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5931B1 -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의 방전 시간 연장장치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의 방전 시간 연장장치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5931B1
KR100195931B1 KR1019960039510A KR19960039510A KR100195931B1 KR 100195931 B1 KR100195931 B1 KR 100195931B1 KR 1019960039510 A KR1019960039510 A KR 1019960039510A KR 19960039510 A KR19960039510 A KR 19960039510A KR 100195931 B1 KR100195931 B1 KR 100195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r
channel
control
field strength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9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0858A (ko
Inventor
남기석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60039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5931B1/ko
Publication of KR19980020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0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5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59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4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dependent on the time of the day, e.g. according to expected transmission a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3Battery saving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전화발신이 거의 없는 야간에 중앙처리장치가 감지하여 채널 검색 횟수를 줄여서 건전지의 방전 시간 및 휴대장치의 대기 시간을 연장하기 위한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의 방전 시간연장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제어부에 의해 무선부의 수신단에 전원을 인가하고, 첫 번째 수신채널을 셋팅하는 제 1 단계와, 제 1 단계에서 수신채널 셋팅이 종료되면 셋팅된 채널에서 반송파의 수신전계강도가 없는지를 체크하는 제 2 단계와, 제 2 단계의 판단결과, 수신전계강도가 없는 경우 채널을 하나씩 증가하여 모든 채널에 대한 수신전계강도의 유무를 체크하는 제 3 단계와, 제 3 단계의 판단결과, 모든 채널을 검색한 경우 무선부의 수신단 전원을 오프하는 제 4 단계와, 제 4 단계에서 무선부의 수신단 전원을 오프한 후 감지부에 의해 주야를 체크하는 제 5 단계와, 제 5 단계의 판단결과, 야간이면 타이머를 2x초로 셋팅하는 제 6 단계와, 제 6 단계에서 셋팅된 타이머를 감소하기 시작하여 타이머의 시간이 제로인지를 체크하는 제 7 단계와, 제 7 단계의 판단결과, 타이머의 시간이 제로인 경우 상기 제 1 단계부터 반복수행하는 제 8 단계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의 방전 시간 연장장치 및 그 방법
종래의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의 구성은 첨부한 도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얼을 하기 위해 키이신호를 입력하는 키패드부(10)와, 상기 키패드부(10)에 의해 입력된 키이신호를 스캔하여 전화기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0)와, 상기 제어부(20)의 제어 신호에 의해 마이크(60) 및 스피커(70)를 통해 송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음성 처리부(30)와,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신호에 의해 전화기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발광 및 부저부(40)와,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신호에 의해 안테나(ANT)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음성처리부(30)에서 출력된 음성신호를 무선으로 변환하여 송신하는 무선부(50)로 구성되어져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어부(30)는 무선부(60)의 수신단에 전원을 인가하고 위상동기루프(PLL)를 이용하여 수신 채널 1번을 셋팅한다.
채널 셋팅이 끝났으면 그 채널에서 반송파의 수신 전계 강도가 있는지 없는지를 조사한다.
상기 수신 전계 강도가 없다면 다음 채널을 셋팅하고 같은 과정을 거친다.
이와같은 방법으로 모든 채널에 대한 검색(scan)이 완료되면 무선부(60)의 수신단에 전원을 차단하고, 정해진 시간동안 그 상태를 유지한다.
이렇게 타이머를 이용하여 정해진 시간을 감소하기 시작하여, 그 시간이 제로(0)가 되면 다시 무선부의 수신단에 전원을 인가하고 모든 채널을 재검색하게 한다. 또한, 채널 검색시 수신전계강도가 존재하는 채널이 있는 경우 입력되는 데이터를 모니터링하여 유효한 데이터인지를 체크하고, 그 판단결과 유효한 데이터이면 링크를 시도하여 통화라인을 연결한다.
