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3914B1 - 용량 가변형 기구가 구비된 스크롤형 압축기 - Google Patents

용량 가변형 기구가 구비된 스크롤형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3914B1
KR100193914B1 KR1019910011296A KR910011296A KR100193914B1 KR 100193914 B1 KR100193914 B1 KR 100193914B1 KR 1019910011296 A KR1019910011296 A KR 1019910011296A KR 910011296 A KR910011296 A KR 910011296A KR 100193914 B1 KR100193914 B1 KR 100193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oll
fluid
end plate
orbital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1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2935A (ko
Inventor
야수유키 마츠다미라
아쯔시 마베
Original Assignee
우시구보 마사요시
산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시구보 마사요시, 산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우시구보 마사요시
Publication of KR920002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3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39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7/00Sealing arrangements in 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7/005Axial sealings for working fl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tary Pumps (AREA)

Abstract

가변용량기구를 갖는 스크롤형의 압축기로서, 상기 압축기는 내부격실과 이 내부격실에 연결되는 유체 유입 및 배출포트들이 마련된 하우징을 포함한다. 하우징내에 위치하는 고정 스크롤은 단부판을 가지며 그로부터 제1 회선요소가 연장된다. 하우징 내에는 또한 궤도 스크롤도 위치하여 고정 스크롤에 대하여 궤도 이동을 한다. 궤도 스크롤은 단부판을 가지며 그로부터는 제2 회선요소가 연장된다. 제1 및 제2 회선요소들은 상호 교차하여 1조 이상의 밀봉된 유체포킷을 형성한다. 고정 스크롤의 단부판은 하우징의 내부격실을 흡입격실과 후방격실로 분할한다. 후방격실은 고정 스크롤의 단부판에 형성된 1조의 원형 구멍들을 통해 밀봉된 유체포킷들과 연통되는 중간압력격실을 포함한다. 제어장치는 중간압력격실과 흡입격실 사이의 유체연통상태를 조절한다. 제2 회선요소의 축방향 단부를 따라 위치하는 다수의 밀봉요소들은 궤도 스크롤의 궤도 이동중에 원형 구멍들을 지나도록 위치되는 특정부분들을 형성하도록 위치된다. 따라서, 압축기의 고회전 속도시에 원형구멍들에서의 원치않는 압력강하를 방지하기 위해 원형구멍들의 직경을 확대시킬 때에도, 밀봉요소들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용량 가변형 기구가 구비된 스크롤형 압축기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용량 가변형 기구가 구비된 스크롤형 압축기의 수직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스크롤형 압축기의 우측면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수평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우징 16 : 환형슬리브
21 : 고정 스크롤 22 : 궤도 스크롤
24 : 회전 방지/추력 베어링 기구 27 : 전방챔버
28 : 후방 챔버 211 : 원형 단부판
212 : 나선형 요소 214, 215 : 원형 구멍
221 : 원형 단부판 222 : 나선형 요소
240 : 선단 밀봉 요소 281 : 유출 챔버
282 : 압력 챔버
본 발명은 스크롤형 압축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용량 가변형 기구가 구비된 스크롤형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스크롤형 유체 이송 장치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예컨대, 크루엑스(Cruex)의 미국 특허 제801,182호는 각 스크롤에 원형 단부판 및 스피로이달(spiroidal)또는 인볼류트(involute) 나선형 요소가 마련된 2개의 스크롤을 포함하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스크폴들은 반경 방향 및 각도상으로 편의(偏倚)되어 유지되고, 두 나선형 요소들은 서로 끼워져 그 요소들의 나선형 곡면들 사이에 복수개의 접촉선들을 형성하며, 이에 의해서 한 쌍 이상의 유체 포켓(fluid pocket)을 형성 및 밀봉하게 된다. 두 스크롤들이 상대적인 궤도 이동을 하면 나선형 곡면을 따라 접촉선들이 이동되고, 그 결과 유체 포켓의 체적은 궤도 이동의 방향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스크롤형 유체 이송 장치는 유체를 압축, 팽창 또는 송출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종래의 스크롤형 압축기를 자동차의 에어 컨디셔너(air conditioner)에 사용할 경우에, 이들 압축기는 통상적으로 전자 클러치(electromagnetic clutch)를 통해 자동차 엔진에 의해 구동된다. 이러한 자동차용 에어 컨디셔너에 있어서, 탑승실의 실내 온도 조절, 또는 에어 컨디셔너의 조절은 일반적으로 전자 클러치를 통해 압축기를 간헐적으로 작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데, 왜냐하면 이러한 형태의 에어 컨디셔너의 압축기에는 통상적으로 용량 제어 기구가 제공되지 않기 때문이다. 탑승실의 실내 온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는 일단 적정 온도가 먼저 도달되면 크지 않지만, 적어도 초기에 압축기를 간헐적으로 작동시키는 동안에는 압축기를 구동시키는 데 비교적 큰 부하가 필요하며, 압축기가 작동된 후에는 작은 부하를 필요로 하게 된다. 이와 같은 간헐적인 작동은 불필요하게 많은 에너지를 헛되이 소모한다.
