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4217B1 - 화면 크기 자동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화면 크기 자동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4217B1
KR100194217B1 KR1019960058903A KR19960058903A KR100194217B1 KR 100194217 B1 KR100194217 B1 KR 100194217B1 KR 1019960058903 A KR1019960058903 A KR 1019960058903A KR 19960058903 A KR19960058903 A KR 19960058903A KR 100194217 B1 KR100194217 B1 KR 100194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l
screen
value
predetermined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8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9795A (ko
Inventor
김동균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58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4217B1/ko
Priority to US08/979,120 priority patent/US6064445A/en
Priority to DE19752630A priority patent/DE19752630B4/de
Priority to RU97120832/09A priority patent/RU2190933C2/ru
Priority to GB9725124A priority patent/GB2319921B/en
Priority to CN97126214A priority patent/CN1106754C/zh
Priority to JP9328853A priority patent/JPH10164431A/ja
Publication of KR19980039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9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4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4217B1/ko

Links

Landscapes

  •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미 와이드 화면 텔레비젼 수상기의 화면크기 자동조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수신된 텔레비젼신호의 1수평기간의 액티브구간에서 좌우 엣지부분의 레벨을 샘플링하는 단계; (나)상기 샘플링된 레벨이 블랙 레벨인 경우가 일정 기간동안 몇회 발생되는가를 카운팅하는 단계; (다)상기 카운팅된 값이 미리 정해진 제 1 값보다 클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크기를 플러스화면크기로 지정하는 단계; 및 (라)상기 카운팅된 값이 미리 정해진 제 2 값보다 작을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의 크기를 일반화면크기로 지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면 크기 자동제어방법
본 발명은 화면크기 자동조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오버스캔(OVER SCAN)으로 인하여 볼 수 없었던 수평방향의 좌우외곽부분을 볼 수 있도록 화면의 수평 유효화면사이즈를 넓혀서 횡장감있는 화면을 즐길 수 있는 세미 와이드 화면(Semi Wide Screen) 텔레비젼 수상기에 있어서 화면크기를 자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화면크기 자동조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젼 방송국에서는 12:9 또는 4:3 화면의 영상신호를 송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NTSC방식의 주사선수는 525개이지만 유효화상기간(수직귀선기간을 뺀 기간: 525H - 2×20H = 485H) 485개이다. 또한, 수평유효주사기간은 1주사선기간 또는 1H기간에서 수평귀선기간 또는 수평 블랭킹기간을 뺀 63.5㎲ - 10.9㎲ = 52.6㎲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NTSC 표준 텔레비젼 수상기에서는 상기 화상신호를 CRT의 스크린상에 100% 디스플레이하지 않는다. 도 2 는 텔레비젼 수상기에서의 수신화상을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패턴을 나타낸다. 도 3 은 도 2 의 테스트 패턴 중에서 오버스캔측정용 패턴만을 나타낸다.