수신단 전원이 커져있는 시간에 대비하여 수신단 전원이 꺼져있는 시간이 길수록 건전지의 방전시간은 연장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무선 전화기의 휴대장치는 건전지를 완전히 충전시킨 후 수신전계강도가 있는 채널을 검색하기 위해 모든 채널을 검색하므로, 그에 따른 전력소모가 많아져서 건전지의 수명이 단축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전화발신이 거의 없는 야간에 중앙처리장치가 감지하여 채널 검색 횟수를 줄여서 건전지의 방전 시간 및 휴대장치의 대기 시간을 연장하기 위한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의 방전 시간연장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키이신호를 입력하는 키패드수단(100)과, 상기 키패드수단(100)에 의해 입력된 키이신호를 스캔하여 전화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101)과, 상기 제어수단(101)의 제어 신호에 의해 마이크(107) 및 스피커(106)를 통해 송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음성 처리수단(102)과, 상기 제어수단(101)의 제어신호에 의해 전화기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발광 및 부저수단(104)과, 상기 제어수단(101)의 제어신호에 의해 안테나(ANT)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음성처리수단(102)에서 출력된 음성신호를 무선으로 변환하여 송신하는 무선수단(105)과, 상기 제어수단(101)의 제어신호에 의해 전화기 외부의 밝기를 감지하여 주야를 식별하여 그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어부로 출력하는 감지수단(103)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은 제어부에 의해 무선부의 수신단에 전원을 인가하고, 첫 번째 수신채널을 셋팅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수신채널 셋팅이 종료되면 셋팅된 채널에서 반송파의 수신전계강도가 없는지를 체크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의 판단결과, 수신전계강도가 없는 경우채널을 하나씩 증가하여 모든채널에 대한 수신전계강도의 유무를 체크하는제 3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의 판단결과, 모든 채널을 검색한 경우 무선부의 수신단 전원을 오프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제 4 단계에서 무선부의 수신단 전원을 오프한후 감지부에 의해 주야를 체크하는 제 5 단계와, 상기 제 5 단계의 판단결과, 야간이면 타이머를 2x초로 셋팅하는 제 6 단계와, 상기 제 6 단계에서 셋팅된 타이머를 감소하기 시작하여 타이머의 시간이 제로인지를 체크하는 제 7 단계와, 상기 제 7 단계의 판단결과, 타이머의 시간이 제로인 경우 상기 제 1 단계부터 반복수행하는 제 8 단계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종래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의 블록 구성도.
제2도는 종래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의 방전시간 연장 방법에 의한 동작 흐름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의 방전시간 연장 장치에 관련된 블록 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의 방전시간 연장 방법에 의한 동작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키이패드부 101 : 제어부
102 : 음성 처리부 103 : 감지부
104 : 발광 및 부저 105 : 무선부
106 : 스피커 107 : 마이크
ANT : 안테나
제3도는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의 방전시간 연장 장치에 관련된 블록 구성도로서, 키이신호를 입력하는 키패드부(100)와, 상기 키패드부(100)에 의해 입력된 키이신호를 스캔하여 전화기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01)와, 상기 제어부(101)의 제어 신호에 의해 마이크(107) 및 스피커(106)를 통해 송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음성 처리부(102)와, 상기 제어부(101)의 제어신호에 의해 전화기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발광 및 부저부(104)와, 상기 제어부(101)의 제어신호에 의해 안테나(ANT)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음성처리부(102)에서 출력된 음성신호를 무선으로 변환하여 송신하는 무선부(105)와, 상기 제어부(101)의 제어신호에 의해 전화기 외부의 밝기를 감지하여 주야를 식별하고, 그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어부(101)로 출력하는 감지부(103)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 및 작용효과를 첨부한 도면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된 휴대장치의 동작은 통상적인 휴대장치의 동작과 동일하다.
상기 휴대장치에 본 발명에서는 감지부(103)를 구비하여 주야를 식별한 후 야간에는 채널검색 횟수를 감소하도록 한 것이다.
먼저,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어부에 의해 무선부의 수신단에 전원을 인가하고, 첫 번째 수신채널을 셋팅하는 제 1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제 1 단계에서 수신 채널 셋팅이 종료되면 셋팅된 채널에서 반송파의 수신전계강도가 없는지를 체크하는 제 2 단계를 수행하며, 상기 제 2 단계의 판단결과, 수신전계강도가 없는 경우 채널을 하나씩 증가하여 모든 채널에 대한 수신전계강도의 유무를 체크하는 제 3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제 3 단계의 판단결과, 모든 채널을 검색한 경우 무선부의 수신단 전원을 오프하는 제 4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제 4 단계에서 무선부의 수신단 전원을 오프한 후 감지부에 의해 주야를 체크하는 제 5 단계를 수행하며, 상기 제 5 단계의 판단결과, 야간이면 타이머를 2x초로 셋팅하는 제 6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제 6 단계에서 셋팅된 타이머를 감소하기 시작하여 타이머의 시간이 제로인지를 체크하는 제 7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제 7 단계의 판단결과, 타이머의 시간이 제로인 경우 상기 제 1 단계부터 반복수행하는 제 8 단계를 수행한다.
제4도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어부(101)의 제어신호에 의해 무선부(105)의 수신단에 전원이 인가되면 수신채널 1번을 셋팅한후 셋팅된 채널에 수신전계강도의 유무를 체크하여 그 판단결과, 수신전계가 없는 경우 채널을 하나씩 증가하여 모든 채널을 검색한다.
그리하여 모든 채널에 대해 검색이 끝나면 무선부(105)의 수신단 전원을 차단한다.
이때 휴대장치에 구비된 감지부(103)를 통해 주야를 감지하여 야간이면 타이머의 시간을 2x초로 셋팅하여 타이머의 시간을 감소하기 시작하여 제로가 되면 모든 채널에 대해 재검색을 시작한다. 또한 감지부(103)의 감지에 의해 주간이면 종전대로 타이머의 시간을 x로하여 타이머의 시간을 감소하고, 제로가 되면 모든 채널에 대해 재검색을 시작한다.