최근에, 작동 조건에 적합하게 압축비를 조절하기 위하여, 스크롤형 압축기에 용량 또는 체적 조절기구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인식되었다. 압축비를 조절하는 기구는 일반적으로 한 스크롤의 단부판을 관통하는 한 쌍의 구멍을 사용해 왔는데, 이 구멍은 단부판에 대해 나선형 요소 반대측에 위치한 챔버와의 연통 상태를 제어한다.
예컨대, 1990.2.27자로 특허된 아츠시 마베(Atsushi Mabe) 등의 미국 특허 제4,904,164호에는 쌍을 이룬 원형 구멍들이 중간 압력 챔버와의 연통 상태를 제어한다. 이 특허에 개시된 압축기에서는 각 나선형 요소의 축방향 단부를 따라 위치하는 홈(groove)에 축방향 선단 밀봉 요소가 배치되어 나선형 요소들의 축방향 단부면과 단부판의 내면과의 사이의 축방향 밀봉 상태를 충분히 유지한다. 밀봉된 유체 포겟으로부터 원형 구멍쌍을 통해 중간 압력 챔버로 흐르고 간헐적으로 압축된 유체는, 연통 제어 기구의 작동에 응답하여, 단부판에 형성된 연통 채널을 통해 흡입 챔버로 제어가능하게 복귀한다. 따라서, 중간 압력 챔버 내의 압력은 흡입 압력으로부터 밀봉 유체 포켓과 중간 압력 챔버 사이의 연통을 방지할 수 있는 어떤 압력까지 변화하여, 압축기의 압축비는 최대치, 즉 100%로부터 예정된 최소치, 예컨대 30%까지의 범위에서 조절된다. 그러나, 압축비가 예정된 최소치로 조절되는 동안에 압축기가 고속으로 회전하면, 오히려 최소 압축비의 값은 바람직하지 못하게 증가되는 데, 왜냐하면 원형 구멍쌍들에서의 압력 강하값은 쌍을 이룬 원형 구멍들을 통과하는 유체 유량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무시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용량 조절 기구의 제어능력은 압축기가 특히 고속 회전할 때에 감소하게 된다.
전술한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쌍을 이루고 있는 원형 구멍들의 반경을 나선형 요소들의 두께보다 약간 작은 범위 내에서 확대시켜, 원형 구멍들에서의 압력 강하를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의 값으로 감소시키는 방법도 강구되었다. 그러나, 원형 구멍의 직경이 확대된 상태에서 스크롤 중 하나의 나선형 요소의 축방향 단부의 특정 부분이 그 구멍 위로 지나갈 때, 스크롤들이 상대 궤도 이동하는 중에 원형 구멍에 위치하는 축방향 선단 밀봉 요소의 특정 부분이 원형 구멍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부분이 확대되어 야기되는 지지부의 감소로 인하여 원형 구멍의 개구부를 향해 쉽게 만곡되는 경향이 있게 된다. 그 결과, 축방향 선단 밀봉 요소의 상기 부분은 나선형 요소의 축방향 단부의 엣지와 원형 구멍의 엣지에 의해 쉽게 물리는 경향이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축방향 선단 밀봉 요소는 예컨대, 절단 등과 같은 손상을 입게 되어 압축기의 압축 기구 기능이 저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목적은 축방향 선단 밀봉 요소의 손상 없이, 압축기가 어떠한 속도로 회전하더라도 용량 조절 기구의 제어능력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크롤형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롤형 압축기는 유입 포트 및 유출 포트가 구비된 하우징을 포함한다. 고정 스크롤이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그 스크롤은 원형 단부판들을 구비하는데, 이 단부판들로부터 제1나선형 요소가 연장된다. 원형 단부판을 구비하며, 이 단부팜으로부터 제2나선형 요소가 연장되는 궤도 스크롤이 구동축 상에 위치한다. 상기 2개의 나선형 요소들은 반경 방향 및 각도상으로 편의된 상태로 상호 끼워져 복수개의 접촉선들을 형성하고, 하우징의 내부에 한 쌍 이상의 유체 포켓을 형성한다.