일반적인 NTSC 표준 텔레비젼 수상기에서는 수직, 수평 각 9.4%정도의 오버스캔을 하기 때문에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4:3화면의 화상신호의 수직 및 수평의 엣지주변의 9.4%를 볼 수 없게 된다. 텔레비젼 수상기에서 이와 같은 오버스캔을 하는 이유는 CRT의 편향, 포커스, 고압 등이 불안정하여 화면의 엣지부위에서 왜곡된 화상이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특히, 편향유니트의 인덕턴스 산포는 엣지부위의 화면 불안정을 야기시킨다. 다시 말하면, 정상치에 비해 수평편향코일의 인덕턴스가 큰 경우에는 임피던스가 증가된 것이므로 수평편향전류가 감소하게 되어 화면의 좌우폭이 작아지게 되므로 스크린의 좌우 엣지부근에 블랭크기간의 일부가 보이게 되고, 반대로 인덕턴스가 작은 경우에는 임피던스가 감소된 것이므로 수평편향전류가 증가하여 화면의 좌우폭이 커지게 되므로 스크린의 엣지에 가려지게 되는 화상정보가 늘어나게 된다.
이러한 텔레비젼 수상기의 제한적 요건을 만족하면서 안정된 화면을 표시하기 위하여 수행되는 수직, 수평 9.4%의 오버스캔은 텔레비젼 수상기가 상용화된 60년대부터 35년간 텔레비젼 수상기 제작업자들은 당연한 것으로 여기고 지금까지 유지시켜 왔다.
최근에 화면의 횡장감을 주기위하여 12:9 화면의 화상신호를 수신측에서 16:9 화면의 화상신호로 디스플레이하는 와이드 비젼 텔레비젼 수상기가 소개되고 있다. 와이드 비젼은 주사선을 변경하지 않고 화면의 수평방향으로 약 1.33배 확대한 것이다. 또한, 방송국에서 16:9의 화면신호를 송출하고 이러한 16:9의 화면신호를 4:3 화면종횡비를 가지는 CRT 또는 16:9 화면 종횡비를 가지는 CRT에 각각 디스플레이하는 기술도 소개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은 미국특허 5,386,236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와이드 비젼방식은 기존의 4:3화면의 화상신호를 수평방향으로 1.33배 확대한 것에 불과하므로 표시화상이 왜곡되거나, 상하 또는 좌우를 압축하여 스크린 상에 표시하게 되므로 스크린의 상하, 또는 좌우가 흑색으로 표시되게 되어 스크린의 전영역을 사용하지 못하여 스크린 이용률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CRT의 스크린의 수평사이즈를 증가시켜서 수평방향의 오버스캔율을 감소시킴으로 화상의 왜곡없이 횡장감을 즐길 수 있는 세미 와이드 화면 텔레비젼 수상기를 1995년 11월 7일자로 출원한 바 있다. 이러한, 세미 와이드 화면 텔레비젼 수상기에서는 화면크기 키입력에 응답하여 12.8:9 세미 와이드 화면, 12:9 일반화면을 선택적으로 표시하게 되는 바, 세미 와이드 화면, 일명 플러스 화면 선택시에는 엄격한 화면크기의 조정이 요구된다. 그러나, 텔레비젼 신호는 송출과정, 전파과정 또는 수신과정에서 신호가 밀리거나 당겨지게 되는 경우에는 좌우에 수평귀선기간이 나타나게 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세미 와이드 화면 텔레비젼 수상기에 있어서 수신되는 신호를 체크하여 완전한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화면크기 자동조정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방법은 (가)수신된 텔레비젼신호의 1수평기간의 액티브구간에서 좌우 엣지부분의 레벨을 샘플링하는 단계; (나)상기 샘플링된 레벨이 블랙 레벨인 경우가 일정 기간동안 몇회 발생되는가를 카운팅하는 단계; (다)상기 카운팅된 값이 미리 정해진 제 1 값보다 클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크기를 플러스화면크기로 지정하는 단계; 및 (라)상기 카운팅된 값이 미리 정해진 제 2 값보다 작을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크기를 일반화면크기로 지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NTSC방식의 텔레비젼 화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는 NTSC방식의 텔레비젼 수상기의 화면조정을 위한 테스트패턴을 나타낸 도면.
