번적으로 순차 삽입하고, 세 프레스 로드(press rod; 6)로 전극(G)과 스페이서(S)를 탄성적으로 가압한다. 다음 지지로드(3)의 배열방향과 직교하는 양측에서 각각 비이드 글래스(B)로 각 전극(G)을 융착시킨 뒤, 스페이서(S)를 제거함으로써 전자총을 구성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같이 비이드 글래스(B)로 각 전극(G)을 융착시키기 위해서는 이를 상당한 고온(약 1300℃정도)으로 가열해야 되는 바, 이때 발생되는 열이 전극(G)을 통해 각 지지로드(3)로 전도되게 된다. 이로인해 각 지지로드(3)가 변형을 일으키게 되는데, 양 사이드 로드(5)는 비이드 글래스(B)로부터 비교적 먼 거리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우려할 만한 큰 변형을 일으키지 않으나 센터로드(4)는 각 비이드 글래스(B)와 일렬로 위치되어 매우 근접되어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큰 변형, 즉 그 외경이 커지게 될 뿐만 아니라 휘어지게 된다. 이에따라 종래에는 비이딩 완료된 전자총을 지지로드(3)로부터 분리할시 잘 분리되지 않으며, 설사 억지로 분리한다 하더라도 각 전극(G)의 센터빔 통과구멍에 변형이 야기되어 완성된 음극선관의 화질을 열화(劣化)시키는등 그 품위(품위品位)와 신뢰성을 보장할수 없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를 감안하여 비이딩시 전극을 지지하는 지지로드, 특히 센터로드의 변형을 최대한 억제할수 있는 칼라 음극선관의 비이딩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베이스와, 이 베이스에 일렬로 배열되어 복수의 전극 및 스페이서를 삽입 지지하는 세 지지로드등을 구비하여 되는 칼라 음극선관의 비이딩 지그에 있어서, 지지로드중의 적어도 센터로드에 에어가 유입및 유출되는 에어홀을 형성하여, 에어홀에 에어를 불어 넣음으로써 비이딩시 지지로드의 열변형이 방지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따라 본 고안은 전자총의 비이딩시 지그의 지지로드가 열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수 있게되므로 각 전극의 빔 통과구멍의 변형이 방지되어 완성된 음극선관의 화질 향상및 신뢰성 보장에 큰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에서, 본 고안에 의한 비이딩 지그는 종래의 일반적 구성을 대부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바, 지그홀더(H)에 고정되는 베이스(11)의 중앙에는 전자총을 구성할 전극(G)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블럭(12)이 설치된다. 지지블럭(12)에는 각 전극(G)의 전자빔 통과구멍 및 전극 스페이서(S)를 삽입지지하는 세 지지로드(13), 즉 하나의 센터로드(14)와 두개의 사이드 로드(15)가 일렬로 설치된다. 세 지지로드(13) 중 센터로드(14)에는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에어(air)가 외부로 부터 유입 및 유출되는 에어홀(air hole; 14a)이 형성되는데, 이 에어홀(14a)의 에어 유출구는 바람직하기로 도시된 바와같이 센터로드(14)의 상부에서 양 사이드로드(15)측을 향하도록 분할 형성된다. 한편 베이스(11)에는 센터로드(14)의 에어홀(14a)에 에어를 공급하도록 에어펌프(air pump)등으로부터의 공급관(17)이 연결되고, 이 공급관(17)과 그 에어홀(14a)을 연결하는 연결통로(11a)가 형성된다. 여기서 에어홀(14a)이 센터로드(14)에만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에어홀(14a)은 다른 지지로드(13)에 설치될수도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비이딩 지그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세 지지로드(13)에 전자총을 구성할 복수의 전극(G)과 이들간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복수의 전극 스페이서(S)를 교번적으로 순차 삽입한뒤, 지지로드(13)의 상부에서 세 프레스로드(16)로 각 전극(G) 및 스페이서(S)를 탄성적으로 가압한다. 다음 도시되지 않은 에어펌프를 작동시켜 공급관(17)을 통해 에어를 센터로드(14)의 에어홀(14a)에 지속적으로 공급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세 지지로드(13)의 배열방향과 직교하는 양측에서 각각 가열연화된 비이드 글래스(B)로 각 전극(G)을 융착시킨다. 이때 각 지지로드(13), 특히 센터로드(14)에는 비이드 글래스(B)로부터 발생된 열이 전극(G)을 통해 집중 전도되는데, 본 고안 지그의 센터로드(14)에는 그 에어홀(14a)을 통해 에어가 지속적으로 유입및 유출되므로 이 에어와 비이드글래스(B)로부터의 열이 상쇄되어 종래와 같은 센터로드(14)의 열변형이 최대한 억제되게 된다. 다음 프레스로드(16)의 가압을 해제하고 지지로드(13)로부터 전극(G)과 스페이서(S)를 분리한뒤, 각 스페이서(S)를 제거하여 전자총을 구성한다.
이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전자총의 비이딩시 지그의 센터로드가 열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은 각 전극의 센터빔 통과구멍의 변형이 방지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완성된 음극선관의 화질 향상및 신뢰성 보장에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일렬로 배열되어 복수의 전극및 스페이서를 삽입지지하는 세 지지로드 등을 구비하여 되는 칼라 음극선관의 비이딩 지그에 있어서, 상기 지지로드(13)중의 적어도 센터로드(14)에 에어가 유입및 유출되는 에어홀(14a)을 형성하여, 상기 에어홀(14a)에 에어를 불어 넣음으로써 비이딩 시 상기 센터로드(14)의 열변형이 방지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의 비이딩 지그.
KR2019930025999U 1993-11-30 1993-11-30 칼라 음극선관의 비이딩 지그 KR2001536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5999U KR200153641Y1 (ko) 1993-11-30 1993-11-30 칼라 음극선관의 비이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5999U KR200153641Y1 (ko) 1993-11-30 1993-11-30 칼라 음극선관의 비이딩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5492U KR950015492U (ko) 1995-06-19
KR200153641Y1 true KR200153641Y1 (ko) 1999-08-02

Family

ID=19369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5999U KR200153641Y1 (ko) 1993-11-30 1993-11-30 칼라 음극선관의 비이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364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5492U (ko) 1995-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53641Y1 (ko) 칼라 음극선관의 비이딩 지그
US5424604A (en) Focus electrode structure of an electron gun for a color picture tube
KR200190103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electrol gun for cathode ray tube)
US6614164B1 (en) CRT with neck and stem wel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459222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200150440Y1 (ko) 전극 스페이서
KR100310681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880002813Y1 (ko) 칼라수상관용 전자총 전극
KR200148989Y1 (ko) 음극선관의 인바새도우마스크-프레임 조립체
KR970000550B1 (ko) 컬러 수상관용 전자총
JPH05343003A (ja) 電子銃
KR0124004Y1 (ko) 전자총 전극 구조
KR19980057089U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전극 조립장치
KR0177946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9990041262U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426570B1 (ko)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224975B1 (ko)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전극구조
KR100224977B1 (ko)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KR200200878Y1 (ko) 음극선관용전자총전극의고정구조
KR100308051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0177947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서포터
KR910007655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200165757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20000033884A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JPH0422042A (ja) 陰極線管用シャドウマスク構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