하우징은 궤도 스크롤을 구동시키는 구동 기구 및 궤도 스크롤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 방지기구를 포함한다. 구동 기구는 궤도 스크롤에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궤도 스크롤을 궤도 이동시키고 궤도 이동 중에 유체 포켓들의 체적을 변화시킨다. 회전 방지 기구는 궤도 스크롤의 회전을 방지한다.
고정 스크롤의 원형 단부판은 하우징의 내부를 전방 챔버 및 후방 챔버로 분할한다. 전방 챔버는 유입 포트와 연통된다. 후방 챔버는 유출 포트 및 두 스크롤에 의해 형성되는 중앙의 유체포켓과 연통되는 방출 챔버와, 중간의 압력 챔버로 분할된다. 고정 스크롤의 원형 단부판을 관통하는 한 쌍 이상의 원형 구멍이 형성되어 유체 포켓과 중간 압력 챔버사이에 제1유체 채널을 형성한다. 고정 스크롤의 원형 단부판을 관통하여 형성된 연통 채널은 중간 압력 챔버와 전방 챔버 사이에 제2유체 채널을 제공한다. 연통 제어 기구는 제2유체 채널의 연통 상태를 조절한다.
3개 이상의 밀봉 요소들이 궤도 스크롤의 제2 나선형 요소의 축방향 단부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위치한다. 상기 3개 이상의 밀봉 요소들은 그들 사이에 2개 이상의 격리된 부분을 형성한다. 이 2개 이상의 격리된 부분들은 스크롤들이 상대궤도 이동하는 동안에 한 쌍 이상의 원형 구멍들을 지나가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을 특징지우는 신규한 기타 이점 및 특징들은 후슬하는 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 및 그 이점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설명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을 참고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롤형 압축기를 도시하고 있다. 본 스크롤형 압축기는 전방 단부판(11) 및 이에 부착된 컵형 케이싱(12)을 구비한 압축기 하우징(10)을 포함한다. 개구부(111)가 전방 단부판(11)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고, 구동축(13)이 상기 개구부(111) 내에 배치된다. 환형 돌출부(112)가 전방 단부판(11)의 후면에 형성되어 있다. 환형 돌출부(112)는 컵형 케이싱(12)을 향하며 개구부(111)와 동심적이다. 상기 돌출부(112)의 외주면은 컵형 케이싱(12)의 개구부(121)의 내벽으로 연장된다. 컵형 케이싱(12)의 개구부(121)는 전방 단부판(11)으로 덮여 잇다. 환형 돌출부(112)의 외주면과 컵형 케이싱(12)의 개구부(121)의 내벽 사이에 O링(14)이 위치되어 전방 단부판(11)과 컵형 케이싱(12)의 맞닿는 면을 밀봉한다.
환형 슬리브(16)가 전방 단부판(11)의 전방 단부면으로부터 종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동축(13)을 둘러싸고, 축 밀봉 공동(161)을 형성한다.
구동축(13)은 슬리브(16)의 전방 단부 내에 위치된 베어링(17)을 통해 환형 슬리브(16)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구동축(13)은 그 내측 단부에 디스크형 로터(131)를 구비하고 있는 데, 이는 전방 단부판(11)의 개구부(111) 내에 위치된 베어링(15)을 통해 전방 단부판(1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축 밀봉 조립체(18)는 환형 슬리브(16)의 축 밀봉 공동(161) 내에서 구동축(13)과 커플링된다.