도 3 은 도 2 에서 오버스캔 측정용 패턴만을 도시한 도면.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세미 와이드 화면 텔레비젼 수상기의 CRT 스크린과 오버스캔율을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세미 와이드 화면 텔레비젼 수상기의 CRT 스크린과 오버스캔율을 나타낸다. 가는 실선의 최외곽 사각형(10)은 방송국에서 송출시의 12:9 화면사이즈를 나타내며, 굵은 실선의 사각형(12)은 본 발명에 의한 CRT의 화면사이즈를 나타내며, 점선의 사각형(14)은 기존의 4:3 CRT의 화면 사이즈를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텔레비젼 수상기의 수평폭은 점선으로 표시된 4:3 CRT의 수평폭에 비해 더 큰 사이즈를 가진다. 따라서, 오버스캔율이 기존의 9.4%에서 본 발명에서는 3.2%로 줄어들게 됨으로써 중앙부의 좌우에 빗금친 부분(16)만큼 더 많은 정보를 왜곡없이 시청자가 즐길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수평주사기간의 액티브 구간에서 좌우 엣지부분의 비디오신호의 레벨을 검출함으로서 수신된 화면이 밀리거나 당겨짐을 검출하게 된다. 도 5에서 검출위치는 액티브 구간의 센터(C), 좌우 엣지로부터 1.5㎲기간에 위치하는 좌측 검출위치(L), 우측검출위치(R)가 설정된다.
따라서, 최대값은 다음과 같이 산출된다.
최대값(MAX)=3(검출위치수)×2(1프레임당 수평라인의 수)×30(1초당 프레임수)×2(검출시간/초)
상술한 바와 같이 검출 위치의 설정에 의해 화면크기 자동조정방법은 크게 (가)수신된 텔레비젼신호의 1수평기간의 액티브구간에서 좌우 엣지부분의 레벨을 샘플링하는 단계; (나)상기 샘플링된 레벨이 블랙 레벨인 경우가 일정 기간동안 몇회 발생되는가를 카운팅하는 단계; (다)상기 카운팅된 값이 미리 정해진 제 1 값보다 클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의 크기를 플러스화면크기로 지정하는 단계; 및 (라)상기 카운팅된 값이 미리 정해진 제 2 값보다 작을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크기를 일반화면크기로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값은 최대값의 2/3이고 상기 제 2 값은 상기 최대값의 1/3정도로 한다. 상기 샘플링되는 수평라인은 각 프레임의 23번째 및 230번째 수평라인으로 한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채널이 선택될 때마다 오토 플러스 카운터의 값(APC)은 최대값의 1/2인 180으로 초기화 되고 화면크기 모드는 플러스 화면으로 되게 된다. 그리고 프레임 카운터의 값(FC)는 0로 초기화 된다(100). 이와 같은 초기화 단계에서 시스템에서는 수신되는 복합영상신호로부터 동기신호를 분리하고 동기신호를 판별하여 홀수필드인가를 체크하고(102) 홀수필드이면 프레임 카운터의 값을 1증가시킨다(104). 프레임 카운터의 값이 60인가를 체크하고(106) 아니면 수평동기신호를 카운팅하여 23번째 수평라인인가를 체크한다(108). 또한, 230번째 수평라인인가를 체크한다(110). 상기 108단계 및 110단계에서 23번째 또는 230번째 수평라인인 경우에는 각 수평라인의 액티브 구간에서 C, L, R의 레벨을 샘플링한다(112). 상기 센터의 샘플링 값 X2이 3V이상인가를 체크하고(114) 아니면 리턴한다. 상기 체킹에 의해 3V 이상이면 APC의 카운트값을 1증가시킨다(116). 상기 액티브 구간의 좌측 레벨X1이 3V 레벨 이상인가를 체크하고(118) 상기 체킹에 의해 3V 이상이면 APC 운트값을 1증가시킨다(120). 상기 액티브 구간의 우측 레벨 X3이 3V 이상인가를 체크하고(122) 상기 체킹에 의해 3V 이상이면 카운트값을 1증가시키고 리턴한다(124). 상기 좌측 또는 우측 레벨 체킹단계에서 소정 레벨 이상이 아니면 상기 카운트값을 2감소시키고 리턴한다(126).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여 106단계에서 프레임 수가 60이면 오토 플러스 카운터의 값이 최대값의 2/3이상인가를 체크하고(128) 2/3이상이면 화면크기를 플러스 화면으로 조정하고 리턴한다(132). 128단계에서 2/3이상이 아니면 1/3이하인가를 체크하고(130) 1/3 이하이면 화면크기를 일반화면으로 조정한다. 130단계에서 1/3이하가 아니면 현재 상태의 화면크기를 그대로 유지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60프레임의 체크에 의해 적어도 10 프레임 이상이 원하는 레벨과 다른 레벨이 검출되면 현재 수신되는 비디오신호의 화면 크기를 조정하기 위하여 화면크기 모드를 플러스 화면 또는 일반화면으로 조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수신되는 비디오 신호의 엣지부분의 레벨을 검출하여 화면의 크기에 적응되는 화면 크기로 조정하게 됨으로써 스크린 상에 항상 풀화면을 자동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되므로 시청자가 풀화면을 편리하게 즐길 수 있게 된다.