또한 상기 과정에서 채널을 검색하다가 수신전계강도가 있는 채널이 검색되면 안테나(ANT)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모니터링하여 유효한 데이터인지 체크하여, 그 판단결과 유효한 데이터이면 링크를 시도하여 통화라인을 연결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는 휴대장치를 오랫동안 충전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가 있고 또한 제조회사에서 본 발명을 채택하므로써 용량이 적은 건전지나 용량이 큰 건전지를 상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져오므로 인해 제조원가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의 방전 시간연장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반적으로 전화발신이 거의 없는 야간에 중앙처리장치가 감지하여 채널검색 횟수를 줄여서 건전지의 방전 시간 및 휴대장치의 대기 시간을 연장하고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Claims (3)

  1. 키이신호를 입력하는 키패드 수단과, 상기 키패드 수단에 의해 입력된 키이신호를 스캔하여 전화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 신호에 의해 마이크 및 스피커를 통해 송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음성 처리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신호에 의해 전화기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발광 및 부저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신호에 의해 안테나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음성처리수단에서 출력된 음성신호를 무선으로 변환하여 송신하는 무선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신호에 의해 전화기 외부의 밝기를 감지하여 주야를 식별하여 그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어수단으로 출력하는 감지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의 방전 시간 연장장치.
  2. 제어부에 의해 무선부의 수신단에 전원을 인가하고, 첫 번째 수신채널을 셋팅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수신채널 셋팅이 종료되면 셋팅된 채널에서 반송파의 수신전계강도가 없는지 체크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의 판단결과, 수신전계강도가 없는 경우 채널을 하나씩 증가하여 모든 채널에 대한 수신전계강도의 유무를 체크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의 판단결과, 모든 채널을 검색한 경우 무선부의 수신단 전원을 오프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제 4 단계에서 무선부의 수신단 전원을 오프한후 감지부에 의해 주야를 체크하는 제 5 단계와, 상기 제 5 단계의 판단결과, 야간이면 타이머를 2x초로 셋팅하는 제 6 단계와, 상기 제 6 단계에서 셋팅된 타이머를 감소하기 시작하여 타이머의 시간이 제로인지를 체크하는 제 7 단계와, 상기 제 7 단계의 판단결과, 타이머의 시간이 제로인 경우 상기 제 1 단계부터 반복수행하는 제 8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기에서 휴대장치의 방전 시간 연장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의 판단결과, 주간이면 타이머의 시간을 x로 셋팅한 후 제 7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화기에서 휴대장치의 방전 시간 연장방법.
KR1019960039510A 1996-09-12 1996-09-12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의 방전 시간 연장장치및 그 방법 KR100195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9510A KR100195931B1 (ko) 1996-09-12 1996-09-12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의 방전 시간 연장장치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9510A KR100195931B1 (ko) 1996-09-12 1996-09-12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의 방전 시간 연장장치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0858A KR19980020858A (ko) 1998-06-25
KR100195931B1 true KR100195931B1 (ko) 1999-06-15

Family

ID=19473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9510A KR100195931B1 (ko) 1996-09-12 1996-09-12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의 방전 시간 연장장치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593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0858A (ko) 199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1540B1 (ko) 전력 절약기를 갖고 있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
US5519762A (en) Adaptive power cycling for a cordless telephone
US4856083A (en) Method of connecting a cordless telephone by radio
JP3532722B2 (ja) チャネル走査装置および方法
JPH11205217A (ja) アナログモードおよびディジタルモードを選択的に使用する機能を有するデュアルモード無線通信装置
US20040235537A1 (en) Radio communications apparatus
KR100195931B1 (ko)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의 방전 시간 연장장치및 그 방법
JP4336826B2 (ja) 折り畳み携帯電話機の基地局検索システム及び方法
CN1792107A (zh) 无线电通信装置
KR100263173B1 (ko) 무선호출기를가지는디지탈무선전화기에서호출음제어방법
KR100242128B1 (ko) 무선 휴대장치를 구비한 전화기의 무선 휴대장치 저전압 알람 방법
JPH114482A (ja) 移動電話機
KR0145864B1 (ko) 무선 채널 환경에 적응적인 채널 스캔 방법
JP3207107B2 (ja) 携帯電話の省電力着信通知装置
KR100388973B1 (ko) 무선전화기시스템 충전상태표시 제어장치
KR970001870B1 (ko) 단말기의 전원 공급 방법
KR0125483B1 (ko) 무선전화기의 통화채널 선택방법
KR100189253B1 (ko) 무선전화기에서 사용중 알림방법
KR960004723B1 (ko) 무선전화기의 통화예약 방법
KR200165535Y1 (ko) 절전기능을 갖는 무선 전화기
KR0120014B1 (ko) 무선 전화기의 프리다이얼 장치 및 방법
KR100272219B1 (ko) 무선전화기 휴대장치의 온 훅 다이얼 방법
KR100196190B1 (ko) 무선전화기의 자동통화 처리방법
JP2965801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移動機
JP2004179988A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ラジオ放送受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