폴리(201)가 환형 슬리브(16)의 외주면 상에서 지탱되는 볼 베어링(19)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전자 코일(202)이 지지판(204)에 의해 환형 슬리브(16)의 외면 주위에 고정된다. 전기자 판(armature plate)(203)이 구동축(13)의 외측 단부 상에서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폴리(201), 전자 코일(202) 및 전기자기판(203)은 전자 클러치(20)를 형성한다. 작동시, 구동축(13)은 전자 클러치(20)와 같은 회전 전동 장치를 통해 예컨대, 자동차 엔진과 같은 외부동력원에 의해 구동된다.
고정 스크롤(21), 궤도 스크롤(22) 및 궤도 스크롤(22)용 회전 방지/추력베어링 기구(24)가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된다.
고정 스크롤(21)은 원형 단부판(211) 및 이 단부판(211)의 한 단부면에 부착되거나 또는 그 단부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나선형 요소(212)를 포함한다. 고정 스크롤(21)은 컵형 케이싱(12)의 외부로부터 단부판(211)속으로 나사 체결되는 나사(도시 생략)에 의해 컵형 케이싱(12)의 내부 챔버 내에 고정된다. 원형 단부판(211)의 외주면과 컵형 케이싱(12)의 내주벽사이에 O링(123)이 위치한다. 따라서, 고정 스크롤(21)의 원형 단부판(211)은 컵형 케이싱(12)의 내부 챔버를 전방챔버(27)와 후방 챔버(28)의 두 챔버로 절연되게 분할한다. 고정 스크롤(21)의 나선형 요소(212)는 전방 챔버(27) 내에 위치한다.
벽(122)이 컵형 케이싱(12)의 내측 단부면으로부터 종방향으로 돌출되어 후방 챔버(28)를 방출 챔버(281) 및 중간 압력 챔버(282)로 분할한다. 벽(122)의 단부면은 원형 단부판(211)의 후방 단부면과 접촉된다.
전방 챔버(27) 내에 위치하는 궤도 스크롤(22)은 원형 단부판(221)과, 이단부판(221)의 한 단부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나선형 요소(222)를 포함한다. 궤도 스크롤(22)의 나선형 요소(222)와 고정 스크롤(21)의 나선형 요소(212)는 상호 약 180°의 각도로 편의되고 반경 방향으로 역시 편의된 상태로 상호 끼워져, 나선형 요소(212, 222)사이에 밀봉 공간을 형성한다. 궤도 스크롤(22)은 래이디얼니이들베어링(radial needle bearing)(30)을 통해 부싱(2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데, 부싱(23)은 디스크형 부분(131)의 내측 단부에 편심적으로 연결된다. 궤도 스크롤(22)이 궤도 이동을 하는 동안, 궤도 스크롤(22)의 회전은 회전방지/추력 베어링 기구(24)에 의해 방지되는 데, 이 기구(24)는 전방 단부판(11)의 후방 단부면 및 궤도 스크롤(22)의 원형 단부판(221) 사이에 위치한다.
압축기 하우징(10)에는 압축기를 외부 냉각 회로에 연결시키는 유입 포트(31) 및 유출 포트(32)가 마련된다. 상기 외부 회로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는 유입포트(31)를 통해 흡입 챔버(271) 속으로 유입되며, 나선형 요소들(212, 222) 사이의 개방 공간을 통하여 상기 나선형 요소들 사이에 형성된 밀봉 공간 속으로 흐른다. 상기 나선형 요소들 사이에 형성된 밀봉 공간들은 궤도 스크롤(22)이 궤도 이동하는 동안에 순차적으로 개폐된다. 상기 밀봉 공간들이 개방되면, 압축될 유체가 상기 공간속으로 유입되지만 압축은 일어나지 않는다. 상기 밀봉 공간들이 폐쇄되면, 유체는 더 이상 그 공간 속으로 유입되지 않고 압축이 시작된다. 나선형 요소(212, 222)의 외측 말단부가 최종 인볼류트 각도를 취하기 때문에, 나선형 요소들 사이의 공간들의 위치는 최종 나선 각도와 직접적으로 연관된다. 또한, 밀봉 공가내의 냉매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되고, 궤도 스크롤(22)이 궤도 이동함으로써 압축된다. 중앙 밀봉 공간(272)에 있는 압축 냉매는 원형 단부판(211)의 중앙에 형성된 방출 포트(213)를 통해 스프링 재료의 밸브판(231)을 지나 방출 챔버(281)로 방출된다. 압력차에 의해 밸브판(231)이 밀려지면, 밸브 리테이너(231a)는 밸브판(231)을 수용하여 밸브판(231)이 과도하게 굴곡되는 것을 방지한다. 밸브판(231)이 과도하게 굴곡되면 밸브판(231)이 손상될 수 있다.