Claims (11)

  1. (가)수신된 텔레비젼신호의 1수평기간의 액티브구간에서 좌우 엣지부분의 레벨을 샘플링하는 단계; (나)상기 샘플링된 레벨이 블랙 레벨인 경우가 일정 기간동안 몇회 발생되는가를 카운팅하는 단계; (다)상기 카운팅된 값이 미리 정해진 제 1 값보다 클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크기를 플러스화면크기로 지정하는 단계; 및 (라)상기 카운팅된 값이 미리 정해진 제 2 값보다 작을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크기를 일반화면크기로 지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크기 자동조정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단계에서 액티브 구간의 센터의 레벨을 더 샘플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크기 자동조정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구간의 좌우 엣지부분의 샘플링 위치는 액티브구간의 좌우 엣지로부터 각각 1.5㎲기간만큼 떨어진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크기 자동조정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링되는 수평라인의 수는 1프레임동안에 적어도 2수평라인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크기 자동조정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기간은 적어도 60프레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크기 자동조정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값은 상기 1수평라인에서의 샘플링 횟수와, 샘플링되는 수평라인의 수와, 체크되는 프레임수의 곱으로 결정되는 최대값의 2/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크기 자동조정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값은 상기 최대값의 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크기 자동조정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트값은 상기 최대값의 1/2로 초기화시에 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크기 자동조정방법.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링되는 수평라인은 각 프레임의 23번째 및 230번째 수평라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크기 자동조정방법.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팅단계는 상기 액티브 구간의 센터 레벨이 소정 레벨 이상인가를 체크하고 아니면 리턴하는 단계; 상기 체킹에 의해 소정 레벨 이상이면 카운트값을 1증가시키는 단계; 상기 액티브 구간의 좌측 레벨이 소정 레벨 이상인가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체킹에 의해 소정 레벨 이상이면 카운트값을 1증가시키는 단계; 상기 액티브 구간의 우측 레벨이 소정 레벨 이상인가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체킹에 의해 소정 레벨 이상이면 카운트값을 1증가시키고 리턴하는 단계; 및 상기 좌측 또는 우측 레벨 체킹단계에서 소정 레벨 이상이 아니면 상기 카운트값을 2감소시키고 리턴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크기 자동조정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스화면은 화면종횡비가 12.8 : 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크기 자동조정방법.
KR1019960058903A 1996-11-28 1996-11-28 화면 크기 자동제어방법 KR100194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8903A KR100194217B1 (ko) 1996-11-28 1996-11-28 화면 크기 자동제어방법
US08/979,120 US6064445A (en) 1996-11-28 1997-11-26 Automatic picture size control method for semiwide-screen television receiver
DE19752630A DE19752630B4 (de) 1996-11-28 1997-11-27 Verfahren für die automatische Bildgrößensteuerung halbbreiter Fernsehempfänger
RU97120832/09A RU2190933C2 (ru) 1996-11-28 1997-11-27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размером изображения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наружения левой и правой границ изображения
GB9725124A GB2319921B (en) 1996-11-28 1997-11-27 Horizontal scan setting
CN97126214A CN1106754C (zh) 1996-11-28 1997-11-28 画面大小自动控制方法及画面左右边界检测装置
JP9328853A JPH10164431A (ja) 1996-11-28 1997-11-28 画面大きさ自動制御方法及び画面の左右境界検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8903A KR100194217B1 (ko) 1996-11-28 1996-11-28 화면 크기 자동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9795A KR19980039795A (ko) 1998-08-17
KR100194217B1 true KR100194217B1 (ko) 1999-06-15

Family

ID=66482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8903A KR100194217B1 (ko) 1996-11-28 1996-11-28 화면 크기 자동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421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9795A (ko) 199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05234A (en) Television receiver
EP0662272B1 (en) Television receiver
US4864405A (en) CRT video display device with automatically adjustable scanning amplitude
KR0151556B1 (ko) 크로핑을 저감한 나란한 화상 디스플레이 장치
JPS6378681A (ja) テレビジヨン受像機
CA1206589A (en) Television receiver with auxiliary on-screen display
US5418576A (en) Television receiver with perceived contrast reduction in a predetermined area of a picture where text is superimposed
US20050157171A1 (en) Reducing burn-in associated with mismatched video image/display aspect ratios
KR100312146B1 (ko) 텔레비젼수상기
JPH10164431A (ja) 画面大きさ自動制御方法及び画面の左右境界検出装置
KR100194217B1 (ko) 화면 크기 자동제어방법
EP0578155B1 (en) Frame based vertical panning system
US5294987A (en) Field to field vertical panning system
US7079192B1 (en) Letter box line blackener for the HDTV/conventional-analog hybrid system
US6188449B1 (en) Semiwide-screen television receiver
KR100222703B1 (ko) 화면 사이즈 조절방법
GB2254977A (en) Receiver for letterbox television signals
KR0131735B1 (ko) 잠재의식 효과를 이용한 텔레비전
Mothersole Teletext Decoders
JPH09307831A (ja) マルチアスペクト対応型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0226104B1 (ko) 부화면 틴트 자동 조정 방법
JPH01194576A (ja) ビデオディスプレイ装置
KR19990015183A (ko) 수평 사이즈 자동조정방법
JPH0282884A (ja) 高画質テレビジョン
KR19990002382A (ko) 텔레비전의 osd 화면크기 자동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