제2도를 참조하면, 한 쌍의 원형 구멍(214, 215)이 고정 스크롤(21)의 원형 단부판(211)에 형성되어 있고, 일반적으로 대칭되게 위치되어 있어서, 궤도 스크롤(22)의 나선형 요소(222)의 축방향 단부면은 일반적으로 상기 구멍들을 동시에 지나가게 된다. 구멍(214, 215)은 중간의 밀봉 공간(273)과 중간 압력 챔버(282) 사이를 연통시킨다. 각 구멍(214, 215)의 반경은 나선형 요소들의 두께보다 약간 작게 설계된다. 원형 구멍(214)은 나선형 요소(212)의 내측벽을 따라 개방된다. 원형 구멍(215)은 나선형 요소(212)의 외측벽을 따라 개방된다. 따라서, 원형 구멍(214)을 고정 스크롤(21)의 나선형 요소(212)의 내벽 내로 깊게 절삭 형성함으로써, 예컨대 궤도 스크롤(22)의 나선형 요소(222)의 외벽이 원형 구멍(214)의 위치에서 고정 스크롤(21)의 나선형 요소(212)의 내벽과 접촉할 때, 고정 스크롤(21)의 원형 단부판(211)에 형성된 원형 구멍(214)의 일부가 궤도 스크롤(22)의 나선형 요소(222)의 축방향 단부에 의해 완전히 덮일 수 있다. 원형 구멍(215)도 마찬가지이다. 한 쌍의 밸브판(제1도에는 하나의 밸브판만을 밸브판(341)으로서 도시하였다)들은 파스너(도시 생략)에 의해 원형 단부판(211)의 후방 단부면에 부착된다. 밸브판(341) 및 다른 밸브판은 스프링 재료로 만들어져서, 밸브판(341) 및 다른 밸브판이 편향되면 이들은 구멍(214) 및 다른 구멍의 후방 단부 개구부에 대해 밀려져 각 구멍들을 폐쇄하게 된다. 밸브 리테이너(231a)뿐만 아니라, 한 쌍의 밸브 리테이너(제1도에서는 하나의 밸브 리테이너만을 밸브 리테이너(314a)로 도사하였다)들도 밸브판과 연관되어 기능을 수행한다.
고정 스크롤(21)의 원형 단부판(211)은 나선형 요소(212)의 종단부의 외측부에 형성된 연통채널(29)을 구비한다. 연통 채널(29)은 흡입 챔버(271)와 중간 압력 챔버(282) 사이를 연통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제어 기구(36)는 흡입 챔버(271)와 압력 챔버(282) 사이의 유체 연통 상태를 조절한다. 제어 기구(36)의 상세한 내용은 미국 특허 제4,904,164호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 앞부분에서 기술하였으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축방향 선단 밀봉 요소(230)는 고정 스크롤(21)의 나선형 요소(212)의 축방향 단부를 따라 위치하는 홈(213) 내에 배치된다. 복수개의 축방향 선단 밀봉 요소들(240a, 240b, 240c)은 궤도 스크롤(22)의 나선형 요소(222)의 축방향 단부를 따라 연속적으로 위치되는 복수개의 홈(223a, 223b, 223c) 내에 각각 배치된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방향 선단 밀봉 요소(240a, 240b)는 궤도 스크롤(22)의 나선형 요소(222)의 축방향 단부에 제1격리된 부분(241)을 형성한다.
축방향 선단 밀봉 요소(240b, 240c)는 궤도 스크롤(22)의 나선형 요소(222)의 축방향 단부에 제2격리된 부분(242)을 형성한다. 따라서, 제1격리된 부분(241) 및 제2격리된 부분(242)에는 어떠한 홈도 그리고 어떠한 축방향 선단 밀봉 요소도 마련되지 않게 된다. 제1격리된 부분(241) 및 제2격리된 부분(242)은 궤도 스크롤(22)이 궤도 이동하는 동안에 각각 원형 구멍(214, 215)을 지나도록 위치한다.
따라서, 압축기가 고속으로 회전될 시에 원형 구멍(214, 215)에서의 원하지 않는 압력 강하를 방지하기 위해 원형 구멍(214, 215)의 직경이 확장될 때 조차도, 궤도 스크롤(22)의 나선형 요소(212)의 축방향 단부의 엣지와 원형 구멍(214, 215)의 엣지 사이에서 축방향 선단 밀봉 요소가 물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축방향 선단 밀봉 요소가 예컨대 절단되는 것과 같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압축기의 용량 조절 기구의 제어능력은 축방향 선단 밀봉 요소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어떠한 압축기의 회전 속도에서도 효율적으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축방향 선단 요소(240a, 240b, 240c)는 제1격리된 부분(241) 및 제2격리된 부분(242)을 형성하지만, 궤도 스크롤(22)의 나선형 요소(222)의 축방향 단부면과 고정 스크롤(21)의 원형 단부판(211)의 내면 사이의 축방향 밀봉성의 손상은 거의 무시할 수 있는 정도이다.
본 발명을 양호한 실시예를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는 단지 예로써 설명한 것이며,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한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용이하게 다른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유체 유입포트(31) 및 유체 유출 포트(32)가 마련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 내에 고정 배치되어 있고, 제1나선형 요소(212)가 단부판(211)으로부터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속으로 연장되는 상기 단부판(211)을 구비하는 고정 스크롤(21)과; 단부판(221)으로부터 제2 나선형 요소(222)가 연장되는 상기 단부판(221)을 구비하는 궤도 스크롤(22)과; 상기한 스크롤(21)의 단부판(211)을 관통하여 한 쌍 이상의 밀봉 유체 포켓과, 각각의 요소(212)로부터 상기 스크롤(21)의 단부판(211)의 반대 측면 사이에 제1유체 채널을 형성하는 한 쌍 이상의 구멍(214,215)을 포함하는 용량 조절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나선형 요소(212) 및 제2나선형 요소(222)는 한쌍 이상의 밀봉 유체 포켓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접촉선들을 형성하도록 각도상으로 그리고 반경 방향으로 편의되어 상호 끼워지는 스크롤형 유체 압축기에 있어서, 3개 이상의 밀봉 요소(240a, 240b, 240c)가 적어도 상기 다른 스크롤(22)의 축방향 단부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위치되고, 상기 3개 이상의 밀봉 요소(240a, 240b, 240c)는 그들 사이에 2개이상의 격리된 부분을 형성하며, 이 2개 이상의 격리된 부분은 상기 스크롤(21, 22)이 상대적인 궤도 이동을 하는 동안 상기 한 쌍 이상의 구멍(214, 215)을 지나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유체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22)에 작동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궤도 스크롤(22)을 궤도 이동시키는 구동 기구(13, 23)와, 궤도 이동하는 동안 상기 궤도 스크롤(22)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 방지 수단(24)을 포함하며, 상기 유체 포켓의 체적은 궤도 이동하는 동안 변하여 포켓 내의 유체를 압축시키고, 압축 유체는 상기 스크롤들(21,22)에 의해 형성된 중앙 유체 포켓(272)으로부터 상기 단부판들(211, 221)중 하나에 형성된 유출구를 통해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압축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스크롤(21)의 원형 단부판(211)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를 전방 챔버(27)와 후방 챔버(28)로 분할하고, 상기 전방 챔버(27)는 상기 유체 유입 포트(31)와 연통하며, 상기 후방 챔버(28)는 상기 유체 유출 포트(32)와 중앙 유체 포켓(272) 사이를 연통시키는 방출 챔버(281)와, 중간의 압력 챔버(282)로 분할되고, 상기 제1유체채널은 상기 유체 포켓과 상기 중간 압력 챔버(282)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중간 압력 챔버(282)와 전방 챔버(27) 사이에 제2유체 채널을 형성하도록 상기 고정 스크롤(21)의 단부판(211)을 관통하여 연통 채널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압축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 이상의 구멍(214, 215)은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형 압축기.
KR1019910011296A 1990-07-05 1991-07-04 용량 가변형 기구가 구비된 스크롤형 압축기 KR1001939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176300 1990-07-05
JP2176300A JPH0466793A (ja) 1990-07-05 1990-07-05 容量可変型スクロール圧縮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2935A KR920002935A (ko) 1992-02-28
KR100193914B1 true KR100193914B1 (ko) 1999-06-15

Family

ID=16011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1296A KR100193914B1 (ko) 1990-07-05 1991-07-04 용량 가변형 기구가 구비된 스크롤형 압축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468238B1 (ko)
JP (1) JPH0466793A (ko)
KR (1) KR100193914B1 (ko)
AU (1) AU634895B2 (ko)
CA (1) CA2046245C (ko)
DE (1) DE69100471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8879A (en) * 1994-03-03 1995-10-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Oral vehicle compositions
JP4103225B2 (ja) * 1998-06-24 2008-06-18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圧縮機
JP2002130156A (ja) * 2000-10-20 2002-05-09 Anest Iwata Corp 多段式流体圧縮部を備えたスクロール流体機械
KR102310647B1 (ko) 2014-12-12 2021-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압축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45656B2 (en) * 1980-09-30 1985-07-25 Sanden Corporation Scroll pump seal
JPH0756274B2 (ja) * 1987-03-20 1995-06-14 サンデン株式会社 スクロール式圧縮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8013791A (en) 1992-01-09
EP0468238B1 (en) 1993-10-06
EP0468238A1 (en) 1992-01-29
AU634895B2 (en) 1993-03-04
DE69100471T2 (de) 1994-03-03
DE69100471D1 (de) 1993-11-11
CA2046245C (en) 1998-11-17
KR920002935A (ko) 1992-02-28
CA2046245A1 (en) 1992-01-06
JPH0466793A (ja) 1992-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73269B1 (en) Scroll type compressor with variable displacement mechanism
US4514150A (en) Scroll type compressor with displacement adjusting mechanism
US4642034A (en) Scroll type compressor with displacement adjusting mechanism
EP0043701B1 (en) Capacity control for a scroll-type fluid displacement apparatus
US4505651A (en) Scroll type compressor with displacement adjusting mechanism
US4468178A (en) Scroll type compressor with displacement adjusting mechanism
EP0206759B1 (en) Scroll type compressor
EP0326189B1 (en) Scroll type compressor with variable displacement mechanism
US4673340A (en) Variable capacity scroll type fluid compressor
US5458471A (en) Scroll-type fluid displacement device having high built-in volume ratio and semi-compliant biasing mechanism
AU768192B2 (en) Compressor pulse width modulation
EP0283283B1 (en) Scroll type compressor with displacement adjusting mechanism
US4968232A (en) Axial sealing mechanism for a scroll type compressor
EP0227249A1 (en) Axial sealing mechanism for scroll type fluid displacement apparatus
KR900003099B1 (ko) 가변 용량형 베인 압축기
KR0160290B1 (ko) 스크로울형 압축기용 축방향 밀봉기구
KR100193914B1 (ko) 용량 가변형 기구가 구비된 스크롤형 압축기
EP0113786A1 (en) Scroll type compressor with displacement adjusting mechanism
EP0754862B1 (en) A fluid displacement apparatus with variable displacement mechanism
EP0742869B1 (en) Scroll-type fluid displacement device having high built-in volume ratio and semi-compliant biasing mechanism
GB2146075A (en) Scroll type compressor with displacement adjusting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8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